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20009949B1 - 타이어 균일성 검사기계 - Google Patents

타이어 균일성 검사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9949B1
KR920009949B1 KR1019900017900A KR900017900A KR920009949B1 KR 920009949 B1 KR920009949 B1 KR 920009949B1 KR 1019900017900 A KR1019900017900 A KR 1019900017900A KR 900017900 A KR900017900 A KR 900017900A KR 920009949 B1 KR920009949 B1 KR 9200099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m
spindle
tire
assembly
mounting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7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9427A (ko
Inventor
아끼토시 오오따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고오베 세이꼬오쇼
가메다까 소끼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고오베 세이꼬오쇼, 가메다까 소끼찌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고오베 세이꼬오쇼
Publication of KR910009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94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9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99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061Accessories, details or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0/00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sting Of Balance (AREA)
  • Tyre Mould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타이어 균일성 검사기계
제1도는 타이어 균일성 검사기계 전체의 투시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균일성 검사기계의 주요성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부분 단면 측면도,
제3도는 림 조립체 반송수단의 확대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A-A선을 따른 도면,
제5도는 림 래크와 거기에 지지되어 있는 림 조립체의 수직 단면도이고,
제6a도 내지 6f도는 림 조립체와 타이어를 타이어 균일성 검사기계상에 장착하는 단계들의 개략적 설명도,
제7도는 림 래크의 변형예의 평면도,
제8도는 림 조립체 반송수단의 회전 아암 구동수단의 다른 실시예의 부분 단면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타이어 균일성 검사기계 2 : 프레임
3 : 로울러 컨베이어(타이어 반송수단) 4 : 상부 스핀들
5 : 하부 스핀들 6 : 회전구동기어
7 : 상부림 10 : 하부림
13 : 환형스핀들 호울더 20 : 스핀들 호울더
21 : 스핀들 호울더 20A : 테이퍼진 몸체부분
25 : 회전축 26 : 로우터리 아암
27 : 슬라이드 판 28 : 슬라이드 테이블
30 : 로우터리 액츄에이터 31 : 스피것 소켓(spigot socker)
B1, B2: 비이드 부분 R : 림 조립체
T : 타이어
본발명은 타이어 제조공정의 마지막 단계에서 검사를 위해 사용되는 타이어 균일성 검사기계용 림 장착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 분야의 공지 기술로서 예컨대 일본 공개특허 제88-48699호는 상부 및 하부 스핀들의 측면에 상부 및 하부림이 제공되어 타이어 반송 컨베이어로부터 들어올려진 타이어 사이를 붙잡고 축에 대한 상부 스핀들의 회전을 통해서 그 축에 대해서 타이어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된 타이어 균일성 검사기계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특허공보의 타이어 균일성 검사기계는 상부림이 타이어 반송 컨베이어 아래에서 하부림 및 하부스핀들과 조립된 후 들어올리고 상부 스핀들 위에 형성된 림 조립체를 장착하도록 배열된 림 고정기구를 채용하고 있다.
더 상세하게는 다수의 호울더 구멍이 있는 조립 테이블이 타이어 컨베이어 아래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호울더 구멍의 하나를 상부 스핀들과 수직한 위치에 선택적으로 배치하게 된다. 조립 테이블은 상부림, 하부림 및 하부 스핀들의 대향면이 조립된 높이보다 더 높게 유지되는 그러한 방법으로 호울더의 구멍에 상부림, 하부림 및 하부스핀들이 유지되도록 배치된다.
승강실린더는 상부 스핀들축과 수직한 배치로 조립 테이블 아래에 제공되며 림 조립체를 들어올리기 위하여 호울더 구멍을 통해 상하로 이동될 수 잇는 승강로드를 갖는다. 타이어 맞춤전에 고정되고 조립 테이블상에 보유된 림 조립체는 승강로드의 작동에 의해 조립된 상태로 들어올려져서 상부림이 상부 스핀들에 장착된다. 그후 상부림이 상부 스핀들 위에 머물고 있는 동안에 하부림 및 하부 스핀들이 승강로드의 하강 이동에 의해 함께 하강된다. 다음에 타이어가 컨베이어 위에 반송되고 하부림에 타이어의 비이드(bead)부를 끼워 맞춘 후 승강로드가 상승 이동하여 하부 스핀들과 함께 타이어를 들어올리면서 다른 비이드부의 아래로부터 상부림에 끼워 맞춤으로써 상부 및 하부림 사이에 타이어를 붙잡는다.
교체를 위해 상부 스핀들로부터 타이어 및 림 조립체를 이탈시키기 위해서 장착 공정의 상기 단계가 역순으로 실행된 후 다른 크기의 교체된 림 조립체가 상기 단계에 따라 다시 장착된다.
타이어 반송 컨베이어 아래에서 림의 조립 및 교체 작업을 하도록 배열된 상기 종래의 장치는 컨베이어 및 승강실린더 사이에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고 기계의 전체 높이와 승강로드의 스트로크 길이가 증가하기 때문에 작업 주기시간이 연장되고 대형기계의 설계가 불가피하게 된다. 이 같은 상황의 관점에서 본발명은 그 목적으로서 기계의 전체 높이를 최소화하고 승강로드의 스트로크 길이의 감소를 통한 작업 주기시간을 단축할 목적으로 타이어 반송수단 아래의 공간을 줄이도록 배열된 타이어 균일성 검사기계용 림 장착기구의 설비를 제공한다.
본발명에 따르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부 및 하부 스핀들의 측면에 상부 및 하부림을 가지는 타이어 균일성 검사기계용 림 장착기구가 제공되는바, 이들은 각각 타이어의 비이드부에 끼워맞추어지고, 타이어 반송수단에 의해 타이어를 들어올리고 상,하부림에 의해 상하 측면으로부터 타이어를 붙잡고 축에 대한 상부 스핀들의 회전에 의해 그 축에 대하여 타이어(T)를 회전시키도록 된 구성에 있어서 림 장착기구는 상부림, 하부림 및 하부 스핀들을 기계의 외부 장소에서 조립함으로써 형성된 림 조립(R)를 타이어 반송수단 위의 자리에 상부 스핀들축과 수직한 배치로 반송하고 상부 스핀들의 바로 아래 자리에 기계로부터 시험된 타이어를 반출하도록 구성된 림 조립체 반송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상부림, 하부림 및 하부 스핀들을 함께 기계 외부의 한 장소에서 조립함으로써 림 조립체가 제조되며 림 조립체 반송수단에 의해 타이어 반송수단의 상부에 상부 스핀들의 축과 수직정합하는 위치에 있는 승강수단에 옮겨지고, 그런뒤 승강수단은 상부림이 상부 스핀들과 맞게 결합될 때까지 상향이동되며, 그런다음 상부림과 하부림은 승강수단 하향이동에 의해 타이어 반송수단 하부 위치로 하강된다. 그 다음에, 타이어는 타이어 반송수단에 의해 상부 스핀들 바로 아래의 위치로 전진하고 이어서 승강수단의 상향 이동에 의해 하부림은 타이어의 한 비이드 부분에 끼워지며 하부 스핀들(5)과 함께 타이어는 승강되어 드디어 타이어의 다른 비이드가 아래로부터 상부 스핀들에 있는 상부림과 결합한다. 그 결과 타이어는 그의 상하측으로부터 상부 및 하부림에 의해 붙들리게 된다.
타이어 시험 완료후, 승강수단은 하강되며, 그리하여 타이어는 먼저 상부림 그 다음은 하부림으로부터 분리되며 타이어 반송수단에 놓여지며 반송수단은 기계로부터 타이어를 반출한다. 다음에 새로운 시험 타이어가 상부 스핀들 바로 아래 위치로 운반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승강수단은 상향 이동되어 상부와 하부림 사이에 타이어를 붙듬으로써 타이어를 상부 스핀들에 장착시킨다.
타이어 크기가 변함에 대응시키기 위햐, 림 조립체(R)를 교체코자 할 때에는, 상술한 장착단계들을 역순으로 행함으로써 림 조립체(R)는 상부 스핀들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예로서 발명의 몇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첨부도면과 함께 다음의 설명 및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아래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제1도 및 2도에 있어서, 타이어 반송수단 역할을 하도록 프레임(2)에 설치된 로울러 컨베이어(3) 및 서로 수직으로 정합하고 타이어의 축과 공축관계로 위치해 있는 상부 및 하부 스핀들(4 및 5)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균일성 검사기계(1)가 도시되어 있다. 상부 스핀들(4)은 프레임(2)에 장착되어 있는 회전구동기구(6)에 의해 회전되며, 상부림(7)은 상부 스핀들(4)의 하단위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하부 스핀들(5)은 승강수단으로서 사용되어 있는 유압실린더(8)의 피스톤로드(9)에 의해 끼워맞춤헤드(9A)를 통하여 지지되고, 하부림(10)은 하부 스핀들(5)의 하단에 유지되어 있다. 상부 및 하부림(7 및 10)은 타이어(T)의 비이드 부분(B1및 B2) 안에 삽입되어 타이어가 림들 사이에 붙들린다. 상부 스핀들(4)의 회전에 의해 하부 스핀들(5)은 타이어(T) 및 상하 림(7 및 10)과 함께 회전된다. 이들 도면에 있어, 11은 하중 인가 기구이고 11은 하중 검출기이며 이들 양자는 프레임(2)에 장착되어 있다.
상부 스핀들(4)은 프레임(2)에 고정되어 있는 관형상 스핀들 호울더(13)안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스핀들은 베어링(14)을 통해 그 축 주위로 회전될 수 있다. 림 잠금 로드(15)는 스핀들 호울더(13)안에 삽입되어 그 안에서 수직이동될 수 있다. 스핀들(4)에는 그 개방 하단에 테이퍼진 림 끼워맞춤구멍(16)이 있고, 그 개방 하단에는 일회 접촉동작에 의해 상부림(7)을 자동적으로 잠금 및 풀림을 하기 위한 잠금수단(예컨대, 콜릿척)이 설치되어 있다.
상부림(7)은 림 장착 플랜지(18)에 고정되어 있고 이 플랜지는 상부 스핀들(4)의 림 끼워맞춤구멍(16)과 결합하기 위해 그 상측에 중심위치에 원추형상 끼워맞춤돌출부(18A)가 있고, 원추형상의 하부 스핀들 끼워맞춤구멍은 그 하측으로부터 돌출부(18A)안으로 형성되어 있다. 끼워맞춤돌출부(18)에는 일회 접촉동작을 통해 상술한 잠금수단(17)과 분리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상향 돌출 커플링 수단(19)이 있다.
하부 스핀들(5)은 그 축 주위로 회전하기 위해 베어링(21)을 통해 스핀들 호울더(20)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그의 하부부분을 갖고 있다. 스핀들 호울더(20)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하부 스핀들 부분은 림 장착 플랜지(18)내 끼워맞춤구멍(18B)과 결합하기 위해 원추형상 끼워맞춤부(5A)내로 형성되어 있다. 하부림(10)은 플랜지(4B)에 놓여 있고 볼트 또는 기타 적당한 고정수단(표시안됨)에 의해 플랜지에 고정되어 있다. 스핀들 호울더(20)에는 후술하는 반송 슬라이드 테이블 및 림 래크에 의해 끼워맞춤으로 지지되도록 그 주위에 테이퍼진 끼워맞춤 몸체부분(20A)이 있으며 끼워맞춤구멍(22)은 끼워맞춤헤더(9A)와 맞물림하기 위해 그 하단에 형성되어 있다.
상부림(7)의 림 장착 플랜지(18)는 하부 스핀들(5)의 끼워맞춤축부분(5A)위에 맞추어져 지지되어 있고 상부 및 하부림(7 및 10) 및 하부 스핀들(5)에 의해 림 조립체(R)를 형성하고 있다. 림 조립체는 이들 성분들을 함께 조립함에 의해 기계 외부에 위치한 림 래크 위에 만들어진다.
23은 수직부재(2A)의 외측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단부 및 하단부에서 베어링(24)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회전축(25), 회전축(25)에 고정연결된 한 단부를 갖는 회전아암(26), 회전아암(26)의 다른 단부에 고정연결된 슬라이드판(27), 슬라이드판(27)에 미끄럼가능하게 장착된 슬라이드 테이블(28) 및 공기실린더(29)와 같은 슬라이드 구동수단, 그리고 회전축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회전 액츄에이터로 구성되는 림 조립체 반송수단이다(제3도 및 제4도).
슬라이드 테이블(28)은 전단부에 스피것 소켓(31)을 갖추고 있으며, 스피것 소켓(31)은 하부 스핀들(5)의 스핀들 호울더(20)가 적합하게 놓이는 테이퍼진 부분(31A)과 림 조립체(R)와 맞물림 및 해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전단부에서의 노치(31B)를 갖는다. 회전아암(26)은 기계측과 평행하게 회전되며 슬라이드 테이블(28)은 기계에서 상부 스핀들(4) 바로 아래의 로울러 컨베이어(3)에 림 조립체를 도입하기 위해 공기실린더(29)의 작동을 통해 미끄러지며, 스피것 소켓(31)의 중앙(C)은 상부 스핀들(4)의 축의 연장선(L)과의 정렬위치로 된다. 한편, 회전아암(26)은 기계 외측 위치로 회전하며 슬라이드 테이블(28)은 공기실린더(29)의 작동을 통해 미끄럼 연장되며 스피것 소켓(31)의 중앙(C)은 후기하는 바와 같이 림 래크의 림 조립체 지지구멍의 중앙(O)과의 정렬위치로 된다.
34는 슬라이드 테이블(28)용 구동 브래킷이며, 이것은 브래킷(35)을 통해 슬라이드판(27)에 고정되어 있는 공기실린더(29)의 로드(29A)의 외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림 래크는 하부 스핀들(5)의 상응하는 테이퍼진 몸체부분(20A)을 끼워맞춤으로 수용하기 위한 테이퍼진 형상을 각각 갖는 6개의 림 조립체 지지구멍(33)을 갖추고 있으며 수직축(37)을 통해 지지컬럼(36)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회전테이블의 형태이다(제5도).
제1도 내지 제5도에 나타낸 림 조립체 반송 실린더(38)는 림 조립체 지지구멍(33)의 중앙(O) 바로 아래에 수직위치로 고정되어 있고 이것은 차례로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 테이블(28)상의 스피것 소켓(31)의 중앙(C)과 정렬되어 있다. 실린더(38)의 로드(39)의 상단부에 확고하게 고정된 것은 하부 스핀들 호울더(20)에 끼워맞춤구멍(22)과의 끼워맞춤 맞물림의 성립 및 해제되게 하는 지지헤드(40)이다.
참조번호 41는 회전 액츄에이터(30)를 지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브래킷을 나타낸다. 하부 스핀들(5)은 타이어(T)에 가압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공기통로(42 및 43)를 갖추고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로드(15), 잠금수단(17) 및 커플링부재(19)에 제공되어 있는 공기 통로를 통해 압축공기가 공급된다.
림 장착 기구의 여러가지 작동 상황을 예시하는 제6a도 내지 제6f도를 참조하면, 여러가지 크기 및 형상의 타이어(T)에 상응하는 적절한 갯수의 림 조립체(R)의 세트가 림 래크(32)에서 사전에 조립되고 각각의 지지구멍(33)에 알맞게 지지되어, 시험할 타이어(T)에 해당하는 림 조립체를 림 조립체 핸딩 실린더(38) 바로 위에 위치시킨다. 다음 장소에서, 림 조립체 수단(23)의 회전 액츄에이터(30)가 작동되어 회전아암(26)을 기계 바깥위치로 회전시켜 거기서 멈추게 하고 한편, 공기실린더(29)의 작동에 의해 슬라이드 테이블(28)을 대기위치로 후퇴시킨다. 다음에, 핸딩 실린더(38)의 중앙축(O)의 연장선상의 위치에 위치된 림 조립체(R)는 지지헤드(40)가 하부 스핀들(5)의 끼워맞춤구멍(22)에 들어맞아 지지될때까지 핸딩 실린더(38)의 로드(39) 상부로 이동시킴으로써 제6a도의 2점쇄선(R1)으로 표시된 위치까지 들어올려진다.
그후, 슬라이드 테이블(28)은 공기실린더(29)의 작동에 의해 전진하여 핸딩 실린더(38)의 중앙축(O)의 연장선상에 스피것 소켓 부분(31)의 중앙(C)을 위치시킨 다음 실린더(38)의 로드(39)는 다시 하강되어 하부 스핀들(5)의 몸체부분(20A)을 스피것 소켓 부분(31)에 끼워맞춤시켜 이로써 림 조립체(R)를 제6a도의 2점쇄선(R2)으로 표시된 위치에 유지시킨다. 이들 작동의 결과, 림 조립체(R)는 림 래크(32)로부터 림 조립체 반송수단(23)으로 건네지며 로드(39)는 그의 하한위치로 복귀한다.
계속해서, 회전 액츄에이터(30)가 작동되어 회전아암(26)을 기계를 향해 회전시키는 한편, 동시에 슬라이드 테이블(28)을 공기실린더(29)에 의해 반출시켜 제6b도 및 제3도에 실선으로 표시된 위치에서 정지시킨다.
다음은, 공기실린더(29)는 로울러 컨베이어(3) 상으로 슬라이드 테이블(28)을 진행시키기 위해 다시 작동하여 제6c도에 도시된 것처럼 림 조립체(R)의 하부 스핀들(5)의 중심을 상부 스핀들(4)축의 연장선과 일직선 정렬이 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유압실린더(8)는(림 조립체(12)를 통과시키기 위한 개방구멍을 갖는) 로울러 컨베이어(3)를 넘어서 윗쪽으로 로드(9)를 뻗게하도록 작동되며, 상부림(7)의 끼워맞춤돌출부(18A)가 상부 스핀들(4)의 림 끼워맞춤구멍(16)와 맞물릴때까지 끼워맞춤헤드(9A)로 하여금 림 조립체(R)를 지지하면서 올리는 하부 스핀들 호울더(20)의 끼워맞춤구멍(22)으로 돌입하도록 하는 반면에, 제6f도에 도시된 것처럼 원터치 동작에 의해 연결된 상태에서 상부림(7)을 유지하는 잠금수단(7)에 의해 커플링부재(19)를 동시에 척킹한다. 그런다음 슬라이드 테이블(28)은 림 조립체 반송수단(23)을 기계 외부의 대기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안으로 들어가게 된다.
다음 위치에서, 로울러 컨베이어(3)의 상단보다 낮은 위치로 피스톤로드와 함께 하부 스핀들(5) 및 하부림(10)을 이동시키기 위해 유압실린더(8)가 작동되는 반면에 상부 스핀들(4)의 상부림(7)이 제6e도에 도시된 위치를 취하도록 한다. 그런다음 검사 타이어(T)는 즉시 로울러 컨베어어(3)에 의해 상부 스핀들(4) 바로 아래에 위치된다.
이런 상태에서 유압실린더(8)는 제6f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방법으로 하부림(10)을 타이어(T)의 한쪽 비이드 부분(B2)에 끼워맞춤시키도록 피스톤로드(9)와 함께 하부 스핀들(5) 및 하부림(10)을 승강시키기 위해 다시 작동하며, 그런다음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비이드 부분(B1)에 상부림(7)을 끼워맞춤시키기 위해 타이어(T)와 함께 그 이상 상승되므로 상부 및 하부림(7 및 10)에 의해 상부 및 하부면으로부터 타이어(T)를 붙잡는다.
이렇게 붙잡힌 상태에서, 타이어(T)에 소정의 내부압력을 공급하는 공기 공급통로 및 공기통로(42 및 43)를 통해 타이어(T)에 압축공기를 도입한 후, 상부 스핀들(4)은 타이어의 균일성을 시험하기 위해 구동기구(6)에 의해 회전된다.
소정의 시험을 끝난후, 연이어(T)내의 압축공기는 방출되고 상부 스핀들(4)의 회전은 정지되어 상부림(7)으로부터 타이어(T)를 떼어내기 위해 유압실린더(8)의 작동을 통해 피스톤로드(9)를 하강시킨다. 타이어(T)는 로울러 컨베어어(3)에 놓여지며 타이어(T)가 하부림(10)과 함께 하강됨으로써 그비이드 부분(B2)은 하부림(10)으로부터 분리되고, 또한 다음 타이어 적하를 준비하기 위해 제6e도에 도시된 것처럼 로울러 컨베이어(3) 아래 위치로 낮추어진다. 시험타이어가 로울러 커베이어에 의해 다음 라인으로 이동하는 동안, 동일 종류의 다음 시험타이어는 전술한 동일 방법으로 림을 끼워 맞추기 위해 상부 스핀들(4) 바로 아래 위치로 반입된다.
크기 또는 형태가 변하는 경우에 있어서, 하부 스핀들(5) 및 하부림(10)은 하부 스핀들(5)의 끼워맞춤축부분(5A)을 상부림(7)의 끼워맞춤구멍(18B)내로 돌입시키기 위해 유압실린더(8)의 작동을 통해 상승되며 잠금수단(17)은 로드(15)의 작동을 통해 이완되어, 림 조립체(R)를 제6f도의 상태로 복귀시킨다.
다음은 상부 스핀들(4)축의 연장선과 일직선인 방향으로 스피것 소켓 부분(31)의 중심(C)을 이동시키기 위해 공기실린더(29)에 의해 슬라이드 테이블(28)을 진행시키는 동안 로우터리 액츄에이터(30)는 로우터리 아암(26)을 기계쪽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자동하는데 제6d도의 2점쇄선으로 나타낸 상태로 맞춘다. 따라서 피스톤로드(9)는 제6c도에 도시된 것처럼 슬라이드 테이블(28)로 통해 회전하므로, 이양실린더(38) 바로 위에 비어있는 조립체 지지구멍(33)을 위치시킨다. 그래서 슬라이드 테이블(28)은 제6a도에 2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양실린더(38) 바로 위로 림 부속품(R)을 위치시키기 위해 공기실린더(29)에 의해 진행되고, 로드(39)는 이양실린더(38)의 작동을 통해 승강되며, 그곳의 림 조립체(R)를 지지하기 위해 하부 스핀들 호울더(20)의 끼워맞춤구멍(22)에 지지헤드(40)를 끼워맞춤으로써, 제6a도의 R1으로 나타낸 위치로 조금 상승되며, 슬라이드 테이블(28)의 후퇴를 수반한다.
계속해서, 림 래크(32)의 지지구멍(33)에서 림 조립체(R)의 몸체부분(20A)을 끼워맞춤 및 지지하기 위해 림 조립체 이양실린더(38)의 작동을 통해 로드(39)는 하강되고, 로드(39)는 제6a도에 실선으로 나타낸 것처럼 하부 한계 위치로 하강된다. 그후, 변형된 타이어 크기에 상응하는 림 조립체는 림 장착과정의 전술한 단계에 따라 상부 스핀들(4) 상에 림 조립체를 장착시키도록 림 래크(32)의 회전에 의해서 림 조립체 이양실린더의 바로 위에 위치된다. 제7도를 참조하면 램 래크(32)의 변형의 개략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동도는 공기 실린더 또는 모우터 피구동 스크루(도시되지 않음)의 작동을 통해 수평방향에서 왕복운동 가능하다.
전술한 로우터리 테이블에 유사하게, 복수개의 테이퍼진 구멍의 림 조립체를 지지하기 위해 열로 제공된다. 림 조립체 반송수단(23)의 회전축 구동기구의 다른 실시예가 제8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무단 체인(48)은 회전축(25)의 하단에 고정장착된 트랜스미션 스프로킷(transmission sprocket ; 44)과 베어링(45) 및 축(46)을 통하여 프레임의 적절한 위치에 장착된 트랜스미션 스프로킷(47) 둘레에 걸쳐지며, 소정의 각을 통하여 회전출(25)을 회전시키도록 공기실린더(49)에 의해서 체인(48)이 구동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도시된 특별한 형태에만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회전축(25)은, 회전축에 고정되고 축(25)의 회전시에 공기실린더에 의해 가압되도록 배치된 구동레버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더욱이, 상단 스핀들(4) 상에 상단 림(7)을 유지하기 위한 잠금수단은 종래의 대응물과 같은 기구를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에서 명백하듯이, 상부 및 하부 스핀들(4 및 5) 측상에 타이어(T)의 비이드 부분(B1및 B2)에 끼워맞춰지는 상부림(7) 및 하부림(10)을 각각 포함하고 있으며, 타이어 반송수단(3)에 의해 타이어를 상승시키고, 상부 및 하부림에 의해 타이어를 그 상부 및 하부측으로부터 붙잡으며 상부 스핀들(4)의 축선에 대한 회전에 의해 상기 타이어(T)를 축선에 대하여 회전시키도록 배열된 타이어 균일성 검사기계에 있어서, 본 발명은, 기계 외부의 장소에 상부림, 하부림 및 하부 스핀들을 함께 조립함으로써 형성된 림 조립체(R)를, 타이어 반송수단(3) 위에 상부 스핀들(4)의 축선과의 수직정렬위치에 반입시키고, 시험된 타이어를 상부 스핀들(4) 바로 아래의 위치에서 기계로부터 반출시키기에 적합한 림 조립체 반송수단(23)의 제공에 의해 특징으로 나타내는 림 설치기구를 제공하여 하부 공간을 감소하고, 타이어 반송수단(3) 아래의 공간의 높이를 줄이고, 타이어 시험 효과를 개선하기 위한 상승수단으로서 유압실린더의 스트로크 길이를 단축시키므로 타이어 기계의 내부 설계를 간편화한다. 그 외에도, 림 조립체(R)가 기계 외부에 설치되므로, 조립 작업은 더 쉬워지고 효과적이다.

Claims (8)

  1. 상부 및 하부 스핀들 측상에 타이어 비이드 부분에 끼워맞춰지는 상부 및 하부림을 각각 가지고 있으며, 타이어 반송수단에 의해 타이어를 상승시키고, 상기 상부 및 하부림에 의해 상기 타이어를 그 사부 및 하부측으로부터 붙잡으며 상기 상부 스핀들의 축선에 대한 회전에 의해 상기 타이어를 축선에 대하여 회전시키도록 배열된 타이어 균일성 검사기계용 림 장착기구에 있어서, 상기 림 장착기구는, 기계 외부의 장소에 상부림, 하부림 및 하부 스핀들을 함께 조립함으로써 준비된 림 조립체를, 상기 타이어 반송수단 위에 상기 상부 스핀들의 축선과의 수직정렬 위치에 반입시키고, 시험된 타이어를 상기 상부 스핀들 바로 아래의 위치에서 기계로부터 반출시키기에 적합한 림 조립체 반송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림 장착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림 조립체 반송수단은, 기계프레임 상에 수직위치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고정연결된 슬라이드 판, 상기 슬라이드 판상에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장착된 슬라이드 테이블 및 슬라이드 구동수단, 및 상기 회전축의 하부끝에 연결된 로우터리 액츄에이터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림 장착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테이블은 그 안에 상기 하부 스핀들의 스핀들 호울더를 수용하는 스피것 소켓 부분으로 구비되어 있으며, 림 래크 상에서 림 조립체 호울더와 수직으로 일직선 정렬을 이루는 외부위치와 상기 상부 스핀들과 수직으로 일직선 정렬을 이루는 내부위치와의 사이에서 상기 로우터리 아암 및 슬라이드 구동수단의 작동에 의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림 장착기구.
  4. 제3항에 잇어서, 상기 스피것 소켓부는 그 외부끝에 노치를 가진 테이퍼진 구멍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림 장착기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림 래크는 형상이 원형이며, 복수개의 림 조립체 호울더가 원형으로 열을지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림 장착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림 조립체 호울더는 테이퍼진 구멍형상이며, 그 안에 상기 하부 스핀들 호울더의 상응하는 테이퍼진 몸체부분을 수용하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림 장착기구.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림 래크는 4각형 형상을 가지며, 그 길이을 따라 일렬의 림 조립체 호울더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림 장착기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림 조립체 호울더는 테이퍼진 구멍형상이며, 그 안에 상기 하부 스핀들 호울더의 상응하는 테이퍼진 몸체부분을 수용하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림 장착기구.
KR1019900017900A 1989-11-06 1990-11-06 타이어 균일성 검사기계 KR9200099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288530A JPH03150143A (ja) 1989-11-06 1989-11-06 タイヤユニフォミティ機用リム装着装置
JP1-288530 1989-11-06
JP288530 1989-11-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9427A KR910009427A (ko) 1991-06-28
KR920009949B1 true KR920009949B1 (ko) 1992-11-06

Family

ID=17731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7900A KR920009949B1 (ko) 1989-11-06 1990-11-06 타이어 균일성 검사기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107703A (ko)
EP (1) EP0427516A3 (ko)
JP (1) JPH03150143A (ko)
KR (1) KR9200099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90540A (en) * 1992-01-31 1995-02-21 Akron Special Machinery, Inc. Control apparatus for the uniformity machine
US5448910A (en) * 1994-03-07 1995-09-12 Bridgestone/Firestone, Inc. Portable tire uniformity test machine
JP3486307B2 (ja) * 1996-09-02 2004-01-1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タイヤユニフォミティマシン
US6089083A (en) * 1997-08-22 2000-07-18 Curtis; John Michael Tire inspection and preparation device
US6178814B1 (en) 1997-08-22 2001-01-30 John Michael Curtis Portable motorized tire support
DE10019565A1 (de) * 2000-04-20 2001-10-25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Vorrichtung zur Messung der Gleichförmigkeit eines Fahrzeugreifens
JP5283211B2 (ja) * 2008-02-06 2013-09-04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のリム組機構、リム組方法、自動外観検査装置、自動外観検査方法
EP2643676A4 (en) * 2010-11-23 2017-07-12 Micro-Poise Measurement Systems, LLC Tire uniformity testing system
JP5851848B2 (ja) * 2012-01-12 2016-02-03 三菱重工マシナリ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タイヤ試験装置
JP5752057B2 (ja) * 2012-01-12 2015-07-22 三菱重工マシナリ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リム組立体およびタイヤ試験装置
JP5783585B2 (ja) * 2012-08-06 2015-09-24 三菱重工マシナリ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タイヤ保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579278A1 (de) * 1966-10-27 1970-07-30 Herbert Maschf L Vorrichtung zum Einbringen vorgeformter Reifen in eine Reifenvulkanisierpresse
US4174940A (en) * 1976-09-13 1979-11-20 Industrie Pirelli S.P.A. Apparatus for automatically handling a mold for tires with a rigid segmented core
US4574628A (en) * 1983-08-30 1986-03-11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Automatic rim replacing mechanism for tire uniformity inspecting machines
US4702669A (en) * 1985-10-24 1987-10-27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Mechanism for transferring cured tires from tire press to post-inflator
JPS63150643A (ja) * 1986-12-15 1988-06-23 Kobe Steel Ltd リム自動交換式タイヤユニフオミテイ機におけるリムトランスフア装置
US4763515A (en) * 1987-01-14 1988-08-16 The Uniroyal Goodrich Tire Company Tire uniformity machine and method
JPH01192532A (ja) * 1988-01-29 1989-08-02 Mitsubishi Heavy Ind Ltd タイヤユニフオミテイマシン用自動リム交換装置
JP2803885B2 (ja) * 1990-03-07 1998-09-24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タイヤユニフォミティマシンにおけるリム間隙設定方法及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427516A2 (en) 1991-05-15
JPH03150143A (ja) 1991-06-26
US5107703A (en) 1992-04-28
EP0427516A3 (en) 1992-10-28
KR910009427A (ko) 1991-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9949B1 (ko) 타이어 균일성 검사기계
CN111618583B (zh) 一种驱动电机生产线
EP0166587B1 (en) Apparatus for handling a large nut
JPH07246494A (ja) 溶接ポジショナー
US4574628A (en) Automatic rim replacing mechanism for tire uniformity inspecting machines
JPH1015764A (ja) リング部材の内周チャック装置
CN214108799U (zh) 一种铆钉精密加工装置
US3881607A (en) Transfer apparatus
JPH0478937B2 (ko)
CN217702168U (zh) 自动电梯轮装配组装机
CN113601137B (zh) 一种压缩机组装设备
JPH03110138A (ja) タイヤユニフォミティマシンにおけるリムチエンジャ装置
JPS6348699B2 (ko)
CN211028638U (zh) 隧道式焊接系统
JP2815966B2 (ja) 軸受キャップとボルトの取り外し装置
JPH0347742A (ja) タイヤユニフォミティマシンのリム交換装置
CN219684491U (zh) 一种锁螺丝上下料设备
CN215825214U (zh) 板弹簧组装机构
CN222404300U (zh) 一种端子排自动锁螺丝机
JPH034923Y2 (ko)
CN219131441U (zh) 自动组装机
JPH0222019A (ja) ロータリ式射出成形機
JPH0731941Y2 (ja) キャップ移載装置
CN220296538U (zh) 一种轴类齿轮自动上下料装置
CN212646095U (zh) 一种检验工作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011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011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2101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301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304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304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511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610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02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10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