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6943B1 - Apparatus for 110/220 voltage converter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110/220 voltage convert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20006943B1 KR920006943B1 KR1019900007561A KR900007561A KR920006943B1 KR 920006943 B1 KR920006943 B1 KR 920006943B1 KR 1019900007561 A KR1019900007561 A KR 1019900007561A KR 900007561 A KR900007561 A KR 900007561A KR 920006943 B1 KR920006943 B1 KR 92000694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ug
- terminal
- transformer
- automatic switching
- terminal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10—Arrangements incorporating converting means for enabling loads to be operated at will from different kinds of power supplies, e.g. from AC or DC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제1도, 제2도는 절환회로의 원리도.1 and 2 are principle diagrams of a switching circuit.
제3도, 제4도, 제5도는 종래 자동 절환회로도.3, 4 and 5 are conventional automatic switching circuits.
제6도는 종래 자동 절환 회로의 원리를 나타내기 위한 블록 다이어 그램.6 is a block diagram for showing the principle of the conventional automatic switching circuit.
제7도는 본 발명의 플러그의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lug of the present invention.
제8도, 제9도는 본 발명의 플러그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8 and 9 are schematic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plug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0도는 본 발명의 회로 접속도.10 is a circuit connection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1도는 플러그를 분리한 사시도.1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lug removed.
본원의 발명은 110V와 220V의 교류전원에 관계없이 일정전압으로 출력토록 하는 전원 전압자동 절환에 관한 회로 및 장치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circuit and apparatus for automatic switching of power supply voltage to output at a constant voltage irrespective of AC power supply of 110V and 220V.
110V와 220V의 입력전원 선택방식에 관한 이론으로는 대별해서 제1도와 제2도와 같은 원리를 택하고 있다. 제1도는 변압기의 권선상에 중간 탭을 설치하여 110V의 입력시에는 스위치 단자 a, b, c중 c, b를 단락시키고, 220V의 입력시에는 a, c단자를 단락토록 하여 출력단자(out 2, 2')에는 항상 동일 전압이 인가되도록 하는 것이다. 제2도는 배압회로를 이용한 것으로 110V시에는 스위치를 단락함으로써 2배의 증가된 전압을 얻게되고 220V시에는 스위치를 개방함으로써 1배의 전압을 출력토록 하여 출력단자(out 2, 2')에는 동일전압을 얻도록 하는 것이다.As a theory of the input power selection method of 110V and 220V, the same principle as that of FIG. 1 and FIG. 1 shows an intermediate tap provided on the winding of a transformer so that c and b of switch terminals a, b, and c are shorted at 110V input, and a and c terminals are shorted at 220V input. 2, 2 ') to always apply the same voltage. 2 is a back voltage circuit. When 110V, the voltage is doubled by short-circuiting the switch, and when the voltage is 220V, the voltage is doubled by opening the switch and the same is applied to the output terminals (out 2, 2 '). To get the voltage.
그러나, 이러한 회로에는 스위치의 조작, 즉 제1도에서는 a, b, c 접점의 조작과, 제2도에서는 SW 1의 온, 오프를 하여야 하는 불편함과 부주의로 인한 오동작시에는 전기기기에 대한 소송 및 재해를 불러 일으킬 위험마저 갖고 있다. 따라서 이런 문제점을 해결코자 종래에는 제3도(실용신안 공보 87-1201호)와 제4도(실용신안 공보 80-1773호) 및 제5도(실용신안 공보 87-1290호)에 개재된 바와같이 110V와 220V의 입력전원에 관계없이 출력전압이 일정토록 하는 프리볼트 자동절환 회로에 관해서 많은 연구 및 개발이 이루어져 왔다. 이러한 일련의 개발을 대별하여 원리적으로 살펴보면 제6도와 같다고 할 수 있다. 입력부의 입력전압을 110V 인지 22V인지 인식할 수 있는 감지부와 감지된 신호를 증폭시키는 스위칭 구동부 및 증폭된 신호를 스위칭 소자(릴레이 및 사이리스터등)로 이루어지는 스위칭부로 이루어진다.However, such a circuit includes an operation of a switch, that is, a, b, and c contacts in FIG. 1, and SW 1 in FIG. 2 on and off. It even has the risk of causing litigation and disasters.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conventionally disclosed in FIGS. Likewise, many researches and developments have been made on the prevolt automatic switching circuit in which the output voltage is constant regardless of the input power of 110V and 220V. In principle, such a series of developments can be seen in FIG. A sensing unit for recognizing whether the input voltage of the input unit is 110V or 22V, a switching driver for amplifying the sensed signal, and a switching unit including the amplified signal includes switching elements (relays and thyristors, etc.).
이러한 종래의 자동전환 회로에서는 상당히 복잡한 전기적인 구성을 갖추게 되고, 소자의 결함에 의해 오동작시에는 퓨우즈 외에는 방지장치가 존재하지 않아 상당한 위험이 내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에 착안하여 개발된 것이다.In such a conventional automatic switching circuit, a fairly complicated electrical configuration is provided, and there is a significant risk inherent due to the defect of the device because there is no preventive device except a fuse when malfunctioning.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eloped with this problem in mind.
본 발명은 전지적 감지부를 플러그자체로 대체하고, 플러그 단자를 스위치로 대신 이용함으로써 어떠한 오동작도 방지하고, 전기적 감지 신호에만 의존하던 것을 플러그 자체를 개선함으로써 기계적으로 해결함으로써 부품수를 대폭 줄일 수 있어 원가절감과 신뢰성을 향상토록한 것이다. 본원의 입력부는 제7도에서 예시되는 플러그로 이루어진다. 제7도의 플러그는 제8도와 제9도와 같이 동작된다. 플러그는 2개의 110V용 단자(1-1')와 220V용 단자(2-2')가 플러그 저면에 설치되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any malfunction by replacing the battery sensing unit with the plug itself, and using the plug terminal instead of the switch, and mechanically solves the problem by relying on the electrical sensing signal alone, there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It is to improve the savings and reliability. The input sec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consists of the plug illustrated in FIG. The plug of FIG. 7 operates as shown in FIG. 8 and FIG. The plug is provided with two 110V terminals 1-1 'and a 220V terminal 2-2' at the bottom of the plug.
이 플러그 단자중 110V 단자하나는 220V의 단자하나와 플러그 내부의 U자형 관통홈(4)로 연결되어져 있고, 단자와 단자 사이에는 절연물질의 베어링(9)으로 채워져 있다. 이 플러그의 동작을 설명하면 220V용 콘센트 단자에 플러그를 삽입코자 하면 1와 1'의 110V 플러그 단자가 콘센트 외부막(10)에 의해 저지된 상태에서 a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220V용 플러그 단자가 삽입되게 한다. 110V 사용시에는 반대의 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이와같이 플러그를 꽂을 때 이미 110V와 220V 판별이 된다.One 110V terminal of this plug terminal is connected to one 220V terminal and U-shaped through groove 4 inside the plug, and is filled with a bearing 9 of insulating material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terminal. When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is plug, if you want to insert the plug into the 220V outlet terminal, if the 110V plug terminals of 1 and 1 'are applied by the a direction while being blocked by the outlet
제8도에서 110V용 플러그가 콘센트의 외부막 10에 의해서 밀리면 이 힘이 그대로 베어링 9에 전달되고 이 베어링은 220V용 플러그 단자 2를 밀게되므로 콘센트의 고정단자 11에 삽입하게 된다. 관통홈의 끝에는 걸림턱 16이 설치되어 있어 플러그의 이탈을 방지한다. 걸림턱 16의 위에는 도전체의 금속단자 5'가 안착되어 있어 플러그를 통하여 유입된 전류를 도전수단 5와 나사 또는 그외에 고정수단에 의해서 지지되는 변압기의 단자선 6을 통하여 전류를 도통 시킨다.In FIG. 8, when the 110V plug is pushed by the
이와같이 플러그에서 입력된 전압은 제10도와 같은 전기적 회로를 통해 부하에 공급된다.In this way, the voltage input from the plug is supplied to the load through an electrical circuit as shown in FIG.
일조의 110V단자 1'와 220V단자 2'는 단락되어 있고, 다른 220V단자 2는 변압기 1차측의 시작부에서 접촉과 분리될 수 있게 하고, 다른 110V단자 1은 변압기 1차측 권선의 중간부에서 접촉과 분리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set of
220V 사용시에는 플러그 단자 2, 2'가 콘센트단자 11에 접속되면 110V의 플러그 단자 1, 1'는 콘센트단자와는 분리된다. 이 상태에서 플러그 단자 2, 2'는 걸림턱 16에 안착되어 있는 금속단자 5'와 단락되고, 이 공급전류는 제10도의 a, d단자를 통하여 공급된다.When using 220V, when the
이와 반대로 110V 사용시에는 110V플러그 단자가 콘센트에 접속되면, 220V의 플러그는 콘센트의 단자와는 분리되고, 이때 금속단자 5'는 110 플러그와 단락된 상태이므로 전원은 제10도의 b, d의 단자를 통하여 공급되게 된다. 플러그는 상단부 3'와 하단부 3으로 분리되어 있고, 나사홈 3"에 의해서 나사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하단부 3의 윗면은 변압기로부터 인출되는 선 6을 고정하고, 연결시킬 수 있는 고정수단 7(제11도의 12, 13, 14, 15)이 설치되어 있다. 이 중에서 110V와 220V 단자중 하나씩은 제11도의 8과 같이 단락되어 있고, 다른 단자들은 각각의 선으로 인출되어 변압기에 연결된다.On the contrary, when 110V is used, when the 110V plug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outlet, the 220V plug is disconnected from the outlet. At this time, since the metal terminal 5 'is short-circuited with the 110 plug, the power supply is connected to the terminals b and d in FIG. It is supplied through. The plug is separated into an upper end 3 'and a
이와같이 본 발명은 특별한 전기적 감지부 및 스위칭부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견고하고 고장이 없게되고, 염가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변압기와 플러그를 일체로 한 어댑터구조 및 이와같은 어댑터를 이용한 충전기등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a special electrical sensing unit and switching unit, so that the structure is robust, trouble-free, and can be manufactured at low cos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embodiment. The adapter structure in which the transformer and the plug are integrated, and the charger using the adapter can be used in various applications.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00007561A KR920006943B1 (en) | 1990-05-25 | 1990-05-25 | Apparatus for 110/220 voltage convert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00007561A KR920006943B1 (en) | 1990-05-25 | 1990-05-25 | Apparatus for 110/220 voltage convert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10020995A KR910020995A (en) | 1991-12-20 |
KR920006943B1 true KR920006943B1 (en) | 1992-08-22 |
Family
ID=19299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00007561A Expired KR920006943B1 (en) | 1990-05-25 | 1990-05-25 | Apparatus for 110/220 voltage convert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20006943B1 (en) |
-
1990
- 1990-05-25 KR KR1019900007561A patent/KR920006943B1/en not_active Expir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10020995A (en) | 1991-12-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995017A (en) | Safety power receptacle | |
US4647120A (en) | Electrical safety plug connection | |
RO118502B1 (en) | Detector for monitoring the integrity of a grounding connetion of an electrical appliance | |
US7021950B2 (en) |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electric arcs in connectors feeding power loads and connector used | |
CA2351879A1 (en) | Compact fused disconnect switch | |
US4829289A (en) | Static grounding and monitoring accessory | |
MY110957A (en) | Electric connector terminal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 |
US4155082A (en) | Electrical connectors including power failure warning means | |
US4607209A (en) | Safety booster cable | |
US5266042A (en) | Electrical jack and patch plug assembly | |
KR920006943B1 (en) | Apparatus for 110/220 voltage converter | |
US1001035A (en) | Terminal block for high-tension apparatus. | |
US4801279A (en) | Shape memory alloy spring connection asssembly | |
US3407336A (en) | Electronic ground-absence detector and protective device | |
US5040995A (en) | Adapter card for multiterminal panel controls | |
KR100328164B1 (en) | Power back | |
JPH0787691A (en) | Non-connected feeder system | |
US4371829A (en) | Capacitor unit with a discharge resistor switch | |
EP0542344A3 (en) | ||
EP0112311B1 (en) | A method for accomplishing a time relay function, and a device for utilization of the method | |
EP0329974B1 (en) | Electrical safety socket | |
US4059773A (en) | Switch controlled power receptacle system | |
CN217468838U (en) | Wiring terminal device | |
WO1993009584A1 (en) | Open circuit monitor | |
US455559A (en) | Henry price bal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PG1605 |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1995082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19950823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