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3995B1 - CD changer with record player - Google Patents
CD changer with record play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20003995B1 KR920003995B1 KR1019890019959A KR890019959A KR920003995B1 KR 920003995 B1 KR920003995 B1 KR 920003995B1 KR 1019890019959 A KR1019890019959 A KR 1019890019959A KR 890019959 A KR890019959 A KR 890019959A KR 920003995 B1 KR920003995 B1 KR 92000399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ver
- flatter
- gear
- record
- cam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Landscapes
- Automatic Disk Chang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제 1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개략도이고,1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2 도는 제 1 도에서 L.P(레코오드 플레이어)의 자동톤암 이송장치를 생략한 평면개략도이고,2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utomatic tone arm feeder of L.P (record player) in FIG.
제 3 도는 본 발명의 C.D.P(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와 L.P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일부확대 단면도이고,3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the C.D.P (compact disc player) and L.P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4 도는 본 발명의 기어드럼의 발췌사시도이고,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gear drum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5 도는 본 발명의 C.D가 체인지되는 상태의 일부단면도이고,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where the C.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nged,
제 6 도는 본 발명의 C.D 체인저가 하나의 C.D를 선택했을때의 일부단면도이고,6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when the C.D changer of the present invention selects one C.D.
제 7 도는 본 발명의 C.D용 플랫터가 회전중인 상태의 단면개략도이고,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C.D. flat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rotating state,
제 8 도는 본 발명의 C.D용 플랫터가 C.D를 변환시킬때의 개략도이고,8 is a schematic diagram when the C.D fl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nverts C.D.
제 9, 10, 11 도는 본 발명의 톤암 이송장치부분의 작용설명도이고,9, 10, and 11 are explanatory views of the operation of the tone arm feeder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12a, b 도는 본 발명의 C.D용 루우렛의 록킹(Locking)상태 단면도이다.12A and 12B are sectional views of a locked state of a C.D roulette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A : 제일플랫터(Platter) B : 제이플랫터A: First Platter B: J Flatter
1 : 회동축 2 : 메인기어1: Rotating shaft 2: Main gear
3 : 리턴암(Return Arm) 4 : 톤암이송레버3: Return Arm 4: Tone Arm Feed Lever
5 : 인덱스 플레이트(Index Plate) 8 : 프릭션레바(Friction Lever)5: Index Plate 8: Friction Lever
9 : 피니언기어(Pinion Gear) 10 : 요입부9: Pinion gear 10: recessed part
11 : 돌출부 12 : 수직연결봉11: protrusion 12: vertical connecting rod
13 : 캠리드인(Cam Lead In) 14 : 캠홈13: Cam Lead In 14: Cam Home
20 : 기어드럼 21 : 받침대20: gear drum 21: pedestal
22 : 메인기어 23 : 캠22: main gear 23: cam
25 : 2차 기어 26 : 스위칭 접촉자25: secondary gear 26: switching contact
27 : 재치요부 28 : 기어27: tact 28: gear
30 : 픽업장치 31 : 브라켓(Bracket)30: pickup device 31: bracket
32 :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 33 : 가이드레버(Guide lever)32: Base plate 33: Guide lever
34 : 축핀 35 : 힌지(Hinge)34: shaft pin 35: hinge
40 : 잠금레버 41 : 삽지구40: lock lever 41: shovel region
42 : 작동구 43 : 걸림구42: operation opening 43: locking opening
본 발명은 레코오드 플레이어를 갖는 C.D 체인저(Compact Disk Changer)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콤팩트 디스크 플랫터(Comapct Disk Platter)와 레코오드 플레이어 플랫터(Lecord Player Platter)가 동일축상에 축지되어 하나의 턴테이블에서 콤팩트 디스크와 레코오드가 연주가능토록한 레코오드 플레이어를 갖는 C.D 체인저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D changer having a record player, and in particular, a compact disk platter and a record player platter are axially axially stored on one turntable. A CD changer having a compact disc and a record player in which the record is playable.
일반적으로 레코오드와 콤팩트 디스크를 재생하기 위한 턴테이블은 오디오시스템에 있어서 별개의 연주박스(턴테이블)를 갖는다. 그러나 서로 다른 음의 재생과정이라 하더라도 스피커를 통하여 듣기까지는 여러가지 단계적 조절장치를 거쳐야 한다. 따라서, 두개의 서로 다른 음의 재생과정을 부분적으로도 하나의 회로라인으로 가능케하고, 오디오시스템자체의 소형화에도 기여할 수 있는 기술적 수단이 필요하다.In general, turntables for playing record and compact discs have separate play boxes (turntables) in the audio system. However, even with different sound reproduction process, it is necessary to go through various stages of adjustment until listening through the speaker.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technical means that enables two different sound reproduction processes to be partly possible in one circuit line and to contribute to the miniaturization of the audio system itself.
본 발명은 C.D 재생을 라운드로딩 방식으로 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erform C.D playback in a round loading manner.
본 발명은 레코오드 재생 플랫터와 C.D 플랫터의 회전을 동일축에서 이루어지도록 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achieve rotation of the record regeneration flatter and the C.D flatter on the same axis.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을 달성하므로서 궁극적으로 원반형 디스크인 레코오드와 C.D에 의하여 소리를 재생하는 서로 다른 과정을 하나의 턴테이블에 의하여 가능케 하는데에 중요한 목적이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important object in enabling a single turntable for different processes of ultimately reproducing sound by a disc and a disc.
본 발명은 혼합된 플랫터 방식을 하나의 캐비닛(Cabinet)에 의하여 유닛(Unit)화 함에도 또 다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has another object to unitize the mixed flatter method by a cabinet (Cabinet).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직접 구동되는 제일플랫터 및 그에 따른 톤암이송장치로 되고, 상기 플랫터와 동축이면서 공회동되게 축지되어 별도의 구동수단에 의하여 회동되는 제이플랫터와 그에 따른 C.D. 연주장치로 이루어져 연주박스의 외부적 조작에 의하여 레코오드와 C.D 연주를 선택 연주되도록 하는 일종의 레코오드와 C.D가 혼합된 턴테이블로 되는 특징이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rst flat drive and a tone arm transfer device directly driven by driving a drive motor, and is coaxially coaxial with the flatter and pivoted by a separate driving means. Jflatter and its accompanying CD It is composed of a recorder and a C.D mixed turntable that allows the player to select and play a record and a C.D performance by an external operation of the play box.
첨부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hen described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follows.
본 발명은 레코오드가 재치되는 제일플랫터(A)와, 이 제일플랫터(A)를 회전시키면서 레코오드위에서 톤암을 자동이송시키는 톤암 자동이송장치로된 레코오드 플레이어의 회동축(1)상에 제일플랫터(A)보다 낮게 제이플랫터(B)가 결합되는 구조로 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tary shaft (1) of a record player comprising a first flat plate (A) on which a record is placed, and a tone arm automatic transfer device which automatically transfers the tone arm on the record while rotating the first flat plate (A). The j-flatter (B) is coupled to the lower than the first flatter (A) to the structure.
이 제이플랫터(B)의 C.D 연주장치는 크게 제이플랫터 본체(B)와 이 플랫터 본체(B)를 회전시키는 기어드럼(20)과, 이 플랫터 본체(B)의 일정각도 회전 후 정지상태를 유지하는 잠금장치와, C.D가 재치된 상태에서 힌지로서 작동회는 픽업장치로서 이루어진다.The CD player of the J-flatter (B) is largely composed of the J-flatter main body (B), the gear drum (20) which rotates the flat-body main body (B), and the rotation of the flat-body body (B)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locking device for holding the stationary state and the actuation circuit as the hinge in the state where the CD is mounted are made as the pickup device.
먼저, 제일플랫터(A)의 연주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프릭션레바(8)의 접촉에 의하여 피니언기어(9)와 메인기어(2)가 치합접동되는 기어구동부와, 이 기어구동부의 캠홈(14)에 연결된 리턴암(3)의 선형운 동시에 톤암이송레버(4)를 연결하는 연결수단과, 톤암이송레버(4)의 이송시에 그 회동각도를 제한하는 인덱스플레이트(5)로 구성된다.First, the playing device of the first flatter (A) will be described. The linear drive and tone arm transfer of the gear drive part where the pinion gear 9 and the
상기 리턴암(3)과 톤암이송레버(4)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The
리턴암(3)의 선형운동시에 이 리턴암(3)의 요입부(10), 돌출부(11)에 의하여 작동되는 슬라이드레버(6)를 구성하여 톤암이송레버(4)와 스위칭되게 구성함과 동시에 톤암이송레버(4)의 저면에 수직연결봉(12)과 리턴암(3)의 캠리드인(13)의 접속을 위하여 안내레버(7)를 구성하여서 된다.In the linear movement of the
다음으로, 제이플랫터(B)에 의한 연주장치는 다음과 같다.Next, the performance apparatus by the J flatter (B) is as follows.
상면에는 재치요부(27)를 구성하고, 저면에는 기어(28)가 형성된 일정반경의 받침대(21)를 돌설한 플랫터(B)와, 연부를 따라 기어를 형성한 메인기어(22)위에 캠(23)을 형성한 측벽을 갖되 상면으로 캠홈(24)이 형성됨과 아울러 2차기어(25), 스위칭 접촉자(26)를 구성하여 2차기어(25)가 상기 플랫터(B)의 받침대(21)에 형성된 기어(28)와 치합된 기어드럼(20)과, 축핀(34)이 힌지(35)에 의하여 축지되면서 브라캣(31)을 일체화하고, 이 브라켓(31)에는 픽업베이스 플레이트(32)를 지지하고, 저면에는 상기 기어드럼(20)의 캠(23)에 의하여 재치되거나 하강되는 가이드레버(33)를 구성한 픽업장치(30)와, 일측의 캠홈(24)에 안내되고 타측은 선단에 삽지구(41)가 형성된 작동구(42)를 형성한 잠금레버(40)를 구성하고, 플랫터(B) 연부내측에는 걸림구(43)를 구성하여 삽지구(41)와 걸림구(43)가 착탈되는 잠금장치로 이루어진다.On the upper surface, a
미설명부호 14 : 톤암, 15 : 각도한정 솔레노이드, 16 : 레코오드, 29 : 마이크로 스위치, 23' : 캠의 하강 사이클(Cycle)부분, 27' : 개구공, 36 : 방진고무, 37 : 마그네트, 38 : C.D., 50 : 수평받침구, 51 : 롤러(Roller), 52 : 축핀, 9a : 돌기, 13a : 안내봉, 3a : 푸쉬부, 4a : 이송레버의 돌기, 17a : 접속편이다.Reference numeral 14: tone arm, 15: angle-limiting solenoid, 16: record, 29: micro switch, 23 ': cam cycle part of the cam, 27': opening hole, 36: dustproof rubber, 37: magnet, 38: CD, 50: horizontal support port, 51: roller, 52: shaft pin, 9a: projection, 13a: guide rod, 3a: push section, 4a: projection lever projection, 17a: connection piece.
이와 같이 구성한 본 고안에 있어서 레코오드 플레이어로 작동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process of operating as a record player in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제 1 도 상태에서 스위치(17')에 온(ON) 접속신호가 인가되면 스타트레버(18)가 자화되어 프릭션레버(8)를 밀게되어 휴지상태로 있던 구동모터의 피니언기어(9)의 돌기(9a)를 밀어 메인기어(2)와 피니언기어(9)가 치합되게 하므로서 기어식 자동리턴장치가 작동 개시된다.When the ON connection signal is applied to the
메인기어(2)의 구동으로 캠홈(14)에 연결된 리턴암(3)이 선형운동을 하게 되고, 리턴암(3)의 작동으로서 슬라이드레버(6)가 일정각도회동되어 마이크로스위치(17)가 오픈되어 "온"신호를 발생하게 된다.The
이 스위칭 신호는 스위치(17")에 의하여 휴지되어 있던 안내레버(7)를 움직여 점차 근접되는 캠리드인(13)의 안내봉(13a)이 요입공간(7a)으로 안내되도록 위치하게 된다. 요입공간(7a)을 따라 점점 안내되던 캠리드인(13)은 요입공간(7a)내에서 꺾여지면서 스텝회동되어 첨부되면 제 2 도와 같이 수직상태로 됨과 아울러 이송레버(4)의 연봉(12) 바깥쪽에 위치한다.This switching signal is positioned so that the
계속적으로 캠홈(14)에 의하여 전진하던 리턴암(3)은 최대점을 지나면서 복귀되며, 이 순간 안내레버(7)의 요입공간(7a)을 벗어난 캠리드인(13)은 연결봉(13a)을 밀면서 복귀하게 된다.The
따라서, 톤암이송레버(4)는 일정각도(사이즈 셀렉터의 정해진 범위)에서 정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정지된 연결봉(12)에 걸려 있는 캠리드인(13)은 반대로 밀려서 반대방향으로 스텝회동되어 원래위치로 원복되고, 동시에 슬라이드레버(6)도 원위치로 된다. (마이크로스위치는 이송레버의 돌기에 접촉되지 않고 있으므로 계속 "ON"상태임)이후 연주가 끝나면 프릭션레버(8')에 의하여 피니언기어의 돌기(9a)를 밀게 되어 피니언기어(9)와 메인기어(2)가 구동되고, 이어 리턴암(3)이 전진되어 푸쉬부(3a)에 의하여 이송레버(4)의 연결봉(12)을 밀면서 리턴암(3)에 의하여 큐잉된 톤암을 원래 위치로 밀어가게 되며, 이때 이송레버(4)의 돌기(4a)가 마이크로스위치(17)의 접속편(17a)을 압압시키는 위치로 가며, 동시에 리턴암(3)이 다시 복원되면서(이때 안내레버(3)는 휴지상태로서 요입공간내로 연결봉을 안내하지 않음) 톤암의 큐우잉부가 하강되어 톤암이 레스트바에 안착된다.Therefore, the tone
계속적인 리턴암(3)의 원복으로 슬라이드레버(6)도 원복되어 계속 "온"상태의 마이크로스위치(17)가 최종"오프"되어 톤암이송장치의 작동이 완료된다. 물론, 상기 톤암이송과정 중에 있어서 최초 톤암의 큐우잉→이송단계를 지난뒤 레코오드 첫연주시에는 제일플랫터(A)의 구동축(1)이 구동모터의 구동으로 일정속도 회전된다.The slide lever 6 is also retracted with the
이와 같은 회전과 동시에 톤암의 연주가 모두 끝나고 나면 레코오드의 마지막부분에서 톤암의 갑작스런 이동이 프릭션레버(8')를 밀어 피니언기어의 돌기(9a)를 다시 접촉시키므로서 피니언기어(9), 메인기어(2'), 리턴암(3)의 푸쉬부(3a), 이송레버의 연결봉(12)의 순서로 톤암의 원위치 작동이 이루어진다. 또한, 콤팩트디스크의 연주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t the same time as the rotation of the tonearm, after the tonearm is finished, the sudden movement of the tonearm at the end of the record pushes the friction lever 8 'to bring the pinion gear protrusion 9a back into contact with the pinion gear 9, the main. The tone arm is operated in the home position in the order of the gear 2 ', the push part 3a of the
최초의 스텝모터에 의하여 피니언기어와 맞물린 메인기어(22)가 일정각도(72°)회전되며, 이와 동시에 메인기어(22)에 일체로 된 기어드럼(20)의 캠홈(24)에 의하여 잠금레버(40)가 축지점을 중심으로 일정각도 이동되거나 복원된다. 특히, 플랫터(B)의 회전이 72°로 회전되는 마지막 순간에 캠홈(24)의 아웃코스에서 잠금레버(40)의 삽지구(41)가 플랫터(B)의 걸림구(43)에 삽착되어 정지상태를 잠근다. 이와 같이 플랫터(B)가 잠금상태로 되는 순간 브랏켓(31)에 일체로 되어 연장된 브라켓(31)이 기어드럼(20)의 돌출캠(23)과 하강면(23')을 따라 안내되면서 픽업베이스 플레이트(32)를 갖는 브라켓(31)이 하강면에서 돌출캠(23)으로 넘어 오므로서 픽업이 개구공(27')을 통하여 플랫터(B) 저면에서 C.D(38)의 중심에 위치하게 된다.The
이 순간, 플랫터(B) 상면의 마그넷트(37)가 C.D(38)위에서 픽업을 고정시키게 되며, 이후에는 픽업을 지지하는 제장치가 고정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C.D가 회전되면서 픽업에 의한 연주상태가 개시된다.At this moment, the
픽업에 의한 연주과정을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픽업베이스 플레이트(32)에 장치된 공지의 픽업장치에 의하여 회전되는 C.D로 부터 음을 재생하시키게 되며, 재생작동이 완료되고 나면 별도의 스위칭 제어회로에 의하여 픽업베이스 플레이트 일체의 브라켓트는 하강되고, 제이플렛터(B)는 72°각도 회전하게 된다.As the well-known process of picking up is well known, the sound is reproduced from a CD rotated by a well-known pick-up device installed in the
일정각도 회전이 완료되면 다시 전술한 작동순서가 반복되어 C.D 연주를 하게 된다.When the rotation is completed,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sequence is repeated to play C.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C.D 플랫터(B)는 레코오드 플랫터(A)와 동일측상에 설치하므로서 하나의 연주박스(턴테이블)내에 2개의 서로 다른 재생장치를 복합적으로 운영할 수 있게 되어 오디오시스템의 기존관념을 깨고 보다 간단화한 시스템을 제공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D flatter B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same side as the record flatter A so that two different playback apparatuses can be operated in one playing box (turntable). It has the effect of breaking the existing concept of audio system and providing a simpler system.
이와 같이 간단화한 시스템은 결국 생산공정은 물론 제조원가를 줄이게 되어 C.D.P와 L.P의 오디오 보급율을 높이게 되며, 보다 소형화한 오디오시스템을 제공하게 되는 부수적 효과도 기대된다.Such a simplified system will eventually reduce production costs as well as manufacturing costs, thereby increasing the audio penetration rate of C.D.P and L.P, and it is expected to have a side effect of providing a more compact audio system.
Claims (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890019959A KR920003995B1 (en) | 1989-12-28 | 1989-12-28 | CD changer with record play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890019959A KR920003995B1 (en) | 1989-12-28 | 1989-12-28 | CD changer with record play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10013166A KR910013166A (en) | 1991-08-08 |
KR920003995B1 true KR920003995B1 (en) | 1992-05-21 |
Family
ID=19294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90019959A Expired KR920003995B1 (en) | 1989-12-28 | 1989-12-28 | CD changer with record play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20003995B1 (en) |
-
1989
- 1989-12-28 KR KR1019890019959A patent/KR920003995B1/en not_active Expir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10013166A (en) | 1991-08-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251251B1 (en) | Apparatus for carrying out recording and/or reproducing signals for disk-shaped recording | |
US4486873A (en) | Disc loading mechanism | |
US4464743A (en) | Record playing apparatus | |
KR920003995B1 (en) | CD changer with record player | |
JPH01243201A (en) | Sound reproducing machine for recording disk having plural sound recording grooves | |
JPH0364921B2 (en) | ||
JPH02121159A (en) | Front loading disk player | |
JPS62120601A (en) | Record disk replacing mechanism for selective sound reproducing machine | |
US3542371A (en) | Combination player for discs and tape-cartridges | |
JPH0334122B2 (en) | ||
JPH067484Y2 (en) | Disk player | |
JP2935394B2 (en) | Centering device for disc players | |
JPH01144262A (en) | Disk player | |
JPH0477361B2 (en) | ||
JPS6245322Y2 (en) | ||
JPS633018Y2 (en) | ||
JPH04238149A (en) | Positioning device for disk | |
JPH043002B2 (en) | ||
JPH03266254A (en) | Analog-digital interchangeable disk player | |
JPS6387639A (en) | Reproducing device for disk-shaped recording medium | |
JP2006228399A (en) | Dividing device for disk accommodation part of disk changer | |
JPH02247863A (en) | Disk changer | |
JPH0221071B2 (en) | ||
JPH0721739A (en) | Disc recording / reproducing device | |
JPH0520761A (en) | Regenerating device for disk recording mediu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PG1605 |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7-oth-X00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80429 Year of fee payment: 1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90522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90522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