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30000190Y1 - 정방용 연사구 - Google Patents

정방용 연사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0190Y1
KR930000190Y1 KR2019900016384U KR900016384U KR930000190Y1 KR 930000190 Y1 KR930000190 Y1 KR 930000190Y1 KR 2019900016384 U KR2019900016384 U KR 2019900016384U KR 900016384 U KR900016384 U KR 900016384U KR 930000190 Y1 KR930000190 Y1 KR 9300001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yarn
tube
bobbin
guide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63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관운
Original Assignee
김관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관운 filed Critical 김관운
Priority to KR20199000163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01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01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190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정방용 연사구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통사관의 분리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가이드 몸체 2 : 안내링
2' : 통사공 3 : 통사관
3a : 완곡부 4 : 통사관 고정간
5 : 통사공 6 : 회전축
7 : 안내로울러 8 : 보빈
9 : 보빈 10 : 원사
11 : 모타 12 : 전동로울러
13 : 베아링 14 : 샤프트
본 고안은 정방용 연사구의 구조를 간편화 함으로서 정방용 연사구의 생산비 및 시설공비를 절감하고, 고장률을 저하시키며 고장수리시의 교체수리작업의 신속화를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정방용 연사구는 원사 보빈을 축설한 스핀들에 연사용 회전 안내관을 일체적으로 축설한 것이 일반화되어 있으나 이는 그 구조가 전체적으로 대단히 복잡하여 생산코스트가 높고 특히 스핀들축은 고도의 정밀성을 요하기 때문에 대량 연사 시설을 요하는 경우 시설공비가 높아 비 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연사구의 구성을 아주 간단한 구조로 개량하되 특히 원사용 보빈을 연사구와는 별개로 분리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연사시설의 간편화 시설공비의 저렴화를 목적으로 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원추형 가이드 몸체(1)의 일측에 통사공(2')을 천공하고 통사공(2') 내주연에 세라믹 안내링(2)을 삽설하여 가이드 몸체(1)의 하측중앙에 원통형의 회전축(6)을 삽착하고 회전축의 관내로 통사관(3)을 삽지한 통사관 고정간(4)을 삽설한다.
통사관(3)은 통사관 고정간(4)에 편심삽착하고 관 중간부(3a)에서 완곡 경사지게 한다.
연사구는 베아링(13)에 의하여 축설되고 모우터(11)와 연종되는 전동로울러(12)에 의하여 구동된다.
보빈(9)은 샤프트에 축설토록하고 샤프트(14)는 별도의 전동장치에 의하여 구동된다.
이상과 같이된 본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연사를 요하는 실, 즉 원사(10)는 별도의 공급보빈(8)으로 부터 공급된 후 회전축(6)에 내장한 통사관(3)의 통사공(5)으로 공급된 다음 가이드 옴체(1)의 내부를 거쳐 안내링(2)으로 안내된 다음 별도의 회전축에 회전되는 보빈(9)측으로 감겨 지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원사(10)의 통과 안내 상태에서 상기 보빈(9)은 좌우 교대적인 투이스트 왕복 운동을 하면서 일정한 속도로 회전 되므로서 원사(10)는 공급 보빈(8)으로부터 풀려나와 통사관(4) 안내링(2)을 통하여 회수보빈(9)으로 연속 송급되고 이러한 과정에서 모우터(11)가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면 전동로울러(12)가 회전축(6)을 회전시켜 주며 따라서 가이드몸체(1)는 일정한 규정속도(RPM)로 회동한다.
이렇게 되면 안내링(2)을 통과한 원사(10)는 가이드몸체(1)의 경사부(A)를 스치면서 원사(10) 자체의 이송 방향에 대해 직각방항으로 꼬임 운동(연사력)을 받아 원사는 규정된 연사도(燃絲度)로서 연사가 이루어 지는 것이다.
연사도의 설정은 전동로울러(12)의 회전속도에 의하여 결정되는바, 모우터(11)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거나 아니면 전동로울러(12)의 규격을 대소 직경으로 선택적인 설치를 하므로서 연사도는 임의로 조정된다.
이상과 같이된 본 고안은 정방용 연사구의 구조가 극히 간단한 구조이면서 그 설치가 간편용이하고 시설공비가 저렴하게 소요될 뿐 아니라 가동에 따른 고장발생의 우려가 거의없는등 연사기의 구성으로서 그 실용적 효과가 현저하다.

Claims (1)

  1. 나팔상의 경사부(A)를 갖는 가이드몸체(1)에 축수 베어링(13)과 전등로울러(12)가 설치된 회전축(6)을 축착하여 이 회전축(6)의 내부에 통사관(3)을 장삽하고 이 통사관(3)으로부터 안내되는 원사는 가이드몸체(1) 일측에 착설한 통사 안내링(2)을 통하여 인출된 후 경사부(A)의 주면을 타고 이동되면서 연사가 이루어지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정방용 연사구.
KR2019900016384U 1990-10-25 1990-10-25 정방용 연사구 Expired - Lifetime KR9300001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6384U KR930000190Y1 (ko) 1990-10-25 1990-10-25 정방용 연사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6384U KR930000190Y1 (ko) 1990-10-25 1990-10-25 정방용 연사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0190Y1 true KR930000190Y1 (ko) 1993-01-18

Family

ID=19304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6384U Expired - Lifetime KR930000190Y1 (ko) 1990-10-25 1990-10-25 정방용 연사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019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73285A (en) Self twist yarn strand system
US4676062A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formation of spinning fibers
US4090677A (en) Apparatus for storing and feeding yarn to yarn using machines
KR930000190Y1 (ko) 정방용 연사구
US4843812A (en) Open-end rotor spinning device with improved twist choking member
CN107128747A (zh) 一种纱线纺织用纱筒
CN113445195A (zh) 一种送纱速度可调的送纱器
EP0008918A1 (en) Production of loop chenille type yarn
US4437300A (en) Device for the continuous spinning of textile yarns
JPH11140726A (ja) 結合された紡績及び撚糸工程において撚糸を製造するための装置
KR101406310B1 (ko) 꼬임실 제조장치
US2611229A (en) Apparatus for spinning, twisting, and winding yarn
GB157172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yarn by the open end spinning method
MXPA05007669A (es) Maquina de bobinado de movimiento liberado para fibras termoplasticas.
US4601166A (en) Spinning device
KR930006007B1 (ko) 정방사(精紡絲) 제조방법 및 장치
US4953350A (en) Funnel for a funnel spinning apparatus on a textile machine
JPH0238693B2 (ko)
US3430430A (en) Yarn spinning device
KR200255452Y1 (ko) 투포원연사기를이용한고탄성카버링사제조장치
US2360153A (en) Winding and twisting device for textile fibers
EP0286591B1 (en) Device for production of fancy effect yarns
EP0109573A1 (de) Spindel zum Drehen, Zwirnen oder Umwinden von Garnen
KR810001528B1 (ko) 실(yarn)의 방적장치
KR950018797A (ko) 재봉기의 밑실(下絲)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01025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01025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21217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3032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U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