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20005100Y1 - 음향 기기의 뮤팅 회로 - Google Patents

음향 기기의 뮤팅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5100Y1
KR920005100Y1 KR2019870008388U KR870008388U KR920005100Y1 KR 920005100 Y1 KR920005100 Y1 KR 920005100Y1 KR 2019870008388 U KR2019870008388 U KR 2019870008388U KR 870008388 U KR870008388 U KR 870008388U KR 920005100 Y1 KR920005100 Y1 KR 9200051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transistor
muting
resistor
power suppl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083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22524U (ko
Inventor
김시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700083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5100Y1/ko
Publication of KR8800225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2252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51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5100Y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51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 H03K17/56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semiconductor devices
    • H03K17/6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semiconductor devices the devices being bipolar transistors

Landscapes

  • Amplifi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음향 기기의 뮤팅 회로
제 1 도는 종래의 회로도.
제 2 도는 본 고안에 따른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시정수 회로 2 : 제1구동 회로
3 : 제2구동 회로 4 : 전류 미터 회로
5 : 뮤팅 제어 회로 6 : 증폭기
7 : 출력단 Q1-Q11: 트랜지스터
R1∼R8: 저항 D1∼D2: 다이오우드
C1: 콘덴서
본 고안은 오디오 기기에 있어 뮤팅 회로에 관한것으로, 특히, 전원의 온, 오프나 이상 전원이 인가될때에도 리플과 팝 노이즈를 완벽하게 뮤팅시키기에 적당하도록한 음향 기기의 뮤팅 회로에 관한것이다.
종래에는 전원의 온, 오프시 발생되는 노이즈를 뮤팅시키기 위해 용량이 큰 저항과 콘덴서를 사용했기 때문에 콘덴서의 충, 방전 시간이 상당히 늦어 팝 노이즈가 스피커를 통해서 나가는 도중에 뮤팅이 되므로서 완벽한 뮤팅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시킨 것으로, 전원의 온, 오프나 이상 전원이 인가될때에도 콘덴서의 충, 방전을 빨리하여 뮤팅 시간을 작게하기 때문에 팝 노이즈나 리플을 완벽하게 뮤팅시키는 음향 기기의 뮤팅회로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종래의 회로를 제 1 도에 의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원 (Vcc)단은 트랜지스터(Q12)의 에미터에 연결되고, 또한 스위치(SW1)를 통해서 접지접속한 콘덴서(C2)와 트랜지스터(Q12)의 베이스에 연결된 저항(R9)에 각각 연결된다.
이때 트랜지스터(Q12)의 콜렉터에는 저항(R10)을 연결하여 에미터가 접지접속된 트랜지스터(Q13)의 베이스에 연결하고, 이의 콜렉터에는 접지접속한 저항(R11)과 증폭기(IC1)의 출력단을 연결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위치(SW1)가 온되면 전원(Vcc)은 콘덴서(C2)에 충전되기 시작하여 충전 전압이 전원(Vcc)보다 약 0.6V 적을때 까지 트랜지스터(Q12)의 베이스에 로우 전위를 인가시키므로 트랜지스터(Q12)는 온 된다.
따라서 저항(R10)을 통해 트랜지스터(Q13)의 베이스에는 하이 전위가 인가되므로 트랜지스터(Q13)는 온되어 증폭기(IC1)의 출력을 뮤팅시킨다.
한편, 스위치(SW1)가 온에서 오프로 되었을때는 콘덴서(C2)의 충전 전위가 방전하기 시작하여 방전 전압이 전원(Vcc)보다 0.6V낮아지는 점에서 부터 트랜지스터(Q12)가 온되어 트랜지스터(Q13)가 온된다.
따라서 증폭기(IC1)의 출력이 도통 트랜지스터(Q13)를 통해 그라운드로 흐르기 때문에 뮤팅이 이루어진다.
그런데 스위치가 온 상태일때 전원이 저항으로 흐르지 않도록 하기 위해 용량이 큰 콘덴서와 저항을 사용했기 때문에 콘덴서의 충, 방전에 따른 뮤팅 시간이 늦어져 팝 노이즈가 스피커를 통해서 나오는 도중에 뮤팅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시킨 본 고안의 회로 구성을 제 2 도에 의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원(Vcc)단은 제1구동 회로(2)의 트랜지스터(Q1)(Q2)의 베이스와 시정수 회로(1)의 저항(R1) 및 제2구동회로(3)의 트랜지스터(Q5)(Q6)의 에미터에 연결하여 저항(R1)에 접지접속한 콘덴서(C1)와 트랜지스터(Q1)(Q2)의 에미터를 각각 연결함과 동시에 제2구동회로(3)의 저항(R2)을 통해 트랜지스터(Q5)(Q6)의 베이스를 연결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는 저항(R3)을 통해 에미터가 접지 접속된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연결하여 이의 콜렉터에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를 연결하고,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는 제2구동회로(3)내 트랜지스터(Q6)의 콜렉터에 연결함과 동시에 저항(R4)과 다이오우드(D1)를 차례로 통해 접지접속한다.
그리고, 에미터로 전원(Vcc)이 인가되는 트랜지스터(Q4)의 콜렉터는 제2구동회로(3)의 트랜지스터(Q5)의 콜렉터와 접속되어 에미터로 전원(Vcc)이 인가되는 뮤팅 제어 회로(5)의 트랜지스터(Q9)(Q10)의 베이스를 연결하고 또한 트랜지스터(Q10)의 콜렉터에도 연결하여 상기 콜렉터에는 트랜지스터(Q7)(Q8)로 구성된 전류 미터 회로(4)와 접지접속한 저항(R7)을 연결하며, 트랜지스터(Q9)의 콜렉터는 저항(R8)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11)을 베이스를 연결한다.
이때 전원(Vcc)이 인가되는 저항(R5)은 전류 미터 회로(4)와 저항(R6) 및 다이오우드(D2)를 통해 접지접속되고, 증폭된 신호가 콜렉터로 인가되는 트랜지스터(Q11)의 에미터는 출력단(7)에 연결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회로의 동작 및 작용 효과를 제 2 도에 의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원(Vcc)이 오프 상태에서 온 될때 시정수 회로(1)의 콘덴서(C1)는 충격을 시작하여 전원(Vcc)이 콘덴서(C1) 전압보다 클때에는 제1구동회로(2)의 트랜지스터(Q1)(Q2)는 베이스 전압이 높기 때문에 오프되고, 제2구동회로(3)의 트랜지스터(Q5)(Q6)는 베이스 전압이 낮아 턴 온 된다.
이때 저항(R5)을 통해 흐르는 전류는 전류 미터 회로(4)를 통하고 저항(R6)과 다이오우드(D2)를 통해 접지로 흐르는데 전류 미터 회로(4)의 트랜지스터(Q7)에 흐르는 전류(I7)는 트랜지스터(Q8)에 흐르는 전류(I8)에 비례하여 흐른다.
그러므로 트랜지스터(Q7)에 흐르는 전류는(I7)는 전류(I8)에 비례하여 한정되어 있는 상태이다.
그런데 제1구동 회로(2)의 트랜지스터(Q3)(Q4)는 오프되어 출력이 없고, 제2구동회로(3)는 구동하여서 전류가 뮤팅 제어 회로(5)를 통해 전류 미터 회로(4)의 트랜지스터(Q7)에 흐르는데 트랜지스터(Q7)에 흐르는 전류는 한정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트랜지스터(Q5)가 포화 상태로 된다.
따라서 뮤팅 제어 회로(5)내 트랜지스터(Q9)(Q10)의 베이스 전위는 하이상태가 되어 뮤팅 제어 회로(5)가 오프되기 때문에 트랜지스터(Q11)는 오프되어 증폭기(6)의 출력이 출력단(7)으로 나오지 못하게 된다.
반대로 전원(Vcc)이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되면 전원(Vcc)은 순식간에 0V로 낮아지고 시정수 회로(1)의 콘덴서(C1)전압은 시정수에 의해 서서히 낮아진다.
따라서 제1구동 회로(2)의 트랜지스터(Q1)(Q2)에는 순 바이어스가 걸리고, 제2구동 회로(3)의 트랜지스터(Q5)(Q6)의 베이스에는 하이 전위가 걸리므로, 제2구동 회로(3)의 출력은 없고, 제1구동 회로(2)의 트랜지스터(Q1)(Q2)는 온 되어 트랜지스터(Q3)(Q4)를 차례로 온 시킨다.
따라서 제1구동 회로(2)의 출력 신호는 뮤팅 제어 회로(5)를 구동 시키거나 트랜지스터(Q9)로 통하는 신호가 로우 신호이므로 트랜지스터(Q11)는 오프되어 뮤팅 작용을 하는 것이다.
한편, 정상 동작중 전원(Vcc)에 원인모를 큰 전압이 인가되면 이때에도 전원(Vcc)이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바뀔때와 같은 작용을 행하여 뮤팅을 완벽하게 해준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전원의 온, 오프나 원인모를 전압이 인가될때에도 콘덴서의 충, 방전을 빨리하여 뮤팅 시간을 작게함으로서 팝 노이즈가 리플을 제거시킬수 있어 제품의 신뢰도가 향상되는 것에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음향기기의 뮤팅 회로에 있어서, 전원(Vcc)과 시정수 회로(1)의 콘덴서(C1) 전압에 따라 트랜지스터(Q1∼Q4) 및 저항(R3)으로 구성된 제1구동 회로(2)와 트랜지스터(Q5∼Q6) 및 저항(R2)으로 구성된 제2구동 회로(3)를 교호적으로 구동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제1, 2 구동 회로(2)(3)의 출력단은 트랜지스터(Q9)(Q10)로 구성한 뮤팅 제어 회로(5)에 연결하여, 저항(R6)(R7)에 비례하여 동작하고, 저항(R5)을 통해 전원(Vcc)이 인가되는 전류미터 회로(4)의 구동에 따라 상기 뮤팅 제어 회로(5)의 출력이 증폭기(6)의 출력을 스위칭 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기기의 뮤팅 회로.
KR2019870008388U 1987-05-28 1987-05-28 음향 기기의 뮤팅 회로 Expired KR9200051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8388U KR920005100Y1 (ko) 1987-05-28 1987-05-28 음향 기기의 뮤팅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8388U KR920005100Y1 (ko) 1987-05-28 1987-05-28 음향 기기의 뮤팅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22524U KR880022524U (ko) 1988-12-26
KR920005100Y1 true KR920005100Y1 (ko) 1992-07-27

Family

ID=19263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08388U Expired KR920005100Y1 (ko) 1987-05-28 1987-05-28 음향 기기의 뮤팅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510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22524U (ko) 1988-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7388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uting an output signal in a switching amplifier
US3889202A (en) Muting circuit
US4100501A (en) Audio frequency power amplifier
US4015215A (en) Push-pull power amplifier circuit
KR920005100Y1 (ko) 음향 기기의 뮤팅 회로
US4463318A (en) Power amplifier circuit employing field-effect power transistors
CN1052604C (zh) 带有瞬态跟踪电源的声频放大器
US20050100177A1 (en) Mute circuit of an audio device for suppressing audio signals during transients of power switching
EP0432472A2 (en) Signal output circuit having bipolar transistor in output stage and arranged in CMOS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KR940002970B1 (ko) 쇼크음 방지회로
JPS6339162B2 (ko)
KR890000225Y1 (ko) 뮤팅기능을 겸한 전원제어회로
KR890006639Y1 (ko) 음향기기의 뮤팅 회로
JP2869255B2 (ja) 増幅器
KR880000038Y1 (ko) 녹음, 재생 기능을 가진 장치에서의 뮤팅회로
KR900010906Y1 (ko) 전원"온-오프"시 노이즈 제거회로
KR840001563Y1 (ko) 일시정지 스위치를 이용한 녹음 뮤팅회로
JP3351590B2 (ja) 出力増幅回路
KR890006632Y1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잡음 방지회로
KR930000146Y1 (ko) 카세트테이프 레코더의 팝노이즈 제거회로
JP2776621B2 (ja) 出力回路
JPH0513047Y2 (ko)
JPS5921531Y2 (ja) 直接結合増幅器のミユ−テイング回路
JPS6085608A (ja) 増幅回路
KR820001568Y1 (ko) 뮤팅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870528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00516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70528

Patent event code: UA02011R01I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2063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2102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3011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301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1227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412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199712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