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20005731Y1 - 분체 혼합장치 - Google Patents

분체 혼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5731Y1
KR920005731Y1 KR2019900013375U KR900013375U KR920005731Y1 KR 920005731 Y1 KR920005731 Y1 KR 920005731Y1 KR 2019900013375 U KR2019900013375 U KR 2019900013375U KR 900013375 U KR900013375 U KR 900013375U KR 920005731 Y1 KR920005731 Y1 KR 9200057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l gear
powder
container
powder mix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33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4064U (ko
Inventor
박일자
Original Assignee
삼성전관 주식회사
김정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관 주식회사, 김정배 filed Critical 삼성전관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000133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5731Y1/ko
Publication of KR9200040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406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57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573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60Mixing solids with so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95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stirrers having planetary motion, i.e. rotating about their own axis and about a sun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9/00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 B01F29/90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with stirrers having planetary mo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And Mixers With Vibration Mechanisms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분체 혼합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주요부 확대도.
제3도는 종래의 분체 혼합장치에 관한 일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체 2 : 분체혼합부
3 : 교반부 5 : 용기회전부
11 : 동력전달축 12,13 : 전달축
21 : 베어링 22 : 회전용기
23 : 분체용기 31 : 케이싱
34 : 체인 36 : 제1 구동베벨기어
38 : 제1 공전베벨기어 39 : 제1 종동베벨기어
41 : 태앙피니온 42,43 : 1쌍의 유성기어
44,45 : 대향축 46,47 : 자유계수
48,49 : 교반봉 51 : 중심축
52 : 제2 공전베벨기어 53 : 제2 종동베벨기어
54 : 전달 베벨기어 55 : 전달축
56 : 모우터 57 : 제2 구동베벨기어
본 고안은 분체혼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분체의 혼합은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하기 위한 전처리로 행해지는 작업으로서 원료의 배합이나 제품의 균질화를 위하여 행하는 공정을 의미한다.
분체의 혼합은 형광체를 제조함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공정이 되는 것이며, 형광체는 밀도가 다른 다성 분계를 혼합처리하여 얻어지는 분체를 소성하여 만드는 것이므로 원하는 입자형상이나 제품의 균질성은 거의 분체혼합의 균질성에 좌우하게 된다.
분체 혼합의 균질성은 분체 혼합장치의 구조적 측면에 따라 그 질이 달라지게 된다.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분체 혼합장치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몸체(A)에 1쌍의 출입구(B)가 달린 V형 용기를 회전축(C) 상에 축방향으로 부착시킨 구조로 되어 있어서 분체는 회전축(C)이 회전할 때 가해지는 원심력에 의해 출입구(B) 측으로만 쏠려 균질한혼합이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다.
특히, 밀도가 다른 물질을 혼합하려면 적당한 물리력을 가해 주는 것이 효율적인데도 상술한 종래의 분체혼합장치는 이에 관한 배려가 전혀 없어서 작업의 효율성도 낮은 결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분체에 물리적 외력을 가하면서 혼합시킬 수 있게 구성한 분체 혼합장치를 제공하여 다성분계의 혼합에 관한 효율성의 증대와 혼합 균질성의 향상을 도모함에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분체용기의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교반 혼합하는 적어도 1쌍의 교반봉이 상기한 분체용기의 내측부로 포함되는 일정의 궤적에 따라 위치 이동하면서 자전하여 내용물을 균질하게 혼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 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로서, 기체(1)의 중앙에는 분체혼합부(2)가 설치되어 있고, 그 상측과 하측에는 각각 교반부(3)와 용기회전부(5)가 배치되어 있다.
기체(1)의 내부에는 동력전달축(11)이 수직설치되어 있고, 이 동력전달축(11)의 상부에는 스프로켓(12)이, 그리고 하부에는 최종베벨기어(13)가 고정 부착되어 있다.
상기한 기체(1)의 중앙에 위치하는 분체혼합부(2)에는 베어링(2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용기(22)의 내측으로 분체용기(23)가 착탈가능하게 안치된다.
또 분체혼합부(2)의 상측에 위치하는 교반부(3)는 원통상 케이싱(31)에 의해 보호되어 있으며, 이 케이싱(31)의 외주는 베어링(32)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케이싱(31)의 상축에는 구동축(33)이 설치되어서 그 하단이 케이싱(31)의 내부로 관통 연장되어 있다.
상기한 구동축(33)은 케이싱(3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어서 이 구동축(33)의 회전력은 케이싱(31)으로 전달되지 않는다.
또한 구동축(33)에는 상술한 동력전달축(11)의 스프로켓(12)에서 체인(34)을 개재하여 동력 연결된 종동스프로켓(35)이 고정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케이싱(31)의 내부로 관통 연장된 하단부에는 제1 구동베벨기어(36)가 부착되어 있다.
한편, 케이싱(31)의 내부에는 공전축(37)이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이 공전축(37) 상에 설치된 제1 공전베벨기어(38)는 상기한 제1 구동베벨기어(36)와 치차연결되어 있다.
또 제1 공전베벨기어(38)에는 제1 구동베벨기어(36)외에도 제1종동베벨기어(39)가 치차 연결되어 있으며, 이 제1 종동베벨기어(39)를 지지하는 종동축(40) 상에는 태양피니온(41)이 설치되어 있다.
태양피니온(41)의 외주 양측에는 유성피니온(42)(43)이 치차 연결되어 있고, 이들 유성피니온(42)(43)을 각각 지지하여 주는 대향축(44)(45)은 케이싱(31)을 관통하여 상술한 분체혼합부(2)로 노출되고, 그 노출단에는 각각 자유계수(46)(4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자유계수(46)(47)에는 통상의 교반봉(48)(49)이 현수되는 것인 바, 이들 현수봉(48)(49)은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유계수(46)(47)의 내측 보올시이트에 의해 설정되는 각도 θ의 범위내에서 요동할 수 있도록 보올조인트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용기회전부(5)는 회전용기(22)의 중심을 지탱하여 주는 중심축(51)상에 제2 공전베벨기어(52)가 고정 부착되어 있고, 이 제2 공전베벨기어(52)의 일측으로 제2 종동베벨기어(53)가 맞물려 있으며, 이 제2 종동베벨기어(53)는 상술한 동력전달축(11)의 최종베벨기어(13)와 맞물리는 전달베벨기어(54)와 함께 제2 전달축(55)의 양단에 고정 부착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제2 공전베벨기어(52)의 타측에는 모우터(56)의 출력측에 형성된 제2 구동베벨기어(57)가 맞물려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장치는 분체용기(23)에 혼합코자 하는 분체를 수용한 채로 회전용기(22)의 내부에 안치시켜 놓은 다음, 모우터(56)를 구동시켜 분체 혼합을 행하는 것이며, 모우터(56)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동력은 베어링(21)이 지지하고 있는 회전용기(22)를 회전시켜 줌과 동시에 일부는 제2 종동베벨기어(53), 제2 전달축(55), 전달베벨기어(54), 최종베벨기어(13), 그리고 전달축(11)과 스프로켓(12) 및 체인(34), 종동전달축(35)의 경로를 따라 구동축(33)에 전달된다.
따라서 구동축(33)은 그 하단에 부착된 제1 구동베벨기어(36)를 회전시켜서 제1 공전베벨기어(38)를 개재하여 제1 종동베벨기어(39)가 종동 회전되게 한다.
제1 종동베벨기어(39)의 회전에 의해 태양피니온(41)은 그 외주에 치차연결된 1쌍의 유성기어(42)(43)를 회전시키게 되며, 그 결과로 하측의 교반봉(48)(49)은 요동 회전하게 된다.
상술한 동력전달의 과정에서 케이싱(31)은 구동축(33)에 대하여 자유로히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된 것이므로 교반봉(49)(49)의 요동 회전에 의한 반력을 받아 그 반대방향으로 요동 회전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케이싱(31)의 요동 회진은 분체의 균질한 혼합에 도움이 될지언정 불합리한 문제는 낳지 않으므로 무시해도 좋다.
교반봉(48)(49)의 요동회전은 자유계수(46)(47)가 설정하는 각도 θ 범위내로 한정되는 것이고, 이 각도θ는 특별히 규정된 값을 갖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분체용기와, 이 분체용기의 상측에 현수된 교반봉을 동시에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또한 교반봉의 위치가 케이싱의 자전에 의해 일정궤적을 타고 이동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므로 종래의 분체혼합장치와는 달리 분체에 물리력을 가하면서 골고루 혼합시킬 수 있게 되어, 물성이 상이한 다상 분체의 경우에도 균질하게 또한 효율적인 혼합효과를 얻을 수 있는 실용성을 가지고 있다.

Claims (1)

  1. 동력전달축(11)이 내부 일측에 수직설치되어 있고, 이 동력전달축(11)의 상부에 스프로켓(12)이, 그리고 하부에 최종베벨기어(13)가 고정 부착되어 있는 기체(1)와, 전기한 기체(1)의 전면 중간측에서 베어링(2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용기(22)의 내측으로 분체용기(23)를 착탈 가능하게 안치시키고 있는 분체혼합부(2)와, 전기한 동력전달측(11)으로부터 체인(34)을 개재하여 동력을 전달받는 제1 구동베벨기어(36)와 제1 공전베벨기어(38) 및 제1 종동베벨기어(39)가 전기한 분체혼합부(2)의 상방에 위치하는 케이싱(31)의 내부로 설치되고, 전기한 제1 종동베벨기어(39)에 동심배치된 태양피니온(41)과 치차연결되는 1쌍의 유성기어(42)(43)를 보유하며, 이들 유성기어(42)(43)의 대향축(44)(45) 하단에 자유계수(46)(47)를 개재하여 통상의 교반봉(48)(49)이 볼조인트된 교반부(3)와, 전기한 분체혼합부(2)의 회전용기(22)에서 연장된 중심축(51) 상에 제2 공전베벨기어(52)가 고정 부착되고, 이 제2 공전베벨기어(52)의 일측에 제2 종동베벨기어(53)와 전달베벨기어(54)를 지지하는 제2 전달축(55)이 배치되면, 전기한 제2 공전베벨기어(52)의 타측에는 모우터(56)의 구동베벨기어(57)가 맞물려진 용기회전부(5)로 구성된 분체혼합장치.
KR2019900013375U 1990-08-29 1990-08-29 분체 혼합장치 KR9200057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3375U KR920005731Y1 (ko) 1990-08-29 1990-08-29 분체 혼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3375U KR920005731Y1 (ko) 1990-08-29 1990-08-29 분체 혼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4064U KR920004064U (ko) 1992-03-25
KR920005731Y1 true KR920005731Y1 (ko) 1992-08-21

Family

ID=19302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3375U KR920005731Y1 (ko) 1990-08-29 1990-08-29 분체 혼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573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0104B1 (ko) * 2012-08-14 2013-12-10 주식회사 현대미포조선 컴파운드 교반유닛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0104B1 (ko) * 2012-08-14 2013-12-10 주식회사 현대미포조선 컴파운드 교반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4064U (ko) 1992-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53831A (en) Mixer with a fixed drum
US5302020A (en) Planetary mixing apparatus
US4728197A (en) Apparatus for production of molding materials
US3338562A (en) Mixers
JP2000246082A (ja) 混合攪拌装置
CN109760207B (zh) 混凝土的波推式搅拌设备
KR920005731Y1 (ko) 분체 혼합장치
JP2002361059A (ja) 攪拌装置及び攪拌用容器
CN220464275U (zh) 一种道路施工用搅拌装置
US3556487A (en) Method and deivce for treating one or more substances in a vessel
US4183678A (en) Agitating mixing apparatus
US3380671A (en) Apparatus for mixing, milling, washing, extracting, and other processes
RU2049666C1 (ru) Смеситель-активатор
JPS63291633A (ja) 撹拌装置
CN213166121U (zh) 一种砂浆搅拌机
CN207901408U (zh) 一种土建用搅拌器
JPH0422822Y2 (ko)
JPH11291234A (ja) コンクリートミキサ
US2732186A (en) ivarsson
CN217855648U (zh) 一种树脂混料器
CN220446861U (zh) 一种用于生产抗滴落剂的双轴搅拌机
US4128344A (en) Centrifugal mixer
CN218688662U (zh) 一种药物混合机
RU2031700C1 (ru) Смеситель
JPS63291635A (ja) 混合撹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00829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00829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20622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2072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2111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2121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2121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508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607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07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807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073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73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7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30

Year of fee payment: 11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73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