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20008276Y1 - 낚시용 유동자(遊動子) - Google Patents

낚시용 유동자(遊動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8276Y1
KR920008276Y1 KR2019900011673U KR900011673U KR920008276Y1 KR 920008276 Y1 KR920008276 Y1 KR 920008276Y1 KR 2019900011673 U KR2019900011673 U KR 2019900011673U KR 900011673 U KR900011673 U KR 900011673U KR 920008276 Y1 KR920008276 Y1 KR 9200082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body portion
ring body
flange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16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3817U (ko
Inventor
리유이찌 오오무라
Original Assignee
후지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리유이찌 오오무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리유이찌 오오무라 filed Critical 후지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100038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381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82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8276Y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org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낚시용 유동자(遊動子)
제1도는 본고안의 제1실시예의 일부절개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Ⅱ-Ⅱ선 사시도.
제3도는 제1실시예의 가공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의 일부절개 사시도.
제5도는 제4도의 일부절개 평면도.
제6도는 제2실시예의 가공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회전구 2 : 연결환
3 : 도사환 5 : 고리몸체부
6 : 내부면 7 : 일단
8 : 플랜지 9 : 내면
본 고안은 낚시찌 부착용 도래, 스냅식도래등에 있어서 도사환을 갖는 유동자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와같은 종류의 유동자로서는, 일본국 실개소 62-130478호 공보에 게재된 바와같이 연결환에 둥근구멍을 뚫어, 이 둥근구멍에 도사환을 끼워 장착한 것이던가, 일본국 특공소 63-54331호 공보에 게재된 바와같이 판재에 드로잉(drowing)가공으로 테이퍼진 돌출환을 형성하고, 이 돌출환내에 도사환을 끼워 장착시킨 것등이 알려져있지만, 상술한 양구조 모두 도사환의 외경과, 이 도사환이 끼워져 장착되는 둥근구멍 또는 돌출환의 내경이 높은 치수정밀도가 요구되며, 둥근구멍이나 돌출환의 직경이 너무 크면 도사환의 고정을 할 수 없고, 직경이 너무 작으면 세라믹제의 도사화에 균열이 생기는 문제가 있다.
또 상술한 종래의 유동자는, 소재인 판재로 통상의 프레스가공이나, 드로잉가공으로 성형되는 구조이며, 소재가 둥근선재(線材)나 각진선재일 경우에는 채용할 수 없는 구조인 점에도 문제가 있다.
상술한 종래 유통자가 지니는 모든 문제를 감안하여, 본 고안은, 도사환을 감싸쥐는 연결환의 내경치수와 도사환의 외경치수에 높은 정밀도가 요구되지 않으며, 판재, 둥근선재, 각진선재 등 어느 소재라도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고, 도사환을 감싸 쥐는 것도 확실한 낚시용 유동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낚시용 유동자를 회전구의 연결환이 도사환을 감싸쥐는 고리몸체부와, 이 고리몸체부 내주면의 일단에 이어지며 이 내주면의 두께부의 형단조(die forging)에 의한 소성빈형으로 형성된 내향플랜지를 가지며, 도사환이 고리몸체부의 내주면과 내향플랜지의 내면에서 고정되어 감싸지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구성으로 된 것으로, 고리몸체부 내주면 일단의 내향플랜지의 존재에 의해 그 고리몸체부의 중심으로 향해 달아매는 치수이내만큼 고리몸체부의 내경 및 도사환 외경의 여유공차를 들수가 있어서, 각각의 허용치수 오차가 크게되어 가공치수의 정밀도를 완만하게 할수 있으며, 특히 내향플랜지의 내면과 고리몸체부의 내주면에서 도사환을 감싸쥐기 때문에 접작제의 사용으로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 평판, 둥근선재, 각진선재등 어느것을 소재로 했을 경우에라도 최초로 고리 몸체부를 형성하고, 계속해서 형단조에 의해 고리몸체부의 내주면 일단에 상기 내주면 두께의 소성변형으로 내장플랜지를 형성하면 고리몸체부를 성형할 수 있으며 이 내주면과 내향플랜지는 가공경화에 의해 충분한 변형방지 강도를 보유할 수가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고로하여 설명한다.
제1도, 제2도 및 제3도는 낚시지 부착용 도래에 적용한 제1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회전구(1)의 일단에는 판재로 타발(punching) 형성된 연결환(2)이 회전자유롭게 끼워지고, 이 회전구(1)의 타단에는 둥근선재로 절곡형성된 연결환(3)이 마찬가지로 회전자유롭게 끼워져 있다.
연결환(2)은, 도사환(4)을 감싸쥐는 고리몸체부(5)와, 이 고리몸체부(5)의 내주면(6)의 일단(7)에 이어지는 내향플랜지(8)를 가지며, 도사환(4)은 고리몸체부(5)의 내주면(6)과 플랜지(8)의 내면(9)으로 고정 감싸져있다. 이러한 고정은 도사환(4)의 외주면과 고리몸체부(5)의 내주면 및 플랜지(8)의 내면(9) 사이를 접착제로 접착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진다.
연결환(2)의 고리몸체부(5)에 내향플랜지(8)를 형성하는 수단은 제3도에 도시되어 있다.
즉, 최초로 판재로서 연결환 소재(10)를 타발 성형하여 고리 몸체부(11)을 형성한다. 이 고리 몸체부(11)의 외경(R1)은 완성품인 고리몸체부(5)의 외경과 동일하게 되어있으나, 내경(R2)은 고리몸체부(5)의 내경보다 2r만큼 작은 직경으로 되어있으며, 이 고리 몸체부(11)의 내주면(12)의 깊이(r)의 두께가,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플랜지(8)를 형성하는 재료로 된다.
제3도에 실선으로 도시된 고리몸체부(1l)를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고리몸체부(5)와 플랜지(8)에 해당하는 형으로 형단조하고, 재료의 소성변화에 의해 제3도중 부호 13으로 도시된 플랜지로 변형시켜 고리몸체부(11)를 고리몸체부(5)로 하는 것이다.
이 소성변형에 의해 고리몸체부(5)의 내주면(6)과 플랜지(8)는 가공경화에 의해 그 강도가 현저히 높아진다.
제2도 및 제3도에서 분명한 바와같이, 내향 플랜지(8)가 고리몸체부(5)의 중심을 향해 길이()만큼 달아내고 있으므로, 이 길이()범위내에서 고리몸체부(5)의 내경과 도사환(4)의 외경은 서로 여유공차를 갖는 것으로 되며, 만약 여유공차가 최대이어도 고리몸체부(5)와 도사환(4)은 고리몸체부(5)의 내주면(6)과 플랜지(8)의 내면과 도사환(4)의 접착에 의해 강하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가 있다.
제4도, 제5도 및 제6도는 낚시찌부착용 도래에 적용한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회전구(14)에 끼위져 도사환(4)을 감싸쥐는 연결환(15)이 둥근선재의 굴곡에 의해 분할형(split type)으로 형성된 예이며, 연결환(15)은 고리몸체부(16)의 양단이 다리(17)(18)로서 가지런하게 연장되어, 절곡부(19)(20)가 회전구(14)내에 위치되게하여 빠지는일이 없어 회전자유롭게 되어있다.
이 고리몸체부(16)도 내주면(21)의 일단에 내향 플랜지(22)가 형성되며, 고리몸체부(16)의 내주면(21)과 플랜지(22)의 내면(23)으로 도사환(4)이 감싸 쥐어지게되어 접착제로 고정되어있다.
제6도는 둥근선재를 굴곡하여 형성한 고리 몸체부(24)의 내주면(25) 두께부를 형단조에 의한 소성변형에 의해 플랜지(22)로 성형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내주면(25)은 직통면(直筒面)인 내주면(2l)으로 성형되고,이 내주면(21)의 일단에 플랜지(2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은, 제3도에 도시한 실시예의 구성과 아주 동일하다.
소재가 각진선재의 경우에는, 제3도에 도시한 것과 아주 동일하게 성형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구성, 작용의 것으로서, 고리몸체부의 내주면 일단의 내향 플랜지의 존재에 의해 그 고리몸체부의 중심으로 향해 달아내는 치수만큼 고리몸체부의 내경 및 도사환의 외경의 여유공차를 둘수가 있으며 각각 허용치수 오차범위가 크게되어 가공치수 정밀도를 완만하게 할 수 있다.
또 평판 둥근선부재, 각진선부재 어느것이라도 소재로서 성형할 수 있으며, 내향플랜지는 고리몸체부의 내주면 두께의 형단조에 의한 소성변형으로 형성되는 것이므로, 플랜지의 두께를 고리몸체부의 두께에 비해 아주얇게 형성할 수 있어,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고, 고리몸체부의 내주면과 플랜지는 가공경화에 의해 강도를 크게 할수 있으므로 경량임에도 불구하고 충분한 변형방지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여유공차를 크게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고리몸체부의 내주면과 플랜지의 내면에서 도사환을 감싸쥐므로 접작제의 사용에 의해, 도사환의 끼움, 고정작업이 용이하게 되며, 특히 제2실시예에서와 같이 분할 구조로 한 경우에는, 약간 큰 직경의 도사환을 끼워 감싸쥐는 작업을 도사환의 균열등을 동반하는일 없이 간단, 확실하게 행할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Claims (1)

  1. 회전구(1)의 연결환(2)이, 도사환(4)을 감싸쥐는 고리몸체부(5)와, 상기 고리몸체부(5)의 내주면(6) 일단(7)에 이어지며, 상기 내주면(6)의 두께부의 형단조에 의한 소성변형으로 형성된 내향플랜지(8)를 가지며, 도사환(4)이 고리몸체부(5)의 내주면(6)과 내향플랜지(8)의 내면(9)으로 고정, 감싸져 있는 낚시용 유동자.
KR2019900011673U 1989-08-08 1990-08-02 낚시용 유동자(遊動子) Expired KR92000827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9093011U JPH0618461Y2 (ja) 1989-08-08 1989-08-08 釣り用遊動子
JP(U)?1-93011 1989-08-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3817U KR910003817U (ko) 1991-03-18
KR920008276Y1 true KR920008276Y1 (ko) 1992-11-16

Family

ID=14070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1673U Expired KR920008276Y1 (ko) 1989-08-08 1990-08-02 낚시용 유동자(遊動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618461Y2 (ko)
KR (1) KR92000827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5413A1 (ja) * 2018-01-05 2019-07-11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釣り用スイベル
KR102350722B1 (ko) 2020-08-07 2022-01-14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터미널 태클용 연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618461Y2 (ja) 1994-05-18
KR910003817U (ko) 1991-03-18
JPH0331863U (ko) 1991-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079872A (en) A bearing bush and a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aking it
CZ284492A3 (en) Earthing shank-shaped element
JPS6058922U (ja) 軸部材
KR920008276Y1 (ko) 낚시용 유동자(遊動子)
EP0909223B1 (de) Ultraschallwandler mit kontaktglied
US4320984A (en) Arrangement for connecting two structural parts
US5794741A (en) Installation ring for mounting pressurized fluid buffer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for
US4299139A (en) Foot pedal for motor vehicles
CA1105782A (en) Device for securing elements to a tapered shaft
DE4138056C2 (de) Halbleiter-Beschleunigungssensor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JPH0536578Y2 (ko)
DE4002574A1 (de) Tretkurbel mit pedalachse fuer ein fahrrad
JPS6124721Y2 (ko)
JPH0738741U (ja) 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
JPS6246901Y2 (ko)
KR850000011A (ko) 원통체의 제조방법
JPS5829318Y2 (ja) フライホイ−ル
JPS5825811U (ja) 座金付きナツト
US7036624B2 (en) Power steering system
JPS6245017Y2 (ko)
JPS5852151Y2 (ja) ノツク式シヤ−プペンシルの軸継手
JPH023473Y2 (ko)
JPH04107551U (ja) ボ−ルねじのコマ固定構体
CH673879A5 (ko)
JPH042085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00802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00802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2102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3012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3042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3042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507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610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08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810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111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100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41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111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11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15

Year of fee payment: 1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115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