KR930002617B1 - Spinning reel - Google Patents
Spinning ree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30002617B1 KR930002617B1 KR1019850005805A KR850005805A KR930002617B1 KR 930002617 B1 KR930002617 B1 KR 930002617B1 KR 1019850005805 A KR1019850005805 A KR 1019850005805A KR 850005805 A KR850005805 A KR 850005805A KR 930002617 B1 KR930002617 B1 KR 93000261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ool
- rotor
- main body
- reverse rotation
- shaf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제 1도는 제 3도의 I - I 선의 단면도(본 발명에 의한 스피닝 릴의 1실시예에서 역회전 클리크가 로터 외부에 수용되어있는 상태를 도시함).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ine I-I of FIG. 3 (showing a state in which a reverse rotation click is accommodated outside the rotor in one embodiment of the spinning re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상기 실시예에서 역회전 클리크가 로터 내부에 수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단면의 위치는제l도의 경우와 동일함).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reverse rotation click is accommodated inside the rotor in the above embodiment (the position of the cross section is the same as in the case of FIG. 1).
제3도는 상기 실시예의 종단면도.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embodiment.
제4도는 상기 실시예의 로터 및 여기에 부속되는 부품을 도시한 측면도.4 is a side view showing the rotor of the above embodiment and the parts attached thereto;
제5도는 제3도의 V-V선의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V in FIG.
제6도는 상기 실시예의 스풀을 도시한 측면도.6 is a side view showing a spool of the embodiment.
제7도는 상기 실시예의 로터 및 여기에 부속되는 부품을 도시한 배면도.FIG. 7 is a rear view showing the rotor of the embodiment and parts attached thereto. FIG.
제8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종단면도.8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9도는 제8도의 IX-IX선단면도.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X-IX of FIG.
제10도는 제8도의 X-X선 단면도.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X of FIG.
제11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종단면도.1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2도는 제11도에 도시한 실시예의 로터 및 여기에 부속되는 부품을 도시한 측면도.FIG. 12 is a side view showing the rotor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1 and parts attached thereto; FIG.
제13도는 제11도의 XIII-XIII선 단면도.1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III-XIII of FIG.
제14도는 제11도의 XIV-XIV선 단면도.14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XIV-XIV in FIG.
제15도는 제11도에 도시한 실시예의 로터 및 여기에 부속되는 부품을 도시한 배면도.FIG. 15 is a rear view showing the rotor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1 and parts attached thereto; FIG.
제16도는 제11도의 XVI-XVI선 단면도.1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XVI-XVI in FIG.
제17도는 제11도의 XVII-XVII선 단면도.FIG. 17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VII-XVII of FIG. 11. FIG.
본 발명은 낚시용 스피닝 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낚시줄(이하 "실"이라함)의 꼬임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한 스피닝 링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inning reel for fish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spinning ring capable of removing the twist of a fishing lin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read").
종래에 스피닝 릴에 있어서는 캐스팅할때 릴 본체에 대해 고정상태에 있는 스풀에서 부터 실이 코일상태로 방출되므로 실은 꼬이게 된다. 이와같은 실의 꼬임은 반대로 스풀에 감아올릴때에는 어느정도 제거되어지나 완전히 제거되지 않고 어느정도 꼬임에 남아있게 된다.In the conventional spinning reel, the thread is twisted because the thread is released in a coil state from the spool which is fixed to the reel body when casting. This twist of the thread, on the contrary, is removed to some extent when wound on the spool, but remains to some extent rather than completely removed.
또 스피닝 릴에 있어서는 드랙장치에 설정되어 있는 값 이상의 힘으로 실이 인장되어 스풀이 드랙장치에 저항하여 실이 풀려나오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을때에 핸들을 회전시켜 버리면, 실이 스풀에 되감기지 않는 상태에서 로터가 회전하여 버리게 되므로 이때에 실은 심하게 꼬이게 된다(스피닝 릴에 있어서 드랙장치는 본체에 대한 스풀의 회전을 제동하는 일종의 마찰 브레이크이며, 실에 작용하는 인장력이 설정치보다 작을매는 마찰력에 의해 스풀을 본체에 대해 회전하지 않도록 하고 있지만, 실이 설정치 이상의 힘으로 인장되려고 한 경우에는 스풀이 본체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허용함으로써 실에 과대한 힘이 걸리지 않도록 하는것이다.In the spinning reel, if the thread is tensioned with a force greater than the value set in the drag device and the handle is rotated while the spool is rotating in the direction where the thread is released against the drag device, the thread does not rewind to the spool. At this time, the rotor is rotated and the thread is severely twisted. Although it does not rotate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when the thread is to be tensioned with a force higher than the set value, the spool is allowed to rotate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so as not to apply excessive force to the thread.
그리고, 이와같은 실의 꼬임은 캐스팅할때에 실을 릴에 엉겨붙게 하거나 루어 낚시의 경우에는 루어를 회전시켜 버리는 등의 불편이 생기게 된다.And, such a twist of the thread causes the thread to be entangled in the reel during casting, or in the case of lure fishing, to rotate the lure.
그러나 종래에는 상술한 바와같은 실의 꼬임이 발생하는 것은 스피닝 릴의 구조상 어쩔수 없는 것이며,이 실의 꼬임을 없이하는 것은 불가능한 것으로 생각되어 왔다.However, it has been conventionally considered that the twisting of the thread as described above is inevitable due to the structure of the spinning reel, and it is impossible to remove the twisting of the thread.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의 하나는 실의 꼬임을 없이한 스피닝 릴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ne o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pinning reel without the twist of the thread.
또, 본 발명은 다른 목적은 드랙장치의 존재가 실의 꼬임을 푸는 작업에 대하여 지장을 주지않는 스피닝릴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pinning reel in which the presence of the drag device does not interfere with the operation of unwinding the thread.
본 발명에 의한 스피닝 릴은 릴 본체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로터와, 상기 본체에 대해 상기 로터와 동축으로 회전가능하게 그리고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된 스풀과, 상기 본체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핸들과, 상기 핸들이 회전될때 상기 로터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스풀을 축방향으로 왕복운동 시키는 동력전달기구와, 상기 본체와 상기 스풀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스풀에 대해 제동력을 작용하는 드랙장치를 가지는 스피닝 릴에 있어서, 로터의 역회전시에 로터와 함께 스풀을 회전시키는 스풀 역회전 수단과 상기 스풀과 드랙장치와의 사이(또는 상기 본체와 상기 드랙장치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스풀의 정상회전시는 상기 스풀과 상기 드랙장치(또는 상기 본체와 상기 드랙장치)를 접속시키지만, 상기 스풀의 역회전시는 상기 스풀과 상기 드랙장치(또는 상기 본체와 상기 드랙장치)를 분리하는 일 방향토크전달 수단을 가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또, 본원 명세서에 있어서는 로터 및 스풀에 관하여 정상회전, 역회전 이라고할패, 로터 및 스풀이 각각 본래적인 기능을 다하는 회전방향을 징상회전 방향으로하고, 이것과는 역 방향을 역회전 방향으로 한다. 즉, 로터에 관하여는 이 로터가 스풀에 실을 감는 회전방항을 정상회전방향, 그와는 반대되는 방향을 역회전 방향으로하고, 스풀에 관하여는 이 스풀의 회전이 실을 풀려나오게하는 회전방향을 정상회전방향, 그와는 반대되는 방향을 역회전 방향으로 한다).The spinning re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rotor rotatably supported relative to a reel body, a spool supported rotatably and axially rotatably with the rotor relative to the body, and rotatably relative to the body. A supported handle, a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that rotates the rotor and axially reciprocates the spool when the handle is rotated, and is provided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spool to apply a braking force to the spool. A spinning reel having a drag device, which is provided between a spool reverse rotation means for rotating the spool together with the rotor during the reverse rotation of the rotor, and between the spool and the drag device (or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drag device). During normal rotation of the spool, the spool and the drag device (or the main body and the drag device) are connected, but the reverse rotation of the spool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one-way torque transmission means for separating the spool and the drag device (or the main body and the drag device) (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rotation and the reverse rotation with respect to the rotor and the spool) The direction of rotation in which the hand, rotor and spool perform their original functions is assumed to be the direction of rotation, and the direction of rotation is reverse to that of the rotor, i.e., the rotor against which the rotor is wound on the spool. The normal rotation direction and the direction opposite to it are the reverse rotation direction, and with respect to the spool, the rotation direction that causes the rotation of the spool to release the thread is the normal rotation direction and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reverse rotation direction. ).
본 발명에 있어서는 실이 스풀에서부터 풀려나오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수단에 의해서 스풀을 로터와 함께 역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실의 꼬임을 없이 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ate in which the yarn is released from the spool, by twisting the spool together with the rotor by the above means, the yarn can be twisted.
또, 이와같이 하여 실의 꼬임을 풀기때문에 스풀을 로터와 함께 역회전시키는 경우에도 드랙장치가 작동하면, 드랙장치에 의해 제동력이 스풀에 작용하므로 스풀을 역회전시키는 작업이 곤란하게 된다. 그런데, 본 발명에 있어서는 스풀이 역회전 되는 경우에는 일방향 토크 전달수단에 의해 스풀과 드랙장치와의 사이(또는 릴 본체와 드랙장치와의 사이)가 분리되어, 스풀이 드랙장치로부터 제공을 받지 않으므로 드랙장치의 존재가 상기 스풀의 역회전에 의한 실의 꼬임을 푸는 작업에 지장을 주지않게 된다.In addition, in this way, the thread is actuated, so that even when the spool is rotated with the rotor, if the drag device is operated, the braking force acts on the spool by the drag device, making it difficult to reverse the spool. In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when the spool is rotated in reverse, the one-way torque transmission means separates the spool from the drag device (or between the reel unit and the drag device), and the spool is not provided from the drag device. The presence of the drag device does not interfere with the unwinding of the thread due to the reverse rotation of the spool.
또한, 스풀이 정상회전되는 경우에는 일방향 토크전달 수단이 스풀과 드랙장치와의 사이(또는 릴 본체와 드랙장치와의 사이)를 접속시키고, 스풀이 드랙장치에 의하여 제동을 받으므로 드랙장치의 본래의 기능에도 지장을 주지 않게 된다.When the spool is rotated normally, the one-way torque transfer means connects the spool with the drag device (or between the reel unit and the drag device), and the spool is braked by the drag device. Will not interfere with the function of.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도에서 제 7도까지는 본 발명을 소위, 리어 드랙식 스피닝 릴(드랙장치가 릴의 뒤쪽에 설치되는 형식의 스피닝 릴)에 적용한 실시예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릴 본체(1)에는 핸들축(2)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이 핸들축(2)에는 핸들(3)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핸들축(2)에는 페이스기어(face gear)(4) 및 평치차(5)가 고정되어 있다. 또 상기 본체(1)에는 속이 빈 형태의 로터축(6)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이 로터축(6)에는 로터(7)가 고정되어 있다. 이 로터(7)은 원판상부(圓板狀部)(7b)와, 이 원판상부(7b)의 외주부에 연속하는 통상부(筒狀部)(7d)와, 이 통상부(7d)의 외측에 뻗어있는 한쌍의 암(7a)을 일체적으로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암(7a)의 선단부 사이에는 픽업(81)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1 to 7 show an embodiment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so-called rear drag spinning reel (a spinning reel of a type in which a drag device is installed behind the reel).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3, the handle shaft 2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상기 로터축(6)의 후단부에는 페이스기어(4)에 치합하는 소지차(6a)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로터축(6)에는 래칫치차(ratchet geat)(8)가 고정되어 있으며, 본체(1)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래칫클리크(ratchet click)(9)에.래칫치차(8)가 걸리는 것에 의하여 로터축(6)의 역회전이 방지되도록 되어있다(또한 상기 래칫클리크 9는 도시하지 않는 스프링에 의하여 래칫치차(8)를 향하여 힘이 가해지도록 되었다). 단, 도시하지 않은 역회전방지 해제기구에 의하여 래칫클리크(9)가 래칫치차(8)로부터 강제적으로 떼어 놓여지면 로터축(6) 및 로터(7)는 역회전 가능한 상태로 된다.The rear end of the rotor shaft 6 is integrally formed with a holding gear 6a that engages with the face gear 4. A ratchet tooth 8 is fixed to the rotor shaft 6 and a ratchet click 9 rotatably supported by the
상기 로터축(6)에는 스풀축(10)이 관통되어 있으머, 이 스풀축(10)은 본체(1) 및 로터축(6)의 양쏙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하며 또한 본체(1) 및 로터축(6)의 양쪽에 대하여 축선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어있다(로터축 6은 본체 1에 대하여 축선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되어있다). 상기 스풀축(10)에는 스풀(11)이 회전가능하며 또한 축선방향으로 고정되도록 지지되어있다. 여기서 이 스풀(11)은 축선방향으로는 스풀축(10)에 완전하게 고정되어도 좋으나, 본 출원인이 제안한 일본국 실용신안공개공보 소 58-182678호에서와 같이 축선 방향으로 스풀(11)을 스풀축(10)에 대하여 반 고정하고, 축선방향으로는 스풀축(10)에 대한 이 스풀(1)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The rotor shaft 6 has a
상기 본체(1)에는 평치차(5)에 치합되는 평치차(12)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이 평치차(12)의 측면에는 편심핀(13)이 고정되어 있다. 한편 상기 스풀축(10)에는 가이드(14)가 이 스풀축(10)에 대하여 축선방향으로 이동불가능하고, 이 스풀축(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며 또한 본체(1)에 대하여 회전불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이 가이드(14)에 설치된 홈(14a)에는 편심핀(13)이 이동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여기에서 상기 편심핀(13) 및 가이드(14)는 평치차(12)의 회전운동을 스풀축(10)의 직선왕복 운동으로 변환시키는 크랭크 기구를 구성하고 있다.The
따라서 핸들(3)을 돌려서 핸들축(2)을 회전시키면 평치차(5)를 거쳐서 평치차(12)도 회전되며, 또한 이평치차(12)의 회전운동이 상기 크랭크 기구에 의하여 스풀축(10)의 직선왕복 운동으로 변환되기 때문에 스풀축(10)은 스풀(11)과 함께 축선방향으로 직선왕복 운동한다. 또 이것과 동시에 상기 핸들축(2)의 회전에 의해서 페이스기어(4), 소치차(6a) 및 로터축(6)을 거쳐서 로터(7)도 회전된다.Accordingly, when the handle shaft 2 is rotated by turning the handle 3, the
상기 본체(1)의 후단부에는 드랙장치(15)가 설치되어 있다. 이 드랙장치(15)는 스풀축(10)과 본체(1)사이에 장착되어서 본체(1)에 대해 스풀축(10)으로 스풀(11)의 회전을 제동하는 것이머, 드랙잡이(16)를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그 제동력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도톡 되어있다.At the rear end of the
또한 본 실시에중 이상의 구성은 스풀축(10)에 대하여 스풀(11)이 회전가능하게 된 것을 제외하고는 종래공지의 스피닝 릴과 같은 것이다.The abov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spinning reel of the prior art, except that the spool 11 is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제1도,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로터(7)의 원판상부(7b)에는 릴 앞쪽을 향해서 융기되는 융기부(7c)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제1도, 제2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이 융기부(7c)에는 스풀축(10)과 평행방향으로 뻗는 꼬임풀기 변환축(17)이 관통되어 있다. 그리고 이 꼬임풀기변환축(17)은 로터(7)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되어있다.As shown in FIGS. 1, 2 and 3, the
제 4도 및 제 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꼬임풀기 변환축(17)의 후단부에는 꼬임풀기 변환레버(18)가 고정되어 있으며 이 꼬임풀기 변환레버(18)는 로터(7)의 통상부(7d)의 후단면에 설치된 레버 돌출 요입부(19)보다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한편, 상기 꼬임풀기 변환축(17)의 전단부에는 제1도,제2도 및 제4도에서와같이 스플리트 핀(20)에 의하여 스풀역회전클리크(21)가 고정되어 있으며, 이 스풀역회전클리크(21)의 선단부에는 절곡부(21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스풀역회전클리크(21)의 선단측은 꼬임풀기 변환축(17)의 회전에 따라 로터(7)의 통상부(7d)의 전단연에 설치된 클리크 돌출 요입부(22)로 부터 통상부(7d)의 외부로 돌출되거나 통상부(7)의 내부에 들어가거나 하도록 되어있다.As shown in Figs. 4 and 7, the
제1도 및 제2도에서와 같이 상기 로터(7)와 스풀역회전클리크(21)사이에는 비틀림 코일스프링(23)이 장착되어 있으며, 이 스프링(23)은 스풀역회전클리크(21)가 제1도 및 제2도에서 어느 경계위치를 넘어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 이 스플 역회전 클리크(21)를 시계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한편, 이 스풀역회전클리크(21)가 상기 경계위치를 넘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면 이 스풀역회전클리크(21)를 반시계 방향으로 부세하는 데드포인트 스프링을 구성하고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2, a
제1도,제2도,제5도 및 제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스풀(11)의 후단측 내주부에는 스풀축(10)과 평행방향으로 뻗는 클리크 접촉돌부(24)가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있어서, 상기 역회전 클리크(21) 및 클리크 접촉돌부(24)등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 스풀 역회전 수단을 구성한다.As shown in FIG. 1, FIG. 2, FIG. 5, and FIG. 6, the rear contact side inner peripheral part of the spool 11 is provided with the
제3도 및 제5도에서와 같이 상기 스풀축(10)에는 칼라(collar)(25) 및 래칫치차(26)가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래칫치차(26)는 스풀(11)의 후단면과 칼라(25)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되어있다. 제5도에서와 같이 상기 풀(11)의 후단면에는 래칫치차(26)와 협동하는 래칫클리크(28)가 나사(27)를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스풀(11)과 래칫클리크(28)사이에는 비틀림 코일스프링(29)이 장착되어 있으며, 이 스프링(29)은 래칫클리크(28)를 로터(7)의 후단면에 설치된 돌기(30)를 향해서 힘이 가해지도록 하고 있다(즉, 제 5도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힘을 가해져있다). 이것에 있어서, 상기 래칫치차(26), 래칫클리크(28), 스프링(29) 및 돌기(30)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일방향 토크전달수단을 구성한다.As shown in FIGS. 3 and 5, a
다음에, 본 실시예의 작동을 설명한다. 또, 도면에 있어서, 로터(7) 및 스풀(11)의 정상회전 방향은 각각 화살표 N, 역회전 방향은 화살표 R로 표시되어 있다.Next,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the drawings, the normal rotation directions of the
이 스피닝 릴에 있어서는, 살이 스풀(11)로부터 나오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다음과 같이하여 스풀(11)을 로터(7)와 함꼐 역회전 시키는 것에 의해 실의 꼬임을 제거할 수 있다.In this spinning reel, in the state where the flesh is coming out of the spool 11, the twist of the thread can be removed by rotating the spool 11 together with the
즉, 실이 스풀(11)로부터 나오고 있는 상태에서 손가락으로 변환레버(18)를 제7도의 실선으로 표시되는 위치로 회동시키면 스풀역전 클리크(21)는 제1도에서와 같이 클리크 돌출요입부(22)로부터 돌출한다.That is, when the
이와같은 상태에서 핸들(3)을 화살표(R)방향으로 회전시켜 로터(7)를 역회전시키면(이매 로터 7의 역전방지는 해제하여 둔다), 스풀역회전클리크(2l)는 스풀(11)의 클리크 접촉돌부(24)에 걸리고, 이 스풀역회전클리크(21)는 클리크 접촉돌부(24)와 로터(7)의 클리크 돌출요입부(22)의 주연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되며, 로터(7) 및 스풀(11)의 쌍방에 대하여 이동 불가능한 상태로 된다. 따라서, 이후 스풀(11)은 로터(7)와 함께 역회전(또한 이때 스풀 11은 축선방향으로 직선왕복 운동을 하므로 축선방향의 움직임에는 로터 7와 스풀 11은 일체 관체가 없다)하여 실이 꼬이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바와같이 스풀(11) 및 로터(7)의 역회전을 적당하게 여러번 반복시키면 실의 꼬임을 만족할 만큼 없이 할 수 있다·In such a state, when the handle 3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R to reverse the rotor 7 (the reverse prevention of the
여기서, 만일 상술한 바와같이 스풀(11)을 로터(7)와 같이 역회전시킬 경우에도 드랙장치(15)가 작동하면, 드랙장치(15)에 의한 제동력에 저항하면서 핸들(3)을 역회전시키지 않으면 안되므로 실의 꼬임을 푸는 작업이 곤란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같은 경우에는 드랙장치(15)의 드랙잡이(16)을 풀어서 드랙장치(15)에 의한 제동력을 0으로 하던가 또는 적게하는 등의 번거로운 조작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스풀(11)을 로터(7)와 같이 역회전시킬 경우에는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같이 드랙장치(15)가 작동하지 않는 상태로 되므로 그와같은 불편은 생기지 않는다.Here, if the
즉, 상술한 바와같이 스풀(11)을 로터(7)와 함께 역회전시킬 경우에는 제5도에서 분명한 바와같이 스풀(11)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래칫클리크(28)는 스풀축(10)에 고정되어 있는 래칫치차(26)의 치에 치합되지 않으므로(래칫클리크 28이 래칫치차 26의 치에 접촉하면, 래칫클리크 28은 스프링 29에 대합하여 돌기(30)로부더 이간하는 방향, 즉 도면상의 반시계 방향으로 도망하므로), 스풀(11)과 스풀축(10)이 비접속상태로 되고, 더 나아가서는 비접속 상태로 된다. 따라서, 스풀(11)이 로터(7)와 함께 역회전할 경우에는 드랙장치(15)에 의한 제동력이 작용하는 일은 없다.That is, when rotating the spool 11 together with the
또, 고기가 낚시에 걸려서 실을 끌어당겨 스풀(11)을 정상적으로 회전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래칫클리크(28)는 래칫치차(26)의 치에 치합(이매 래칫클리크 28은 돌기 30에 걸려서 스풀 11에 대하여 회전이 불가능한 상태로 된다)하므로 스풀(11)은 스풀축(10)을 개재하여 드랙장치(15)에 접속되며 통상의 스피닝 릴의 경우와 같이 스풀(11)의 회전이 드랙장치(15)에 의해서 제동된다.In addition, when meat is caught by fishing and the thread is pulled and the spool 11 is normally rotated, the
전술한 바와같이 꼬임을 푸는 작업이 끝난다음, 실을 감기 위하여 로터(7)를 정상적으로 회전시키면(화살표 N은 정상회전 방향을 표시함) 스풀역회전클리크(21)가 스풀(11)의 클리크 접촉돌부(24)에 상기 역회전시와는 반대측으로부터 부딪치게 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스풀역회전클리크(21)가 제1도 및 제2도에서반 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제2도에서와 같이 모터(7)의 통상부(7d)내에 수용된다(이때 변환레버 18은 제7도의 일점쇄선 위치로 회동된다). 따라서 로터(7)가 정상적으로 회전할때는 스풀(11)이 로터(7)와 같이 회전하지 않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fter the end of the twisting operation, if the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스풀(11)을 역회전시키지 않고 로더(7)만을 역회전시킬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같이 스풀역회전클리크(21)가 통상부(7d)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핸들(3)을 역회전시키면 스풀역회전클리크(21)가 클리크 접촉돌부(24)에 걸리지 않으므로 원하는 대로 로터(7)만이 역회전된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when only the
제8도에서 제10도까지 본 발명을 리어드랙싱의 스피닝 릴에 적용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스풀(11)을 로터(7)와 함께 역회전시킬 경우, 드랙장치(15)가 작동하지 않는 것에 의해 스풀(11)은 실에 의한 저항력외에는 제동력을 전혀 받지 않고 자유로이 역회전하게 되므로 낚시하는 사람이 스풀(11)의 역회전 샹태를 제어할 수 없는 경우가 생길 염려가 있다(예를들면, 얇은 실을 사용하는 등에 의해 상기 실에 의한 저항력이 매우 작은 경우, 핸들(3)을 급속히 역회전시키는후 그의 핸들을 역회전 시키는 속도를 저하시키면, 스풀(11)은 관성으로 그대로 빠른 속도로 계속 역회전 하려고 하므로, 스풀(11)이 로터(7)내에 선행하여 역회전하고, 스풀역회전클리크(21)가 클리크 접촉돌부(24)로부터 이간하여 버린다. 이것에 의해, 낚시하는 사람이 의도하는 것브다 먼저 스풀(11)이 역회전하여 버리는 상태로 되고, 최악의 경우에는 로터(7)가 스풀(11)에 대하여 1바퀴 늦은 상태로 되고, 클리크접측돌부(24)가 역회전클리크(21)에 반대측으로부터 부딪쳐서 역회전클리크(21)를 로터(7)내로 들어가게 하여 버릴 염려가 있다).8 to 10 show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spinning reel of rear dragging. In this embodiment, when the spool 11 is reversely rotated together with the
본 실시예는 이와같은 단점들을 방지하기 위해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같이 스풀 역회전시에 드랙장치와는 달리 스풀에 적당한 제동력을 부여하는 역회전 제동장치(80)를 상기 실시예에 부가한 것이다.The present embodiment adds a reverse
즉, 상기 스풀(11)의 전단축에는 둥근구멍형의 제동판 수용구멍(31)의 스풀(11)의 축선방향으로 설치되어있으며 또 이 제동판 수용구멍(31)의 벽면에는 역시 스풀(11)의 축선방향으로 뻗는 한쌍의 홈(3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동판 수용구멍(31)내에는 적당한 수의 스풀측 제동원판(33), 마찰원판(34) 및 축측제동원판(35)이 수용되어 있다. 여기서 제9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스풀측제동원판(33)은 그 중심부에 둥근구멍(33a), 또 그 외주부에 한쌍의 돌기(33b)를 각각 설치하고 있으며, 상기 돌기(33b)는 훔(32)에 끼워져있다. 그리고 이것에 의하여 스풀측제동원판(33)은 스풀축(1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며, 또한 스풀(11)에 대해서는 회전불가능하게 되어있다.That is, the front end shaft of the spool 11 is provid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pool 11 of the round hole brake
또 한편, 상기 축측제동원판(35)은 제10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그 중심부에 원형이 아닌 중심구멍(35a)을 설치하고 있으머 이 중심구멍(35a)에는 스풀축(10)의 횡단면이 원형이 아닌 부분이 관통되어 있다. 또 축즉제동원판(35)은 그 외주부에 돌기가 설치되어 있지않다. 따라서 이 축측제동원판(35)은 스풀축(10)에 대하여 회전불가능하며 스풀(11)에 대해서는 회전가능하게 되어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0, the axial
상기 마찰원판(34)은 석면 등의 비교적 유연하고 큰 마찰력을 일으키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으며, 스풀측(10)에 관통된 상태에서 각 스풀축 제동원판(33)과 축측제동원판(35)사이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스풀축(10)의 선단외주부에는 수나사(36)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수나사(36)에는 역회전 제동잡이(37)가 나사결합되어있다. 그리고 역회전제동잡이(37)를 조이면 이 제동잡이(37)와 제동간수용구멍(3)의 저부사이에 상기 제동원판(33,35) 및 마찰원판(34)이 끼워지도록 되어있다.The friction disk 34 is made of a relatively flexible and large frictional material such as asbestos, between the spool
다른 구성은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다.The other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실의 꼬임을 없이 하기 위하여 스풀(11)을 로터(7)와 함께 역회전 시킬때에는 래칫클리크(28)와 래칫치차(26)가 치합하지 않기때문에 스풀(11)은 이들의 래칫클리크(28) 및 래칫치차(26)를 통해서는 스풀축(10), 나아가서는 드랙장치(15)에 접속되지 않으므로 드랙장치(15)에 의한 제동을 받지 않는다. 그러나 이 경우 마찰판(34)을 재개하여 스풀측제동원판(33)과 측측제동원판(35)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이 스풀(11)에 대하여 제동력으로 작용한다(또한 이 제동력은 역회전 제동잡이(37)를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조정할 수 있으나 드랙장치(15)에 의한 제동력보다 적게 설정되는 것으로 한다).Also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spool 11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또 스풀(11)이 정상회전 되도록 하였을 패에는, 래칫치차(26)는 래칫클리크(28)와 치합하므로 스풀(11)은 스풀축(10)을 통하여 드랙장치(15)에 접속되며, 이 드랙장치(15)에 의하여 제동된다.In addition, since the
이 결과, 본 실시예에서는 스풀(11)이 역회전할때는 이 스풀(11)에 대한 제동력의 크기는 역전제동장치(80)에 의해서 결정되는 한편, 스풀(11)이 정상회전 할때는 이 스풀(11)에 대한 제동력의 크기는 드랙장치(15)에 의해서 결정된다.As a result, in this embodiment, the magnitude of the braking force with respect to the spool 11 when the spool 11 rotates in reverse is determined by the
제11도에서 제17도까지는 본 발명을 프론트 드랙실 스피닝 릴(드랙장치가 릴의 앞부분에 있는 형식의 스피닝 릴)에 적용한 실시예이다.11 to 17 show an embodiment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front drag seal spinning reel (a spinning reel of the type in which the drag device is in front of the reel).
본체(1)에는 상기 각 실시예와 동일한 로터(7)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상기 본체(1)에는 스풀축(10)이 축선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이 스풀축(10')은 상기 로터(7)의 중심부를 관통하고 있다.The
여기서 본 실시예의 스풀축(10')은 상기 실시예의 스풀축(10)과는 다르며, 본체(1)에 대하여 회전불가능하게 되어있다.Here, the spool shaft 10 'of this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상기 본체(1)내에는 종래 공지의 동력전달기구(도시하지 않음)가 수용되어 있으며, 핸들(3)을 회전시키면 동력전달기구에 의하여 로터(7)가 회전되는 동시에 스풀축(10')이 축선방향으로 왕복직선 운동하도록 되어있다.In the
상기 스풀축(10)의 선단측에는 슬리부(52)가 스풀축(1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머, 또한 스풀축(10')에 대해서는 축선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이 슬리브(52)의 후단부에는 소리나는 치차(48) 및 래칫클리크 지지원판(51)이 고정되어 있다. 또 상기 스풀(11)의 후단면에는 소리나는 클리크(49)가 나사(50)을 개재하여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이 소리나는 클리크(49)는 도시하지 않는 스프링에 의하여 제14도에 도시하는 위치로 행해서 힘이 가해져 있다.On the front end side of the
제13도 및 제12도에서와 같이 상기 각 실시예와 동일하게 로터(7)의 융기부(7c)에는 스풀축(10')가 평행방향으로 뻗는 꼬임풀기 변환축(17)이 관통되어 있다. 그리고 이 꼬임풀기 변환축(17)은 로터(7)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되어있다.As shown in Figs. 13 and 12, the
제12도 및 제1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꼬임풀기 변환축(17)의 후단부에는. 꼬임풀기 변환레버(18)가 고정되어 있으며, 이 꼬임풀기 변환레버(18)는 로터(7)의 통상부(7d)의 후단연에 설치된 레버돌출요입부(19)보다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한편, 상기 변환축(17)의 전단부에는 제13도 및 제12도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스풀리트핀(20)에 의하여 스풀역회전클리크(21)가 고정되어 있으며, 이 스풀역회전클리크(21)의 선단부에는 절곡부(21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스풀역회전클리크(21)의 선단측은 변환축(17)의 회전에 따라 로터(7)의 통상부(7d)의 외부에 돌출되거나 통상부(7d)의 내부에 들어가거나 하도록 되어있다.As shown in FIGS. 12 and 15, at the rear end of the unwinding
제13도에 잘 도시되는 바와같이, 상기 로터(7)와 스풀역회전클리크(21)사이에는 비틀림코일스프링(23)이 장착되어 있으며, 이 스프링(23)은 제13도에서 역회전 클리크(21)가 어느 경계위치를 넘어서 시졔방향으로 회동되면 이 역회전클리크(21)를 시계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한편, 이 스풀역회전클리크(21)가 상기 경계위치를 넘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면 이 역회전클리크(21)를 반시계방향으로 밀어붙이는 데드포인트 스프링을 구성하고 있다.As well shown in FIG. 13, a
제13도 및 제14도에서와 같이 스풀(11)의 후단측 내주부에는 스풀축(10')가 평행방향으로 연장하는 클리크 접촉돌부(24)가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13 and 14, the rear contact side inner peripheral portion of the spool 11 is provided with a
제11도 및 제14도에서와 같이, 스풀축(10')에는 칼라(25') 및 래칫치차(26')가 고정되어 있으며, 이 래칫치차(26')는 수풀(11)의 후단면과 칼라(25')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되어있다. 제14도에서와 같이 상기 래칫콜러크 지지원판(51)의 후단면에는 래칫치차(26')와 협동하는 래칫클리크(28')가 나사(27')를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래칫클리크 지지원판(51)과 래칫클리크(28')사이에는 비틀림코일 스플링(29')이 장착되어 있으며, 이 스프링(29')은 래칫클리크(28')를 로터(11)의 후단면에 설치한 돌기(30')로 향해서 힘을 가하고 있다(즉, 제14도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힘이 가해져 있다).As shown in Figs. 11 and 14, the collar 25 'and the
릴의 앞부분에는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같은 드랙장치(60)가 설치되어 있다.At the front of the reel, a
제11도에서와 같이 상기 스풀(11)의 전단측에는 둥근구멍형의 제동판수용구멍(41)이 스풀(11)의 축선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또 이 제동판수용구멍(41)의 벽면에는 역시 스풀(11)의 축선방향으로 뻗는 한쌍의홈4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동판수용구멍(41)내에는 적당수의 스풀측제동원판(43), 마찰원판(44) 및 본체측 제동원판(45)이 수용되어 있다. 여기서 제16도에서와 같이 상기 스풀측제동원판(43)은 그 중심부에 둥근 구멍(43a), 또 그 외주부에 한쌍의 돌기(43b)를 각각 설치하고 있으며, 이 돌기(43b)는 훔(42)에 기워져 있다. 그리고 이것에 의하여 스풀측제동원판(43)은 슬리브(52)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며 또한 스풀(11)에 대해서는 회전불가능하게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1, a round hole brake
한편, 상기 슬리브제동원판(45)은 제17도에서와 같이 그 중심부에 원형이 아닌 중심구멍(45a)을 설치하고 있으며, 이 중심구멍(45a)에는 슬리브(52)의 횡단면(원형이 아님)부분이 관통되어 있다·또 본체측제동원판(45)에는 그 외주부에 돌기를 설치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슬리브측제동원판(45)은 슬리브(52)에 대하여 회전불가능하며 또한 스풀(11)에 대해서는 회전가능하게 되어있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마찰원판(44)은 석면 등의 비교적 유연하고 마찰력을 일으키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스풀측제동원판(43)과 슬리브측제동원판(45)사이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슬리브(52)의 선단외주부에는 수나사(52a)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수나사(52a)에는 드랙잡이(47)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이 드랙잡이(47)를 조이면 이 드랙잡이(47)와 제동판수용구멍(41)의 저부사이에 상기 각 제동원판(43,45) 및 마찰원판(44)이 끼워지도록 되어있다. 더구나, 마찰원판(44)을 설치하지 않고, 스풀측 제동원판(43)과 본체측 제동원판(45)이 직접마찰 접촉하도록 하여도 좋은 것도 말할것도 없다.The friction disk 44 is made of a relatively flexible and frictional material such as asbestos, and is mounted between each spool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각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게 하여 실이 스풀(11)로부터 풀려나오고 있는 상태에서 손가락으로 변환레버(18)를 제15도의 실선으로 표시하는 위치로 회동시켜 스풀역회전클리크(21)를 제13도에서와 같이 클리크 돌출요입부(22)로 부터 돌출시킨 상태에서 핸들(3)을 역회전하여 화살표(R)와 같이 로터(7)를 역회전시키면, 스풀역회전클리크(21)는 클리크 접촉돌부(24)에 걸리고 스풀역회전클리크(21)는 클리크접촉돌부(24)와 로터(7)의 클리크 돌출요입부(22)의 주연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되어 로터(7)및 스풀(11)의 양쪽에 대하여 이동불가능한 상태로 된다. 따라서, 이후 스풀(11)은 로터(7)와 함께 역회전하여 실의 꼬임이 없게 된다.Also in this embodiment, in the same manner as in each of the above embodiments, in the state where the thread is released from the spool 11, the
또, 본 실시예에서는, 스풀(11)에 작용하는 회전력은 스풀측제동원판(43) 및 본제측제동원판(45)사이를 개재하여 슬리브(52)에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스풀(11)이 역회전 될 때에는 래칫치차(26')와 래칫클리크(28')가 치합하지 않고 슬리브(52)는 본체(1)에 대하여 회전불가능한 스풀축(10')에 대하여 접속하지않는 상태(다른말로 바꾸어 말하면, 드렉장치(60)전체와 본체(1)와의 사이가 분리된 상태)로 되어있으므로, 본체측 제동원판(45)이 슬리브(52)와 함께 본체(1)내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으므로, 스풀(11)은 드랙장치(60)에 의한 제동을 받지 않는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rotational force acting on the spool 11 is transmitted to the
한편, 실이 끌어당겨지고 스풀(11)이 정상회전방향의 회전력을 받았을 경우에는, 래칫치차(26')와 래칫클리크(28')가 치합하여 래칫클리크(28')가 래칫치차(26')의 치와 돌기(30')의 치와 돌기(30')사이에 끼워지므로 슬리브(52) 및 본체측제동원판(45)은 본체(1)에 대하여 회전불가능한 스풀축(10')에 대하여 회전불가능한 상태로 된다. 그 결과, 본체측제동원판(45)은 본체(1)에 대하여 회전불가능한 상태로 되므로, 이 경우에는 본체(1)에 대한 스풀(11)의 회전에 대하여 드랙장치(60)의 제동력(즉, 스풀제동원판(43)과 본체측제동원판(45)과의 사이의 마찰력)이 작용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스풀(11)이 정상회전하면 스풀(11)이 슬리브(52)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소리나는 클리크(49)가 소리나는 치차(48)의 각 치에 각각 접촉되어 접촉음을 발생시켜, 낚시하는 사람은 이 소리에 의하여 스풀(11)이 정상회전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thread is pulled and the spool 11 receives the rotational force in the normal rotational direction, the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꼬임풀기 변환레버(18)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서 스풀을 로터와 함꼐 역회전시키거나 않거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로터가 역회전되었을때는 항상 스풀도 같이 역회전되도록한 기구로 하여도 좋다.In each of the above embodiments, the spool can be reversely rotated with the rotor by operating the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스피닝 릴은 로터와 함께 스풀을 역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실이 꼬이지않게 제거할 수 있으며, 특히 드랙장치의 존재가 실의 꼬임을 푸는 작업에 대하여 지장을 주지 않는 우수한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spinning re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moved without twisting the thread by rotating the spool together with the rotor, and in particular, the excellent effect that the presence of the drag device does not interfere with the loosening of the thread. Will be obtained.
Claims (4)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59246333A JPS61124337A (en) | 1984-11-22 | 1984-11-22 | Spinning real |
JP???59-246333 | 1984-11-22 | ||
JP?59-246333 | 1984-11-22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60003771A KR860003771A (en) | 1986-06-13 |
KR930002617B1 true KR930002617B1 (en) | 1993-04-06 |
Family
ID=17147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50005805A KR930002617B1 (en) | 1984-11-22 | 1985-08-12 | Spinning reel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S61124337A (en) |
KR (1) | KR930002617B1 (en) |
-
1984
- 1984-11-22 JP JP59246333A patent/JPS61124337A/en active Granted
-
1985
- 1985-08-12 KR KR1019850005805A patent/KR930002617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S61124337A (en) | 1986-06-12 |
JPH0472493B2 (en) | 1992-11-18 |
KR860003771A (en) | 1986-06-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416427A (en) | Spinning reel for fishing | |
KR101265999B1 (en) | Spinning reel drag mechanism | |
JPS5917931A (en) | Fishing reel | |
EP1181864B1 (en) | Dual-Bearing reel spool-locking mechanism | |
US5863007A (en) | Spinning wheel having improved balance during reverse rotation | |
US5511735A (en) | Spinning reel for fishing with drag operation and spool free states | |
US4738410A (en) | Double bearing type fishing reel | |
KR930002617B1 (en) | Spinning reel | |
JP3981325B2 (en) | Spool support structure for spinning reel | |
JP4324268B2 (en) | Double-bearing reel braking device | |
US5564639A (en) | Slide mechanism for spinning reels used in fishing | |
KR930002616B1 (en) | Spinning reel | |
JPH0441831Y2 (en) | ||
JP3347556B2 (en) | Spinning reel braking mechanism | |
KR100383812B1 (en) | An enhanced spool of spinning reel and the method thereof | |
KR200249566Y1 (en) | Drag device of fishing reel | |
JP3495584B2 (en) | Spinning reel for fishing | |
JP3578684B2 (en) | Spinning reel for fishing | |
JPH1156182A (en) | Spinning reel for fishing | |
JP6856738B2 (en) | Spinning reel | |
JPH0724062Y2 (en) | Drag on fishing reel | |
JP2018113900A (en) | Fishing reel | |
JP2551112Y2 (en) | Spinning reel reverse rotation prevention mechanism | |
JP2594929Y2 (en) | Spinning reel | |
JP3921128B2 (en) | Drag mechanism of spinning reel for fish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5081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008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85081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211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PG1605 |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30310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3062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309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199309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