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20006207Y1 - 전화기의 자동수신 상태 전환회로 - Google Patents

전화기의 자동수신 상태 전환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6207Y1
KR920006207Y1 KR2019890021098U KR890021098U KR920006207Y1 KR 920006207 Y1 KR920006207 Y1 KR 920006207Y1 KR 2019890021098 U KR2019890021098 U KR 2019890021098U KR 890021098 U KR890021098 U KR 890021098U KR 920006207 Y1 KR920006207 Y1 KR 9200062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elephone
timer
turned
st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210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3325U (ko
Inventor
김영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900210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6207Y1/ko
Publication of KR9100133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332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62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6207Y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82Line monitoring circuits for call progress or status discrimin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04M1/06Hooks; Crad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18Compa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화기의 자동수신 상태 전환회로
제 1 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전화기의 개략도.
제 2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화기의 자동수신 상태전환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벨신호회로 HS1, HS2 : 훅크스위치
3 : 송화기 4 : 수화기
12 : 증폭기 15 : 비교기
19 : 타이머 21∼23 : 실리콘제어정류기
23, 30 : 인버터
본 고안은 전화기의 송, 수화기가 본체위에 정확히 올려져 있지 않을때에도 전화벨소리를 용이하게 수신하기 위한 전화기의 자동수신상태 전환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화기의 전화기의 핸드셋(Handset : 송수화기)을 어린이의 장난이나, 심야 통화후 전화기 본체에 잘못 올려놓았을 경우 외부에서 걸려오는 전화를 수신할 수 없었던바, 이에대해 제1도를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제1도는 종래의 일반적인 전화기의 개략도로서, 송수화기(도시하지 않았음)가 정위치에 있을경우(전화기 본체 위에 올려져 있을 경우) 후크스위치(HS1, HS2)는 오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외부로 부터 전화신호(TIP, RING)가 입력될 경우 벨신호 회로(1)가 동작하여 소정의 벨신호가 발생하게 되는바, 사용자가 송수화기를 들게되면 후크 스위치(HS1,SH2)가 모두 온된다. 후크스위치(HS1,HS2)가 온되면, 벨소리는 중단되고, 전화신호는 저항(2)을 통해 사용자의 수화기(4)에 전달되고, 사용자가 말하는 음성신호는 송화기(3)에서 후크스위치(HS2)를 경유하여 상대방으로 전송된다.
만약에 사용자가 상대방과의 통화를 완료한 후 송,수화기를 전화기 본체에 올려 놓았을 경우 후크스위치(HS1,HS2)는 다시 오프되어 외부에서 걸려오는 전화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로 대기하게 된다.
그러나, 제1도에 도시한 전화기 회로에 있어서, 상대방과 통화를 하고난 후에 송수화기를 전화기 본체에 올려놓지 않았거나, 어린이가 송, 수화기를 건드려서 송수화기가 전화기 본체에 정확하게 위치되어 있지 않을경우 후크스위치(HS1, HS2)는 온상태를 유지하므로 외부에서 걸려오는 전화를 수신할 수가 없는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전화기의 상태를 자동으로 체크하여 핸드셋의 위치에 관계없이 전천후 수신이 가능토록하여 사용자의 편리함을 제공하기 위한 전화기의 자동수신 상태 전환회로를 제공하는테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화선을 통해 입력되는 전화신호를 후크스위치에 의해 송, 수화기와 벨 신호회로에 선택적으로 공급토록한 전화기에 있어서, 수화기에 인가되는 전압신호를 검출하여 이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기와, 증폭된 신호를 기준전압 신호와 비교하여 증폭기로 부터 증폭된 신호가 기준전압 신호보다 낮을 경우에는 제1신호를 출력하고, 증폭신호가 기준전압신호 보다 높을 경우에는 제2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비교기와, 상기의 제1및 제2신호에 의해 소정의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타이머와, 송수화기가 내려져 있을경우(후크스위치가 온상태에 있을경우) 상기의 제어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전화기를 수신대기 상태로 하는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실리콘제어정류기와 인버터로된 전자스위치와, 수신대기 상태시 벨 신호회로를 구동시키기 위한 또다른 실리콘제어정류기로 구성시켜서 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화기의 자동수신 상태 전환회로도인바, 제2도중 제1도와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부품을 표시한다.
우선, 사용자가 송수화기(3,4)를 들고서 상대방과 통화를 했을경우 후크스위치(HS1)는 온(ON)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대방과 통화를 완료한 후 송, 수화(3,4)를 전화기 본체(도시하지 않았음)에 올려놓지 않았거나 어린이의 장난으로 송,수화기(3,4)가 전화기 본체에서 내려놓았을 경우 수화기(4)에 인가되는 신호가 없게되는바, 정류용 다이오드(10)와 저항(11)을 통해 중폭기(12)에 인가되는 신호는 없게 되므로 저항(11,13,14)과 증폭기(12)에 의해 증폭되는 신호는 없게 된다. 이때 비교기(15)는 그의 비반전 입력 단자에 연결된 제너다이오드(16)에 의한 기준전압과 그의 반전입력단자에 입력되는 증폭기(12)의 출력신호를 비교하는바, 증폭기(12)에서 출력된 신호가 없으므로 비교기(15)의 출력은 하이상태가 된다.
이렇게 발생된 비교기(15)의 출력은 다이오드(17)에 의해 정류된 뒤 후크스위치(HS1)와 인동하는 스위치(18)를 경유하여 타이머(19)의 입력단자(IN)에 인가된다. 이때 타이머(19)는 그의 입력단자(IN)에 인가되는 전압이 하이상태이므로 그의 출력단자(OUT)를 통해 하이상태의 제어신호를 소정의 시간동안 출력시켜 다이오드(20)를 경유하여 전자스위치(200)를 구성하는 실리콘 제어정류기(21,22)의 게이트 단자에 인가함과 동시에 또다른 실리콘 제어정류기(23)의 게이트 단자에 인가한다. 여기에서 실리콘 제어정류기(22)의 게이트에는 인버터(30)를 경유한 신호가 인가된다.
타이머(19)로 부터 하이상태의 신호가 소정의 시간(이 시간은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조정할 수 있다)동안 발생될 경우, 실리콘 제어정류기(21)는 그의 게이트에 하이신호가 인가되므로 턴온되는 반면 실리콘 제어정류기(22)의 게이트에는 인버터(30)를 통과한 로우상태의 신호가 인가되므로 실리콘 제어정류기(22)는 오프된다. 따라서, 실리콘 제어정류기(21)가 턴온됨에 따라 수화기(4)는 외부전화 수신대기 상태가 된다.
또한, 타이머(19)에서 발생된 하이상태의 신호는 실리콘 제어정류기(23)의 게이트 단자에 인가되어 실리콘제어정류기(23)를 턴온시키도록 한다. 만약에 송, 수화기가 장시간동안(즉 타이머(19)의 출력이 하이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본체로 부터 내려져 있는 상태에서 상대방으로 부터 전화신호가 전화 라인을 통해 입력될 경우 실리콘 제어정류기(23)가 턴온되므로 벨 신호회로(1)에는 신호가 인가되어 벨 신호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후크스위치(HS1)는 온 상태를 유지하므로 전화신호는 후크스워치(HS1)를 통해 실리콘 제어정류기(21)에 인가되는바, 실리콘 제어정류기(21)는 그의 게이트 단자에 타이머(19)에서 발생된 하이상태의 신호가 인가되어 있으므로 턴온된다. 따라서 송, 수화기를 본체로부터 들지 않더라도 수화기(3)를 통해 상대방의 음성이 들리게 된다.
상대방으로 부터의 음성이 수화기(3)를 통해 외부로 전달될 경우 A점에서는 아날로그 신호가 검출되는바,이 신호는 다이오드(10)를 통해 증폭기(12)에 인가된다.
이때 증폭기(12)는 입력된 신호를 증폭하여 비교기(15)에 인가하게 된다. 그러면 비교기(15)는 그의 반전입력단자에 인가되는 신호가 비반전 입력단에 의한 기준전압신호 보다 크므로 로우상태의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때 다이오드(17)는 동작을 하지 않게 되므로 타이머(19)의 입력단자(IN)에는 로우상태의 신호가 인가되고, 인버터(24)는 로우상태의 신호를 하이상태로 반전시켜 타이머(19)를 리셋시키는 리셋신호(RESET)를 그의 리셋단자(RST)에 인가하여 타이머(19)를 초기상태로 리셋시킨다.
타이머(19)가 리셋되면, 타이머(19)의 출력단자(OUT)에서는 로우상태의 신호가 발생되므로 실리콘 제어정류기(23)의 게이트 단자에 로우상태가 인가되어 실리콘 제어정류기(23)는 오프된다. 실리콘 제어정류기(23)가 오프됨에 따라 벨 신호회로(1)의 동작이 정지되어 벨 신호는 울리지 않게된다.
또한 로우상태의 신호가 실리콘제어정류기(21)의 게이트 단자에 인가되므로 실리콘 제어정류기(21)는 턴오프되는 반면, 실리콘 제어정류기(22)의 게이트 단자에는 인버터(30)를 경유한 하이상태의 신호가 인가되므로 실리콘 제어정류기(22)가 턴온된다. 실리콘 제어정류기(22)가 턴온됨에 따라 상대방과 사용자간의 통화에는 지장이 없게 된다.
한편, 타이머(19)의 출력이 자동으로 오프되기 전에 사용자가 송,수화기를 전화기 본체에 원위치시킬 경우 후크스위치(HS1)는 접점(OFF)에 위치되어 상대방으로 부터 걸리오는 전화 벨 소리를 수신할 수 있도록 된다.
그리고, 후크스위치(HS1)와 인동하는 스위치(18)가 오프되므로 타이머(19)의 입력단자에는 어떠한 신호도 인가되지 않게되어 타이머(19)의 출력은 오픈(Open)된다. 따라서 실리콘 제어정류기(21-23)는 동작하지 않게되므로 이 경우에는 통상의 전화기의 수신 대기상태와 동일한 수신모드로서 동작하게 된다.
결국, 사용자가 송수화기를 전화기 본체로부터 내려놓았을 경우(HS1이 온되는 경우), 타이머(19)에서 발생된 하이상태의 신호가 실리콘 제어정류기(21)에 인가됨과 동시에 실리콘 제어정류기(23)에도 인가되는바, 만약에 이러한 상태에서 외부로 부터 전화신호가 입력되면 실리콘 제어정류기(23)가 턴온되어 벨 신호회로(1)가 동작하므로 기계적인 후크스위치(HS1)를 누르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실리콘 제어정류기(21)가 동작하게 되므로 상대방의 음성은 수화기(3)에 전달된다. 이때 비교기(15)는 로우상태의 신호를 발생시켜 타이머(19)를 리셋시키므로 타이머(19)의 출력은 로우상태가 되어 실리콘 제어정류기(23)가 오프되므로 벨소리를 더이상 울리지 않게 되지만, 실리콘 제어정류기(22)가 동작하게 되어 상내방의 통화에는 영향을 주지않게 된다.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송수화기가 전화기 본체에 얹혀져 있지 않을경우 타이머(19)의 출력이 하이가 되는 시간구간을 적절히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이러한 시간은 송, 수화기가 내려져 있을경우 충분한 시간동안 자동으로 수신대기 상태를 수행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동작하는 본 고안은 송수화기의 놓는 위치에 관계없이 전천후 수신이 가능하므로 필요에 따라서는 송수화기를 임의로 놓아두고 차후에 원위치시킬 수도 있으므로 사용이 펀리하며, 타이머가 동작해서 제어신호를 방출하기 전에 상대방에서 확인 음성을 한마디라도 내면 타이머가 리셋되므로 계속 통화할 수 있는 특징을 지닌 것이다.

Claims (1)

  1. 전화선(TIP, RING)울 통해 입력되는 전화신호를 후크스위치(HS1, HS2)에 의해 송, 수화기와 벨신호 회로(1)에 선택적으로 공급토록한 전화기의 자동수신 상태전환 회로에 있어서, 상기의 수화기에 인가되는 전압신호를 검출하여 이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기(12)와, 증폭된 신호를 기준전압 신호와 비교하여 상기의 증폭기(12)로부터 중폭된 신호가 기준전압 신호보다 낮을 경우에는 제1신호를 출력하고, 증폭된 신호가 기준전압신호 보다높은 경우에는 제2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비교기(15)와, 상기의 제1및 제2신호에 의해 소정의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타이머(19)와, 상기의 송, 수화기가 내려져 있을경우 상기의 제어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전화기를 수신대기 상태로하는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실리콘 제어정류기(21,22)와 인버터(30)로 된 전자스위치(200), 및 수신대기 상태시 상기의 벨신호(1)회로를 구동시키기 위한 실리콘 제어정류기(23)로 구성시켜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의 자동수신 상태 전환회로.
KR2019890021098U 1989-12-30 1989-12-30 전화기의 자동수신 상태 전환회로 Expired KR9200062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21098U KR920006207Y1 (ko) 1989-12-30 1989-12-30 전화기의 자동수신 상태 전환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21098U KR920006207Y1 (ko) 1989-12-30 1989-12-30 전화기의 자동수신 상태 전환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3325U KR910013325U (ko) 1991-07-30
KR920006207Y1 true KR920006207Y1 (ko) 1992-09-17

Family

ID=19294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21098U Expired KR920006207Y1 (ko) 1989-12-30 1989-12-30 전화기의 자동수신 상태 전환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620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3325U (ko) 1991-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2875A (ko) 스피커 폰의 통화로 자동 형성 전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920006207Y1 (ko) 전화기의 자동수신 상태 전환회로
JP2504156Y2 (ja) 電話装置
KR920022736A (ko) 핸드 프리작동의 유무선 전화기
JP4328186B2 (ja) インターホン装置
JPH057909B2 (ko)
KR910003946B1 (ko) 인터폰 시스템의 상호국선 전환회로
DE3778283D1 (de) Anrufeinrichtungen.
KR940005231Y1 (ko) 무선전화기의 호출신호오동작방지회로
KR900001134B1 (ko) 안전기능이 있는 인터폰 장치
KR920008756B1 (ko) 송수화기 위치에 관계없이 착신가능한 전화경고 장치 및 방법
JPH0358223B2 (ko)
KR960009513A (ko) 자동 착신 스피커폰 전환기
KR950010383Y1 (ko) 전화착신음량 자동조절 회로
KR950010378Y1 (ko) 키폰 전화기의 외부 경보장치 접속회로
JPS61140261A (ja) 電話装置
KR940008325A (ko) 키폰 시스팀과 일반전화기 또는 무선 전화기와의 접속 장치
KR19990001248U (ko) 전화단말기의 자동 온훅 장치
JPS62266928A (ja) 無線通話装置
GB2282939A (en) Circuit for control of peripheral equipment of wireless communication appliance
KR970012660A (ko) 호출기능이 구비된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장치 및 호출방법
JPH062844U (ja) 電話装置
KR19980078297A (ko) 전화단말기에서 통화시 볼륨 제어장치 및 방법
JPS61201555A (ja) 電子ボタン電話装置
KR930011525A (ko) 자동 수신 전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891230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891230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20528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20806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2121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3030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3030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508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608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1231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612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