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20005671Y1 -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의 프로그래머블 인터페이스회로 - Google Patents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의 프로그래머블 인터페이스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5671Y1
KR920005671Y1 KR2019880012191U KR880012191U KR920005671Y1 KR 920005671 Y1 KR920005671 Y1 KR 920005671Y1 KR 2019880012191 U KR2019880012191 U KR 2019880012191U KR 880012191 U KR880012191 U KR 880012191U KR 920005671 Y1 KR920005671 Y1 KR 9200056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terminal
data
selection
inpu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21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3673U (ko
Inventor
현종웅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121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5671Y1/ko
Publication of KR9000036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367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56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5671Y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11B20/125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for discontinuous data, e.g. digital information signals, computer programme dat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08Magnetic discs
    • G11B2220/2512Floppy dis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의 프로그래머블 인터페이스회로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입출력 슬롯부 20 : FDC
IC1: 프로그래머블 어레이논리회로 IC2 : 디플립플롭
IC3 : 인버터 IC4-IC5 : 노아게이트
IC6 : 낸드게이트 Jl-J3 : 제1-3선택점퍼단
본 고안은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Floppy Disk Dirve)의 인터페이스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여러가지 형태의 드라이브(PS/2, ANSI type)를 밀도(Density)에 맞게 프로그래머블하게 인터페이싱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
미국 IBM이 현재의 플로피 디스크의 기본으로 되어 있는 8인치 펀면디스크를 사용한 IBM3740 데이타 엔트리 시스템을 발표한 것이 1972년, 또 미국 슈거트사가인치의 디스켓(미니 플로피)을 사용하는 플로피디스크장치(이하 FDD라 칭함)를 발매한 것이 1976년으로, 플로피 디스크의 역사는 아직 짧으나, FDD는 퍼스날 컴퓨터, 오피스 컴퓨터, OA기기등의 수요에 따라 급격한 신장을 보이고 있다.
당초, 편면이었던 이들의 FDD는 시스템의 고성능화에 대응해서, 편면에서 양면으로 또 기록방식이 단밀도에서 배밀도로 개량되고, 기록 용량이 2배, 4배로 증가하였다. 또,인치 FDD는 트랙밀도를 배로 함으로써 8배의 기록용량이 되었다. 시스템의 소형화에의 대응으로서는 장치의 박형화가 진행되고 있고 프레임의 두께가 종래의 1/2-1/3의 것도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FDD는 플로피 디스크 콘트롤러(FDC : F1oppy Disk Controller)에 의해 제어되어 데이타를 리드/라이트 할 수 있게 되는데, FDC에서 FDD의 밀도선택단에 어떤논리를 인가하느냐에 따라 원하는 형태의 FDD를 기능에 맞게 제어하여 사용할 수 있었다.
FDC의 FDD의 밀도 선택단의 제어에 따라 기능별로 작동되는 예를 보면 하기(표1)과 같다.
[표 1]
상기 (표1)과 같이 FDC의 RWC의 논리신호가 FDD의 밀도선택단을 어떻게 제어하는데 따라 여러가지의 FDD를 기능에 맞게 사용할 수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FDC 보드는 상기 세가지 형태의 FDD중 어느 한 형태의 FDD만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여러형태 FDD의 인터페이싱에 융통성이 없는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여러형태의 FDD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간단히 인터페이싱하며 기능에 따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회로를 재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밀도 선택에 따라 FDD의 처리밀도를 용이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FDC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제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회로도로서, 펴스널 컴퓨터(도시하지 않았음)와 연결되어 상기 퍼스널 컴퓨터의 출력 데이타 및 제어신호를 입출력하는 입출력 슬롯부(10)와, 상기 입출력슬롯부(10)의 데이타 코멘드 및 스테이터스 신호와 제어신호를 테이타버스(11)와 제어단(IDW, RESET)를 통해 받아 FDD로의 처리용 데이타를 리드/라이트 하도록 제어하는 FDC(20)와, 상기 입출력 슬롯부(10)의 소정 어드레스 신호와 제어신호(AEN)를 받아 라인(21)을 통해 상기 FDC(26)의 테이타 전송 제어레지스터 인에이블단(LDCR)의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프로그래머블 어레이 논리회로(IC1)와, 상기 입출력슬롯부(10)의 리세트단(RESET)을 인버터(IC3)에 연결하고 상기 데이타버스(11)의 제1,2데이타라인(D0, D1)을 통해 노아게이트(IC4)의 입력단에 연결하고 상기 출력제어단(IDW)와 데이타 전송 제어레지스터 인에이블단(LDCR)과 연결된 라인(21)을 노아게이트(1C5)의 입력단에 연결하여 상기 노아게이트(IC4)의 출력단을 디플립플롭(IC2)의 데이타단(D)에 연곁하고 상기 노아게이트(IC5)의 출력단은 디플립플롭(IC2)의 클럭단(CP)에 연결하며 상기 인버터(IC3)의 출력단을 세트단(SD)에 연결하고. 리세트단(RD)은 저항(R1)을 통해 전원(Vcc)가 인가되어 FDD 형태별로 제어할 수 있는 제어 레지스터 데이타와 제어신호에 의해 밀도 선택신호를 발생하는 밀도 선택 논리부(100)와, 상기 밀도 선택 논리부(100)의 IC2의 출력단(Q, Q)에 제1,2선택 점프단(J1,J2)을 연결하고 상기 재1,2선택점프단(J1? J2)를 결합한 노드(101)를 낸드게이트(IC6)의 입력단에 연결하고 상기 인버터(IC3)의 출력단을 상기 낸드게이트(IC6)의 입력단에 연결하며, 상기 낸드게이트(IC6)의 출력단에 제3선택점프단(J3)을 연결하여 상기 제3선택점프단(J3)의 출력에 따라 FDD의 연결콘넥터(CE1)의 밀도선택단(110)이 제어되어 FDD 형별로 서로 호환성을 가지면서 프로그레머블하게 제어되도록 하는 FDD 형별 선택부(200)로 구성된다.
따라서 븐 고안의 구체적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컴퓨터로 부터 입출력슬롯부(10)의 제어단(IOW/RESET)을 통해 입출력 기입 제어신호와 리세트를 입력받고 데이터버스(I1)를 통해 코멘드 및 스테이터스 테이타를 FDC(20)로 입력하면 FDD의 기능에 따라 동작 제어를 발생한다. 그리고 입출력 슬롯부(10)의 어드레스(A0-A1)를 통해 소정 어드레스 데이타(3F7H)와 어드레스 인에이블단(AEN)의 제어신호를 프로그래머블 어레이 논리회로(IC1)에 입력하면 라인(21)을 통해 FDC(20)의 데이타 전송레지스터 인에이블단(LDCR)의 데이타 전송에 따른 제어신호를 발생함과 동시에 상기 라인(21)의 발생신호가 노아게이트(IC5)로 입력된다. 이때 상기 입출력 기입제어단(IOW)의 제어신호가 노아게이트(IC5)로 입력되어 상기 노드(21)의 신호와 같이 노아게이트(IC5)를 통해 디플립플롭(IC2)의 클럭단(CP)의 클럭으로 입력된다. 이때 상기 데이타버스(I1)의 데이타라인(D0,Dl)의 논리에 따라 노아게이트(IC4)를 통해 출력된 데이타값을 디플립플롭(IC2)에서 래치한다.
상기 데이타라인(D0,D1)의 출력은 밀도에 따른 데이타 전송 레이트 및 FDD의 형을 선택할 수 있는 논리값을 얻어낼 수 있는 것으로 기록밀도에 따른 데이타 전송 레이트 테이블을 보면 하기(표 2)와 같다.
[표 2]
상기 (표 2)의 제어 레지스터 설정값이 데이타라인(D0, D1)의 값에 따라 노아게이트(IC4) 및 디플립플롭(IC2)의 출력단(Q.Q)의 출력 테이블은 하기 (표 3)과 같다.
[표 3]
상기 (표 3)과 같이 출력될때 콘넥터(CE1)의 밀도선택단(110)은 상기 (표1)과 같은 논리를 가져야만 FDD 형태별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제1-3선택점프단(J1- J3) 조작에 따라 상기 (표1)과 같은 값을 얻어낼 수 있다. 상기 제1-3선택점프단(J1-J3)은 덮(Dip) 스위치등으로 대응할 수 있다.
즉, ANSI형 FDD 사용시 제1, 2선택점프단(J1-J2)는 무관(Don't Care)하지만 제3선택점프단(J3) 을 개방하여 FDD 내부 센서에 의해 밀도에 따라 제어하도록 하고, PS/2형 FDD 사용시 제1,3선택 점프단(J1,J3)을 온하고 제2선택점프단(J2)은 개방하여 디플립플롭(IC2)의 출력단(Q)의 출력과 인버터(IC3)의 출력을 낸드게이트(IC6)에서 논리화하여 낸드게이트(IC6)의 출력이 "하이"일때 저밀도이고 "로우"일때 고밀도를 선택할 수 있다. PC/AT형 FDD의 경우 제1선택점프단(J1)은 개방하고 제2, 3선택점프단(J2, J3)을 온하여 디플립플롭(FC2)의 출력(Q)의 상태와 인버터(IC3)의 출력에 의해 밀도선택단(110)을 제어하여 낸드게이트(IC6)의 출력이 "하이"일때 고밀도"로우"일때 저밀도를 선택할 수 있다. 이를 간략화하면 하기 (표4)와 같다.
[표 4]
상술한 바와같이 여러 형태의 FDD를 호환성있게 모두를 제어할 수 있으며 저/고밀도 선택에 따라 용이하게 밀도를 선택할 수 있으며 FDC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퍼스널 컴퓨터와 연결되어 상기 퍼스널 컴퓨터의 출력 데이타 및 제어신호를 입출력 하는 입출력 슬롯부(10)와, 상기 입출력슬롯부(10)의 데이타 코멘드 및 스테이터스 신호와 제어신호를 데이타버스(11)와 제어단(IOW, RESET)를 통해 받아 FDD로의 처리용 데이타를 리드/라이트하도록 제어하는 FDC(20)를 구비한 플로피 콘트롤러의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인터페이스 회로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슬롯부(10)의 소정 어드레스신호와 제어신호(AEN)를 받아 라인(21)을 통해 상기 FDC(20)의 데이타 전송 제어레지스터 인에이블단(LDCR)의 인에블제어신호를 발생하는 프로그래머블 어레이논리회로(IC1)와, 상기 입출력 슬롯부(10)의 리세트단(RESET)을 인버터(IC3)에 연결하고 상기 데이타버스(11)의 제1,2데이타라인(D0, D1)을 노아게이트(IC4)의 입력단에 연결하고 상기 출력 제어단(IOW)와 데이타 전송 제어레지스터 인에이블단(LDCR)과 연결된 라인(21)을 노아게이트(IC5)의 입력단에 연결하여 상기 노아게이트(IC4)의 출력단을 디플립플릅(IC2)의 데이타단(D)에 연결하고 상기 노아게이트(IC5)의 출력단은 디플립플릅(IC2)의 클럭단(CP)에 연결하며 상기 인버터(IC3)의 출력단을 세트단(SD)에 연결하고, 리세트단(RD)은 저항(R1)을 통해 전원(VCC)가 인가되어 FDD 형태별로 제어할 수 있는 제어 레지스터 테이타와 제어신호에 의해 밀도 선택신호를 발생하는 밀도 선택 논리부(100)와, 상기 밀도 선택 논리부(100)의 출력단(Q, Q)에 제1,2선택점프단(Jl,J2)을 연결하고 상기 제1,2선택점프단(J1,J2)를 결합한 노드(101)를 낸드게이트(IC6)의 입력단에 연결하고 상기 인버터(IC3)의 출력단을 상기 낸드게이트(IC6)의 입력단에 연결하며, 상 낸드게이트(IC6)의 출력단에 제3선택점프단(J3)을 연결하여 상기 제3선택점프단(J3)의 출력에 따라 FDD의 연결 콘넥터(CE1)의 밀도선택단(100)이 제어되어 FDD 형별로 서로 호환성을 가지면서 프로그래머블하게 제어되도록 하는 FDD 형별 선택부(20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의 프로그래머블 인터페이스 회로.
KR2019880012191U 1988-07-27 1988-07-27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의 프로그래머블 인터페이스회로 Expired KR9200056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2191U KR920005671Y1 (ko) 1988-07-27 1988-07-27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의 프로그래머블 인터페이스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2191U KR920005671Y1 (ko) 1988-07-27 1988-07-27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의 프로그래머블 인터페이스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3673U KR900003673U (ko) 1990-02-08
KR920005671Y1 true KR920005671Y1 (ko) 1992-08-18

Family

ID=19277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2191U Expired KR920005671Y1 (ko) 1988-07-27 1988-07-27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의 프로그래머블 인터페이스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567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3673U (ko) 1990-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4523B1 (ko) 퍼스널 컴퓨터 시스템
EP0189638B1 (en) Bus width adapter
US6292859B1 (en) Automatic selection of an upgrade controller in an expansion slot of a computer system motherboard having an existing on-board controller
US4375665A (en) Eight bit standard connector bus for sixteen bit microcomputer using mirrored memory boards
US4213177A (en) Eight bit standard connector bus for sixteen bit microcomputer using mirrored memory boards
JPH10124206A (ja) ホット・プラグ可能なモジュラー・ベイを有するポータブル・コンピュータを提供する方法及び装置
US4214302A (en) Eight bit standard connector bus for sixteen bit microcomputer
KR950002162B1 (ko) Cpu 로직의 자동 절환 장치
JP2554457B2 (ja) Ideインターフェースを有するマイクロ・チャネル・バス・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KR0135848B1 (ko) 컴팩트 디스크-롬 드라이브 인터페이스 회로
JP2001313504A (ja) 信号伝送線路接続用コネクタ、信号伝送線路、及び基板
EP0640229B1 (en) Enhanced parallel port
US4163289A (en) Sixteen bit microcomputer memory boards for use with eight bit standard connector bus
JP2538739B2 (ja) パ―ソナルコンピュ―タシステム
KR920005671Y1 (ko)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의 프로그래머블 인터페이스회로
CN1031607C (zh) 具有替换主控制器立卡连接器的个人计算机
EP0472274A1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having connectors to receive system components
EP0810528B1 (en) Apparatus for DMA-slave emulation on a computer systems bus
US5289586A (en) Digital information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information transmission bus system thereof
EP0535539B1 (en) CPU-exchangeable computer system
EP0522698A1 (en) Storage controller with driver/receiver
JP3154902B2 (ja) ポータブルコンピュータ
KR930003448B1 (ko) 듀얼 포트 메모리 중재회로
KR20010063912A (ko) 마스터 및 슬레이브 기능 변환장치
KR0135865B1 (ko) 입출력 인터페이스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880727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00315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80727

Patent event code: UA02011R01I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2072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2111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2121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212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501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08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61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27

Year of fee payment: 11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62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