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20010552B1 - 정보처리시스템의 어댑터 및 어댑터의 어드레스할당방법 - Google Patents

정보처리시스템의 어댑터 및 어댑터의 어드레스할당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10552B1
KR920010552B1 KR1019920012480A KR920012480A KR920010552B1 KR 920010552 B1 KR920010552 B1 KR 920010552B1 KR 1019920012480 A KR1019920012480 A KR 1019920012480A KR 920012480 A KR920012480 A KR 920012480A KR 920010552 B1 KR920010552 B1 KR 9200105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apter
slot
address
information processing
sig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2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우지 사에끼
시로 오이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미다 가쓰시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3288336A external-priority patent/JP2644554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미다 가쓰시게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Priority to KR1019920012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105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10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0552B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12/02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정보처리시스템의 어댑터 및 어댑터의 어드레스할당방법
제1도는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어댑터의 개략구성 및 그 정보처리장치와 관계를 나타낸 블록도.
제2도는 본원 발명에 의한 정보처리스템의 실시예의 블록도.
제3도는 제2도의 시스템의 서포트하는 어댑터종류의 설명도.
제4도는 제2도의 시스템의 각 슬롯대응의 할당어드레스의 설명도.
제5도는 제1도의 어드레스할당부의 각 슬롯대응의 출력의 설명도.
제6도는 제2도의 시스템의 구성확인등록 내용의 설명도.
제7도는 제1도의 어드레스할당부의 다른 구성예의 설명도.
제8도는 시스템구성확인시의 프로세서의 처리수준을 나타낸 플로차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어댑터 2 : 슬롯
3 : 어드레스버스 4 : 데이터버스
5 : 콘트롤버스 6 : 어드레스할당부
7 : 비교부 8 : 디코더
9 : I/O제어부 10 : 어댑터, ID발생부
11 : 출력게이트 12 : 플로세서
13 : 메모리 14 : 슬롯 #0
15 : 슬롯 #1 16 : 슬롯 #2
17 : 슬롯 #3 a,b : 단자
본원 발명은 정보처리장치에 배설된 슬롯중 하나에 탑재된 어댑터 및 어댑터의 어드레스할당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단말장치 등의 정보처리스스템에서는 사용자의 여러 가지 요청에 부응하기 위해 법용 인터페이스를 서포트하는 여러가지 어댑터를 준비하고 있으며, 이들 어댑터의 임의의 조합을 각각 임의의 슬롯에 탑재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임의의 슬롯에 임의의 종류의 어댑터를 탑재가능하게 한 시스템에서는, 각 슬롯에 탑재된 어댑터 종류나 어댑터의 조합 즉 시스템 구성에 따라서 인터럽트 우선제어, DMA우선제어 등의 정보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일본국 특개소 61(1986)-220054호 공보 등에 개시된 예에서는 미리 각 슬롯에 고유의 번호를 물리적으로 할당해 두고, 고유의 어드레스공간의 각 어댑터 종류에 할당되어 있다. 시스템구성 확인에 있어서, 프로세서가 모든 어댑터 종류의 어드레스를 순차 엑세스한다. 프로세서가 액세스한 어댑터가 임의의 한 슬롯에 탑재되면, 어댑터는 슬롯에 할당된 번호를 프로세서에 출력한다. 이와 같이, 프로세서는 실제로 슬롯에 탑재되어 있는 어댑터 종류와 그 슬롯위치를 확인하고, 이 확인결과에 따라 자동적으로 상기 우선제어 등의 정보를 설정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러나, 근년 출현한 워크스테이션과 같은 고성능, 고기능 또한 고 속의 단말장치에 있어서는 매우 많은 종류의 외부 디바이스의 접속을 가능하게 한 것이 많다. 이와 같은 외부디바이스로서는 예를들면 프린터장치, 외부장착 하드디스크장치, 외부장착 플로피지스크장치., 모뎀(modem),카드리더, 라이트펜(light pen)등을 들수 있다. 이들 외부 디바이스는 일반적으로 RS-232C, GPIB, SCSI등의 이른바 벙용 인터페이스에 의해 워크스테이션에 접속된다.
따라서, 상기 외부 디바이스를 보수 접속하기 위하여는 범용 인터페이스를 서포트하는 어댑터를 몇개든지 탑재할 수 있는 것이 필요해진다.
그러나, 종래의 단말장치에서는 각 슬롯에 탑재되어 있는 어댑터에 대한 시스템 구성을 확인하기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각 어댑터 종류에 어드레스를 고유로 할당하고 있으므로, 동일 종류의 어댑터를 복수 탑재할 수 없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어드레스를 변경한 동일 종류의 어댑터를 복수에 개발하는 것은 불가능하지 않지만, 실질적으로 어댑터의 종류가 증가하고, 할당가능한 어드레스공간이 부족할 염려가 있다. 또, 어댑터의 조합 등에 의한 관리가 복잡하게 된다는 새로운 문제도 생긴다.
또한 상기 일본국 특개소 공보에 기재된 탑재어댑터의 구성확인 방식에서는, 어댑터 고유로 할당된 어드레스를 순차 엑세스함으로써 탑재어댑터를 확인하고 있으므로, 어댑터 종류가 증가할수록 확인회수가 증가한다는 문제도 있었다.
본원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슬롯에 동일 종류의 어댑터를 탑재가능하게 하는 정보처리 시스템에 있어서의 어댑터 및 어댑터의 어드레스할당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원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어댑터 종류가 증가해도 어드레스 공간이 부족하지 않은 정보처리시스템에 있어서의 어댑터 및 어댑처의 어드레스할당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원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 슬롯에 탑재되어 있는 어댑터에 관한 시스템구성의 확인을 간단하게 할 수 있는 정보처리시스템에 있어서의 어댑터 및 어댑터의 어드레스할당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원 발명에 의하면, 정보처리장치에 배설된 복수의 슬롯중 하나에 탑재된 어댑터에 있어서, 어댑터에 있어서, 어댑터가 탑재된 슬롯으로부터 이 슬롯 ID신호를 수신하는 접촉수단과, 상기 슬롯 ID신호에 따라서 자체에 할당하는 어드레스를 발생하는 어드레스할당수단과, 자체의 어댑터 ID신호를 발생하는 어댑터 ID신호발생수단과, 상기 정보처리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상기 어댑터 ID신호를 상기 정보처리장치에 출력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를 제공한다.
본원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정보처리장치에 배설된 복수의 슬롯중 하나에 탑재된 어댑터에 있어서, 임의의 슬롯으로부터 이 슬롯 ID신호를 수신하는 접속수단과, 상기 슬롯 ID신호에 따라서 자체에 할당하는 어드레스를 발생하는 어드레스할당수단과, 이 어드레스할당수단의 출력어드레스를 상기 정보처리장치로부터의 어드레스의 일부와 비교하는 비교수단과, 이 비교수단의 일치출력에 의해 인에이블되고, 상기 정보처리 장치로부터의 어드레스의 다른 부분의 내용을 해독하는 디코더수단과, 자체의 어댑터 ID신호를 발생하는 어댑터 ID신호발생수단과, 상기 디코더수단의 해독결과에 따라서 이 어댑터의 기능을 실행하며, 또는 상기 어댑터 ID신호를 상기 정보처리장치에 출력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원 발명에 의하면, 정보처리장치에 배설된 슬롯에 탑재된 어댑터의 어드레스할당방법에 있어서, 미리 각 슬롯에 별개의 어드레스공간을 할당해 두고, 어댑터를 어느 하나의 슬롯에 제하면 이 슬롯에 할당 된 어드레스공간을 이 슬롯에 탑재된 어댑터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의 어드레스할당방법을 제공한다.
본원 발명에서는 어댑터의 종류에 대응하여 어댑터할당어드레스를 정하는 것이 아니고, 슬롯에 대응하여 어댑터할당어드레스를 정하도록 하였다. 이로써, 모든 어댑터 종류에 고유의 어드레스를 할당할 수는 없지만, 원래 1대의 정보처리장치에 동시에 탑재할 수 있는 어댑터의 수는 슬롯의 수는 슬롯의 수에 한정되므로, 하등 지장은 없다. 뿐만 아니라, 슬롯마다 어댑터할당어드레스가 다르므로, 동일 종류의 어댑터의 복수 탑재가 가능하게 된다.
또, 같은 이유로 즉 슬롯마다 어댑터할당어드레스를 정하도록 함으로써, 어댑터 종류의 신규 개발에 의해 어댑터 종류가 증가한 경우에도, 그 새로운 어댑터 종류에 대해 새로운 어드레스 공간을 할당할 필요가 없으므로, 어드레스영역의 부족을 초래하는 일이 없다.
또한, 각 슬롯에 어댑터할당어드레스가 대응하고 있으므로, 정보처리장치는 액세스하는 어드레스에 의해 슬롯을 특정할 수 있다. 한편, 각 슬롯에 어느 어댑터 종류가 탑재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기위해 상기 각 슬롯에 대응한 어댑터할당어드레스를 순차 액세스한다. 액세스한 슬롯에 어느 하나의 어댑터가 탑재되어 있으면, 그 어댑터가 자체의 어댑터 종류를 표시하는 어댑터식별정보(신호)를 반송하므로, 이것에 의해 그 슬롯에 탑재되어 있는 어댑터 종류를 인신할 수 있다. 액세스한 슬롯으로부터 소정 시간이상 응답이 없는 경우에는 그 슬롯에는 어댑터가 미탑재(未搭載)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본원 발명에 의한 시스템구성확인방법은, 종래의 시스템구성확인방법이 어댑터 종류에 할당된 어드레스를 순차 액세스하여, 그 어댑터가 탑재되어 있는 슬롯을 확인하는 것이엇는데 대해, 역으로 슬롯에 할당된 어드레스를 순차 액세스하여, 슬롯에 탑재되어 있는 어댑터종류를 확인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통상, 슬롯의 수는 어댑터종류의 수보다 충분히 작으므로, 종래에는 액세스회수가 많을 뿐만 아니라, 그 대부분이 미탑재인데 대해, 본원 발명에서는 액세스회수가 적고, 또한 미탑재의 수가 더욱 작다. 따라서, 시스템구성확인처리가 간단하고도 신속하게 된다.
다음에,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조에 본원 발명에 의한 정보처리시스템의 개략 구성예를 나타낸다. 이 시스템은 버스에 의해 서로 접속된 프로세서(12), 메모리(13) 및 4개의 슬롯(14)∼(17)으로 이루어진 정보처리장치와, 본 시스템이 서포트하는 어댑터 종류군??A-Z(제3도)중 슬롯에 탑재되는 임의의 어댑터에 의해 구성된다. 동일 종류의 복수의 어댑터의 탑재도 허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슬롯(14) 및 (17)에 어댑터 C가 2매, 슬롯(15)에 어댑터 Z가 1매 각각 탑재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각 슬롯(14)∼(17)은 어댑터와의 접속을 위한 단자 a,b를 갖는다.
이 각 단자는 각각 고전위레벨 또는 저전위레벨의 어느 하나에 접속된다. 여기서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지 또는 저항을 통한 5볼트전위에의 접속을 조합함으로써, 각 슬롯에 고유의 번호를 붙이고 있다(즉 슬롯(14)∼(17)에는 각각 #0∼#3의 번호가 붙어 있다. 이 경우, 단자 a,b의 전위의 조합임 슬롯식별신호가 된다. 그리고, 여기서는 4개의 슬롯을 가진 경우를 예로 하였으므로, 각 슬롯의 단자수는 2개이지만 슬롯수가 이보다 많은 경우에는 단자수도 증가시키면 된다.
제1도에, 제2도의 시스템에 있어서의 하나의 슬롯(2)(슬롯(14)∼(17)중 어느 하나에 대응)에 본원 발명에 의한 어댑터(1)를 탑재한 형태를 나타낸다.
어댑터(1)는 슬롯(2)을 통해 정보처리장치의 어드레스버스(3), 데이터버스(4) 및 콘트롤버스(5)에 접속되어 있다. 어댑터(1)는 탑재된 슬롯의 슬롯식별신호에 따라서 할당어드레스정보(100)를 발생하는 어드레스할당부(6), 어드레스버스(3)로부터의 어드레스정보(102)의 일부(상위비트)를 어드레스할당부(6)의 출력(100)과 비교하는 비교부(7), 이 비교부(7)의 일치출력에 의해 인에이불(enable)되어서, 어드레스버스(3)로부터의 어드레스정보(102)의 다른 일부(하위비트)를 디코드하는 디코더(8), 어댑터(1)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이디코더(8)의 출력에 따라 어댑터(1)를 제어하는 I/O제어부(9), 이 어댑터의 종류를 표시하는 코드인 어댑터 ID를 발생하는 어댑터 ID발생부(10), I/O제어부(9)에 의해 인에이블되어 어댑터 ID를 데이터버스(4)에 출력하는 출력게이트(11) 및 이 어댑터 본래의 기능에 필요한 기능블록(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구성된다.
각 슬롯(#0∼#3)에는 미리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고유의 어드레스(어드레스공간)가 할당되어 있다. 이 도면중, 첨자 H는 16진수를 표시한다. 각 슬롯의 할당어드레스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위 6비트(215∼210)의 어드레스정보(102)에 의해 구별된다. 그래서, 각 어댑터(1)에는 어드레스할당부(6)를 내장하고, 이것에 의해 각 슬롯에 할당된 단자 a,b의 전위의 조합에 따라 대응하는 어드레스정보(100)를 발생하도록 하고 있다. 이 어드레스할당부(6)는 조합논리회로, ROM테이블 등 일정한 입력비트에 대해 일정한 출력비트를 발생하는 것이면 된다. 제5도에 도시한 예에서는 단자a,b의 2비트입력과, 이것에 대한 어드레스정보(100)의 하위비트가 동일하므로, 어드레스정보(100)의 하위 2비트로서 입력비트를 그대로 사용하고, 출력의 상위 4비트를 일정한 전위에 고정하면 된다. 이 어드레스정보(100)는 비교부(7)의 한쪽의 입력단에 입력된다.∼
한편, 어드레스버스(3)상에 송출되고 있는 어드레스정보(102)는 슬롯(2)을 통해 어댑터(1)에 입력되고, 상기 어드레스정보(100)에 대응하는 상위 6비트가 비교부(7)의 다른 쪽의 입력단에 입력된다. 어드레스버스(3)로부터의 어드레스정보(102)의 하위 10비트는 디코더(8)에 입력된다.
비교부(7)는 입력된 양 어드레스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한 경우에 디코더(8)를 인에이블한다. 이로써, 디코더(8)는 상기 어드레스버스(3)로부터의 어드레스정보의 하위 10비트를 디코드하고, 그 값에 따른 출력선에 디코드출력을 발생한다. 비교부(7)는 디코더(8)를 디스에이블(disable)하고, 따라서 디코더(8)는 어느 출력선에도 출력하지 않는다.
디코더(8)의 출력을 예를들면 독출스트로브, 기입스트로브와 같은 콘트롤버스(5)상의 신호와 함께 I/O제어부(9)에 입력된다. I/O제어부(9)는 이 어댑터의 본래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제어를 행하는 외에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어댑터 ID의 요구가 있을 때 그 요구에 응답하여 출력게이트(11)를 인에이블하고, 어댑터 ID발생부(10)의 어댑터 ID를 데이터버스(4)상에 출력시킨다.
상기 제2도의 시스템구성에서는, 슬롯(14)에 탐재된 어댑터 C는 슬롯(14)의 단자 a,b가 함께 접지되어(#0)있으므로, 어댑터 C의 어드레스할당부(6)는 제5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11100)B의 어드레스정보를 비교부(7)에 송출(여기서 B는 2진수)한다. 마찬가지로, 슬롯(15)에 탑재된 어댑터 Z의 어드레스할당부(6)는 (11101)B의 어드레스정보를, 슬롯(17)의 어댑터 C의 어드레스할당부(6)는 (1111)B의 어드레스 정보를 각각 송출한다
지금, 프로세서(12)가 슬롯(14)에 탑재된 어댑터 C를 액세스하기 위해서 F000H∼F3FFH범위내의 어드레스를 어드레스버스(3)상에 송출했다고 하면, 슬롯(14)에 탑재된 어댑터 C의 비교부(7)는 2개 어드레스의 일치를 검출하고, 디코더(8)를 인에이블한다. 그 결과, 어댑터 C는 그 디코드출력결과에 따른 기능을 실행한다. 프로세서(12)의 액세스 요구가 어댑터 ID의 독출지시이면 어댑터 C의 I/O제어부(9)가 디코더(8)의 출력을 기초로 출력게이트(11)를 인에이블하여 어댑터 C의 어댑터 ID인 02H(제6도 참조)를 데이터버스(4)상에 출력한다
한편, 슬롯(15),(17)에 탑재된 어댑터 Z,C의 비교부(7)는 어드레스의 불일치를 검출하고, 그 디코더(8)를 디스에이블한다. 따라서, 어댑터 Z,C는 아무런 기능도 하지 않는다.
상기 어댑터 ID의 독출을 순차 전체 슬롯 대응의 할당어드레스에 대해 행하면, 슬롯 #0에는 어댑터 C(어댑터 ID는 02H), 슬롯 #1에는 어댑터 Z(어댑터 ID는 19H), 슬롯 #3에는 어댑터 C(어댑터 ID는 02H)가 각각 탑재되어 있는 것이 판명된다.
이 각 슬롯에 탑재되어 있는 어댑터의 ID정보 및 어드레스할당정보가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스템 구성으로서 정보처리장치내에 등록된다. 즉, 슬롯에 탑재된 어댑터의 어댑터 ID는 어드레스할당정보와 관련하여 등록된다. 미탑재의 슬롯에는 어느 어댑터도 할당되지 않으며, 이탑재를 표시하는 코드(예를들면 FFH)가 어댑터 ID로서 등록된다.
이 어댑터 ID의 독출, 등록처리는 시스템의 구축시, 변경시 등 필요할 때 행한다.
제8도에 시스템구성 확인시의 프로세서(12)의 처리수준을 나타낸 프로차트를 도시한다. 먼저. 프로세서(12)는 슬롯 #N의 N의 값을 0으로 초기화 한다(810. 다음에, 각 슬롯에 대해 할당어드레스를 격납한 테이블(89)(제5도에 대응)을 참조하고, 프로세서의 액세스어드레스로서 슬롯 #N의 할당어드레스를 설정하고(82), 그 액세스를 행한다(83). 이 슬롯에 어댑터가 탑재되어 있지 않으면(84:No), 액세스로부터 일정시간후까지 응답이 없으므로(액세스타임아웃으로 됨), 그 슬롯 #N의 어댑터 ID를 부재(不在)를 표시하는 FFH로 한다(85). 어댑터가 탑재되어 있으면 (84:Yes), 이 어댑터가 그 어댑터 ID를 반송(返送)한다. 이 어댑터 ID 또는 스텝(85)에서 얻어진 어댑터 ID를 구성인식테이블(도시하지 않음)의 슬롯 #N에 해당하는 에리어에 격납한다(86). 다음에, 전슬롯에 액세스했는지 여부(즉 N의 값이 소정치에 달했는지 여부)를 조사하고(87), 전슬롯액세스가 완료되었으면 이 처리를 종료하고, 미완료이면 N의 값을 인크리멘트하고(88), 스텝82로 귀환한다. 이 처리에 의해서, 어느 슬롯에 어느 종류의 어댑터가 탑재되어 있는지가 판명되고, 상기 구성인식테이블에 기억해 둘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슬롯에 동일 종류의 어댑터의 복수 탑재가 가능하게 된다. 어댑터에 할당되는 어드레스공간은 어댑터 종류의 수에 관계없이 일정하며, 어댑터 종류가 증가해도 어댑터할당어드레스 공간이 부족한 일이 없다. 또, 시스템구성의 확인수준도 슬롯 대응으로 행하므로, 프로세서의 처리가 간략화, 신속화된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어드레스할당부(6)를 어댑터내에 배설하였으나, 슬롯측에 배설해도 된다. 즉, 각 슬롯에 있어서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어드레스정보를 생성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모든 어댑터로부터 어드레스할당부(6)를 삭제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각 슬롯에 대응한 어드레스를 하나로 고정했으나, 각 어댑터의 기능분류(예를들면 통신용, I/O접속용, 부가기능용 등)에따라 어댑터를 그룹화하고, 그룹대응으로 슬롯마다 할당어드레스를 변경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들면 어댑터의 그룹 #1,#2,#3마다 그 내장한 할당제어부 #1,#2,#3의 할당어드레스가 다르다. 이로 인해, 어댑터할당어드레스공간은 제4도의 경우보다는 증가하지만, 여전히 어댑터 종류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일정하다. 이 구성은 어댑터 ID의 비트수가 한정되어 있어서, 어댑터 ID의 비트수가 한정되어 있어서, 어댑터 ID가 부족한 경우에 유효하다. 그리고, 이 경우에는 어드레스할당부(6)는 어댑터내에 배설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어댑터마다 고유의 어드레스를 할당하는 종래의 방식과의 공존도 가능하다. 즉, 본원 발명에 의한 어댑터의 종래 방식의 어댑터의 혼재 사용을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4도에 도시한 슬롯 대응의 어드레스 이외의 어드레스를 다른 어댑터에 고유로 정해두고, 어댑터 구성확인시에는 이 어댑터에 대하여는 그 어드레스를 액세스했을 때에 슬롯의 단자 a,b의 신호를 그대로 슬롯번호로서 이용하면 된다. 프로세서는 할당어드레스에 의해 본원 발명 방식과 종래 방식을 구별할 수 있다. 이 경우, 본원 발명의 효과는 감소하지만, 동일 어댑터의 탑재가능, 어댑터할당어드레스의 감소, 시스템구성확인의 간략화의 효과는 여전히 유효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 발명을 설명했으나, 이것은 예시로서 여기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본원 발명의 범위 및 기술적 사상에서 일탈하지 않고 각종 변형 및 변경을 가할 수 있다.

Claims (3)

  1. 정보처리장치에 배설된 복수의 슬롯중 하나에 탑재된 어댑터에 있어서, 어댑터가 탑재된 슬롯으로부터 이 슬롯 ID신호를 수신하는 접속수단과, 상기 슬롯 ID신호에 다라서 자체에 할당하는 어드레스를 발생하는 어드레스할당수단과, 자체의 어댑터 ID신호를 발생하는 어댑터 ID신호발생수단과, 상기 정보처리장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상기 어댑터 ID신호를 상기 정보처리장치에 출력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2. 정보처리장치에 배설된 복수의 술롯중 하나에 탑재된 어댑터에 있어서, 임의의 슬롯으로부터 이 슬롯 ID신호를 수신하는 접속수단과, 상기 슬롯 ID신호에 따라서 자체에 할당하는 어드레스를 발생하는 어드레스할당수단과, 이 어드레스할당수단의 출력어드레스를 상기 정보처리장치로부터의 어드레스의 일부와 비교하는 비교수단과, 이 비교수단의 일치출력에 의해 인에이블되고, 상기 정보처리장치로부터의 어드레스의 다른 부분의 내용을 해독하는 디코더수단과, 자체의 어댑터 ID신호를 발생하는 어댑터 ID신호발생수단과, 상기 디코더수단의 해독결과에 따라서 이 어댑터의 기능을 발생하며, 또는 상기 어댑터 ID신호를 상기 정보처리장치에 출력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3. 정보처리장치에 배설된 슬롯에 탑재된 어댑터의 어드레스할당방법에 있어서, 미리 각 슬롯에 별개의 어드레스공간을 할당해 두고, 어댑터를 어느 하나의 슬롯에 탑재하면 이 슬롯에 할당된 어드레스공간을 이 슬롯에 탑재된 어댑터에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의 어드레스할당방법.
KR1019920012480A 1988-11-15 1992-07-14 정보처리시스템의 어댑터 및 어댑터의 어드레스할당방법 Expired KR9200105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2480A KR920010552B1 (ko) 1988-11-15 1992-07-14 정보처리시스템의 어댑터 및 어댑터의 어드레스할당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288336A JP2644554B2 (ja) 1988-11-15 1988-11-15 情報処理システム
JP88-288,336 1988-11-15
KR890016531 1989-11-15
KR1019920012480A KR920010552B1 (ko) 1988-11-15 1992-07-14 정보처리시스템의 어댑터 및 어댑터의 어드레스할당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6531A Division KR920010580B1 (ko) 1988-11-15 1989-11-15 정보처리시스템 및 시스템구성 확인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0552B1 true KR920010552B1 (ko) 1992-12-05

Family

ID=27337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2480A Expired KR920010552B1 (ko) 1988-11-15 1992-07-14 정보처리시스템의 어댑터 및 어댑터의 어드레스할당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105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5299B1 (ko) * 1999-03-31 2002-05-03 포만 제프리 엘 컴퓨터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5299B1 (ko) * 1999-03-31 2002-05-03 포만 제프리 엘 컴퓨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10580B1 (ko) 정보처리시스템 및 시스템구성 확인방법
AU602388B2 (en) A data processing system having features for automatic configuration of device cards
KR100209853B1 (ko) 플래시메모리카드
US5038320A (en) Computer system with automatic initialization of pluggable option cards
CA1158778A (en) Dynamic device address assignment mechanism for a data processing system
US4571672A (en) Access control method for multiprocessor systems
US5787306A (en) Automatic assignment of I/O addresses in a computer system
EP0631241A1 (en) Initializing multiple bus networks
US5119486A (en) Memory board selection method and apparatus
US6427198B1 (en) Method, system, and program for determining system configuration
EP0080626A2 (en) Memory module selection and reconfiguration apparatus in a data processing system
EP0108346A2 (en) Memory reconfiguration method in a data processing system
WO1994019750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mputer interface board identification
US4234934A (en) Apparatus for scaling memory addresses
KR950020226A (ko) 부속카드에 시스템 메모리 공간이 할당되도록 구성 및 보장하는 방법 및 장치
EP0465079B1 (en) Method and device for assigning I/O address in data processing apparatus
EP0187453A2 (en) Program assignable I/O addresses for a computer
US4513369A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KR900002894B1 (ko) 어드레스 변환을 사용한 데이타 처리 시스템
US5027313A (en) Apparatus for determining maximum usable memory size
JPH0519183B2 (ko)
US642176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functional space in a low pin count memory device
US612871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 base address register on a computer peripheral device supporting configuration and testing of address space size
EP0265575B1 (en) Data processing system having automatic address allocation arrangements for addressing interface cards
US5761719A (en) On-chip memory map for processor cache macr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19920714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207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21109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302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302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302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511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611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10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12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112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03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120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