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20005978Y1 - 안전벨트 고정지지구 - Google Patents

안전벨트 고정지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5978Y1
KR920005978Y1 KR2019900013835U KR900013835U KR920005978Y1 KR 920005978 Y1 KR920005978 Y1 KR 920005978Y1 KR 2019900013835 U KR2019900013835 U KR 2019900013835U KR 900013835 U KR900013835 U KR 900013835U KR 920005978 Y1 KR920005978 Y1 KR 9200059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elt
fixing support
support
belt
belt fix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38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6259U (ko
Inventor
유대형
Original Assignee
유대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대형 filed Critical 유대형
Priority to KR20199000138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5978Y1/ko
Publication of KR9200062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625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59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5978Y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19Anchoring devices with means for reducing belt tension during use under normal cond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안전벨트 고정지지구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 및 제3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 예시 단면도.
제4도는 고정편의 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안전밸트 고정지지구 2 : 뚜껑
3 : 몸체 4 : 방향제
5 : 수납부 6 : 구멍
7, 7' : 밀대 8, 8' : 보튼
9 : 고정편 9', 9" : 경사면
10, 10' : 돌기 11, 11' : 지지편
12, 12' : 스프링 13, 13' : 스프링 수납홈
14 : 밸트안출구 15 : 밑판
16 : 나사
본 고안은 안전벨트 고정지지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고안의 안전밸트 고정지지구를 안전밸트에 설치하여, 안전밸트 착용시 이 고정지지구의 양측에 형성된 보튼을 눌러 지지구를 유동시킬수 있게 한후 안전밸트를 승차자의 체형에맞는 상태에서 약간 느슨한 느낌(약 가슴에서 주먹 한개 정도 들어갈 공간)의 위치에 지지구를 설치하여 주므로, 안전밸트 착용에 대한 거부감이 없이 항상 안전벨트를 착용할수 있는 것이다.
종래에는 승차자들이 안전밸트 착용시, 롤케이스의 스프링탄성에 의하여 안전벨트가 승차자의 가슴 및 허리부분을 계속해서 압박하므로 착용감이 매우 안 좋았으며, 장시간 착용시 상당한 피로감으로 인하여 승차자들이 안전밸트를 착용하지 않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였고 또한, 안전벨트를 착용한 상태에서는 후진하는 방향을 쳐다보기 어렵기 때문에, 착용한 안전밸트를 푼후 후진하는 방향을 쳐다 보면서 후진한 후, 다시 안전밸트를 착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현재에는 안전밸트를 착용하더라도 삼각고정구 앞쪽에 여러개의 집게를 사용하여 밸트를 느슨하게 사용하므로 미관상 보기 안좋은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안전벨트에 본 고안을 설치하여 승차자들이 거부감없이 항상 안전밸트를 착용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으로써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은 안전밸트 고정지지구이다.
이 안전밸트 고정지지구(1)는 상, 중, 하로 구분되는데 중간부의 몸체(3)와 나사식으로 결합되는 상측의 뚜껑(2)내에는 방향제(4)를 수납할수 있는 수납부(5)를 형성하고 상면에는 다수개의 구멍(6)을 천공하였다. 중간부의 몸체(3)양측면에는 밀대(7) (7')를 일체로 형성한 보튼(8) (8')를 설치하였고 밀대(7) (7')에 의하여 상하운동하는 고정편(9)의 양측에는 경사면(9') (9")을 형성하고 저면에는 다수개의 돌기(10)를 형성하였으며 중앙부측에 절개에 의해 형성된 지지편(11) (11')에는 스프링(12) (12')을 용접등에 의해 고정시켜 스프링수납홈(13) (13')내에 설치하여 구성하였고 양측면에는 밸트안출구(14)를 관통되게 형성하였다. 그리고 중앙내측에는 다구개의 돌기(10')을 형성한 밑판(15)은 나사(16)로서 중간부의 몸체(3)와 결합하여 구성한 것이다.
미설명 부호 20은 안전밸트 21은 승차자 22는 삼각고정구 23은 롤케이스이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안전밸트 고정지지구(1)의 밑판(15)에 체결된 나사(16)를 풀러 몸체(3)로부터 분리시킨후 관통된 밸트안출구(14)에 안전밸트(20)를 삽입시키고 다시 밑판(15)을 몸체(3)와 결합시킨후 나사(16)로 고정시킨다. 이렇게 밸트(20)에 설치된 지지구(1)의 사용상태를 지지구(1)의 양측면에 설치된 보튼(8) (8')을 누르면 보튼(8) (8')에 일체로 형성된 밀대(7) (7')가 고정편(9)의 양측에 형성된 경사면(9') (9")을 밀어주므로서 고정편(9)이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안전벨트(20)에 고정되었던 지지구(1)가 밸트(20)를 따라 위, 아래로 움직일 수 있는 것이다.
승차자(21)의 체형에 맞는 상태에서 안전밸트(20)를 착용하면 유동되는 안전밸트 고정지지구(1)는 제5도에 표현된 바와같이 삼각고정구(22)와 근접된 위치에서 양측을 누르고 있던 보튼(8) (8')으로 부터 손가각을 떼면 수축되었던 스프링(12) (12')의 탄성에 의하여 고정편(9)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면서 안전밸트(20)에 고정되는데, 이때 고정편(9)의 저면에 다수개 형성된 돌기(10)와 밑판(15)의 내측에 형성된 다수개의 돌기(10')에 의하여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원상태로 복귀되는 고정편(9)의 양측 경사면(9') (9")을 누르고 있던 밀대(7) (7')를 밀어 보튼(8) (8')을 원상태로 복귀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고정지지구(1)에 내설된 방향제(4)에 의하여 항상 상쾌한 실내를 유지시킬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안전밸트를 승차자의 체형에 맞는 위치에서 약간 느슨한 상태로 착용할 수 있게하여, 안전밸트 착용에 대한 거부감없이 항상 안전밸트를 작용할 수 있게 함으로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수 있는 매우 실용적인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내측에 방향제(4)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5)를 형성하고, 상면에는 다수개의 구멍(6)이 천공된 뚜껑(2)을 밸트안출구(14)가 관통되게 형성된 양측면에 밀대(7) (7')를 일체로 형성한 보튼(8) (8')을 설치하고, 밀대(7) (7')에 의해 상, 하운동하는 고정편(9)의 양측에는 경사면(9') (9")을 형성하고, 저면에는 다수개의 돌기(10)를 형성하였으며, 중앙부측에는 절개에 의해 형성된 지지편(11) (11')에 스프링(12) (12')을 설치하여 스프링스납홈(13) (13')내에 설치한 몸체(3)의 상부에 나사식으로 결합하였고, 몸체(3)의 저면부에는 중앙내츨에 다수개의 돌기(10')를 형성한 밑판(15)을 나사(16)로서 결합하여 구성된 안전밸트 고정지지구(1)를 안전밸트에 고정 설치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밸트 고정지지구.
KR2019900013835U 1990-09-06 1990-09-06 안전벨트 고정지지구 Expired KR9200059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3835U KR920005978Y1 (ko) 1990-09-06 1990-09-06 안전벨트 고정지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3835U KR920005978Y1 (ko) 1990-09-06 1990-09-06 안전벨트 고정지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6259U KR920006259U (ko) 1992-04-21
KR920005978Y1 true KR920005978Y1 (ko) 1992-08-27

Family

ID=19303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3835U Expired KR920005978Y1 (ko) 1990-09-06 1990-09-06 안전벨트 고정지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597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2966A (ko) * 2020-09-28 2022-04-05 박상욱 안전벨트 버클에 장착하는 차량용 방향제 키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2966A (ko) * 2020-09-28 2022-04-05 박상욱 안전벨트 버클에 장착하는 차량용 방향제 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6259U (ko) 1992-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62383A (en) Apparatus for attaching fabric to a chair frame
USD244978S (en) Chair
USD411395S (en) Chair
USD275242S (en) Stool
PL324744A1 (en) Sliding curtain-hanges carrying section of a shower curtain-rod
USD304779S (en) Auto seat belt buckle boot
USD305389S (en) Chair
USD248432S (en) Chair or similar article
KR920005978Y1 (ko) 안전벨트 고정지지구
USD319564S (en) Fabric shaver with cover
USD328940S (en) Playground padded sloped walkway and an enclosing structure
USD330755S (en) Combined toilet seat and cover
USD280578S (en) Adjustable booster seat
USD325842S (en) Seat cover
USD402045S (en) U-shape step stool
USD330412S (en) Combined toilet seat and cover
USD351021S (en) Safety restraint for a toilet seat cover
USD398080S (en) Child restraint
USD347528S (en) Baby stool with cover
JP4185621B2 (ja) 椅子の肘掛け装置
USD260065S (en) Combined seat and backrest unit
USD278286S (en) Chair
USD356635S (en) Combination adult and child toilet seat and cover
USD333380S (en) Child safety seat belt
USD331209S (en) Walker with a se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00906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00906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2073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2112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U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