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2503B1 - Vehicle steering system - Google Patents
Vehicle steering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30002503B1 KR930002503B1 KR1019870002010A KR870002010A KR930002503B1 KR 930002503 B1 KR930002503 B1 KR 930002503B1 KR 1019870002010 A KR1019870002010 A KR 1019870002010A KR 870002010 A KR870002010 A KR 870002010A KR 930002503 B1 KR930002503 B1 KR 93000250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ston
- vehicle
- steering
- pressure fluid
- sleev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06—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 B62D7/14—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the pivotal axes being situated in more than one plane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centre line of the vehicle, e.g. all-wheel ste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Linkage Mechanisms And Four-Wheel Steering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조종가능한 앞바퀴 및 뒷바퀴를 가지는 도로차량의 스티어링장치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1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mbodiment of a steering apparatus of a road vehicle having a steerable front wheel and a rear whe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차량의 뒷바퀴 스티어링장치를 정상작동 상태로 상세하게 도시한 개략도.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in detail the rear wheel steering device of the vehicle shown in FIG. 1 in a normal operating state.
제3도는 제1도에 도시한 뒷바퀴 스티어링장치의 변형실시예를 제2도와 동일하게 정상작동상태로 도시한 개략도.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rear wheel steering apparatus shown in FIG. 1 in a normal operating state similarly to FIG.
제4도는 제3도의 일부를 스티어링장치의 고정위치로 고정위치로 도시한 개략도.FIG. 4 is a schematic view of part of FIG. 3 in a fixed position to a fixed position of the steering apparatus.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 : 제어유니트 20, 61 : 액튜에이터11: control unit 20, 61: actuator
22, 64 : 액튜에이터피스톤 24, 65 : 타이로드22, 64:
26, 71 : 스프링부재 32 : 서보밸브26, 71: spring member 32: servo valve
35 : 솔레노이드밸브 36 : 바이패스밸브35
39 : 바이패스통로 49, 75 : 외치검지트랜스듀스39: bypass passage 49, 75: external detection transduce
52 : 고정핀 54, 84 : 압축스프링52: fixing pin 54, 84: compression spring
80 : 고정실린더 82 :고정피스톤80: fixed cylinder 82: fixed piston
본 발명은 차량의 스티어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앞바퀴 및 뒷바퀴 스티어링을 가지는 차량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스티어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ring apparatus of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eering apparatus suitable for use in a vehicle having front and rear wheel steering.
종래에 앞바퀴와 동시에 뒷바퀴의 스티어링조작도 가능한 도로차량은 많은 경우에 뒷바퀴의 스티어링 기어를 제어하기 위해 대단히 복잡한 장치를 채용하고 있다. 이 장치는 운전자에 의해 앞바퀴 스티어링기어에 부여되는 스티어링 각도의에 예를들면, 1개 또는 그 이상의 관성센서에 의해 검지되는 차체의 움직임등 각종 요인에 반응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 요인들로부터 유도된 전기적 입력은 컴퓨터로 처리되어 전기적 명령신호로 되며, 이 신호는 예를들면 전기유압식으로 바퀴스티어링 동작으로 변환된다. 이들 장치는 반드시 고장의 가능성이 있으며, 본 발명은 이와같은 고장에 의한 문제점을 최소화 하거나 또는 이것을 제거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Conventionally, road vehicles capable of steering the front wheel and the rear wheel at the same time employ a very complicated device for controlling the steering gear of the rear wheel in many cases. The device can respond to various factors such as the movement of the vehicle body detected by one or more inertial sensors, for example, on the steering angle given to the front wheel steering gear by the driver. The electrical input derived from these factors is then processed by the computer into an electrical command signal, which is converted into wheel steering operation, for example electro-hydraulic. These devices necessarily fail, a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ans to minimize or eliminate the problems caused by such a failure.
본 발명은 장치의 고장시에 바퀴가 직진방향으로 향하도록한 차량의 스티어링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즉 본 장치는 스티어링장치의 직진상태에서의 변화에 항상 대응하는 편의(偏倚, biassing)수단을 포함할 수가있다. 본 장치의 제어 또는 작동시에 있어서 어떠한 고장시에도 상기 편의 수단은 본 장치가 그 중앙위치로 되도록 재촉하고 있다. 본 장치는 뒷바퀴에 조합시킨 앞바퀴 및 뒷바퀴 스티어링 차량은 종래의 직접 조종 또는 보통으로 사용되고 있는 보조조종장치에 의해 앞바퀴만으로도 조종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eering apparatus of a vehicle in which the wheels are directed in a straight direction in the event of a failure of the apparatus, that is, the apparatus includes biasing means always corresponding to a change in the straight state of the steering apparatus. Can do it In the event of any failure in the control or operation of the device, the above-mentioned convenience means prompts the device to be in its center position. The present apparatus is capable of controlling the front wheel and the rear wheel steering vehicle combined with the rear wheel only by the front wheel by the conventional direct steering or the auxiliary steering device which is commonly used.
본 발명은 또 앞바퀴 및 뒷바퀴 스티어링을 가지는 차량의 뒷바퀴 스티어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제어 또는 작동고장에 반응하여 본 스티어링장치를 그 중앙 스티어링위치에 고정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그것에 의해 뒷바퀴의 스티어링 방향은 예를들면, 도로상태 등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으며, 앞바퀴에 의한 스티어링은 종래 차량의 경우와 전적으로 동일하게 작용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rear wheel steering device for a vehicle having front and rear wheel steering, and includes means for fixing the steering device to its central steering position in response to a control or malfunction. Thereby, the steering direction of the rear wheels is not influenced by, for example, road conditions, and the steering by the front wheels can operate entirely the same as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vehicle.
본 발명은 양호하게는 이중작동식 유압출력장치를 가지는 뒷바퀴 스티어링 장치로서 구체화할 수가 있으며, 상기 유압출력장치는 센터링시키는 1개 또는 여러개의 스프링에 대응하여 작용하며, 그 피스톤의 양측 2개의 내부는 정상시에는 닫혀있는 바이패스밸브를 개재하고 있으나, 장치의 고장시에는 서로 연통되도록 배설되어 있다. 바이패스 밸브는 양호하게는 유압에 의해 닫혀진 상태로 유지되며, 유압은 장치의 정상작동시에 개발위치로 유지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개재하여 작용한다. 본 스티어링장치는 유압고장 혹은 전기적고장의 어느때라도 신속하게 중앙에 위치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embodied as a rear wheel steering device having a dual actuated hydraulic output device, the hydraulic output device acting in response to one or several springs to be centered, the two interiors of both sides of the piston Normally, the bypass valve is closed, but it is arrang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case of failure. The bypass valve is preferably kept closed by hydraulic pressure, the hydraulic pressure acting via a solenoid valve which is maintained in the development position during normal operation of the device. The steering unit is quickly centered at any time of hydraulic or electrical failure.
유압출력장치는 또 직선 뒷바퀴방향에 대응하는 위치에 피스톤을 고정할 목적으로 편의하여 직접 혹은 일련의 볼에 의해 피스톤을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조합할 수가 있으며, 이 결합부재는 스티어링장치의 정상작동시에는 유압등에 의해 이와같은 결합으로부터 해제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The hydraulic output device can also be combined with a coupling member that couples the piston directly or by a series of balls for the purpose of securing the piston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traight rear wheel direction. It is released from such a coupling by hydraulic pressur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Example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based on drawing.
제 1도의 도로차량, 예를들면 승용차의 앞바퀴(2)는 종래의 방식으로 조종이 가능하다 즉, 스티어링 휠(4)은 스티어링컬럼(7) 및 적당한 연결박스(6)를 개재하여 스티어링 타이로드(5)에 작용한다. 스티어링 각도를 측정하기 위해 트랜스듀스(10)가 스티어링컬럼(7)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 트랜스듀스(10)의 출력이 컴퓨터화된 제어유니트(11)에 보내지고, 제2도에 상세히 도시한 전기유압식 뒷바퀴 스티어링장치(12)로 적절한 제어신호가 부여된다. 트랜스듀스(10)로부터의 입력과 동일하게, 혹은 그 대신에 제어유니트(11)는 예를들면 차량속도센서나 수평가속센서 또는 편요각속도(偏搖角速度, yaw angular valocity)센서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 센서로부터의 적당한 입력신호를 사용할 수 있다.The road vehicle of FIG. 1, for example the front wheel 2 of a passenger car, can be steered in a conventional manner, ie the steering wheel 4 is a steering tie rod via a steering column 7 and a suitable connection box 6. It acts on (5). A transducer 10 is connected to the steering column 7 for measuring the steering angle, the output of which is sent to the computerized control unit 11, as shown in detail in FIG. Appropriate control signals are imparted to the electrohydraulic rear
뒷바퀴 스티어링장치(12)는 피스톤(22)을 포함한 2중 작동식 유압실린더(21)의 형태를 한 유압액튜에이터(20)를 가지고 있다. 피스톤 위치에 따라서 뒷바퀴(25)로 스티어링 효과를 기계적으로 적용시키기 위해 피스톤(22)의 양측에서 실린더 단벽의 구멍을 통하여 타이로드(24)가 연장되어 있다.The rear
액튜에이터(20)의 외측에서는 바이로드(24)의 주위에 배설된 나선형 압축스프링(26)이 실린더 단벽과 타이로드(24)에 부착된 디스크(27)와의 사이에서 피스톤과 타이로드의 조립체를 중앙으로 위치시키는 동작을 하고 있다. 실린더(21)의 내부는 피스톤(22)의 양측에 적당한 유압원(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연장된 유압라인(30) 및 복귀라인(31)이 서보밸브(32)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다. 서보밸브(32)는 제어유니트(11)로부터의 신호에 응답하여 피스톤(22)의 양측에 적용되는 유압을 제어하여 원하는 스티어링 동작을 수행한다. 전기 유압식 스티어링장치(12)에는 위험방지수단이 조합되며, 이것에 의해 뒷바퀴 스티어링이 중앙에 위치하여 스티어링장치의 고장시에 중앙위치에서 고정되도록 하고 있다.On the outside of the actuator 20, a
즉, 유압라인(30)에는 복귀 라인(31)에도 연결된 솔레노이드밸브(35)가 연결되며, 이 솔레노이드밸브(35)는 폐쇄위치로 편의함과 동시에, 본 스티어링장치의 정상작동시에는 솔레노이드밸브(35)가 개방위치로 되어 유압이 액튜에이터(20)에 걸리도록 제어유니트(11)의 제어하에서 작동한다. 또한, 개방위치로 편의하는 바이패스밸브(36)는 서보밸브(32)와 액튜에이터 실린더(21)의 각 작용공간과의 사이를 연장하는 압력라인들을 서로 연결하는 바이패스통로(39)내에 위치한다. 유압라인(30)은 라인(40)에 의해 바이패스밸브(36)에 연결되며, 본 장치의 정상작동시에는 이 유압이 바이패스밸브(36)를 폐쇄상태로 유지시킨다.That is, the
솔레노이드밸브(35)는 본 장치의 정상작동시 제어유니트(11)의 제어하에 개방상태로 유지되며, 어떠한 전기적 공급고장 혹은 제어유니트의 고장발생시에는 폐쇄되어 액튜에이터(20) 및 바이패스밸브(36)가 유압으로부터 차단되는 것이며, 유압의 고장에 의해 솔레노이드밸브(35)가 폐쇄되게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실린더(21)의 중앙외부 플랜지와 각 디스크(27)와의 사이에 연결된 선형변위 변환기로 형성된 2개의 위치검지 트랜스듀스(49)에 의해 제어유니트(11)로 신호가 공급된다. 제어유니트(11)는 위치검지 트랜스듀스(49)가 모순된 출력을 공급하거나 액튜에이터 피스톤(22)의 위치가 제어유니트(11)에 의해 지시된 위치에 따르지 않는 경우에 솔레노이드밸브(35)를 폐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솔레노이드밸브(35)가 폐쇄되거나 혹은 다른 이유에 의해 라인(40)의 압력이 없어지면, 바이패스밸브(36)의 압력이 강하하여 이 밸브(36)가 개방되어 액튜에이터 실린더(21)의 2개의 작동공간이 동시에 연통된다. 따라서 피스톤(22)은 자유롭게 움직이도록 되며, 압축스프링(26)이 실린더 피스톤(22)의 위치, 즉 뒷바퀴(25)의 위치를 중앙으로 이동시킨다.When the
상술한 본 발명의 뒷바퀴 스티어링장치는 또 유압 액튜에이터(20)를 중앙위치에 확실하게 고정시키는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The rear wheel steer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lso includes means for reliably fixing the hydraulic actuator 20 to a central position.
즉, 액튜에이터 피스톤(22)은 축방향 중앙에 원주홈(50)을 가지며, 실린더(21)는 이 실린더 축과는 수직방향으로 축을 따라 실린더 축중심으로부터 연장하는 원기둥 연장부(51)를 가지고 있다. 고정편(52)이 연장부(51)내에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고정편(52)의 후발단과 연장부(51)의 단벽과의 사이에서 작동하는 압축스프링(54)에 의해 실린더(21)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힘을 받고 있다. 그러나 연장부(51)는 분기라인(55)을 개재하여 유압라인(30)과 연통하고 있으며, 정상시에는 유압이 압축스프링(54)을 압축시켜 고정핀(52)을 실린더(21)로부터 벗어나도록 유지한다.That is, the actuator piston 22 has a
예를들면, 솔레노이드밸브(35)가 폐쇄되는 등의 이유에 의해 분기라인(55)의 압력이 없어지면 실린더 연장부(51)의 압력이 이미 압축스프링(54)의 힘에 견딜 수 없는 정도까지 저하되며, 그 결과 고정핀(52)이 피스톤의 홈(50)안으로 끼워져서 스티어링 타이로드(24)가 움직이지 않는 상태로 고정된다. 고정핀(52)의 내측단부는 고정핀(52)이 홈(50)으로 들어가기 쉽게 하기 위해 테이퍼 형상으로 되는 동시에, 그 측벽은 홈(50)에 대응하는 원뿔대로 되어 있으며, 고정핀(52)의 진입이 센터링 효과를 가지도록 되어 있다.For example, when the pressure of the
이와같이, 솔레노이드밸브(35)의 폐쇄가 뒷바퀴 스티어링장치의 중앙위치화 및 고정을 재촉하는 결과로 된다. 솔레노이드밸브(35)가 계속 작동되면, 유압이 바이패스밸브(36) 및 실린더 연장부(51)의 양쪽에 도달하여, 바이패스밸브(36)를 폐쇄시키는 동시에 스티어링 고정핀(52)을 그 후퇴위치로 복귀시켜 이것에 의해 서보밸브(32)와 액튜에이터(20)에 의해 뒷바퀴 스티어링의 소정의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As such, closing of the
제3도 및 제4도는 변형실시예인 뒷바퀴 스티어링장치(60)를 도시한 것이며, 제2도에 도시한 장치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고부호로 도시하고 있다. 스티어링장치(60)는 실린더(62)를 구비하는 이중작동식 유압액튜에이터(61)를 가지며, 실린더(62)내에는 실린더(62)의 외측단부에 실리더(62)의 단부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타이로드(65)를 가지는 피스톤(64)가 이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제공되어 있다. 피스톤(64)의 밑봉부(66)는 실린더 내부를 서보밸브(32) 제어하에서 유압라인(30) 및 복귀라인(31)과 연통하는 2부분으로 분리하고 있다.3 and 4 show a rear
액튜에이더(61)의 양측단부에는 하우징(70)이 부착되어 있으며, 이 하우징(70) 내에는 액튜에이터 단부와 워셔(72)와의 사이에서 작용하는 압축스프링(71)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워셔(72)는 하우징(70)의 외측단 플랜지에 의해 하우징(70)내에 지지되어 있으며, 압축스프링(71)은 플랜지(74)에 의해 타이로드(65)에 따라서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압축스프링(71)은 피스톤(64)을 중앙위치도 힘을 가하여 본 장치를 제 3도에 도시한 중앙상태 즉, 직전상태로 복귀시키도록 하고 있다. 위치검지 트랜스듀스(75)가 액튜에이터(61)의 오른쪽 하우징(70)과 타이로드(65)위에 부착 설치된 사이드암(76)과의 사이에 연설되어 있다. 이들 위치 검지트랜스듀스(75)는 타이로드 위치를 표시하는 신호를 제어유니트(11)에 공급하기 위한 제 2도에 도시한 위치검지 트랜스듀스(49)의 변경예이다.The
스티어링장치(12)와 동일하게 스티어링장치(60)는 장치의 고장시에 스티어링장치를 직진 상태로 해제가능하게 고정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오른쪽 스티어링하우징(70)에 인접하는 액튜에이터(61)는 실린더(62)의 주위로 연장하는 환상실(81)을 구획하는 고정실린더(80)를 가지고 있다. 환상실(81)은 하우징(70)에 인접한 위치에서 정상시의 유압라인(30)으로부터 연장된 분기라인(55)에 의해 유압을 받는다. 고정피스톤(83)이 실린더(62)의 주위에서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제공되며, 그 일단을 환상실(81)내로 연장되어 유압에 의해 작동되도록 되어 있다. 고정피스톤(82)의 타단은 환상실(81)로부터 돌출하고, 실린더(62) 외측의 플랜지(85)에 지지된 압축스프링(84)에 의해 작동된다. 환상실(81)은 실리더벽내의 일련의 구멍에 의해 실린더(62)의 내부와 연통하고 있으며, 이것을 개재하여 볼(87)이 실린더벽과 미끄럼접촉 결합하는 피스톤(64)에 제공된 환상홈(89)과 환상실(81)과의 사이를 반경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Similar to the
고정피스톤(82)은 환상실(81)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사이드암(90)을 가지며, 이 사이드암(90)에 의해 제한부(92)가 제공된 바이패스통로(39)에서 바이패스밸브(36)의 위치를 제어한다.The fixed
제3도에 도시한 위치에서는, 분기라인(55)의 유압은 고정피스톤(82)을 왼쪽 즉, 압축스프링(84)을 압축하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피스톤부재(64)는 서보밸브(32)의 제어하에 밑봉부(66)의 양측에 유압을 작용시킴으로써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이동할 수 있고, 볼(87)은 피스톤(64)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환상홈(89)의 측부에 의해 홈(89) 바깥쪽의 환상실(81)로 압출된다. 피스톤(82)의 이 위치에서 사이드암(90)은 바이패스밸브(36)를 폐쇄상태로 유지하고 있다.In the position shown in FIG. 3, 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예를들면 솔레노이드밸브(35)가 폐쇄되는 등의 이유에 의해 만약 유압공급이 고장난 경우에는, 압축스프링(84)이 고정피스톤(82)을 오른쪽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고정피스톤(82)의 내측단부가 볼(87)을 반경방향 안쪽으로 밀어넣는다. 사이드암(90)은 고정 피스톤(82)의 이 위치에서 피스톤(64)이 압축스프링(71)의 센터링작용에 의해 자유롭게 이동하도록 바이패스밸브(36)를 개방한다. 중앙으로 복귀하는 속도는 제한부(92)에 의해 조정된다. 제 4도에 도시한 중앙위치에서는 (87)은 환상홈(89)내로 도달하지만, 실린더벽의 구멍단부와 결합하고 있으며 이것에 의해 피스톤(64)은 실린더(62)에 결합된다. 슬로드 및 호(89)는 스티어링장치가그 중앙상태 즉, 직진상태로 되도록 배설된다. 유압이 회복되면 분기라인(55)의 압력이 슬리브피스톤(82)를 제 3도에 도시한 위치로 되돌리게 하여 정상동작이 재개된다.For example, if the hydraulic supply fails due to the closing of the
Claims (1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870002010A KR930002503B1 (en) | 1987-03-06 | 1987-03-06 | Vehicle steering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870002010A KR930002503B1 (en) | 1987-03-06 | 1987-03-06 | Vehicle steering syste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80010970A KR880010970A (en) | 1988-10-25 |
KR930002503B1 true KR930002503B1 (en) | 1993-04-03 |
Family
ID=19259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70002010A Expired - Fee Related KR930002503B1 (en) | 1987-03-06 | 1987-03-06 | Vehicle steering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30002503B1 (en) |
-
1987
- 1987-03-06 KR KR1019870002010A patent/KR930002503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80010970A (en) | 1988-10-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S62181973A (en) | Steering gear for car | |
US5893427A (en) | Hydraulic power steering for motor vehicles | |
US6105737A (en) | Programmable electronic pedal simulator | |
US8985714B2 (en) | Break actuating unit for actuating a motor vehicle brake system | |
US6367575B1 (en) | Motor vehicle steering system | |
US4687214A (en) | Four wheel steer system with fail-safe control | |
US4781262A (en) | Vehicle steering system | |
JPH035270A (en) | Integration device for antilock brake and traction control mechanism | |
JPH04504699A (en) | vehicle steering system | |
GB2332184A (en) | Vehicle steering | |
US6474437B1 (en) | Power-assisted steering with hydraulic power assistance | |
US3930554A (en) | Power-assisted steering gear | |
US5029950A (en) | Anti-lock braking and traction control system | |
US5098171A (en) | Brake system with stroke sensors and hydraulic boosting | |
GB2041303A (en) | Power assisted steering apparatus | |
US4660853A (en) | Vehicle body tilting mechanism | |
GB1387495A (en) | Power-assisted steering system for motor vehicles | |
US3456752A (en) | Steering and directing mechanism | |
KR930002503B1 (en) | Vehicle steering system | |
US6019026A (en) | Self-centering motor | |
US3264946A (en) | Servo steering of vehicles | |
JP2003170849A (en) | Steering device for vehicle | |
US3990350A (en) | Servo steering system for motor vehicles | |
US7980353B2 (en) | Steering system for controlling the turning angle of the steering wheels of a vehicle | |
JPH0115429B2 (e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PG1605 |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30331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4040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40404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