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20008733B1 - Linear Deposition Apparatus for Adding Melt Powder - Google Patents

Linear Deposition Apparatus for Adding Melt Pow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8733B1
KR920008733B1 KR1019830006250A KR830006250A KR920008733B1 KR 920008733 B1 KR920008733 B1 KR 920008733B1 KR 1019830006250 A KR1019830006250 A KR 1019830006250A KR 830006250 A KR830006250 A KR 830006250A KR 920008733 B1 KR920008733 B1 KR 920008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receiving surface
substrate
pressing
reinforc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62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840007066A (en
Inventor
차아르즈 시먼즈 쥬니어 로버어트
죤 길브라이드 앤드류
어빙 모오스 앨버어트
Original Assignee
디이브이에스지이 파텐트 페르 발퉁스 게젤샤후트 밋트 베슈렝크 테르 하후트웅
페르디난트 베르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6/452,962 external-priority patent/US4540608A/en
Application filed by 디이브이에스지이 파텐트 페르 발퉁스 게젤샤후트 밋트 베슈렝크 테르 하후트웅, 페르디난트 베르라인 filed Critical 디이브이에스지이 파텐트 페르 발퉁스 게젤샤후트 밋트 베슈렝크 테르 하후트웅
Publication of KR840007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706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8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8733B1/en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7/00Shaping techniques not covered by groups B29C39/00 - B29C65/00, B29C70/00 or B29C73/00
    • B29C67/08Screen moulding, e.g. forc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perforated screen on to a moulding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9/00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 B05C9/08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nd performing an auxiliary operation
    • B05C9/14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nd performing an auxiliary operation the auxiliary operation involving heating or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0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23/0215Plastics or artificial leath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0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23/0235Different layers of different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2Uppers; Boot legs
    • A43B23/024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3/0255Uppers; Boot leg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assembled by gluing or thermo bonding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8Heel stiffeners; Toe stiffeners
    • A43B23/081Toe stiffeners
    • A43B23/086Toe stiffeners made of impregnated fabrics, plastic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DMACHINES, TOOLS, EQUIPMENT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FOOTWEAR
    • A43D11/00Machines for preliminary treatment or assembling of upper-parts, counters, or insoles on their lasts preparatory to the pulling-over or lasting operations; Applying or removing protective cove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9/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rticulate materials to surfaces
    • B05C19/0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rticulate materials to surfaces the particulate material being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to the surface of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5/00Producing footwear
    • B29D35/12Producing parts thereof, e.g. soles, heels, uppers, by a moulding technique
    • B29D35/14Multilayered parts
    • B29D35/146U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5/00Producing footwear
    • B29D35/12Producing parts thereof, e.g. soles, heels, uppers, by a moulding technique
    • B29D35/14Multilayered parts
    • B29D35/148Moulds or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25Solid
    • B29K2105/251Particles, powder or gran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25Solid
    • B29K2105/253Preform
    • B29K2105/256Sheets, plates, blanks or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48Wearing apparel
    • B29L2031/50Footwear, e.g. shoes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용융성 분말을 가해주기 위한 선형 침착장치Linear Deposition Apparatus for Adding Melt Powder

제1도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제작된 기계를 대략 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from the front of a machine built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기계의 정면도.2 is a front view of the machine shown in FIG.

제3a도 및 제3b도는 본 발명의 제1작업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부분적 측면도.3A and 3B are perspective and partial side views illustrating the first working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제4도는 개방된 형태에서의 본 발명의 제2작업부를 대략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working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open form, viewed from the rear in approximately the rear side;

제5도는 개방된 형태에서의 본 발명의 제2작업부를 대략 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working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open form, seen from approximately front.

제6도는 신발 갑피가 배치되어 있는 펠리트의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of a pellet in which a shoe upper is disposed.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침착장치 12 : 침착부10: deposition apparatus 12: deposition unit

14 : 가열부 16 : 압압 및 냉각부14 heating portion 16 pressure and cooling unit

20 : 수납벨트 22 : 벨트 지지대20: storage belt 22: belt support

26 : 형판 수단 25 : 지지체26 template means 25 support

28 : 스크린 프레임 30 : 도관28: screen frame 30: conduit

32 : 분배 및 운반기 33 : 공급기32: dispenser and carrier 33: feeder

34 : 와이퍼날 36 : 채널34: wiper blade 36: channel

38 : 스크린 40 : 상부중첩층38 screen 40 upper layer

40A : 하부 중첩층 42 : 절결부40A: lower overlap layer 42: cutout

44 : 하부 평면 46 : 개구부44: lower plane 46: opening

48 : 상부 평면 50 : 하우징48: upper plane 50: housing

54 : 가열요소 56 : 하부의 평평한 블록54 heating element 56 bottom flat block

60 : 상부 지지채널 66 : 안내체60: upper support channel 66: guide

76 : 절결부76: notch

본 발명은 용융성의 분말을 기질에 가하여 이 기질의 특정한 보강 및 강화특성 혹은 장식 특성을 변화시키기에 유용한 침착(沈着; deposition)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신발의 갑피를 신발의 형틀에서 조립시키기 전에 이 갑피에 보강수단 혹은 장식수단을 형성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position apparatus useful for adding molten powder to a substrate to change certain reinforcement and reinforcement or decorative properties of the substrate, and more particularly to assembling the upper of a shoe in the form of a shoe.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reinforcement or decorative means in this upper prior to making.

오랫동안, 신발 및 의복 제조업계에서는 그들의 제품에 보강 및 강화수단 혹은 장식수단을 설치하여 왔다. 잠옷, 청바지, 운동복 및 운동장비(예컨대 장갑, 챙이 달린 모자등)의 제조업자들과 신발의 제조업자들은 봉착, 용착, 혹은 기타의 방법으로 보강물질의 층을 그들의 제품에 가하여 왔다(그 이유로서는 여러가지 있다). 신발 제조업계에 있어서는, 신발의 갑피에 점착될 수 있는 용융된 열가소성 물질의 층으로 된 보강 및 강화수단을 가하여 주는 것이 보편적이다. 신발의 갑피를 보강 혹은 강화시키려는 최초의 시도는, 미리 형성된 강화요소를 형틀에서의 조립에 앞서 신발의 갑핑 삽입시키는 것이다. 열에 의해 혹은 용매에 의해 유연하게 될수 있는 별도의 용융성 판상물질이 형틀에서의 조립에 앞서 신발의 갑피에 삽입된 다음, 신발의 갑피를 형틀로부터 빼내기 전에 경화될 수 있는 형태를 갖도록 하면서 바람직한 형태로 형틀에서의 조립시에 성형된다. 신발의 갑피를 형틀에서 조립하기 전에 경하가능한 강화물질의 휘발성 액체 담체내의 용액 혹은 분산액으로 신발 성분을 침지시키고, 형틀에서 신발을 조립한 후에 상기 침지된 물질을 경화시키면, 신발의 갑피도 이와같이 강화시킬 수 있다.For many years, the footwear and apparel industry has installed reinforcement and reinforcement or decorative means in their products. Manufacturers of pajamas, jeans, sportswear and sports equipment (such as gloves and visors) and footwear manufacturers have applied layers of reinforcement to their products by sealing, welding, or otherwise. There are various). In the footwear manufacturing industry, it is common to apply reinforcement and reinforcement means in layers of molten thermoplastic material that can stick to the upper of a shoe. The first attempt to reinforce or reinforce the upper of a shoe is to insert the preformed reinforcing element into the upper of the shoe prior to assembly in the mold. In a preferred form, a separate, molten plate material, which may be flexible by heat or solvent, is inserted into the upper of the shoe prior to assembly in the mold and then hardened before removing the upper of the shoe from the mold. It is molded at the time of assembly in the mold. If the shoe upper is immersed in a solution or dispersion in a volatile liquid carrier of a hardenable reinforcing material prior to assembling the upper of the shoe, and the submerged material is cured after assembling the shoe in the mold, the upper of the shoe is thus strengthened Can be.

신발의 갑피를 이와같이 강화시키는 한가지 방법은 미국 특허 제3,316,573호에 기재되어 있는데, 이에 의하면 탄성적으로 가용성이 있는 강화요소가 유동적으로 침착되고 용융점까지 가열된 다음에 냉각후 3차원적인 형태를 갖도록 되어 있는 선택된 부분을 신발의 갑피에 형성시킨다.One method of this strengthening of the upper of a shoe is described in US Pat. No. 3,316,573, whereby an elastically soluble reinforcing element is fluidly deposited, heated to the melting point, and then cooled to form a three-dimensional form. A selected portion is formed on the upper of the shoe.

신발의 부품을 피복시키기 위한 다른 장치는 미국 특허 제3,342,624호에 기재되어 있는데, 이 특허에서는 형판을 신발 갑피상에 위치시키고 오목한 지지면으로 상기 형판과 신발 갑피와의 조합체를 지지한 다음, 와이퍼날(wiper blade)을 이용하여 상기 형판을 쓸어줌으로써 액체 강화제를 신발 갑피의 요부(凹部)에 침착시키도록 되어 있다.Another device for coating parts of shoes is described in US Pat. No. 3,342,624, which places a template on a shoe upper and supports the combination of the template and the shoe upper with a concave support surface and then a wiper blade. A wiper blade is used to sweep the template to deposit the liquid reinforcement on the recess of the shoe upper.

신발의 성분들을 강화시키기 위한 가장 최근의 장치로서는 미국특허 제3,973,285호에 기재된 것이있는데 이 장치는 단부 고착수단에 의해 지지된 신발의 갑피에 용융된 열가소성 장입물을 침착시키는 것이다.The most recent device for strengthening the components of a shoe is that described in US Pat. No. 3,973,285, which deposits a molten thermoplastic charge on the upper of the shoe supported by the end fastening means.

상술한 바와같은 종래의 장치들은 경우에 따라서는 훌륭하게 작동하기는 하지만, 봉착 및 중첩된 패턴에 걸쳐서 두께가 균일한 강화제를 제공하기에는 난점이 있다. 강화제의 점착력은 단부에서 열등하기 때문이다. 공정의 줄 혹은 "거미줄"특성 및 거친 단부가 모두 존재하게 될 수도 있다. 이 기계로 부터는 용융된 물질이 접속부로 부터 홀르나올 경우도 있고, 노즐이 새거나 혹은 패턴의 제작에 시간이 오래 걸리고 쉽게 변화될 수 있다.Conventional devices as described above work well in some cases, but have difficulty in providing a reinforcement with a uniform thickness over the sealing and overlapping patterns. This is because the adhesion of the reinforcing agent is inferior at the end. Both process or spider file characteristics and rough ends may be present. From this machine, molten material can sometimes come out of the joint, and nozzles can leak or take a long time to form and can easily be changed.

이들 종래의 기계에서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은 그들의 점성 유동 및 열안정 특성에 의해 제한되므로, 최종제품의 성능에 맞추어 주의깊게 선택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와같이 특수한 물질은 가격이 매우 비쌀 수가 있다.The materials that can be used in these conventional machines are limited by their viscous flow and thermal stability properties and therefore need to be carefully selected to match the performance of the final product. In addition, these special materials can be very expensiv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질에 가하기 위한 보강 또는 장칙층을 만드는데 사용되도록 가용성 분말을 침착시키기 위한 개선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고, 상기 장치는 종래 기술의 결점을 극복하고 특별히 상기한 불편없이 보강된 또는 장식된 신발 갑피의 제조를 용이하게 할 것이다.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mproved apparatus for depositing soluble powders for use in making a reinforcing or funnel layer for application to a substrate, which overcomes the drawbacks of the prior art and is specifically reinforced without the above mentioned inconveniences. Or will facilitate the manufacture of a decorated shoe upper.

본 발명에 따라 기질에 가하기 위한 보강 또는 장식층을 만드는데 사용되도록 가용성 분말을 침착시키기 위한 장치가 제공되는데, 상기 장치는 프레임, 프레임에 대해 이동 가능한 수납벨트, 상기 수납벨트상에 분말을 침착시키기 위해 수납벨트위에 배열된 분말 침착수단으로 구성되고, 분말 침착수단에는 절결부가 있어서 분말이 상기 절결부를 통과할 수 있고, 상기 절결부와 수납벨트가 협동하여 소기 형상의 분말 수납 공동을 형성하므로써 일정량의 분말 형태가 수납벨트상에 침착될 수 있다.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depositing soluble powder for use in making a reinforcing or decorative layer for application to a substrate, said apparatus comprising a frame, a receiving belt movable relative to the frame, for depositing powder on the receiving belt. It consists of powder depositing means arranged on the receiving belt, the powder depositing means has a cutout so that powder can pass through the cutout, and the cutout and the receiving belt cooperate to form a desired powder containing cavity by a predetermined amount. The powder form of can be deposited on the receiving belt.

상기로부터 알수 있듯이 본 장치를 사용하면 분말의 형태가 그 모양과 양에 대해 정밀하게 조절될 수 있어서, 차우에 용융될때 기질에 가해지도록 정밀하게 형성된 보강 또는 장식층이 얻어질 수 있다.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the use of the device allows the shape of the powder to be precisely controlled in terms of its shape and amount, so that a reinforcing or decorative layer precisely formed to be applied to the substrate when melted in the chow can be obtained.

더우기 상기 장치에서는 수납벨트는 변형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 가요성 시이트 재료따위로 만들어지고, 추가로 절결부와 작용하는 수납벨트의 일부위를 변형시키기 위한 수단이 바람직하게 제공되므로써 소기 형상의 분말 수납공동이 만들어질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는 절결부 주변에 간격재 수단이 제공되어서 침착수단을 상기 간격재 수단 간격만큼 수납벨트에서 이격시켜 유지하고, 변형수단은 수납벨트 아래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로 구성되어서, 상기 돌출부(들)를 수납벨트에 대해 믿기 위한 수단과 더불어, 간격재 수단에 의해 닿지 아니한 간격만큼 수납벨트와 닿으며, 따라서 소기의 3차원 형상의 분말수납 공동을 형성한다.Furthermore, in the above apparatus, the receiving belt is preferably made of flexible sheet material so that it can be deformed, and further means for deforming the part of the receiving belt which acts with the cutout is preferably provided so that the desired shape of the powder receiving cavity This can be made. In one embodiment, spacer means are provided around the cutout to keep the deposition means spaced apart from the receiving belt by the spacer means, and the deforming means comprises at least one protrusion arranged below the receiving belt so that the protrusions In addition to the means for believing the (s) to the receiving belt, it contacts the receiving belt at an interval not reached by the spacer means, thus forming a desired three-dimensional powder storage cavity.

이 방법에서 분말수납 공동은 전체에 걸쳐 일정한 깊이일 필요는 없고 오히려 층의 두께가 변하도록 형상지어질 수 있으며, 특별히 두께는 층의 가장자리를 향해 경사질 수 있고, 이것은 완제품내의 보강층을 감추기 위해서 신발 및 다른 의복의 제조에 특허 중요하다.In this way the powder storage cavity does not have to be a constant depth throughout, but rather can be shaped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layer changes, in particular the thickness can be inclined towards the edge of the layer, which can be used to hide the reinforcing layer in the finished product. And patents in the manufacture of other garments.

더우기 상기한 바와같이 침착된 가용성 분말로 부터 보강층 또는 장식층을 형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바람직하게 가열수단을 더 포함하며, 이것에 의해 수납면과 이 수납벨트상에 형성된 분말형태가 가열될 수 있어 분말형태가 용융되어 소기 형상의 보강 또는 장칙층을 형성하게된다. 게다가 편리하게 가열수단은 수납벨트 아래에 배치되어 1개 이상의 가열기를 구비한 평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부재에는 수납벨트의 일부위를 상기 부재쪽으로 끌어당기기 위한 진공수단이 제공되어 있다. 수납벨트 아래에 배열된 평판부재에 부가하여 또는 그 대신에 가열 수단은 수납벨트위에 배치된 발열성 가열기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preferably further comprises heating means for forming the reinforcing layer or decorative layer from the soluble powder deposited as described above, whereby the receiving surface and the powder form formed on the receiving belt are heated. The powder form may be melted to form a desired reinforcing or long layer. Moreover, the heating means conveniently includes a flat plate member disposed under the receiving belt and having at least one heater, and the member is provided with a vacuum means for pulling a portion of the receiving belt toward the member. In addition to or instead of the plate member arranged below the receiving belt, the heating means may comprise exothermic heater means arranged on the receiving belt.

상기한 바와같이 가열수단이 제공됨으로써, 분말이 침착후 바로 연이어서 쉽게 용융될 수 있어 용융전에 분말이 흩어지는 위험이 감소됨을 알 수 있다. 더우기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바람직하게는 분말침착수단은 제1작업부에 배열되고 가열수단은 제2작업부에 배열되며, 수납벨트는 제1작업부에서 침착된 분말형태를, 상기 분말형태가 가열되어 상기와 같이 용융되는 제2작업부로 나르도록 이동가능하다. 이런 식으로, 분말은 용융될 수 있도록 분말 침착수단에서 가열수단을 쉽게 옮겨질 수 있다.By providing the heating means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seen that the powder can be melted easily after subsequent deposition, thereby reducing the risk of the powder dispersing before melting. Furthermore, in the apparatus according to the invention preferably the powder deposition means is arranged in the first working part and the heating means is arranged in the second working part, and the receiving belt is in the form of powder deposited in the first working part. It is movable to carry to the second working portion which is heated and melted as above. In this way, the powder can be easily transferred from the powder deposition means to the melting means.

이하에 기술되는 바와같이 이렇게 형성된 보강 또는 장칙층은 그 자체로서 판매품일 수 있는 신발코와 같은 신발 구성요소를 구성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상기한 바와같이 형성된 보강 또는 장식층들은 장치에서 기질에 직접 가해지는데, 이것을 위하여 바람직하게 장치에는 압압수단이 있어서 이 수단에 의해 용융된 분말형태는 기질에 대해 압압되어 거기에 접착된다. 추가로 이러한 실시예에는 바람직하게는 냉각수단이 있어서 이 수단에 의해 용융된 분말형태를 기질에 대해 압압하기전에 용융된 분말이 그 형태를 유지하도록 냉각되지만, 기질에 대해 압압될때 거기에 접착될 수 있도록 분말의 접착 표면은 충분히 접착력이 있는 상태로 나둔다. 게다가, 편리하게도 이런 냉각 수단에는 수납벨트 아래에 배열되어 냉각유체원에 연결되는 평판 부재가 있고, 수납벨트를 밀어서 상기 평판부재와 좁촉시키기 위한 수단이 제공된다.The reinforcement or funeral layer thus formed, as described below, will constitute a shoe component, such as a shoe nose, which may itself be a sale item. However,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inforcing or decorative layers formed as described above are applied directly to the substrate in the device, for which the device preferably has pressing means such that the powder form melted by this means It is pressed and glued to it. In addition, this embodiment preferably has cooling means such that the molten powder is cooled to maintain its shape before pressing the molten powder form against the substrate by the means, but can be adhered to it when pressed against the substrate. So that the adhesive surface of the powder is left with sufficient adhesion. Furthermore, such cooling means are conveniently provided with a flat plate member arranged below the receiving belt and connected to the cooling fluid source, and provided with means for pushing the receiving belt to narrow with the flat plate member.

이 배열에 의해, 분말을 용융시켜 응집된 덩어리를 형성케하는데 이용되는 열은 또한 간단하고 진보적인 방식으로 분말의 접착성을 활성화시키는 작용도 함을 알 수 있다.By this arrangement it can be seen that the heat used to melt the powder to form agglomerated masses also acts to activate the adhesion of the powder in a simple and progressive manner.

한 실시예에서 압압수단은 수납벨트와 압압 결합되고 떨어지도록 이동가능한 기질 호울더를 포함한다. 더우기, 편리하게 수납벨트가 한 작업부에서 다른 작업부로 이동가능한 경우에는 압압수단은 제3작업부에 배열되고 용융된 분말형태는 이동가능한 수납벨트에 의해 제3작업부로 운반된다. 편리하게 냉각수단도 또한 상기 제3작업부로 배열된다.In one embodiment, the pressing means includes a substrate holder that is press-fit with the receiving belt and is movable away. Moreover, when the receiving belt is conveniently movable from one working part to the other, the pressing means is arranged in the third working part and the molten powder form is conveyed to the third working part by the movable receiving belt. Conveniently cooling means are also arranged in the third working part.

상기한 장치를 사용하여, 우선 공동을 형성하여 상기 공동내 로 분말을 공급하여 소기 형태의 분말 덩어리를 만들기 위한 편리한 수단이 제공되고, 상기 공동은 적절히 변형될 수 있는 수납벨트와 분말이 통과하여 공급되는 절결부에 의해 이루어진다. 수납벨트가 상기한 바와같이 변형되는 경우에, 수납벨트는 침착후에 침착된 분말 덩어리의 형태에 영향을 끼치지 아니하고 평상시 평탄한 초기 상태로 복귀한다. 더우기 분말 덩어리는 적절한 장식 또는 보강층을 형성하도록 차후에 용융되고, 상기 층은 그 자체가 판매품이거나 또는 적절한 압압수단내에서 제조공정의 부분으로서 신발 갑피와 같은 기질에 가해질 수 있다.Using the apparatus described above, a convenient means for first forming a cavity to feed powder into the cavity to provide a desired lump of powder is provided, the cavity being fed through a receiving belt and powder which can be properly deformed. Is made by the cutout. When the receiving belt is de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receiving belt returns to its usual flat initial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of the powder mass deposited after deposition. Moreover, the powder mass is subsequently melted to form a suitable decorative or reinforcing layer, which layer can be applied to a substrate such as a shoe upper as part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itself or as a part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in a suitable pressing means.

수납벨트는 저접착성, 내열성, 가요성재질의 벨트로 구성될 수 있고 이 벨트는 예를들어 상기한 3개의 작업부 사이의 선형 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침착수단은 분말용 공급기 및 소정량의 분말이 절결부와 수납벨트에 의해 형성된 공동내로 쓸려 들어가도록 보장해주는 닥터 블레이트(doctor blade)시스템과 조합된 형판수단으로 구성된다.The receiving belt may consist of a low adhesive, heat resistant, flexible belt which may move along a linear path between the three working parts, for example. The deposition means consists of a powder feeder and a template means in combination with a doctor blade system which ensures that a predetermined amount of powder is swept into the cavity formed by the cutout and the receiving belt.

분말 침착수단과 본 발명 장치에 사용되는 분말 재료의 상세한 사항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한 이하의 상세할 설명에 자세하게 기재되어 있고, 첨부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장치는 비제한적인 예를들어 설명하도록 선택되었다.Details of the powder deposition means and the powder material used in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in detail 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on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is non-limiting. An example has been chosen to explain.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목적 및 잇점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bject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도에는, 예컨대 의복 또는 신발 갑피와 같은 기질을 보강 및(또는)장칙처리하기 위한 선형의 분말침착장치(10)가 도시되어 있다. 이 장치(10)에는 3개의 작업부가 일렬로 배치되어 있는데, 즉 제1작업부는 분말 침착부(12)이고 제2작업부는 가열부(14)이며, 제3작업부는 압압 및 냉각부(16)이다. 이상 3개의 작업부(12)(14)(16)는 기다란 프레임(18)상에 공통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침착부(12)(제2도, 제3도, 제4도 참조)에는 벨트 지지대(22)를 가로질러 뻗어나가도록 수평하게 배치된 면형태의 수납벨트(20)가 있다. 이 수납벨트(20)와 벨트 지지대(22)는 이동성 수단(24)의 일부를 구성하며, 이 수단(24)은 나머지 2개의 작업부(14)(16)로 도입될 수도 있고 이로부터 빠져나올 수도 있게 되어있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수납벨트(20)는 상기 이동성 수단(24)의 하표면(24A)에 고착된 제1지지부재(22A)에 의해 팽팽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2지지부재(22B)는 한쌍의 지주(22C)에 고착됨에 의해 수납벨트(20)를 편향시키며, 이들 지주(22C)의 각각의 중간부는 하표면(24A)에 고정된 브라켓(22D)에 의해 선회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각각으 지주(22C)의 하단부에는 스프링(22E)가 있으며, 이 스프링(22E)는 지주에 부착되어서 제1프레임부재(22A)를 하표면(24A)에 견고하게 지지한다. 상호 대향하게 편향된 한쌍의 프레임부재(23A)(24B)는 각각 수직브라켓(23C)에 고착되어 있으며, 이 수직 브라켓(23C)은 그 주위의 포착수단에 의해 하표면(24A)에 선회가능하게 편향되므로써 브라켓(23A)(23B)을 편향시킨다(제4도 참조).In FIG. 1, a linear powder deposition apparatus 10 is shown for reinforcing and / or treating substrates such as, for example, garments or shoe uppers. In the device 10 three working parts are arranged in a line, that is, the first working part is the powder depositing part 12 and the second working part is the heating part 14, and the third working part is the pressing and cooling part 16. to be. The three working parts 12, 14, 16 are commonly supported on the elongated frame 18. In the deposition section 12 (see FIGS. 2, 3, and 4) there is a receiving belt 20 in the form of a plane arranged horizontally to extend across the belt support 22. The receiving belt 20 and the belt support 22 constitute part of the movable means 24, which means 24 may be introduced into or exit from the remaining two working parts 14, 16. It is possible. As shown in FIG. 4, the receiving belt 20 is tightly supported by the first support member 22A fixed to the lower surface 24A of the movable means 24. As shown in FIG. The second support member 22B deflects the receiving belt 20 by being fixed to the pair of struts 22C, and each intermediate portion of these struts 22C is attached to the bracket 22D fixed to the lower surface 24A. It is supported so that rotation is possible. Each lower end of the support 22C has a spring 22E, which is attached to the support to firmly support the first frame member 22A on the lower surface 24A. A pair of frame members 23A and 24B, which are mutually biased, are fixed to the vertical brackets 23C, respectively, and the vertical brackets 23C are pivotally deflectable to the lower surface 24A by the capturing means around them. Thus, the brackets 23A and 23B are deflected (see Fig. 4).

제3a도 및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형판수단(26)은 상기의 기다란 프레임(18)으로부터 상향으로 뻗어나가는 지지체(25)에 경첩식으로 고착되어 있다. 이 형판수단(26)내의 스크린 프레임(28)의 밑면에는 공급기(33)로 부터 가용성의 도관(30)을 통하여 분배 및 운반기(32)를 통과한 분말형태의 보강 및 강화물질 혹은 장식물질(도면에서 "P"로 표시되어 있음)이 수납된다. 상기 분배 및 운반기(32)는 스크린 프레임(28)내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 분배 및 운반기(32)가 이동하기 위한 축방향이 베어링봉을 지지하는 구조체(29)에 고착된 2중작동식 케이블 실린더(27)에 의해 스크린 프레임(28)을 가로지는 방향으로 횡방향 이동된다. 케이블(31)은 한쌍의 활차(31A)의 주위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 케이블(31)은 케이블 실린더(27)내의 피스톤의 양측면으로부터 분배 및 운반기(32)의 한쪽 면내의 접촉점까지 부착되어 있으므로, 압력원(도시하지 않았음)으로부터 적절한 신호에 의해 케이블 실린더(27)가 작동될 때에는 이 케이블(31)이 분배 및 운반기를 잡아당기게 된다. 분배 및 운반기(32)에는 한쌍의 와이퍼날(34)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들 와이퍼날(34)은 분배 및 운반기(32)가 형판수단(26)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 이 형판수단(26)에 대하여 상기 스크린 프레임(28)의 길이방향을 가로지르도록 왕복이동 한다. 이들 와이퍼날(34)(제3b도의 측면도에도 일부도시되어 있다)은 운반기(32)의 한쪽에 한개씩 설치되어서 이 운반기(32)에 대해 하방으로 편향되어 있지만, 이에 대해 상방 및 하방으로 이동 가능하다. 각각의 와이퍼날(34)은 그 양쪽 단부에 핀(35)을 가지고 있다.The template means 26 as shown in FIGS. 3 a and 4 are hingedly fastened to the support 25 extending upward from the elongated frame 18. The underside of the screen frame 28 in the template means 26 is a powder reinforcement and reinforcement or decorative material (drawings) passing from the feeder 33 through the soluble conduit 30 and through the dispensing and conveying machine 32. Is indicated by "P"). The dispensing and conveying machine 32 is installed in the screen frame 28, the axial direction for movement of the dispensing and conveying machine 32 is fixed to the structure 29 that supports the bearing rods (double acting cable cylinder ( 27 is laterally moved in the direction crossing the screen frame 28. The cable 31 is arranged around a pair of pulleys 31A, and since the cable 31 is attached from both sides of the piston in the cable cylinder 27 to the contact point in one side of the distributor and the carrier 32, When the cable cylinder 27 is actuated by an appropriate signal from a pressure source (not shown), the cable 31 pulls the distributor and the carrier. The dispensing and conveying machine 32 includes a pair of wiper blades 34, which are used as the dispensing and conveying machine 32 moves in a direction crossing the template means 26. It reciprocates to cros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creen frame 28. These wiper blades 34 (some of which are also shown in the side view of FIG. 3B) ar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arrier 32 and are deflecte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carrier 32, but are movable upward an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carrier 32. . Each wiper blade 34 has pins 35 at both ends thereof.

이 핀(35)에 인접한 스크린 프레임(28)의 단부에는 한쌍의 캠레버(37)(39)가 배열되어 있다. 각각의 캠레버(37)(39)는 그 외단부에 위치한 축(41)을 중심으로 하여 선회할 수 있으며, 분배 및 운반기(32)의 이동방향에 따라서 특정한 와이퍼날(34)을 각각 상하 이동시키기 쉽도록 편향되어 있다. 분배 및 운반기(32)가 우측으로 이동할 경우(제3b도), 후방의 와이퍼날(34)은 형판수단(26)의 표면을 따라 끌려서 절결부(42)를 통과할 수 있으며, 전방의 와이퍼날(34)은 일반적으로 상승되어 있다. 운반기(32)의 이동방향이 반대로 되면, 지금까지 상승되어 있던 와이퍼날(34)이 형판수단의 윗면을 쓸고 지나가게 되며, 다른쪽의 와이퍼날(34)은 상승된 채로 스크린 프레임(28)의 단부를 향해 나아가게 된다. 이때, 예컨대 압력식 피스톤 및 실린더와 같은 기타의 수단을 각각의 와이퍼날과 분배 및 운반기(32)의 사이에 경첩식으로 배열시킴으로써 각각의 와이퍼날(34)을 상승 및 하강시킬 수 있음도 물론이다.A pair of cam levers 37 and 39 are arranged at the end of the screen frame 28 adjacent to the pin 35. Each cam lever 37, 39 can pivot about an axis 41 located at its outer end, and can move the wiper blade 34 up and down, respectively, in accordance with the dispensing and conveying device 32 movement direction. It is biased to be easy to make. When the dispensing and transporter 32 moves to the right (FIG. 3B), the rear wiper blade 34 can be dragged along the surface of the template means 26 to pass through the cutout 42, and the front wiper blade 34 is generally elevated. Whe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arrier 32 is reversed, the wiper blade 34 which has been raised so far passes 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template means, and the other wiper blade 34 of the screen frame 28 is raised. It will go towards the end. It is of course also possible to raise and lower each wiper blade 34 by hingedly arranging other means such as, for example, pressure pistons and cylinders, between each wiper blade and the dispensing and conveyer 32. .

형판수단(26)은 구조체(29)의 양측 저면에 부착되어 있는 한쌍의 채널(36)내로 접동가능하게 수납되어 있으며, 이 형판수단(26)은 그물형태의 스크린(38) 및 그 상부에 중첩된 부드러우면서도 강성이 있는 불투과성의 물질(40)로 구성된다(제1도, 제3a도, 제3b도, 제4도 참조). 신발 갑피를 강화시키는데 사용된 분말("P")은 35메쉬인 것이 바람직하며, 신발의 보강시 복잡한 디자인을 미세하게 패턴화시키려고할 경우에는 더욱 미세한 분말(예컨대, 50메쉬 내지 100메쉬의 분말)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장치에서 사용될 분말의 형태는, 예컨대 이오노머, 폴리에틸렌,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혹은 이들의 조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스크린(38)의 그물눈은 전형적으로 8메쉬 내지 30메쉬 정도로 상기 분말보다는 크게 되어 있는데, 이것은 분배 및 운반기(32)로부터의 분말("P")이 이 스크린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하여주기 위한 것이다. 부드러운 상부 물질(40)에는 적어도 하나의 절결부(42)(제3도 참조)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절결부(42)의 전체적인 형태는 제3작업부(16)에서 미보강된 기질(즉, 신발 갑피)에 가하여질 보강 및 강화 또는 장식용 분말의 바람직한 형상과 일치하도록 되어 있다. 스크린(38)의 밑면에는 금속박 형태의 하부 표면층(40A)의 점착될 수 있으며, 이 하부 표면층(40A)에는 상부 표면층(40)내의 절결부(42)와 일치하는 위치에 이와유사한 절결부(42)가 형성된다. 상부 표면층(40)과 하부 표면층(40A)을 서로 눌러주면, 그 사이의 점착제에 의해 이들이 스크린(38)내의 그물눈을 통하여 상호 점착될 수 있다.The template means 26 is slidably housed in a pair of channels 36 attached to both bottom surfaces of the structure 29, which template means 26 overlap the screen 38 in the form of a mesh and above it. Consisting of a soft, rigid, impermeable material 40 (see FIGS. 1, 3a, 3b, and 4). The powder used to reinforce the shoe upper ("P") is preferably 35 mesh, and finer powder (eg, 50 mesh to 100 mesh powder) when attempting to finely pattern a complex design upon reinforcement of the shoe. You can also use The form of the powder to be used in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for example, ionomer, polyethylene, ethylene vinyl acetate, or a combination thereof. The mesh of the screen 38 is typically larger than the powder, on the order of 8 to 30 mesh, to allow the powder from the dispensing and carrier 32 to pass through this screen. At least one cutout 42 (see FIG. 3) is formed in the soft top material 40, the overall shape of the cutout 42 being an unreinforced substrate (i.e., in the third work piece 16). , Shoe upper) to conform to the desired shape of the reinforcement and reinforcement or decorative powder to be applied. The bottom surface of the screen 38 may adhere to the lower surface layer 40A in the form of a metal foil, and the lower surface layer 40A may have similar cutouts 42 at positions coinciding with the cutouts 42 in the upper surface layer 40. ) Is formed. When the upper surface layer 40 and the lower surface layer 40A are pressed against each other, they can be mutually adhered through the meshes in the screen 38 by the adhesive therebetween.

가열부(14)을 구성하는 제2작업부는, 침착부(12)에 인접하게 횡방향으로 프레임부재(18)에 고착되어 있다(제1도, 제2도, 제5도 참조). 가열부(14)의 하부 평면(44)내에는 다수의 전기적 가열소자(도시하지 않았음)가 배열되어 있다. 이 하부 평면(44)에는 또한 다수의 개구(46)가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이들 개구(46)는 진공 도관(47)을 통하여 진공원(도시하지 않았음)과 유체적으로 소통되어 있다. 가열부(14)의 상부 평면(48)은 그 한쪽 단부가 브라켓(52)에 의해 프레임부재(18)에 경첩식으로 연결되어 있는 하우징(50)내에 배치되어 있다. 하우징(50)은 다른쪽 단부에 위치하는 정지 브라켓(51)은 한계 브라켓(53)을 타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이 한계 브라켓(53)은 상부 평면(48)이 하부 평면(44)에 접근하는 정도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부 평면(48)에는 적절한 전원에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발열성 가열소자(54)가 있으며, 이들 가열소자(54)는 하우징(50)내에서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다.The second working portion constituting the heating portion 14 is fixed to the frame member 18 laterally adjacent to the deposition portion 12 (see FIGS. 1, 2, and 5). A plurality of electrical heating elements (not shown) are arranged in the lower plane 44 of the heating portion 14. A plurality of openings 46 are also arranged transversely in this lower plane 44, which openings 46 are in fluid communication with a vacuum source (not shown) via a vacuum conduit 47. . The upper plane 48 of the heating portion 14 is arranged in a housing 50 whose one end is hingedly connected to the frame member 18 by a bracket 52. The housing 50 is such that the stop bracket 51 at the other end is capable of hitting the limit bracket 53, which has an upper plane 48 approaching the lower plane 44. To control the degree of In the upper plane 48 there are a number of exothermic heating elements 54 which are connected to a suitable power source, which are arranged parallel to one another in the housing 50.

제3작업부(16)는 결합수단 및(또는)냉각수단으로 구성되는 압압부이다(제1도 및 제2도 참조). 이 압압부(16)에는, 적절한 도관(58)을 거쳐서 냉장원(도시하지않았음)과 유체적으로 소통되어 있는 하부의 평평한 블록(56)이 포함되어 있다. 이 하부의 평평한 블록(56)은 기다란 프레임부재(18)에 고착되어 있다. 상부 지지채널(60)은 브라켓(62)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 브라켓(62)은 상기 프레임부재(18)의 수직부에 부착되어 있다. 가압이 가능한 2중 작동식 피스톤 및 실린더장치(64)는 상부 지지채널(60)이 상부와 브라켓(62)의 사이에 고착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 및 실린더 장치(64)는, 3개의 작업부(12)(14)(16)의 밑면을 통해 연장되는 한쌍의 안내체(66)중의 하나에 인접하게 부착된 스위치로부터의 적절한 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가압기능한 유체원에 연결되어 있다. 상부 지지채널(60)에는 기질지지용 팰리트(또는 프레임)(70)가 접동 가능하게 수납된다. [이 펠리트(70)는 제6도에 개방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으며, 이 실시예에서의 기질은 신발 갑피(도면에서 "U"로 표시되어 있음)이다]. 상기 팰리트(70)는 2개의 직사각형 평면부재(72)(74)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 평면부재(72)(74)의 각각 한쪽은 경첩(75)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한쪽의 평면부재(72)의 내측에는 패드(도시하지 않았음)가 고착되어 있으며, 기질(필요한 경우)[이 실시예에서는 신발 갑피("U")임]은 이 패드의 위에 위치한다. 다른쪽 평면부재(74)내에는 절결부(76)가 형성되며, 이 절결부(76)는 기질, 즉 신발 갑피("U")에서 필요로 하는 보강 및 강화 또는 장식패턴에 대해 충분한 간격을 두고 일치한다. 상기 패드는 기질, 즉 신발 갑피("U")의 보강 및 강화될 혹은 장식처리될 부분이 패드와 밀착될때 상기 갑피를 상기 평면부재(74)내의 절결부(76)를 통하여 약간 바깥쪽으로 눌려지도록 하여주기 위한 것이다. 제6도에는, 용융된 물질(도면에 ("M")으로 표시되어 있음)의 총이 신발코로서 이미 신발 갑피("U")에 가하여진 상태를 나타낸다.The third working part 16 is a pressing part composed of coupling means and / or cooling means (see FIGS. 1 and 2). This press section 16 includes a lower flat block 56 in fluid communication with a refrigerating source (not shown) via a suitable conduit 58. The lower flat block 56 is fixed to the elongate frame member 18. The upper support channel 60 can move perpendicularly to the bracket 62, which is attached to the vertical portion of the frame member 18. In the pressurizable double acting piston and cylinder device 64, the upper support channel 60 is fixed between the upper portion and the bracket 62. The piston and cylinder device 64 is provided by an appropriate signal from a switch attached adjacent one of the pair of guides 66 extending through the underside of the three working parts 12, 14, 16. It is connected to a working pressurized fluid source. The substrate support pallet (or frame) 70 is slidably received in the upper support channel 60. [This pellet 70 is shown open in FIG. 6 and the substrate in this embodiment is a shoe upper (indicated by “U” in the figure). The pallet 70 is composed of two rectangular planar members 72 and 74, each of which is connected by a hinge 75. A pad (not shown) is fixed to the inside of one flat member 72, and a substrate (if necessary) (which is a shoe upper in this embodiment) is located above this pad. A cutout 76 is formed in the other planar member 74, and the cutout 76 has a sufficient spacing for the reinforcement and reinforcement or decorative pattern required by the substrate, i.e., the shoe upper. And match. The pad is pressed slightly outward through the cutout 76 in the flat member 74 when the substrate, ie the portion to be reinforced and reinforced or decorated with the pa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pad. To do that. In FIG. 6, a gun of molten material (denoted by ("M") in the drawing) is already applied to the shoe upper ("U") as a shoe nose.

수납벨트(20)를 지지하는 프레임(24)은 안내체(66)상에 접동가능하게 수납되어 있으며, 이 프레임(24)은 가압가능한 2중 작동식 피스톤 및 실린더장치(80)의 상호 작동에 의해 안내체(66)상에서 이동가능한데, 상기 2중 작동식 피스톤 및 실린더장치(80)의 한쪽 단부는 프레임부재(18)의 수직부 사이에 고착되어 있고 피스톤봉(도시하지 않았음)은 상기 수납벨트(20)를 지지하는 프레임(24)에 부착되어 있다. 이때, 예컨대 랙 및 피스톤 기어장치를 가진 스테핑 모우터 등과 같은 기타의 구동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각각의 작업부(12)(14)(16)에 있어서 안내체(66)에 인접한 부분에는 예컨대 스위치와 같은 신호수단이 있어서, 장치(10)의 작동사이클 동안에 다음번 단계를 작동시킨다.The frame 24 supporting the receiving belt 20 is slidably housed on the guide 66, which is adapted to the mutual operation of the pressurizable dual actuated piston and cylinder device 80. Moveable on the guide body 66, wherein one end of the dual actuated piston and cylinder device 80 is secured between the vertical portions of the frame member 18 and a piston rod (not shown) is received. It is attached to the frame 24 supporting the belt 20. It is also possible to use other drives such as, for example, stepping motors with racks and piston gears. In each of the work portions 12, 14 and 16, the portion adjacent to the guide 66 is provided with signaling means such as a switch, for example, to activate the next step during the operating cycle of the device 10.

수납벨트(20)에는 적절한 신호를 받아서 가압가능한 2중 작동식 수단(84)에 의해 그 하부로 접근 및 후퇴 하도록 이동하는 하부의 평평한 지지체(82)가 있으며, 이와 같은 하부의 평평한 지지체(82)는 침착공정에서 보강 및 강화분말 혹은 장식 분말의 형태가 가해지는 동안에 수납벨트(20)에 대한 지지역할을 수행한다. 상기의 가압가능한 2중작동식 수단(84)은, 프레임(18)의 한쪽에 부착되어 있는 브라켓(81)에 고착된다(제4도참조). 제3b도 및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의 평평한 지지체(82)의 윗쪽에는 쐐기(도면에 "S"로 표시되어 있음)가 배치될 수도 있다. 이 쐐기("S")는 가스켓 물질의 스트립으로 구성되며, 또한 이 쐐기는 절결부(42)의 주위에 주변 가스켓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스크린(38)상의 금박형 표면(40A)의 밑면에 대해 상기 수납벨트(20)를 비틀어 압압시킬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쇄기("S")는 신발 갑피를 보강하기 위한 제품의 경우에 바람직한데, 왜냐하면 주변 가스켓의 단부로부터 절결부(42)에 대항단부(주변 가스켓이 없는 단부)까지의 분말형태상에 날카로운 테이퍼가 형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수납벨트(20)이 아래에 위치한 하부의 평평한 지지체(82)상에 쐐기("S")가 형성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주변 가스켓의 두께 및 테이퍼 형태에 따라서 점차적으로 테이퍼되는 형태의 제품이 얻어진다.The receiving belt 20 has a lower flat support 82 which moves to access and retract below it by a pressurized double actuated means 84 which receives an appropriate signal, such a lower flat support 82. In the deposition process, while the form of reinforcing and reinforcing powder or decorative powder is applied to perform the support area for the receiving belt (20). The pressurizable double acting means 84 is fixed to the bracket 81 attached to one side of the frame 18 (see FIG. 4). As shown in FIGS. 3B and 4, wedges (denoted by S "in the figure) may be disposed above the lower flat support 82. This wedge is made up of a strip of gasket material, which is also provided with respect to the underside of the gold foil surface 40A on the screen 38 where no peripheral gasket is formed around the cutout 42. The storage belt 20 is arranged to twist and press. This wedge is preferred in the case of products for reinforcing shoe uppers, because of the sharp taper on the powder form from the end of the surrounding gasket to the end (the end without the peripheral gasket) to the cutout 42. Is because it can be formed. If no wedge is formed on the lower flat support 82 at which the receiving belt 20 is located below, a product of a tapered shape is obtained according to the thickness and taper shape of the peripheral gasket. .

스크린 프레임(28)이 장착되어 있는 구조체(29)의 한쪽 단부[프레임부재(18)에 고착되어 있는 단부]에는 경첩(83)이 있으며(제1도 참조), 다른쪽 단부의 중간쯤에는 브라켓(85)이 부착되어 있다(제4도 참조). 이 브라켓(85)의 하단부에는 캠종동바퀴(87)가 장착되어 있다. 캠(89)는 트랙(91)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 캠(89)은 벨트 프레임(24)에 접근 및 후퇴하는 방향으로의 가압가능한 2중 작동식 실린더(95)에 봉(93)에 의하여 이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캠(89)에는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경사면(97)이 있고, 상기 캠종동바퀴(87)가 이 경사면상에 회전된다.One end of the structure 29 on which the screen frame 28 is mounted (an end fixed to the frame member 18) has a hinge 83 (see FIG. 1), and a bracket about the middle of the other end. 85 is attached (see FIG. 4). On the lower end of the bracket 85, a cam driven wheel 87 is mounted. A cam 89 is arranged on the track 91, which cam 89 is attached to the rod 93 in a pressurized dual actuated cylinder 95 in a direction approaching and retracting the belt frame 24. Are movably connected. The cam 89 has an inclined surface 97 which gradually increases, and the cam driven wheel 87 is rotated on this inclined surface.

보강 및 강화분말 혹은 장식분말을 신발 갑피에 가해주기 위한 장치(10)의 작동시, 소정량의 용융성 분말이 공급기(33)로부터 가요성의 도관(30)을 거쳐서 분배 및 운반기(32)내로 배출된다. 이 분배 및 운반기에 대한 구동수단[도시된 예에서는 이 분배 및 운반기(32)에 부착된 케이블 실린더(27)]은 적절한 신호를 받음에 의해 상기 실린더(27)내의 피스톤에 고착된 케이블(31)과 함께 작동됨으로써, 구조체(29)의 안내봉상의 분배 및 운반기(32)를 스크린 프레임(28)의 횡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와이퍼날(34)들은 형판 윗면(40)을 가로질러 쓸고 나아가며, 형판은 형판수단(26) 및 그 상부의 간격재 또는 가스켓과 접촉하지 않게된다. 캠(89)의 상승은 변형된 정현파적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의해 형판수단(26)은 제2작업부(즉, 가열부)(14)로 이동되기 전에 수납벨트상의 복잡한 3차원적 분말 형태로 공기가 밀려들어 오거나 정전기적 현상이 발생하는 것과 같은 해로운 사태를 방지할 수 있도록 우선 저속으로 상향 이동하게 된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점형태의 간격재(D)의 이용 및 위치선정은, 형판수단(26)을 수납벨트(26)로부터 들어 올렸을때에 공기가 몰려 들어옴을 더욱 제어함으로써, 이들 사이에 부분적인 진공이 발생하거나 이에 관련된 문제점들이 발생하지 않도록 이들을 충분히 격리시키기 위한 것이다.In operation of the apparatus 10 for applying reinforcement and reinforcement powder or decorative powder to the shoe upper, a predetermined amount of meltable powder is discharged from the feeder 33 via the flexible conduit 30 and into the dispensing and conveying machine 32. do. The drive means for this dispenser and conveyer (in the example shown the cable cylinder 27 attached to this dispenser and conveyer 32) is a cable 31 fixed to the piston in the cylinder 27 by receiving an appropriate signal. In conjunction with this, the dispensing and delivery device 32 on the guide rod of the structure 29 move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screen frame 28. Thus, the wiper blades 34 sweep across the template top surface 40, and the template is not in contact with the template means 26 and the spacer or gasket thereon. The lifting of the cam 89 preferably has a deformed sinusoidal shape, whereby the template means 26 is a complex three-dimensional on the receiving belt before it is moved to the second working part (ie the heating part) 14. It first moves upward at a low speed to prevent harmful events such as air ingress or electrostatic phenomena in powder form. The use and positioning of the point-shaped spacers D as shown in FIG. 4 further controls the inflow of air when the template means 26 is lifted from the receiving belt 26, thereby providing a space therebetween. This is to adequately isolate them so that no partial vacuum is generated or problems associated with them.

수납벨트(20) 및 그 상부의 분말형태("C")가 안내체를 따라 횡방향으로 이동하면, 가열부(14)에서 스위치가 작동함으로써 프레임(24)내에서의 수납벨트(20)를 지지하는 운동을 중지시키며, 적절한 수단에 의해 신호가 발생되어서, 안내체(66)상에 위치된 부싱 및 프레임(24)의 사이에 배열된 높이조정수단(77)에 의해 수납벨트(20)가 하강되어서 하부 평면(44)과 접촉하게 된다. 이에 의해 진공원이 작동되고, 따라서 개구(46)내의 진공이 작동하여 흡입에 의해 수납벨트(20)를 가열된 하부평면(44)에 대해 지지시킴으로써, 수납벨트(20)가 최대의 열전달성을 나타내게 된다. 하부 평면(44)내의 가열요소는 그 상부의 분말을 가열하여 이들을 3차원적 형태로 용융시키는 발열체이다.When the storage belt 20 and the powder form ("C") thereon mov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long the guide body, the switch is operated in the heating unit 14 to move the storage belt 20 in the frame 24. Stopping the supporting movement, the signal is generated by appropriate means, the receiving belt 20 by the height adjusting means 77 arranged between the bushing positioned on the guide 66 and the frame 24 It is lowered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bottom plane 44. The vacuum source is thereby activated, so that the vacuum in the opening 46 is actuated to support the receiving belt 20 against the heated lower plane 44 by suction, so that the receiving belt 20 has the maximum heat transfer performance. Will be displayed. The heating element in the lower plane 44 is a heating element that heats the powder thereon and melts them in three-dimensional form.

적절한 시간(바람작하게는 약 25초까지)이 지난 후에 진공원을 차단시키는 적절한 신호를 받으면, 수납벨트(20)와 프레임(24)은 가압가능한 피스톤 및 실린더장치로 구성될 수 있는 프레임 높이조정 수단에 의해 하부 평면(44)으로부터 상승되며, 이에 따라 장치(80)에 의해 제3작업부(16)로 옮겨짐으로써, 보강되지 않은 신발 갑피("U")와 같은 기질이 수납벨트(20)상의 점성의 형태와 결합되도록 한다.After a suitable time (preferably up to about 25 seconds), upon receiving the appropriate signal to shut off the vacuum source, the receiving belt 20 and frame 24 are frame height adjustable, which may consist of a pressurized piston and cylinder arrangement. By means of lifting from the lower plane 44 and thus being transferred to the third working part 16 by the device 80, a substrate, such as an unreinforced shoe upper, is received. To be combined with the viscous form of the phase.

제3작업부(16)에서의 수압벨트(20)는, 첫째로 프레임 높이조정 수단(77)에 의해 하강되어서 하부의 평평한 블록(56)에 접촉하여 지지되거나, 혹은 둘째로 상기 하부의 평평한 블록(56)의 약간 위에 지지된 다음에 팰리트(70)에 의해 눌려져서 이 블록(56)에 접촉하도록 될 수 있으며, 수납벨트는 냉장 수단에 의해 냉각됨으로서 수납벨트(20)상의 도입되는 점성의 형태를 고화(固化)시킨다. 이때, 상부 지지채널(60)내에 조립된 신발갑피 지지용 팰리터(70)내의 신발 갑피("U")는 가압가능한 피스톤 및 실린더장치(64)에 의해서 아랫쪽으로 눌려지며, 기질[즉, 보강되지 않은 신발 갑피("U")]은 그 내측면이 눌려져서, 이제 냉각되고 있는 그러나 아직 점착성 및 점성을 유지하는 수납벨트(20)상의 분말 형태를 순간적으로 지지한다. 가압가능한 피스톤 및 실린더장치(64)가 그 상향 위치로 역전되면, 신발 갑피("U")의 내측에 점착되어 있는 냉각된 점성의 형태가 상기 부드러운 수납벨트(20)로부터 들어 올려진다. 기질(신발 갑피) 지지용 팰리트는 제3작업부에서 상부 지지채널(60)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으며, 다음번의 보강 및 강화되지 않은 그리고 장식처리 되지 않은 기질(신발 갑피)이 상부 지지채널(60)내에 위치된다. 이때 용융된 분말 형태와 전혀 접촉되지 않게된 수납벨트(20)는 제1작업부로 되돌아올 수 있다. 이 수납벨트(20)는 프레임 높이조정 수단(77)에 의해 하부의 평평한 블록(56)으로 부터 약간 들어 올려져서 프레임(24)과 상기 블록(56)의 사이에 간격을 형성시키며, 가압가능한 피스톤 및 실린더 장치(80)와 같은 적절한 수단의 작동에 의해 프레임(24)이 안내체(66)상에서 이동되도록 한다.The hydraulic belt 20 in the third working part 16 is first lowered by the frame height adjusting means 77 and supported in contact with the lower flat block 56, or secondly, the lower flat block. Supported slightly above 56 and then pressed by pallet 70 to come into contact with this block 56, the receiving belt being cooled by the refrigeration means to be introduced on the receiving belt 20 It solidifies the form. At this time, the shoe upper ("U") in the shoe upper support pallet 70 assembled in the upper support channel 60 is pressed downward by the pressurizable piston and the cylinder device 64, and the substrate [ Unshoeed upper ("U]) instantaneously supports the powder form on the receiving belt (20), the inner side of which has been pressed, which is now cooled but still sticky and viscous. When the pressurizable piston and the cylinder device 64 are reversed to their up position, the cooled viscous form adhering to the inside of the shoe upper is lifted out of the soft receiving belt 20. The pallet for supporting the substrate (shoe upper) may exit from the upper support channel 60 at the third working part, and the next unreinforced and unreinforced and undecorated substrate (shoes upper) is supported by the upper support channel 60. Is located in. At this time, the receiving belt 20 which is not in contact with the molten powder form may be returned to the first working part. The receiving belt 20 is lifted slightly from the lower flat block 56 by the frame height adjusting means 77 to form a gap between the frame 24 and the block 56 and pressurizable piston. And the operation of suitable means such as cylinder arrangement 80 to cause frame 24 to move on guide 66.

만약 단지 용융된 분말형태만을 필요로 할 경우에는 팰리트(70)에 기질을 부착시킬 필요가 없고, 필요에 따라서는 팰리트상의 패드로써 용융된 분말형태를 눌러 준다. 이 패드는 열에 의해 손상되지 않는 마찰이 작은 물질로 만들어진 것이며, 상기와 같이 패드로 눌러 주는 것은 용융된 분말상에 존재할 수 있는 거친 부분들을 매끄럽게 하여 주기 위한 것이다. 기포가 없는 제품을 얻기 위하여서는, 이 패드를 다공성의 물질로 만들거나 혹은 다공성의 물질로 피복시킬 수도 있다. 용융된 분말을 차후의 작업공정에서 신발 갑피에 가해지기 위한 신발 앞부리일 수도 있다.If only the molten powder form is required, it is not necessary to attach the substrate to the pallet 70, and if necessary, press the molten powder form with a pad on the pallet. The pad is made of a material of low friction that is not damaged by heat, and the pressing with the pad as described above is intended to smooth out the rough parts that may be present on the molten powder. To obtain a bubble-free product, the pad may be made of a porous material or coated with a porous material. The molten powder may be the front of the shoe to be applied to the shoe upper in a later work process.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작동조건하에서 사용될 수 있는 분말("P")의 형태를 예시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form of powder ("P") that can be used under the operating cond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examples will be illustrated.

[실시예 A]Example A

이 실시예는, 본 발명을 신발 갑피의 보강용 혹은 강화용으로 바람직하게 이용한 실시예이다. 다음과 같은 특성, 즉 용융지수가 2.5이고 굴곡율이 51,000psi이며, 열연화온도(비케트; Vicat)가 63℃이고, 부가제가 함유되지 아니한 나트륨 양이온 형태의 30 내지 50메쉬 이오노머 분말을 사용하였다. 평평한 표면내의 절결부를 필요에 따른 특정한 형태로 제조하고, 이들을 0.015인치(0.38mm)의 스테인리스강 철사로 만든 8매쉬 스크린상에서 위치시켰다. 8매쉬 스크린을 사용하면 다음 (a)-(c)와 같은 대응하는 요소들을 균형있게 얻어낼 수 있다. 즉, (a) 미세한 그물눈을 사용하면 와이퍼날의 작동이 부드러워진다. (b) 스크린 철사의 크기가 너무 두꺼우면 단부, 즉 테이퍼 단부가 너무 두껍게 형성된다. (c) 직경이 작고 거친 철사를 사용하면 나머지 분말입자들이 달라붙거나 걸려서 표면적이 작아진다.This embodiment is an embodiment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used for reinforcing or reinforcing shoe uppers. The following properties were used: 30 to 50 mesh ionomer powders in the form of sodium cations with a melt index of 2.5, a bending rate of 51,000 psi, a thermal softening temperature (Vicat) of 63 ° C., and no additives. . Cuts in the flat surface were made in the specific shape as needed and placed on an 8 mesh screen made of 0.015 inch (0.38 mm) stainless steel wire. Using 8 mesh screens, we can balance the corresponding elements such as (a)-(c) below. That is, (a) the use of fine mesh makes the wiper blade smooth. (b) If the screen wire is too thick, the end, i.e. the tapered end, is too thick. (c) The use of small diameter coarse wires causes the remaining powder particles to stick or jam, resulting in a small surface area.

형판 하부의 간격재 수단으로서는, 두께가 약 0.040인치(1.02mm)인 용융된 제품에 대한 것을 사용하였다.As spacer means at the bottom of the template, one for a molten product having a thickness of about 0.040 inch (1.02 mm) was used.

분말의 체적밀도 및 유동작동을 고려하여, 형판수단의 저면에 두께가 0.100인치(2.54mm)인 주변 가스켓을 사용하였다. 하부 지지면상의 쐐기("S")를 조정하여서, 수납벨트에서 간격재 수단이 없는 부분이 형판수단의 저면에 닿지 않도록 하고, 이에 의해 주변 가스켓의 범위내에서 수납벨트상에 가하여진 분말에 적절한(즉, 바람직한) 테이퍼가 형성되도록 하였다.In consideration of the bulk density of the powder and the flow operation, a peripheral gasket having a thickness of 0.100 inch (2.54 mm) was used on the bottom of the template means. Adjust the wedge on the lower support surface so that the part without spacers in the receiving belt does not touch the bottom of the template means, thereby making it suitable for the powder applied on the receiving belt within the range of the surrounding gasket. The taper (ie desirable) was allowed to form.

가열부에서, 하부 가열기는 약 490℉(254.4℃)로 조정되었다. 수납벨트 상부의 각각의 발열성 가열기는 표면온도가 약 600℉(315.6℃)가 되도록 조정되었다.In the heating section, the bottom heater was adjusted to about 490 ° F. (254.4 ° C.). Each exothermic heater on top of the receiving belt was adjusted to have a surface temperature of approximately 600 ° F. (315.6 ° C.).

침착기구는 수납벨트상의 분말을 용융시키기 위한 전체 시간이 약 25초가 되도록 작동되었으며, 이 시간동안에 이 제품을 기질(이 경우에는, 신발 갑피의 저면)에 가해주기 위한 최종 단계로 옮겨주고, 그 후 냉각판을 누르면서 냉각시켰다.The deposition apparatus was operated so that the total time to melt the powder on the receiving belt was about 25 seconds, during which time the product was transferred to the final stage to apply it to the substrate (in this case, the bottom of the shoe upper). The cooling plate was cooled while pressing.

신발 갑피의 신발 앞부리에 대한 최종 제품은 그 단부의 두께가 0.012인치(0.30mm)이었고, 최대 두께부분의 두께가 0.035인치(0.89mm)이었다.The final product for the shoe front of the shoe upper was 0.012 inches (0.30 mm) thick at its ends and 0.035 inches (0.89 mm) thick at its maximum thickness.

[실시예 B]Example B

이 실시예에서는, 대전방지제(antistatic agent)로서, 0.3%의 폴리알콕시 3급 아민을, 그리고 건조제 및 유동촉진제로서 0.3%의 미세한 실리카를 분말내의 부가제로 사용함으로써 침착공정 동안에 스크린상에 잔류 분말이 덜 남도록 하고 분말 입자의 정전기적 운동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고급화된 인쇄패턴을 얻었다. 이때의 제품은 최대두께 부분에서 0.040인치(1.02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residual powder is deposited on the screen during the deposition process by using 0.3% polyalkoxy tertiary amine as antistatic agent and 0.3% fine silica as desiccant and flow promoter as additive in the powder. While leaving less and reducing the electrostatic movement of the powder particles, an advanced printed pattern was obtained. In this case, the product may have a thickness of 0.040 inch (1.02 mm) at the maximum thickness portion.

[실시예 C]Example C

이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실시예 A에서의 바람직한 조성에 부가제로서 0.05%의 전도성 연통 그을음(furnace black)을 포함시켰다. 이때의 침착작용, 유동작용 및 제품의 패턴은 실시예 B에서와 유사하였다. 가열부에서의 용융시간은 약 20초로 감소되었으며, 제품의 두께는 약 0.040인치(1.02mm)이었다.In this example, 0.05% of conductive flue soot was included as an additive in the preferred composition in Example A above. The deposition, flow and product pattern at this time were similar to those in Example B. The melting time in the heating section was reduced to about 20 seconds and the product thickness was about 0.040 inches (1.02 mm).

[실시예 D]Example D

신사용 혹은 숙녀용 신발에 대한 가용성의 신발 앞부리를 제조하기 위하여, 용융지수가 22이며 굴곡율이 19,000psi이고 열연화온도(비케트)가 83℃이며 부가제가 함유되지 아니한 밀도가 낮은 35메쉬의 폴리에틸렌 분말을 사용하였다. 하부의 가열블록은 온도를 약 400℉(204.4℃)로 상승시켰고, 상부의 발열 가열체는 약 500℉(260.0℃)로 하여서, 가열(용융)시간을 약 18초로 하였을때에 두께가 약 0.012인치(0.30mm) 내지 0.35인치(0.89mm)인 테이퍼진 제품을 제조하였다.To manufacture soluble shoe fronts for new or ladies shoes, a low density 35 mesh with a melt index of 22, a flexion rate of 19,000 psi, a thermal softening temperature of 83 ° C and no additives Polyethylene powder was used. The lower heating block raised the temperature to about 400 ° F. (204.4 ° C.) and the upper heating element was about 500 ° F. (260.0 ° C.), with a thickness of about 0.012 when the heating (melting) time was about 18 seconds. Tapered products were prepared that were between inches (0.30 mm) and 0.35 inches (0.89 mm).

[실시예 E]Example E

슬리퍼, 숙녀용 및 일부 아동용 신발에 대한 부드러운 신발 앞부리를 제조하기 위하여, 용융지수가 9이며 굴곡율이 약 13,500psi이고 열열화온도가 약 59℃인 35메쉬의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를 사용하였다. 기계의 조건은 실시예 D에서와 동일하였으며, 가열(용융)시간을 12초로 하여줌으로써 두께가 약 0.012인치(0.30mm) 내지 0.035인치(0.89mm)인 테이퍼진 제품을 제조하였다.To prepare soft shoe fronts for slippers, ladies' and some children's shoes, 35 mesh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s having a melt index of 9, a bending rate of about 13,500 psi and a thermal degradation temperature of about 59 ° C were used. . The conditions of the machine were the same as in Example D, and a tapered product having a thickness of about 0.012 inch (0.30 mm) to 0.035 inch (0.89 mm) was prepared by setting the heating (melting) time to 12 seconds.

[실시예 F]Example F

장치를 사용하여 구두 갑피중의 목부분, 끈구멍 부분, 혹은 상부선 부분을 보강하려고 할 경우에는, 100메쉬의 나일론 12 및 0.3%의 폴리알콕시 3급 아민이 바람직한 분말이다. 형판 스크린의 그물눈 크기는 약 30메쉬일 수 있다. 이때의 제품은 테이퍼되지 않으므로, 이때의 가스켓은 절결부의 주위전체에 형성되며 균일한 두께로서 두께가 0.040인치(1.02mm)이 점모양의 간격재 형태이며, 실시예 A에서와 같은 기계조건을 사용하여 가열시간을 12초로 함으로써, 두께가 0.017인치(0.43mm)인 인쇄패턴을 얻는다.If the device is intended to reinforce the neck, the strap or upper line portion of the shoe upper, 100 mesh nylon 12 and 0.3% polyalkoxy tertiary amine are preferred powders. The mesh size of the template screen may be about 30 mesh. Since the product is not tapered at this time, the gasket at this time is formed all around the cutout and has a uniform thickness of 0.040 inch (1.02 mm) in the form of a dot-shaped spacer material. By using this, the heating time is 12 seconds, whereby a printed pattern having a thickness of 0.017 inch (0.43 mm) is obtained.

[실시예 G]Example G

이 실시예는 실시예 F와 유사한 박막 형태의 보강에 관한 것으로서, 100메쉬의 비닐 분말과 0.3%의 폴리알콕시 3급 아민 분말을 사용하고, 필요시에는 열안정제를 가하며, 상기 실시예에서와 같은 침착수단 및 조건을 사용하면, 동일한 결과를 얻는다.This example relates to the reinforcement of a thin film form similar to that of Example F, using 100 mesh vinyl powder and 0.3% polyalkoxy tertiary amine powder, if necessary, adding a heat stabilizer, Using deposition means and conditions, the same results are obtained.

상기 수납벨트는 각각의 단부에 한개씩 설치된 한쌍의 로울러에 의해 단속적으로 진행가능한 무단형 벨트의 형태일 수 있으며, 이러한 무단형 벨트는 상술한 벨트가 프레임 장치상에서 이동되는 것과 같은 작업부를 따라 한번씩 진행될 수 있다. 수납벨트상에 침착된 분말은 신발 갑피의 앞부리 혹은 신발의 견장(starp)을 보강 혹은 강화시키기에, 또는 이들 신발이나 부츠를 보강 및(또는) 색상 장식시키기에 유용할 수 있다.The receiving belt may be in the form of an endless belt that is intermittently advanced by a pair of rollers installed one at each end, and the endless belt may be progressed once along a working part such that the belt described above is moved on the frame device. have. Powder deposited on the receiving belt may be useful for reinforcing or reinforcing the front of a shoe upper or a starp of a shoe, or for reinforcing and / or colorizing these shoes or boots.

유리하게도, 본 발명의 용융된 분말은 보강 및 착색 또는 장식처리를 필요로 하는 예컨대 모자챙, 운동용 장갑, 깃, 잠옷, 팔꿈치 또는 무릎 보강대 등과 같은 의복 제품에 침착될 수도 있다. 분말을 테이퍼진 형태로, 혹은 두께를 변화시켜가면서 가하면, 이 분말이 가하여진 기질의 가요성을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신발에 매우 바람직하게 적용할 수 있다.Advantageously, the molten powd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eposited on garment articles, such as hat visors, athletic gloves, collars, pajamas, elbows or knee braces, which require reinforcement and coloring or decorative treatments. When the powder is added in a tapered form or with varying thickness, the powder can change the flexibility of the substrate to which the powder is applied, and thus it can be applied very favorably to shoes.

즉, 이상에서는 기질(바람직하게는 신발 갑피의 내측과 같은 가용성 기질)의 일부에 보강 및 강화물질 또는 장식물질을 가하기 위한 독특한 장치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 물질은 더욱 균일하며 깨끗하고, 더욱 효율적인 신발 제조방식을 가능하게 하는 용융성 분말이다.In other words, while the above describes a unique device for applying reinforcement and reinforcement or decorative material to a portion of a substrate (preferably a soluble substrate, such as the inside of a shoe upper), the material is more uniform, cleaner and more efficient. It is a meltable powder which enables a production method.

Claims (15)

기질에 가하기 위한 보강 또는 장식층들을 만드는데 사용되도록 가요성 분말을 침착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대해 이동가능한 수납벨트면, 및 상기 수납면상에 분말을 침착시키도록 상기 수납면위에 배열된 분말 침착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분말침착수단은 분말이 통과할 수 있고 상기 수납면과 협동하여 소기 형상의 분말 수납 공동을 형성하는 절결부를 포함하고 있고, 소정량의 분말 형태가 상기 수납면상에 침착될 수 있는 상기 장치.An apparatus for depositing flexible powder for use in making reinforcement or decorative layers for application to a substrate, the apparatus comprising: a frame, a receiving belt surface movable relative to the frame, and arranged on the receiving surface to deposit powder on the receiving surface A powder depositing means, wherein the powder depositing means includes a cutout portion through which powder can pass and which cooperates with the receiving surface to form a desired powder receiving cavity, wherein a predetermined amount of powder form is formed on the receiving surface. Said device capable of being deposi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면은 가요성 시이트 재료로 따위로 만들어지고, 상기 절결부와 협동하는 상기 수납면의 일부위를 변형시켜서 소위 형상의 분말수납 공동을 만들기 위한 수단이 제공되는 상기 장치.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ceiving surface is made of a flexible sheet material, and the device is provided with a means for deforming a portion of the receiving surface cooperating with the cutout to form a so-called powder storage cavity.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결부 주변에 간격재 수단이 있어서 상기 간격재 수단 간격만큼 상기 침착수단을 상기 수납면에서 이격시켜 유지하고, 상기 변형수단은 상기 수납면 아내레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하므로서 상기 돌출부(들)를 상기 수납면에 대해 밀기 위한 수단과 함께, 상기 간격재 수단에 의해 닿지 아니한 간격만큼 상기 수단면과 닿아서, 소기의 3차원 형상의 상기 분말수납 공동을 형성하는 상기 장치.3. The at least one protrusion of claim 2, wherein a spacer means is disposed around the cutout so that the deposition means is spaced apart from the receiving surface by the spacer means. Contacting the means surface with an interval not touched by the spacer means, together with means for pushing the protrusion (s) against the receiving surface, thereby forming the powder-containing cavity of a desired three-dimensional shape. Th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침착된 가요성 분말로부터 보강 또는 장식층들을 만들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분말 형태가 용융되어 소기 형상의 보강 또는 장식층을 형성하도록 상기 수납면과 이 수납면상에 형성된 분말 형태를 가열할 수 있는 가열수단이 제공되는 상기 장치.An apparatus for making reinforcement or decorative layers from flexible powder deposited as described above, wherein said powder form is formed on said receiving surface and said receiving surface to melt to form a desired shape of reinforcing or decorative layer. Said apparatus provided with heating means capable of heating the powder form.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 침착 수단은 제1작업부에 배열되고 상기 가열수단은 제2작업부에 배열되며, 상기 수납면은 상기 제1작업부에서 침착된 분말 형태를 상기 분말 형태가 가열되어 상기와 같이 용융되는 상기 제2작업부로 나르도록 이동가능한 상기 장치.The powder form of claim 4, wherein the powder deposition means is arranged in a first working portion and the heating means is arranged in a second working portion, and the receiving surface heats the powder form deposited on the first working portion. And moveable to carry to the second working portion that is melted as above.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바와같이 침착된 가요성 분말로부터 보강 또는 장식층들을 만들기 위한 장치로서, 분말 형태가 용융되어 소기 형상의 보강 또는 장식층을 형성하도록 상기 수납면과 수납면상에 형성된 분말 형태를 가열할 수 있는 가열 수단이 제공되고, 상기 가열수단은 상기 수납면 아래에 배열되고 1개이상의 가열기들을 구비한 평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부재에는 상기 수납면의 일부위를 상기 부재에 대해 끌어당기기 위한 진공 수단이 있는 상기 장치.An apparatus for making reinforcing or decorative layers from the flexible powder deposited as described above, wherein the powder is formed on the receiving surface and the receiving surface to melt the powder form to form a desired reinforcing or decorative layer. A heating means capable of heating the form is provided, the heating means comprising a plate member arranged below the receiving surface and having one or more heaters, the member having a portion of the receiving surface against the member. Said device having vacuum means for attrac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 침착 수단은 상기 제1작업부에 배열되고 상기 가열수단은 상기 제2작업부에 배열되며, 상기 수납면은 상기 제1작업부에서 침착된 분말 형태를 상기 분말이 가열되어 상기와 같이 용융되는 상기 제2작업부로 나르도록 이동가능한 상기 장치.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powder deposition means is arranged in the first working portion and the heating means is arranged in the second working portion, the receiving surface is in the form of powder deposited on the first working portion Said apparatus being movable to carry to said second working portion which is heated and melted as above. 제4-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은 상기 수납면 위에 배치된 발열성 가열기 수단을 포함하는 상기 장치.8. The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4-7, wherein the heating means comprises exothermic heater means disposed on the receiving surface. 제4-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보강 또는 장식층들이 기질에 가해지고, 용융된 분말 형태가 기질에 대해 압압되어 거기에 접착되게 하는 압압 수단을 더 포함하는 상기 장치.8. The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4-7, further comprising pressing means for applying the reinforcing or decorative layers formed as described above to the substrate and forcing the molten powder form to be pressed against the substrate and adhered thereto.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압압 수단은 상기 수납면과 압압 결합되고 떨어지도록 이동가능한 기질 호울더를 포함하는 상기 장치.10.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pressing means comprises a substrate holder that is pressably engaged with and separated from the receiving surface. 제10항에 있어서, 용융된 분말 형태를 기질에 압압하기 전에, 용융된 분말이 그 형태를 유지하도록 냉각되지만, 기질에 대해 압압될때 거기에 접착되도록 분말의 접착 표면은 충분히 점성이 있는 상태로 남겨두게 하는 냉각 수단에 제공되는 상기 장치.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before pressing the molten powder form onto the substrate, the molten powder is cooled to maintain its form, but the adhesive surface of the powder remains sufficiently viscous to adhere to it when pressed against the substrate. Said apparatus provided in said cooling means. 제6항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보강 또는 장식층들이 기질에 가해지고, 용융된 분말 형태를 기질에 대해 압압하여 접착시키는 압압 수단과 용융된 분말 형태를 기질에 대해 압압하기 전에 그 형태를 유지하도록 냉각시키지만, 기질에 압압될때 거기에 접착될 수 있도록 분말의 접착 표면은 충분히 점성이 있는 상내로 남겨 두게 하는 냉각 수단을 더 포함하는 상기 장치로서, 상기 냉각수단이 상기 수납면 아래에 배열되어 냉각유체원과 연결된 평판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면을 밀어서 상기 평판부재와 접촉시키기 위한 수단이 제공되는 상기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reinforcing or decorative layers formed as described above are applied to the substrate, and the pressing means for pressing and bonding the molten powder form against the substrate and maintaining the form before pressing the molten powder form against the substrate. Wherein said cooling means further comprises cooling means for leaving the adhesive surface of the powder in a sufficiently viscous phase so that it can adhere to the substrate when pressed against the substrate, the cooling means being arranged below the receiving surface to cool. And a plate member connected to the fluid source, wherein the means is provided for pushing the receiving surface into contact with the plate member.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압압수단은 상기 수납면과 압압 결합되고 떨어지도록 이동가능한 기질 호울더를 포함하는 상기 장치.13. The apparatus of claim 12, wherein the pressing means comprises a substrate holder that is pressably coupled to the receiving surface and displaced. 제5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보강 또는 장식층들이 기질에 가해지고, 용융된 분말 형태가 기질에 대해 압압되어 거기에 접착되게 하는 압압 수단을 더 포함하는 상기 장치로서, 상기 압압 수단은 용융된 분말 형태가 이동가능한 상기 수납면에 의해 운반되는 제3작업부에 배열되는 상기 장치.8. The apparatus as claimed in claim 5 or 7, wherein the reinforcing or decorative layers formed as described above are applied to the substrate, and further comprising pressing means for causing the molten powder form to be pressed against the substrate and adhered thereto. And the pressing means is arranged in a third working portion carried by the receiving surface in which the molten powder form is movable. 제14항에 있어서, 용융된 분말 형태를 기질에 대해 압압하기 전에 그 형태를 유지하도록 용융된 분말을 냉각시키지만, 기질에 압압될때 거기에 접착될 수 있도록 기질의 접착 표면은 충분히 점성이 있는 상태로 남겨 두게 하는 냉각수단을 더 포함하는 상기 장치로서, 또한 상기 냉각수단도 제3작업부에 배열되는 상기 장치.15. The substrate of claim 14, wherein the molten powder is cooled to maintain its shape prior to pressing the molten powder form against the substrate, but the adhesive surface of the substrate is sufficiently viscous to adhere to it when pressed against the substrate. Said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 cooling means for leaving, said cooling means being arranged in a third working part.
KR1019830006250A 1982-12-29 1983-12-28 Linear Deposition Apparatus for Adding Melt Powder Expired KR92000873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5296482A 1982-12-29 1982-12-29
US452.962 1982-12-29
US06/452,962 US4540608A (en) 1982-12-29 1982-12-29 Method of applying a fusible powder
US452.964 1982-12-29
US452962 1982-12-29
US452964 1989-12-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7066A KR840007066A (en) 1984-12-05
KR920008733B1 true KR920008733B1 (en) 1992-10-08

Family

ID=27036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6250A Expired KR920008733B1 (en) 1982-12-29 1983-12-28 Linear Deposition Apparatus for Adding Melt Powder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KR (1) KR920008733B1 (en)
AT (1) AT383479B (en)
BR (1) BR8307311A (en)
CA (1) CA1212831A (en)
CH (1) CH662519A5 (en)
DE (1) DE3347237A1 (en)
ES (1) ES528788A0 (en)
FR (1) FR2538720B1 (en)
GB (1) GB2134418B (en)
IE (1) IE54887B1 (en)
IT (1) IT1194545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23589A (en) * 1985-02-13 1986-11-18 Usm Corporation Particulate polymeric materials and methods for using particulate polymeric materials
DE3539573A1 (en) * 1985-11-08 1987-05-14 Giulini Chemie METHOD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REINFORCEMENT PARTS FROM MELTABLE PLASTIC POWDER AND APPLYING THESE PARTS TO SUBSTRATES, ESPECIALLY LEATHER
DE4103389A1 (en) * 1991-02-05 1992-08-06 Albert Lang Local stiffening of soft objects, esp. inner shoe caps - by applying molten polymer by low pressure process to release strip carrier and transferring to soft material where bonding occurs
US8904671B2 (en) * 2006-05-25 2014-12-09 Nike, Inc. Footwear incorporating a tensile element with a deposition layer
DE102010050025B4 (en) 2010-11-02 2021-04-22 Rhenoflex Gmbh Powder application device and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thermoplastically deformable semi-finished products
DE102011086742B4 (en) 2011-11-21 2019-12-19 Adidas Ag Shoe and method for producing at least a portion of a shaft of a shoe
US9320312B2 (en) * 2012-08-30 2016-04-26 Nike, Inc. Composite upper for shoe with selectively disposed bonding agent
DE102018215035A1 (en) * 2018-09-04 2020-03-05 Rhenoflex Gmbh Stiffening element and method for producing a stiffening element
DE102019204740A1 (en) * 2019-04-03 2020-10-08 Faurecia Innenraum Systeme Gmbh Molding tool and method for producing a molded skin for a vehicle interior trim part
DE102022132418A1 (en) 2022-12-06 2024-06-06 Zhong Qiang Yi Technology Co., Ltd. Process for manufacturing shoe upper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104904A (en) * 1921-02-05 1924-05-16 Knecht Hans Method and device to cover a fibrous web with a meltable adhesive in a continuous working process.
AT268188B (en) * 1965-04-09 1969-02-10 Freudenberg Carl Fa Process for applying a discontinuous layer of a thermoplastic material to a fibrous web
GB1222744A (en) * 1968-09-24 1971-02-17 Schaetti & Co Coating of fabrics
JPS538569B2 (en) * 1974-12-28 1978-03-30
US4249320A (en) * 1979-07-30 1981-02-10 Usm Corporation Machine for stiffening and forming sheet materi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T8324433A0 (en) 1983-12-29
CH662519A5 (en) 1987-10-15
GB2134418A (en) 1984-08-15
ES8501298A1 (en) 1984-12-16
BR8307311A (en) 1984-08-14
GB8334328D0 (en) 1984-02-01
ATA456983A (en) 1986-12-15
GB2134418B (en) 1987-03-18
IE832952L (en) 1984-06-29
DE3347237A1 (en) 1984-07-05
IE54887B1 (en) 1990-03-14
KR840007066A (en) 1984-12-05
IT1194545B (en) 1988-09-22
CA1212831A (en) 1986-10-21
FR2538720B1 (en) 1987-12-04
ES528788A0 (en) 1984-12-16
FR2538720A1 (en) 1984-07-06
AT383479B (en) 1987-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8733B1 (en) Linear Deposition Apparatus for Adding Melt Powder
US4661198A (en) Linear deposition apparatus
SU1510712A3 (en) Method of producing three-dimensional rigidity element of mouldable synthetic powder or mixture containing synthetic powder
CA3002964C (en) Machine and method for forming articles
US5395643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depositing solder on a printed circuit board
NL822023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PARTIAL SURFACE COATINGS
US4592798A (en) Linear deposition apparatus
KR920008736B1 (en) Template
US4650538A (en) Linear deposition apparatus
JPS59132970A (en) Adhesive apparatus and method of producing reinforced article
US5330797A (en) Curtain coater with displaceable edge guides and method
US4540608A (en) Method of applying a fusible powder
KR92000873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reinforcement / reinforcement or decorative layers for substrate
CA1225826A (en) Machine for applying a fused configuration of powder on a shoe substrate
US3604053A (en) Shape-forming devices
US4528710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reinforced article
JPH0440474B2 (en)
CN220160361U (en) Plate glue distributing machine
JPS59139203A (en) Reinforcing material capable being adhered to flexible substrate
KR100429341B1 (en) Bond dispenser
KR830000078B1 (en) Device for bonding thermoplastics to oral uppers
CS200269B1 (en) Equipment for regulation of unit quantity of thermoglue sprayed on shoe insole
JPS59189960A (en) Applicator for adhesive agent
HK1006436B (en) Method for producing tridimensional reinforcing parts from a fusible plastic powder, and application of these parts to a substrate, in particular leather
JPH0379069B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3122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8812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83122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20908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21221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