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30002615Y1 - 오수겸용 빗물받이통 - Google Patents

오수겸용 빗물받이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2615Y1
KR930002615Y1 KR2019910003799U KR910003799U KR930002615Y1 KR 930002615 Y1 KR930002615 Y1 KR 930002615Y1 KR 2019910003799 U KR2019910003799 U KR 2019910003799U KR 910003799 U KR910003799 U KR 910003799U KR 930002615 Y1 KR930002615 Y1 KR 9300026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support frame
rain
rain gutter
cov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37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8179U (ko
Inventor
윤영호
Original Assignee
신영기술개발 주식회사
윤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영기술개발 주식회사, 윤영호 filed Critical 신영기술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037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2615Y1/ko
Publication of KR9200181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817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26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2615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4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 permanent or temporary filtering device; Filte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5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n odour se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오수겸용 빗물받이통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제2a, b도는 오수겸용빗물받이통의 시공완료후의 상단부 조립상태를 발췌한 측단면도와 정단면도.
제3a, b도는 본 고안의 매설작업상태의 실시예로서, (a)도는 오수겸용빗물받이통 상단에 방지커버를 씌운상태의 단면도. (b)도는 방지커버를 제거하여 그릴을 삽치시킨 상태의 설치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을 오수받이통으로 사용될때를 나타낸 타실시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오수겸용빗물받이통 2, 2′ : 재치단턱
3, 3′ : 삽치돌턱 4, 4′ ; 재치단
5, 5′ : 내주벽 6 : 지지틀
7 : 그릴판 8 : 방지커버
본 고안은 주택단지로나 도로등의 포장노면 양측 가장자리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거나 건물등의 오수받이통을 겸용 할수 있는 오수겸용빗물받이통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고안은 오수겸용빗물받이통의 상단에 상호대향된 재치단턱과 삽치돌턱을 형성하고 이에 덮개용 그릴판을 삽착지지시키는 지지틀이 삽치고정되도록 함으로서 별도의 지지를 고정장치없이 매설된 빗물받이통의 상층부위가 노면상에 일치되도록하는 2차적인 콘크리이트 매몰작업시 지지틀이 전혀 유동되지 않는 상태에서 안전하고 간편하게 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이며 아울러 지지틀의 내주면으로는 흙 또는 콘크리이트의 이물질이 빗물받이통 내부로 침투되지 못하도록하는 방지커버를 형성하여 임시 끼워 붙인후 작업이 완료되면 이를 제거한 다음 그릴판을 지지틀 상에 간단히 삽착시켜 빗물받이통으로 사용하거나 뚜껑체를 복개하여 오수받이통으로 사용하게 함으로서 오수겸용빗물받이통의 설치시공작업을 극히 효율적이고 신속용이 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빗물받이통을 시공함에 있어서는 빗물받이통 하부 통체를 굴삭된 도로변에 매설한후 그 상부에 지지틀에 삽탈자재로 끼워진 그릴판을 재치시킨 다음, 그 상부연부에 콘크리이트 타설작업을 수행하여 빗물받이통을 로면에 고정설치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빗물받이통은 빗물받이통의 상단주연부와 그릴판을 삽치고정시켜 주는 지지틀 사이를 견고히 고정시켜주기 위한 아무런 고정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은 관계로 빗물받이통 설치작업 특히 콘크리이트 타설 작업시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그릴판등의 위치가 변형되어 그 시공상태가 극히 불량한 작업상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작업자는 빗물받이통 상단으로 부터 그릴을 삽치한 지지틀이 유동되지 않도록 별도의 지지대를 이용하거나 또는 이를 다른 작업자가 별도로 고정시켜주어야 하는등의 불편이 뒤따라 작업능률이 비효율적이고 많은 인력과 노고가 수반되는 한편, 매설작업시 지반에 매설된 빗물받이통 내부로 흙이나 이물질등이 투입되는 사례가 발생하게 되어 설치시공후 일일이 이들을 제거하여야하는 불편이 있어 빗물받이통상측부를 천이나 판자등을 씌운후 시공해야 하는 관계로 그 설치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또한 세심한 주의를 요하게 되어 설치작업이 매우 비효율적인 폐단이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폐단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오수겸용빗물받이통의 상단부와 덮개용 그릴판을 삽착재치시키는 지지틀간에 상호 유동되지 않도록 하는 재치고정 구조를 부여하여 1차 매설된 빗물받이통의 상단에 노면과 일치되는 지지틀과 그릴판을 견고히 고정되게 하여 콘크리이트 타설작업등을 극히 능률적이고 신속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빗물받이통과 지지틀 내주면에 끼워지는 별도의 방지커버를 형성하므로서 시공시 오수겸용빗물받이통 내부로 흙등의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여 완벽한 매설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에 있는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오수겸용빗물받이통의 상단부에 외측으로 접곡돌출된 재치단턱과 삽치돌턱을 한쌍으로 상호 대향되게 형성하여 이 재치단턱에 재치되도록하는 전, 후 재치단과 상기 삽치돌턱이 양측 내주벽에 삽치되도록 중앙이 개구된 지지틀을 결합고정시킨후, 결합된 지지틀의 재치단과 삽치돌턱상에 그릴판이 삽착 재치되도록하는 한편, 빗물받이통의 상단 내주면과 지지틀의 내주면상에 끼워 덮을 수 있는 다단상의 방지커버를 형성하여서 된것으로,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오수겸용빗물받이통을 매설한후 그 상단의 재치단과 삽회돌턱상에 덮개용 그릴판을 보지하는 지지틀을 유동되지 않토록 끼워 고정시킴과 동시에 이에 이물 침투방지 커버를 끼워 덮은후, 수행하는 2차적인 콘크리이트 타설작업시 그릴판을 지지하는 지지틀의 위치가 변형되는 사례없이 견고히 정치시킨 상태로 타설시키게 되어 콘크리이트 타설 작업을 극히 신속 용이하고 완벽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매설작업 완료후 방지커버를 제거한 다음 필요에 따라 그릴판이나 유입구가 형성된 뚜껑체를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오수나 빗물받이의 겸용통으로도 사용할수 있도륵 한것으로,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a, b도는 시공완료된 상태의 측단면도와 정단면도이고, 제3a, b도는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실시단면도이며, 제4도는 오수통으로 겸용되는 타실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오수겸용빗물받이통(1)의 상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된 전후방 재치단턱(2)(2′)과 좌, 우방 삽치돌턱(3)(3′)을 상호대향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의 상부로 즉, 재치단턱(2)(2')에 재치되도록하는 재치단(4)(4′)과 상기 삽치돌턱(3)(3′)이 양측내주벽(5)(5′)에 삽치되도록 중앙이 개구된 철재 지지틀(6)이 끼워져서 재치고정토록되어 있다.
이때 삽치돌턱(3)(3′)의 돌출된 높이 즉, 두께와 지지틀(6)의 재치단(4)(4')두께가 동일하여 결합시 일치된 평탄면을 갖게 되므로, 상기와 같이 재치고정된 지지틀(6)의 내측 전, 후 재치단(4)(4′)과 삽치돌턱(3)(3′)상면으로는 제2a, b도와 같이 덮개용 그릴판(7)이 수평상태로 삽착 재치되도록되어 있는 한편, 오수겸용빗물받이통(1)의 매설작업시 흙이나 콘크리이트등외 이물질 침투를 방지 할수 있도록 재치고정된 빗물받이통(1)의 상단내주면과 지지틀(6)의 재주면 상에 제3a도와 같이 일시적으로 끼워 덮을 수 있는 다단강의 수지재방지커버(8)가 별도로 형성되어 있으며, 오수겸용빗물받이통(1)의 내부에는 상단에 인출용 걸고리(12)를 형성하고 하단에 오수유입구(9)를 천설한 악취걸름판(10)을 내장함과 동시에 오수겸용빗물받이통(1)의 상단 개구측에는 오수유입구(15)를 형성하고 뚜껑체(13′)를 씌워 오수통으로 겸용할 수 있도록 된것이다.
미설명부호 11은 배수구이고, 13은 보강돌조, 14는 지지틀(6)을 더욱 견고하게 매립지지 시키도록 하는 지지 브라켓트이다.
이상과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우선, 본 고안의 오수겸용빗물받이통(1)을 일차적으로 매설한 후 그 상층부를 노면과 일치되도록 보다 견고하게 하기 위한 콘크리트 매몰작업에 앞서 오수겸용빗물받이통(1)의 상단부 재치단턱(2)(2′)과 삽치돌턱(3)(3')이 지지틀(6)을 끼워 고정시킴에 있어 좀더 구체적으로는 제2a, b도에서 그릴판(7)이 제거된 상태에서 빗물받이통(1)의 삽치돌턱(3)(3′)이 지지틀(6)의 재치단턱(4)(4′)은 재치단턱(2)(2′)상에 재치되도록 안착시키므로서 오수겸용빗물받이통(1)의 상단부에서 지지틀(6)이 전혀 유동되지 않는 상태로 안전하게 재치 고정되는 것이다.
다음, 이와같은 상태에서 빗물받이통(1)의 상단 내주면과 지지틀(6)의 내주면상에 도시된 제3a도와 같이 다단상의 방지커버(8)를 끼워 덮은후, 빗물받이통(1)외 상층부 외주에 노면과 일치되도록 2차적인 콘크리이트 매몰작업을 간단히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빗물받이통(1)의 상단으로 지지틀(6)이 유동없이 견고히 고정되고 이물침투 방지커버(8)가 씌워져 있기 때문에 콘크리이트매몰 작업시 지지틀(6)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 별도의 도구나 인위적인 고정조작없이 지지틀(6)을 견고히 정위치에 고정시킬수 있으며 방지커버(8)가 오수겸용빗물받이통(1)의 상단개구측을 완벽하게 밀폐시킨상태로 복개하고 있으므로서 작업시 흙이나 콘크리트물등의 이물질이 매설된 오수겸용빗물받이통(1)내부로 침투되는 사례가 예방되어 매설설치작업을 극히 신속 간편하고 능률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매설 및 콘크리이트 타설작업이 완료된후 제3a도와 같은 상태에서 방지커버 (8)를 제거시킨 후, 오수겸용빗물받이통(1) 내하부에 악취걸름판(10)을 배수구(11)방향으로 경사지게 삽입하고, 덮개용 그릴판(7)을 지지틀(6)내측 재치단(4)(4′)과 삽치돌턱(3)(3′)상에 제2a, b도와 같은 상태로 삽입 재치시키므로서 시공이 완료되는 것이다.
한편, 오수겸용빗물받이통(1)내하부에 삽입된 걸름판(1)의 오수유입구(9)는 제3b도와 같이 반대측 배수구(11) 높이보다 낮게 수면에 잠긴 상태가 되므로서 도로변등의 빗물이나 각종오물이 함께 그릴판(7)을 통해 유입될때 담배꽁초, 비닐등의 부유물질은 악취걸름판(10)의 표면 측 수면에 부유되고 침전물질과 오수는 오수유입구(7)를 통해 배수(11)로 배출되며, 침전부유물 청소시에는 걸고리(12)를 통해 간편히 외부로 인출하여 청소하게 된다.
따라서, 이 걸름판(10)에 의해 악취등을 다소 제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부유된 오물을 자주 청소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또한, 타실시예의 제4도와 같은 구조역시 그 효과는 동일하나, 그 상단에 오수유입구(15)가 형성된 뚜껑체(13′)를 간단히 씌워붙이면 오수통으로도 겸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오수겸용빗물받이통의 상단부와 지지틀(6)간에 결합고정수단과 별도의 이물 침투방지커버 등을 부여하므로서 종래와 같이, 빗물받이통의 시공시 지지틀을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거나 이물 침투방지를 위한 천 또는 판자 등을 덮어씌워 작업 하므로서 작업효율이 저하되었던 제폐단을 일소시킨것으로, 매설된 오수겸용빗물받이통의 상층부를 노면과 일치되도륵 2차적인 콘크리이트 매몰작업을 수행함에 있어, 오수겸용빗물받이통(1)의 상단에 그릴판을 안착지지시키는 지지틀을 전쳐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킴과 동시에 이물 침투방지커버를 삽탈자재하는 수단으로 전반에 걸친 오수겸용빗물받이통의 매설작업을 보다 신속하고 간편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그 효율성을 향상시킨 매우 실용적이고 유용한 고안인것이다.

Claims (2)

  1. 빗물받이통(1)의 상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된 재치단턱(2)(2′)과 삼치돌턱(3)(3′)을 상호 대향되게 형성하여 이 재치단턱(3)(3′)에 재치되도록하는 재치단(4)(4′)과 상기 삽치돌턱(3)(3′)이 양측 내주벽(5)(5′)에 삽치되도록 중앙이 개구된 지지틀(6)을 결합고정 시킨후 지지틀(6)의 재치단(4)(4′)과 삽치돌턱(3)(3′)상에 그릴판(7)이 삽착 재치되도록 하는 한편, 빗물받이통(1)의 상단 내주면과 지지틀(6)의 내주면상에 끼워 덮을 수 있는 다단상의 방지커버를 형성하여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겸용 빗물받이통.
  2. 제1항에 있어서, 상단에 오수유입구(l5)를 형성한 뚜껑체(13′)와 내부에 오수유입구(9)를 배수구(11)보다 낮은 위치로 천공하고 상단부에 인출용 걸고리(12)를 가진 악취걸름판(10)을 장설한 오수겸용 빗물받이통.
KR2019910003799U 1991-03-21 1991-03-21 오수겸용 빗물받이통 Expired - Fee Related KR9300026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3799U KR930002615Y1 (ko) 1991-03-21 1991-03-21 오수겸용 빗물받이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3799U KR930002615Y1 (ko) 1991-03-21 1991-03-21 오수겸용 빗물받이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8179U KR920018179U (ko) 1992-10-17
KR930002615Y1 true KR930002615Y1 (ko) 1993-05-17

Family

ID=19311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3799U Expired - Fee Related KR930002615Y1 (ko) 1991-03-21 1991-03-21 오수겸용 빗물받이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261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8179U (ko) 1992-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09852B2 (en) Sediment control drain and method of construction
KR102200336B1 (ko) 악취 및 빗물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빗물받이 및 그 제조방법
KR101717885B1 (ko) 집수구용 모래수거장치
US4273466A (en) Basin
US4192625A (en) Precast concrete catch basin with form for gutter inlet
KR930002615Y1 (ko) 오수겸용 빗물받이통
CN211572292U (zh) 一种hdpe雨水斗用防堵机构
KR100725484B1 (ko) 오수받이의 착탈식 악취차단장치
KR20100125168A (ko) 오물수거용 집수구 및 그 시공방법
JP4454760B2 (ja) 土間コンクリートの排水管装置および排水管施工方法
KR200284862Y1 (ko) 배수용 그릴
JPH022795Y2 (ko)
KR200234827Y1 (ko) 오물받이가 설치된 측구
KR920001680Y1 (ko) 악취방지를 겸한 빗물받이 통
KR200268468Y1 (ko) 스테인레스 강을 이용한 배수전용 도로경계블록
KR200204121Y1 (ko) 선박용 맨홀
JP3091524U (ja) 集水マス用網付き蓋
JPH04174145A (ja) ごみ取り桝を接続した雨水排水路
KR200297678Y1 (ko) 산악지역 도로 구간내 배수구 이물질 유입방지 구조물
KR950005538Y1 (ko) 노면 하수 오물 수거구
KR20010100080A (ko) 건축용 트랩을 겸한 슬리브
JPH0739990Y2 (ja) 排水ます用カバー
KR920001675Y1 (ko) 빗물받이
KR880004516Y1 (ko) 함체형 차진식 빗물받이
FI80928B (fi) Lock foer dagvattenbrun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10321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10321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3042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3081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3082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0

Payment date: 1993082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