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20008876Y1 - 전자사진 복사기등의 현상장치의 드럼과 슬리브의 간격 유지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사진 복사기등의 현상장치의 드럼과 슬리브의 간격 유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8876Y1
KR920008876Y1 KR2019890013413U KR890013413U KR920008876Y1 KR 920008876 Y1 KR920008876 Y1 KR 920008876Y1 KR 2019890013413 U KR2019890013413 U KR 2019890013413U KR 890013413 U KR890013413 U KR 890013413U KR 920008876 Y1 KR920008876 Y1 KR 9200088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photosensitive drum
developing device
sleeve
magnetic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134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6193U (ko
Inventor
안병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900134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8876Y1/ko
Publication of KR9100061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619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88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8876Y1/ko

Links

Landscapes

  • Magnetic Brush Develop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사진 복사기등의 현상장치의 드럼과 슬리브의 간격 유지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실시된 현상장치의 평면 배치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
제3도는 전자사진 복사기의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감광드럼 3 : 현상장치
4 : 스프링 5 : 마그네틱 로울러
6 : 캡 7 : 패킹
8 : 돌출부 9 : 지지구
본 고안은 전자사진 복사기등에 있어서 그 현상장치의 마그네틱 로울러와 감광드럼간에 일정한 미세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드럼과 슬리브의 간격 유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전자사진 기록장치 시스템을 제3도를 참조하여 일반적인 복사과정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대전기(25)의 코로나 방전에 의해 감광드럼(photoconductor)(28)의 상을 골고루 대전하고 감광드럼(28)의 회전에 의해 대전된 부분은 노광램프(exposurelamp)(22)의 광원에 의해 원고대(platen glass)(21)상의 원고(Original)로 부터 반사된 빛으로 노광한다.
이 노광에 의해 4개의 거울(23)과 렌즈(24)에 의해 축배율들이 처리되어진 후 원고의 상(Image)과 같은 정전잠상(Electro-static latent image)을 감광드럼(28)위에 생성시키게 되며, 이때 생성된 잠상을 현상기(27)를 지나는 동안 토너(Toner)로 현상(Develope)하여 가시상으로 변하게 되고 이어서 급지롤러(Pick-up roller)(20)에 의해서 급지되는 용지(31)위에 전사기(32)의 작용으로 감광드럼(28)상의 가시상을 용지에 전사되게 한다.
이때 용지는 정전기력에 의해 감광드럼(28)에 밀착되어지며 분리기(33)는 이 밀착된 용지를 분리시켜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후 분리된 용지를 정착부의 히팅롤러(heating roller)(35)의 압착로울러(Pressure roller)(34) 사이로 통과시키면 열과 압력에 의해 원고의 상이 용지에 정착되어 원하는 전사가 이루어진다.
한편 전사기(32)를 지난 드럼상에 잔여분의 토너와 잠상이 존재하게 되는데, 여기서 토너는 청소기(Clearning blade)(29)에 의해 제거되며, 잠상은 잠상제거 램프(pre-erase lamp array)(37)에 의해 제거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과정중 감광드럼(28)의 정전잠상을 가시상으로 현상시키는 현상기(27)는 내부에 적재된 토너가 일정한 전하를 갖도록 대전되어 마그네틱 로울러에 부착된 캐리어에 부착되어 있다 감광드럼의 정전기력에 의해 마그네틱 로울러에서 감광드럼측으로 비화하여 감광드럼의 정전잠상에 달라붙게 된다.
이때 감광드럼의 정전기력에 의해 토너를 비화시키므로 감광드럼과 마그네틱 로울러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게 현상장치를 감광드럼과 이격되도록 설치한다.
이와 같이 현상장치와 마그네틱로울러와 감광드럼을 이격시켜 설치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마그네틱 로울러를 프레임 자체에 고정시키는 방법으로 감광드럼과 마그네틱 로울러간의 간격을 애당초 단일 고정화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이 간격의 조정이 사실상 불가능했다.
드럼과 슬리브간의 간격조정이 불가능하므로서 대체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따른다. 즉, 가공공차로 인하여 실제로 드럼과 슬리브간의 간격을 앞, 뒤가 일치되도록 균일하도록 유지하기 어렵고, 또한 조립공차나 본체의 미세한 비틀림 때문에도 이러하며, 더욱이 장기간 사용시에는 이러한 요인 때문에 복사농도에 심한 차이가 발생하여 화상의 저하를 초래하며 이러한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현상기 장착시에 가이드 레일 설치에 정확성이 요구되기도 하였다.
그 밖에 간격유지 로울러를 사용한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에는 로울러의 정밀도가 특히 요구되지만 실제로 아무리 정밀 가공하더라도 가공공차는 있기 마련이어서 그러한 간격을 시종일관되게 유지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구조면에서는 상기 전례에 비해 대단히 복잡하고 고가화라는 단점을 더 갖고 있다.
본 고안은 가공 공차의 누적이나 조립공차의 누적등의 요인 때문에 현상장치와 감광드럼간의 일정 간격유지가 어려웠던 종래의 단점을 제거하여 감광드럼과 마그네틱 로울러가 항상 일정한 간격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함을 본 고안의 목적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과 관련지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프레임(1)상에 감광드럼(2)이 회전가능한 형태로 축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감광드럼(2)에 대하여 평행하게 현상장치(3)가 설치된 것에 있어서, 상기 현상장치(3)를 감강드럼(2)쪽으로 쏠리게 하는 스프링(4)에 의해 지지되도록 설치하며, 상기 현상장치(3)내에 설치되는 마그네틱 로울러(5)는 내부의 마그네트 로울러(5)를 감싸는캡(6)으로 구성되며, 상기 캡(6)의 양단부에는 돌출부(8)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8)내에 패킹(7)을 끼운 것이다.
여기서, 돌출부(8)의 높이는 감광드럼(2)과 마그네틱 로울러(5)간에 유지되어야 할 최적 간격에 해당하는 칫수를 가지며, 패킹(7)은 이 돌출부(8)의 내부 체적에 상응하는 것이어야 한다. 그리고, 스프링(4)은 현상장치(3)와 그 뒷쪽의 지지구(9)사이에 탄력적으로 적당한 압축성을 지닌 상태로써 설치된다.
감광드럼(2)와 지지구(9)사이에 마그네틱 로울러(5)가 내장된 현상장치(3)를 장착하면 초기 위치에서는 감광드럼(2)와 마그네틱 로울러(5)가 어느 정도간격을 유지하다가 완전히 장착되고 나면 스프링(4)에 의해 감광드럼(2)쪽으로 쏠린다. 이때 마그네틱 로울러(5)의 양단부 캡(6)의 돌출부(8)가 감광드럼(2)에 외접되면서 상호 같이 회전하거나 정지 상태로 머물더라도 상기 돌출부(8)때문에 이들간의 간격은 언제나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다. 또 패킹(7)에 의해서는 마그네틱 로울러(5)에 끼워진 상태에서의 캡(6)의 자세 안정에 도움이 된다. 즉 캡(6)이 마그네틱 로울러의 양단에서의 유동이 방지된다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감광드럼과 현상장치 즉 드럼과 슬리브간의 책정간격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현상 정착성 향상에 효과가 있으며, 아울러 이러한 간격 유지 구조의 단순화로써 조립성 향상은 물론 원가절감도 거둘 수 있다.

Claims (1)

  1. 전자사진 복사기에 있어서, 현상장치(3)를 감광드럼(2)쪽으로 쏠리도록 탄력을 부여하는 스프링(4)을 설치하고, 상기 현상장치(3)에 설치되는 마그네틱 로울러(5)의 양단부에는 감광드럼(2)과 마그네틱 로울러(5)간의 필요한 유지간격과 같은 외경의 돌출부(8)를 형성하며, 이 돌출부(8)가 상기 감광드럼(2)에 외접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복사기등의 현상장치의 드럼과 슬리브간의 간격 유지장치.
KR2019890013413U 1989-09-11 1989-09-11 전자사진 복사기등의 현상장치의 드럼과 슬리브의 간격 유지장치 KR9200088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3413U KR920008876Y1 (ko) 1989-09-11 1989-09-11 전자사진 복사기등의 현상장치의 드럼과 슬리브의 간격 유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3413U KR920008876Y1 (ko) 1989-09-11 1989-09-11 전자사진 복사기등의 현상장치의 드럼과 슬리브의 간격 유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6193U KR910006193U (ko) 1991-04-24
KR920008876Y1 true KR920008876Y1 (ko) 1992-12-22

Family

ID=70187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3413U KR920008876Y1 (ko) 1989-09-11 1989-09-11 전자사진 복사기등의 현상장치의 드럼과 슬리브의 간격 유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887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6193U (ko) 1991-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76489A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transfer roller with guide means which adjusts to movements of the roller
US3751155A (en) Pre-development exposure assembly
US4444486A (en) Three-roll cold pressure fuse for fixing toner images to copy substrates including an overskewed roll
US5909608A (en) Tension support mounting for a corona generating device
KR920008876Y1 (ko) 전자사진 복사기등의 현상장치의 드럼과 슬리브의 간격 유지장치
US4859831A (en) Fuser system
US3901186A (en) Transfer roller assembly
US5335050A (en) Adjustable support assembly
KR100196570B1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정착장치
KR920002742Y1 (ko) 복사기의 용지 이송 안내장치
KR910007281Y1 (ko) 정착기의 오일 공급장치
JP3455272B2 (ja) 転写装置
JPH0375863B2 (ko)
KR930004611Y1 (ko) 현상기 갭 조절장치
KR100268060B1 (ko) 현상기에서 감광드럼과 현상롤러간의 닙 유지장치
KR930006968B1 (ko) 화상 기록장치
JPH08114980A (ja) 現像装置
KR920006994Y1 (ko) 소형 전자프로세서의 정착압력 조절장치
KR920005086Y1 (ko) 전자 사진 기록장치의 정착기
JPH04142567A (ja) 電子写真装置
KR910007279Y1 (ko) 복사기의 dsd미세 조정장치
JP3532363B2 (ja) 転写装置
KR0122128Y1 (ko) 레이저 프린터의 노광부 고정장치
KR950003315B1 (ko) 전자사진 방식을 이용한 기기의 전사부 용지 가이드 장치
KR200160163Y1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형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890911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890911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2013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20725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21123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3022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3030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3030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511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611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08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811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1126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11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