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20010387B1 - 치아 임플랜트 - Google Patents

치아 임플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10387B1
KR920010387B1 KR1019900010696A KR900010696A KR920010387B1 KR 920010387 B1 KR920010387 B1 KR 920010387B1 KR 1019900010696 A KR1019900010696 A KR 1019900010696A KR 900010696 A KR900010696 A KR 900010696A KR 920010387 B1 KR920010387 B1 KR 9200103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carrier body
dental implant
carrier
silicone rub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0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2098A (ko
Inventor
이종진
김동석
Original Assignee
이종진
김동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진, 김동석 filed Critical 이종진
Priority to KR1019900010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10387B1/ko
Priority to US07/574,486 priority patent/US5006068A/en
Priority to JP3188207A priority patent/JPH04241855A/ja
Publication of KR920002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20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10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0387B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6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with shock absorb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치아 임플랜트
제1도는 본 발명 치아 임플랜트의 단면도.
제2도는 쌍절두체의 측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치아 임플랜트의 분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치아 임플랜드 12 : 턱뼈
16 : 캐리어체 18 : 제1단부
20 : 제2단부 22 : 제1구멍
24 : 제2구멍 30 : 기초축
32 : 제1단부 34 : 제2단부
36 : 헤드 40 : 턱뼈 고정수단
44 : 지지링 50 : 긴몸체
52 : 제1단부 54 : 제2단부
58 : 절두형 구멍 66 : 의치 부착 수단
68 : 보어 72 : 보울트
74 : 의치 76 : 연결수단
86 : 치아조립체 90 : 탄성력 감쇄수단
92 : 쌍절두체 96 : 개구
99 : 공간부
본 발명은 힘감쇄 수단을 사용한 치아 임플랜트(dental implant)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절두형(frustrum : 원뿔대) 구멍속에 위치시켜 씹는 동작중에 발생된 힘을 흡수하도록 한 쌍절두형 실리콘 고무체를 갖는 탄성력 감쇄수단에 관한 것이다.
씹는 동작과 관련하여 힘을 받을시 자연치아의 반작용을 잘닮게한 개량된 치아 임플랜트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최근 임플랜트 시스템은 치아운동 및 치아충격 흡수특성상 씹는 중에 생기는 힘을 처리할 자연치아의 능력을 닮도록 하기 위해 설계되어 왔다.
그와같은 한시스템으로서, 미합중국 특허 제4,552,532호에는 턱뼈에 고정되는 루트(root)부와, 크라운이 접속되면서 루트부에 지지되는 지주가 사용된다. 크라운에 가해지는 힘을 완화시키기 위한 부재가 구비된다. 또한 크라운과 루트부간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정지부가 포함된다. 쿠션재는 루트부에 위치한 지주의 부분을 둘러싸며 또한 크라운-상부지주와 루트부-하부지주 사이의 접촉영역을 가로질러 수평으로 연장한다. 쿠션재는 실리콘고무 또는 TEFLON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다른 시스템으로서, 미합중국 특허 제4,626,214호에는 축방향 구멍을 가지면서 턱뼈에 고정되는 제1몸체가 사용되며, 상기 축방향 구멍 속에는 O-링 및 제2몸체의 하부가 위치한다. 제2몸체의 상부는 크라운을 지지한다. 코라운의 저부와 제1몸체의 상부간의 접촉영역에는 제2 O-링이 위치한다. O링은 약간의 축방향 감쇄이동이 자연치아를 닮는 것을 가능하게 해준다.
그러나, 그와같은 임플랜트 시스템은 다소 복잡하고 또 자연치아의 작용을 닮도록 하기 위해 하나이상의 힘감쇄수단을 사용하고 있다. 다른 임플랜트 시스템은 씹는중에 발생된 축방향 힘, 충격등을 충분히 흡수할 수 없다. 따라서, 그와같은 시스템은 종래기술의 치아 임플랜트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람에게는 부자연스럽게 느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씹는 중에 임플랜트에 의해 받는 힘을 완화시키기 위해 단일의 힘감쇄 수단을 사용하는 치아 임플랜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절두형 구멍에 위치하면서 관통개구를 갖는 쌍절두형 실리콘 고무체를 사용한 치아 임플랜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자연치아의 힘감쇄 효과를 닮게한 치아 임플랜트를 세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용이하게 교체될 수 있는 단일의 힘감쇄 수단을 갖는 치아 임플랜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비교적 제조비가 싼 치아 임플랜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들은 본 발명의 적합한 특징 및 응용의 몇가지를 단지 제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개시된 범위내에서 발명을 다른 방법으로 응용하거나 그 발명을 변경하므로써 많은 다른 유익한 결과가 얻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완전한 이해는 후수될 발명의 요약과, 첨부도면과 관련하여 고려되는 청구범위에 의해서 규정되는 본 발명의 범위는 물론 양호한 실시예를 기술한 상세한 설명을 참고함으로써 가능하다.
본 발명의 치아 임플랜트는 첨부도면에 도시된 특수한 실시예와 함께 청구범위에 의해서 규정된다. 본 발명을 요약하면, 본 발명은 환자의 턱뼈 설치용의 치아 임플랜트에 관한 것이다. 치아 임플랜트는, 제1단부와 제2단부를 가지며, 그 중앙에 위치하면서 제1단부로부터 부분적으로 연장하는 제1구멍과 제1구멍과 동축적으로 형성되면서 관통하여 연장하는 제2구멍을 구비하는 캐리어체를 포함한다. 제1단부 및 제2단부를 가지는 기초축이 채용되며, 기초축의 제1구멍의 직경보다는 작고 캐리어체의 제2구멍의 직경보다는 큰 직경을 갖는 헤드에서 끝난다. 기초축의 제2단부는 치아 임플랜트를 환자의 턱뼈에 고정하는 턱뼈 고정 수단에서 끝난다. 지지링은 기초축의 제1단부 근방에, 그리고 캐리어체의 제2단부에 대해 이격해서 고정된다. 이 헤드는 사용시에 기초축을 따라 제1방향으로 헤드를 넘어가는 캐리어체의 축방향 이동을 방지하도록 하고 또 지지링은 기초축을 따라 제2방향으로 지지링을 넘어가는 캐리어체의 축방향 이동을 방지하도록하여 기초축을 따르는 캐리체의 축방항 이동을 캐리처체의 제2단부와 지지링사이에서 가능하도록 해준다. “제1방향”은 치아의 크라운 쪽으로의 방향이고, “제2방향”은 턱뼈쪽으로의 방향이다. 제1단부와, 그 속에 구멍을 갖는 제2단부를 구비하는 긴몸체가 채용된다. 양호하게, 구멍은 절두형이다. 즉, 구멍의 체적은 절두형을 포함한다. 사용시에 긴몸체의 제1단부에 의치등을 부착시키는 수단이 사용된다. 사용시에 캐리어체에 부착된 긴몸체에 의치를 부착함으로써 치아 조립체를 규정하도록 연결수단이 긴몸체의 제2단부를 캐리어체에 고정시킨다. 긴몸체의 구멍 속에는 탄성력 감쇄수단이 위치한다. 탄성력 감새수단은 턱의 씹는 동작이 없을시 캐리어체와 헤드와의 접촉을 유지하도록 하여 자연스런 무부하 상태로 치아조립체를 유지하도록하고, 또 턱의 씹는 동작에 의해 발생되는 기초측에 따른 제2방향으로의 치아 조립체의 축방향 이동을 저항하도록 하여 사용중이 받는 씹는 힘을 완화시키도록 한다.
양호하게, 탄성력 감쇄수단은 탄성의 쌍절두체를 규정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 다른 형태, 예를들어 원형 감쇄수단도 가능하다. 탄성력 감쇄수단은 양호하게는 실리콘 고무로 이루어진다. 양호한 실리콘 고무 조성물은 SILASTIC(미합중국 다우 코닝 코포레이션에서 제조되는 상품명 HS 100U, HS 230U, HS 330U(이상은 가장 양호한 것임), 및 LCS 140U, LCS 380U)과, TECH-SIL(대한민국 해룡 실리콘 주식회사에서 제조되는 상품명 HR-1130U, HR-1140U, HR-1150U, HR-1170U)이다. 다른 탄성 조성물도 사용가능하다.
그러나, 탄성력 감쇄수단의 조성물은 내유성, 생리상의 무해성, 고온(뜨거운 음식) 및 저온에서의 안정성 및 저온(찬음식)에서의 적응성이 있어야 한다. 가장 양호하게는, 탄성력 감쇄수단은 쌍절두형의 실리콘 고무로 이루어진다.
쌍절두형 실리콘 고무체는 양호하게는 긴몸체에 형성된 구멍을 거의 채우며, 또 실리콘 고무체는 관통해서 형성된 개구를 추가로 포함하여 실리콘 고무체가 사용중에 받는 씹는 힘에 의해 압축, 즉 변형될때 실리콘 고무체의 일부가 개구속으로 수용될 수 있게 한다.
긴몸체의 제1단부에 의치를 부착시키는 양호한 수단은 사용시에 긴몸체에 의치를 고정하도록 숫나사 구비의 보울트를 나사식으로 수용하기 위해 암나사를 구비하면서 긴몸체의 제1단부에 형성될 보오를 포함한다.
긴몸체의 제2단부를 캐리어체에 고정시키는 수단은 캐리어체의 제1구멍에 형성된 암나사와, 긴몸체의 제2단부상에 형성된 숫나사로서, 사용시 긴몸체의 숫나사가 캐리어체의 암나사에 나사식으로 수용되어 긴몸체를 캐리어체에 결합하게 되어있다.
캐리어체의 제2단부와 지지링 사이에서 기초축을 따르는 캐리어체의 축방향 이동은 양호하게는 약 0.3mm, 가장 양호하게는 0.2mm로서 정확히 자연치아의 동작을 닮게 되어 있다.
턱뼈 고정수단은 본 발명의 장치를 환자의 턱에 고정시킨다. 턱뼈 고정수단은 블레이드(blade)형 임플랜트와 소켓을 포함한다. 블레이드형 임플랜트는 그중에서 특히 캘시텍 인코포레이티드(Calcitek,Inc.)에서 제조된다(BIO BLADE). 양호한 턱뼈 고정수단은 치아용 소켓, 즉 실린더형 임플랜트이다. 그와같은 소켓은 본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왔다. 예를들어, 그와같은 소켓은 그중에서 특히 코어-벤트 코포레이션(Core-vent Corporation)(MICRO-VENT 및 BIO-VENT), 인터포어 인터내셔널(Interpore International)(INTERPORE IMZ) 및 드리스켈 바이오 엔지니어링(Driskell Bioengineering)에서 제조된다.
양호하게, 턱설치용의 치아 임플랜트는, 제1단부와 제2단부를 가지며, 제1단부로부터 부분적으로 연장하는 제1구멍과, 제1구멍과 동축적으로 형성되면서 관통하여 연장하는 제2구멍을 구비하는 캐리어체의 조합을 포함한다.
제1단부 및 제2단부를 가지는 기초축이 사용된다.
기초축의 제1단부는 캐리어체의 제1구멍의 직경보다는 작고 캐리어체의 제2구멍의 직경보다는 큰 직경을 갖는 헤드에서 끝난다. 기초축의 제2단부는 치아 임플랜트를 턱뼈에 고정하는 턱뼈 고정 수단에서 끝난다.
지지링은 기초축의 제1단부 근방에 그리고 캐리어체의 제2단부에 대해 이격해서 고정된다. 이러한 구조의 조립체는 기초축을 따라 제1방향으로 헤드를 넘어가는 캐리어체의 축방향 이동을 방지하도록 하고 또 기초축을 따라 제2방향으로 지지링을 넘어가는 캐리어체의 축방향 이동을 방지하도록하여 기초축을 따르는 캐리어체의 축방향 이동을 캐리어체의 제2단부와 지지링사이에서만 허용하도록 해준다. 제1단부와 제2단부를 구비하는 긴몸체가 채용된다. 긴몸체의 제2단부는 절두형의 구멍을 포함한다. 사용시에 긴몸체의 제1단부에 의치를 부착시키는 구단이 사용된다. 캐리어체에 부착된 긴몸체에 의치가 부착될시 치아 조립체가 고정되도록 연결수단이 긴 몸체의 제2단부를 캐리어체에 고정시킨다.
긴몸체의 절두형 구멍 속에는 탄성력 감쇄 수단이 위치한다.
탄성력 감쇄수단은 턱의 씹는 동작이 없을시 캐리어체와 혜드아의 접촉을 유지하도록하여 자연스런 무부하 상태로 치아 조립체를 유지한다. 또한 탄성력 감쇄 수단은 턱의 씹는 동작에 의해 발생되는 기초측에 따른 제2방향으로의 치아 조립체의 축방향 이동을 저항하도록하여 사용중에 받는 씹는 힘을 완화시키도록 한다.
이후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보다 잘 이해하고 본 기술에의 공헌을 완전히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에서 본 발명의 보다 적절하고 중요한 특징들을 요약하였다. 후술될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들은 본 발명 청구범위의 주제를 이룬다. 본 기술분야에 숙련된 자라면 본원에서 기술된 개념 및 특수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다른 구조로 변경하거나 설계하는 근거로서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게다가, 당업자라면 그와같은 등가 구조가 청구범위에서 개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로부터 일탈하지 않는다는 것을 실감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특징 및 목적들을 완전히 이해하기 위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고자 하며, 도면에 있어서 유사한 부품에는 유사한 참조부호가 부여된다.
제1도에는 턱뼈(12)에 고정되는 본 발명 치아 임플랜트(10)가 도시되어 있다. 긴몸체(50)는 제1단부(52) 및 제2단부(54)를 가지며, 제2단부는 그 속에 형성된 구멍(56)를 가진다.
긴몸체의 구멍(56)은 양호하게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절두형(58)(Frustrum : 원뿔상부를 밑면과 평행으로 잘라낸 형태)을 포함한다.
사용시 긴몸체(50)의 제1단부(52)에 의치(74)를 부착시키는 수단(66)이 사용된다. 긴몸체의 제1단부에 의치(74)를 부착시키는 수단(66)은, 양호하게는 긴몸체의 제1단부에 형성되면서 암나사(70)를 구비하는 보어(68)이다. 숫나사(73)를 구비하는 보울트(72)가 보어(68)의 암나사(70)에 결합되어 보울트(72)를 보어(68)속으로 죌시 의치등이 긴몸체에 나사식으로 고정된다.
긴몸체에는 자연치아와 같은 작용이 요구되며 틀니등과 같은 다른 치아용 보철이 고정될 수 있다.
긴몸체(50)에 형성된 구멍(56)속에는 탄성력 감쇄 수단(90)이 위치된다. 탄성력 감쇄수단은 스프링의 역할을 한다. 탄성력 감쇄 수단(90)은 두가지 기능을 한다. 첫째, 그것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턱의 씹기 동작이 없을때 캐리어체와 헤드의 접촉을 유지한다. 즉, 치아 조립체는 자연스럽 무부하 상태에서 유지된다.
둘째, 그것은 기초축을 따르는 제2방향으로의 치아 조립체의 축방향 이동을 저항하고 따라서 사용중에 기초축에 의해 받는 씹는 힘을 완화한다. 그와같은 축방향 이동은 턱의 씹기 동작중에 발생된다.
탄성력 감쇄 수단은 양호하게는 탄성의 쌍절두체(92)이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탄성력 감쇄 수단(90)은 긴몸체(50)에 형성된 절두형 구멍(58)과 조합하여 사용되는 탄성 실리콘 고무(93)로된 탄성의 쌍절두체(92)이며, 실리콘 고무(93)로 이루어진 쌍절두체(92)는 긴몸체에 형성된 절두형 구멍(58)을 거의 채운다. 실리콘 고무체(93)를 관통해서 개구(96)가 형성되며 이는 사용중에 받는 씹는 힘에 의해서 실리콘 고무체가 압축될시 실리콘 고무체의 일부가 개구속으로 수용될 수 있게한다. 양호하게 개구(96)는 쌍절두체(92) 전체를 관통해서 연장한다.
캐리어체(16)는 제1단부(18) 및 제2단부(20)를 가지며, 또 제1단부로부터 캐리어체 속으로 일부 연장하는 제1구멍(22)을 구비한다. 제2구멍(24)은 제1구멍(22)과 동일한 축선을 따라 형성되면서 제1구멍의 바닥(25)으로부터 동축적으로 연장하여 캐리어체를 완전히 관통한다. 제1구멍의 직경은 캐리어체에 형성된 제2구멍의 직경보다 크다.
기초축(30)은 제1단부(32) 및 제2단부(34)를 가지며, 기초축의 제1단부는 헤드(36)에서 끝난다.
헤드의 직경(38)은 캐리어체(10)의 제1구멍(22)의 직경(26)보다 작고 캐리어제의 제2구멍(24)의 직경(28) 보다는 크다. 이것은 캐리어체(16)가 기초축을 따라 헤드(36)를 넘어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기초축(30)의 제1단부(32)의 직경(39)은 캐리어체(16)에 형성된 제2구멍(24)의 직경(28)보다 약간 작아 캐리어체(16)의 구멍(22,24) 속으로의 기초축(30)의 통과를 허용한다. 기초축(30)의 제2단부(34)는 치아 임플랜트를 턱뼈에 고정하는 턱뼈 고정수단(40)에서 끝난다.
즉, 헤드 및 지지링은 헤드와 지지링 사이에 위치하는 캐리어체의 이동을, 헤드 및 지지링간의 거리에서 캐리어체에 의해 차지되는 기초축의 길이를 뺀 거리로 제한한다.
지지링(44)은 예를들어 억지끼움을 이용하여 기초축의 제1단부(32) 근방에 그리고 캐리어체(16)의 제2단부(20)에 대해 이격하여 고정된다. 헤드-지지링 구조배열 때문에 기초축(30)을 따라 제1방향(46)으로 캐리어체(16)의 제1구멍(22)의 바닥(25)의 결합부를 넘어가는 캐리어체의 축방향 이동이 헤드(36)에 의해 방지되고, 또한 기초축을 따라 제2방향(48)으로 지지링을 넘어가는 캐리어체의 축방향 이동이 방지된다.
“제1방향”(46)은 치아의 크라운 쪽으로의 방향이다. 따라서, 헤드(36)는 캐리어체(16)가 기초축(30)의 제1단부(32)로 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제2방향”(48)은 턱뼈쪽으로의 방향이다. 따라서, 지지링(44)은 캐리어체(16)가 소켓(42)과 같은 임플랜트를 턱에 고정하는 수단과 부닥치는 것을 방지한다. 지지링과 혜드의 간격을 볼때, 기초축을 따르는 캐리어체의 축방향 이동은 캐리어체의 제2단부 즉 캐리어체의 말단부(17)와 지지링(44) 사이에서 연장하는 기초축의 길이(49)로서 제한된다. 캐리어체의 제2단부와 지지링 사이에서 기초축을 따르는 캐리어체의 축방향 이동은 자연치아의 동작과 “느낌”을 닮도록 하기 위해 양호하게는 약 0.3mm 그리고 가장 양호하게는 0.2mm이다.
지지링(44)및 기초축(30)의 정확한 크기는 기존 자연치아와 정합하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 치아 임플랜트를 끼울 환자의 치아의 상대적 크기에 의해 결정된다.
연결수단(76)은 긴몸체를 캐리어체에 고정시킨다.
그 자체가 캐리어체(16)에 부착되는 긴몸체(50)에 의치(74)를 부착하면 치아 조립체(86)가 규정된다. 실제상, 자연치아 처럼 보이도록하고 또 보어(68)속에 보울트(72)를 고정하여 씹는 중에 보울트(72)를 보호하기 위해, 긴몸체(50)에 의치(74)를 고정하는 보울트는 백색 시멘트(75)로 덮여진다.
연결수단(76)은 긴몸체(50)의 제2단부(54)를 캐리어체(16)의 제1단부(18)에 고정시킨다. 양호하게, 캐리어체에 형성된 제1구멍(22)은 암나사(78)를 포함하고, 긴몸체(50)의 제2단부(54)는 숫나사(80)를 포함한다.
이것은 긴몸체(50)의 숫나사(80)를 캐리어체(16)의 암나사(78)에 의해 나사식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하며 거기에 부착된 의치를 포함한 긴몸체(50)를 캐리어체(16)에 고정시켜 준다.
수직적인 씹는 힘은 탄성력 감쇄수단에 의해 감쇄된다. 씹는 동작과 관련되는 측방력은 캐리어체의 제2구멍에의 기초축의 끼움에 의해 감쇄된다. 즉, 치아 조립체(86)는 수직면으로부터 매우 적게 변형하여 치아조립체에 의해 받는 측방력을 감쇄한다.
제2도에는 공통베이스(95)를 구비하면서 제1절두체(92A)와 제2절두체(92B)는 쌍절두체(92)가 도시되어 있다. 양호하게, 개구(96)는 쌍절두체(92) 전체를 관통하여, 즉 쌍절두체(92)의 제1단부(97)로부터 쌍절두체(92)의 제2단부(98)가지 관통하여 연장한다.
사용시, 절두형 구멍(58)과 쌍절두체(92) 사이의 주위 공간부(99)와 함께 개구(96)는 압축중에 쌍절두체(92)가 수용될 공간을 제공한다. 즉, 쌍절두형 실리콘 고무체는 긴몸체(50)에 형성된 절두형 구멍(58)을 거의 채운다.
사용중, 긴몸체의 절두형 구멍의 체적은, 씹는 동작중 치아 조립체에 가해지는 씹는 힘에 기인한 헤드의 구멍속으로의 침입에 의해 감소된다. 공간부(99)와 개구(96)의 존재 때문에 씹는 중에 실리콘 고무체가 압축될시 실리콘 고무체의 일부가 그 속에 수용되게 된다. 공간부(99)의 체적은 실리콘 고무체가 소요의 양으로 변형될 정도로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쌍절두체(92)에서의 개구(96)의 존재는 중요하다.
따라서, 소요의 치아 조립체의 동작 즉 자연치아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도록 실리콘 고무체가 변경될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공간부(99)와 개구(96)의 체적은 서로를 고려하여 적절히 실계되어야 한다.
따라서, 쌍절두형(92)을 갖는 탄성 실리콘 고무체(93)는 절두형(58)을 포함하는 구멍(56)속에 수용된다.
즉, 구멍의 체적은 절두형을 포함한다. 절두형(58)의 구멍(56)은 쌍절두체(92)의 절두체(92A)를 수용하고, 동시에 쌍절두체(92)의 나머지 절두체(92B)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절두형(58)의 구멍(56) 아래 체적속에 수용된다.
양호하게, 탄성 실리콘 고무체(93)는 기초축(30)의 헤드(36)에 결합된다. 장치(10)는 대칭이고 탄성 실리콘 고무체(93)에 대하여 피스톤의 하중이 기인한 치아 조립체의 변위는 그 대칭축을 따르게 되어 자연치아 동작을 닮게 된다.
제3도는 장치(10)의 조립을 위해 위치시킨 본 발명 치아 임플랜트의 부품을 도시한 것이다. 보울트(72)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의치 또는 다른 치아용 보철을 긴 몸체(50)에 고정시킨다. 연결수단(76)은 긴몸체(50)를 캐리어체(16)에 고정시킨다. 이때 긴몸체가 캐리어체에 고정됨에 따라 치아 조립체(86)는 씹는 중에 받는 힘을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장치(10)가 소켓(42)속에 고정되고 환자의 턱속에 작동적으로 위치될때 자연치아의 동작을 닮는 작용이 가능하게 된다.
비록 본 발명은 양호한 형태로서 특수하게 기술되었지만, 본 기술 분야에 숙련된 자라면 양호한 형태의 본 기술이 단지 예로서 되어 있고 또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부품의 구성, 조합 및 배치의 상세에 있어서 여러가지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는 것을 알것이다.

Claims (14)

  1. 턱뼈 설치용의 치아 임플랜트에 있어서, 제1단부(18)와 제2단부(20)를 가지며, 상기 제1단부(18)로부터 부분적으로 연장하는 제1구멍(22)과, 상기 제1구멍(22)과 동축적으로 형성되면서 관통하며 연장하는 제2구멍(24)을 구비하는 캐리어체(16)와, 제1단부(32) 및 제2단부(34)를 가지며, 상기 캐리어체(16)의 상기 제1구멍(22)의 직경보다는 작고 상기 캐리어체(16)의 상기 제2구멍(24)의 직경보다는 큰 직경을 갖는 헤드(36)에서 상기 제1단부(32)가 끝나고, 치아 임플랜트를 턱뼈에 고정하는 턱뼈 고정 수단(40)에서 상기 제2단부(34)가 끝나게 되어 있는 기초축(30)과, 사용시에 상기 기초축(30)을 따라 제1방향으로 상기 헤드(36)를 넘어가는 상기 캐리어체(16)의 축방향 이동이 상기 헤드(36)에 의해 방지되도록 또 상기 기초축(30)을 따라 제2방향으로 그 자체를 넘어가는 상기 캐리어체(16)의 축방향 이동이 그 자체에 의해 방지되도록 하여 상기 기초축(30)를 따르는 상기 캐리어체(16)의 축방향 이동이 상기 캐리어체(16)의 상기 제2단부(20)와 그 자체사이에서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기초축(30)의 상기 제1단부(32) 근방에 그리고 상기 캐리어체(16)의 상기 제2단부(20)에 대해 이격해서 고정된 지지링(44)과, 제1단부(52)와, 그 속에 구멍(56)을 갖는 제2단부(54)를 구비하는 긴몸체(50)와, 사용시에 상기 긴몸체(50)의 상기 제1단부(52)에 의치를 부착시키는 수단(66)과, 사용시에 상기 캐리어체(16)에 부착된 상기 긴몸체(50)에 상기 의치를 부착함으로써 치아 조립체(86)를 고정하도록 상기 긴몸체(50)를 상기 캐리어체(16)에 고정시키는 연결수단(76)과, 사용시에 턱의 씹는 동작이 없을시 상기 캐리어체(16)와 상기 헤드(36)의 접촉을 유지하도록 하여 자연스런 무부하 상태로 상기 치아조립체(86)를 유지하도록 하고 동시에 턱의 씹는 동작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기초축(30)에 따른 상기 제2방향으로의 상기 치아 조립체(86)의 축방향 이동을 저항하도록 하여 사용중에 상기 기초축(30)에 의해 받는 씹는 힘을 완화시키도록 하기 위해, 상기 긴몸체(50)의 상기 구멍(56)속에 위치되는 탄성력 감쇄 수단(9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렌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긴몸체(50)의 상기 구멍(56)은 절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랜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력 감쇄 수단(90)은 쌍절두체(92)를 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랜트.
  4. 제1항에 있어서, 사용시에 상기 긴몸체(50)의 상기 제1단부(52)에 의치를 부착시키는 상기 수단은, 상기 긴몸체(50)에 상기 의치를 나사식으로 겆앗도록 상기 의치에 고정되 숫나사(73) 구비의 보울트(72)를 수용하기 위해 암나사(70)를 구비하면서 상기 긴몸체(50)의 상기 제1단부(52)틀 형성된 보어(6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랜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체(16)에 형성된 상기 제1구멍(22)은 암나사(78)를 포함하고, 상기 긴몸체(50)의 상기 제2단부(54)는 숫나사(80)를 포함하여 사용시 상기 긴몸체(50)의 상기 숫나사(80)가 상기 캐리어체(16)의 상기 암나사(78)에 나사식으로 수용되어 상기 긴몸체(50)를 상기 캐리어체(16)에 결합하게 되어 있는, 상기 긴몸체(50)의 상기 제2단부(54)를 상기 캐리어체(16)에 고정시키는 상기 연결수단(76)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랜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력 감쇄수단(90)은 탄성 실리콘 고무체(9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랜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력 감쇄수단(90)은 쌍절두형을 갖는 실리콘 고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랜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쌍절두형 실리콘 고무체(93)는 상기 긴몸체(50)에 형성된 상기 구멍(56)을 거의 채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랜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쌍절두형 실리콘 고무체(93)는 그 관통해서 형성된 개구(96)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실리콘 고무체(93)가 사용중에 받는 씹는 힘에 의해 압축될때 상기 실리콘 고무체(93)의 일부가 상기 개구(96)속으로 수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랜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36)와 상기 지지링(44) 사이에서 상기 기초축(30)을 따르는 상기 캐리어체(16)의 상기 축방향 이동은 약 0.3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랜트.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턱뼈 고정 수단(40)은 치아용 소켓(4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랜트.
  12. 턱 설치용 치아의 임플랜트에 있어서 제1단부(18)와 제2단부(20)를 가지며, 상기 제1단부(18)로부터 부분적으로 연장하는 제1구멍(22)과, 상기 제1구멍(22)과 동축적으로 형성되면서 관통하여 연장하는 제2구멍(24)을 구비하는 캐리어체(16)와, 제1단부(32) 및 제2단부(20)를 가지며, 상기 캐리어체(16)의 상기 제1구멍(22)의 직경보다는 작고 상기 캐리어체(16)의 상기 제2구멍(24)의 직경보다는 큰 직경을 갖는 헤드(36)에서 상기 제1단부(32)가 끝나고, 치아 임플랜트를 턱뼈에 고정하는 턱뼈 고정 수단(40)에서 상기 제2단부(34)가 끝나게 되어 있는 기초축(30)과, 사용시에 상기 기초축(30)을 따라 제1방향으로 상기 헤드(36)를 넘어가는 상기 캐리어체(16)의 축방향 이동이 상기 헤드(3)에 의해 방지되도록 또 상기 기초축(30)을 따라 제2방향으로 그 자체를 넘어가는 상기 캐리어체(16)의 축방향이동이 그자체에 의하여 방지되도록하여 상기 기초축(30)을 따르는 상기 캐리어체(16)의 축방향 이동이 상기 캐리어체(16)의 상기 제2단부(20)와 그 자체사이에서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기초축(30)의 상기 제1단부(32) 근방에 그리고 상기 캐리어체(16)의 상기 제2단부(20)에 대해 이격해서 고정된 지지링(44)과, 제1단부(52)와, 그속에 절두형 구멍을 갖는 제2단부(54)를 구비하는 긴몸체(50)와, 사용시에 상기 긴몸체(50)의 상기 제1단부(52)에 의치를 부착시키는 수단(66)과, 사용시에 상기 캐리어체(16)에 부착된 상기 긴몸체(50)에 상기 의치를 부착함으로써 치아 조립체(86)를 규정하도록 상기 긴몸체(50)를 상기 캐리어체(16)에 고정시키는 연결수단(76)과, 사용시에 턱의 씹는 동작이 없을시 상기 캐리어체(16)와 상기 헤드(36)의 접촉을 유지하도록 하여 자연스런 무부하 상태로 상기 치아 조립체(86)를 유지하도록 하고 동시에 턱의 씹는 동작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기초축(30)에 따른 상기 제2방향으로의 상기 치아 조립체(86)의 축방향 이동을 저항하도록 하여 사용중에 받는 씹는 힘을 완화시키도록 하기 위해, 상기 긴몸체(50)의 상기 절두형 구멍속에 위치되는 쌍절두형의 실리콘 고무를 구비하는 탄성력 감쇄 수단(9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랜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쌍절두형 실리콘 고무체(93)는 상기 긴몸체(50)에 형성된 상기 절두형 구멍(56)을 거의 채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랜트.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쌍절두형 실리콘 고무체(93)는 관통해서 형성된 개구(96)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실리콘 고무체(93)가 사용중에 받는 씹는 힘에 의해 압축될때 상기 실리콘 고무체(93)의 일부가 상기 개구(96)속으로 수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임플랜트.
KR1019900010696A 1990-07-14 1990-07-14 치아 임플랜트 Expired KR9200103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10696A KR920010387B1 (ko) 1990-07-14 1990-07-14 치아 임플랜트
US07/574,486 US5006068A (en) 1990-07-14 1990-08-28 Dental implant
JP3188207A JPH04241855A (ja) 1990-07-14 1991-07-02 歯牙インプラン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10696A KR920010387B1 (ko) 1990-07-14 1990-07-14 치아 임플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2098A KR920002098A (ko) 1992-02-28
KR920010387B1 true KR920010387B1 (ko) 1992-11-27

Family

ID=19301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0696A Expired KR920010387B1 (ko) 1990-07-14 1990-07-14 치아 임플랜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006068A (ko)
JP (1) JPH04241855A (ko)
KR (1) KR9200103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35964A1 (fr) * 1988-09-02 1990-03-09 Poulmaire Francis Systeme implantable avec ou sans resilience, dispositif rotatif pour conception de loge implantaire et procede d'utilisation du systeme implantable
US5135395A (en) * 1990-07-05 1992-08-04 Marlin Gerald M Implant collar and post system
US5803735A (en) * 1995-01-18 1998-09-08 Gittleman; Neal Food ingress shield for dental prosthodontic apparatus
JPH11502136A (ja) * 1995-03-20 1999-02-23 インスティトゥート・シュトラウマン・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歯科用インプラントの円錐状副部材への結合構造
US6743018B1 (en) 1996-12-12 2004-06-01 Morrow Intellectual Properties, Llc Dental restoration apparatus
US6039568A (en) * 1998-06-02 2000-03-21 Hinds; Kenneth F. Tooth shaped dental implants
EP1171054B1 (en) 1999-04-15 2007-06-06 Nobel Biocare AB Diamond-like carbon coated dental retaining screws
US20040170947A1 (en) * 2003-02-27 2004-09-02 Milne Robert H. Dental implant and bone regeneration device and method of implementation
FR2867379B1 (fr) * 2004-03-11 2007-06-22 Alain Szczupak Dispositif de reconstruction dentaire implante-porte autorisant une micro-mobilite a l'element prothetique
EP1757245B1 (de) * 2005-08-22 2010-07-21 Riemser Arzneimittel AG Zahnimplantat
EP1757246A1 (de) * 2005-08-22 2007-02-28 Novident SA Aufbau für ein Zahnimplantat
US7682152B2 (en) 2005-12-20 2010-03-23 Ford Christopher W Force distributing dental implant assembly
US20070141533A1 (en) * 2005-12-20 2007-06-21 Ford Christopher W Polymeric dental implant assembly
US20070141532A1 (en) * 2005-12-20 2007-06-21 Ford Christopher W Force distributing dental implant assembly
US8011926B2 (en) * 2008-05-15 2011-09-06 Ford Christopher W Polymeric dental implant assembly
US8753118B2 (en) 2008-10-03 2014-06-17 James Michael Randall Dental bridg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755426A (fr) * 1969-08-29 1971-02-01 Rivoir Karl Heinz Dispositif de fixation a energie de ressort pour prothese dentaire
DK233384A (da) * 1983-05-17 1984-11-18 Alberto Arruga Artal Fikseret tandimplantat
US4552532A (en) * 1983-12-12 1985-11-12 Mozsary Peter G Osteocorrective dentoalveolar implant system
CA1248371A (en) * 1985-05-17 1989-01-10 Robin D. Listrom Fixture for attaching prosthesis to bone
DE3615733A1 (de) * 1986-05-09 1987-11-12 Leitz Ernst Gmbh Zahnwurzel-implantat hoher dauerschwingfestigke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006068A (en) 1991-04-09
KR920002098A (ko) 1992-02-28
JPH04241855A (ja) 1992-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10387B1 (ko) 치아 임플랜트
RU2061437C1 (ru) Внутрикостный зубной имплантант
US4552532A (en) Osteocorrective dentoalveolar implant system
Misch et al.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occlusal trauma and peri-implant bone loss: literature support
US5213500A (en) Stress absorbing semipermanent dental implant system
US4993950A (en) Compliant keeper system for fixed removable bridgework and magnetically retained overdentures
US4673407A (en) Joint-replacement prosthetic device
US4631031A (en) Artificial dental prosthesis
US5954505A (en) Force distributing dental implant
KR920010759B1 (ko) 치아 임플랜트
US5678995A (en) Enossal implant for tooth replacement
US4525145A (en) Connecting device for joining a superstructure element with an implant member
US20160302893A1 (en) Dental Implant Assembly for Uniform Distribution Of Occlusal Forces
Lill et al. The ability of currently available stress-breaking elements for osseointegrated implants to imitate natural tooth mobility.
EP0231400A1 (en) Osteocorrective dentoalveolar implant system
DE3149881A1 (de) Verbindungselement fuer enossale implantate
US4220712A (en) Dental implant and method of inserting
WO2014035084A1 (ko) 치과용 임플란트
WO2011068432A1 (ru) Дентальный имплантат (варианты)
RU94842U1 (ru) Дентальный имплантат (варианты)
EP0083155A1 (en) Shock absorbing stop for prosthetic devices
ES2491016B1 (es) Implante dental con ajuste oclusal activo
JP3244282B2 (ja) 歯科用インプラント
KR20230085130A (ko) 충격 흡수 장치가 있는 치과용 및 정형외과용 파스너
Carvalho et al. Mandibular strains induced by conventional and novel dental impla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112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1996112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19961128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