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20003941Y1 - 자동차의 글라스(Glass)파손시 경보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글라스(Glass)파손시 경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3941Y1
KR920003941Y1 KR2019900005822U KR900005822U KR920003941Y1 KR 920003941 Y1 KR920003941 Y1 KR 920003941Y1 KR 2019900005822 U KR2019900005822 U KR 2019900005822U KR 900005822 U KR900005822 U KR 900005822U KR 920003941 Y1 KR920003941 Y1 KR 9200039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vehicle
alarm
horn
coi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58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20056U (ko
Inventor
김종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전성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전성원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000058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3941Y1/ko
Publication of KR9100200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200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39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3941Y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4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conditions of vehicle components, e.g. of windows, door locks or gear se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025/1013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arning signal, e.g. visual, aud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의 글라스(Glass)파손시 경보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블럭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글라스(Glass) B : 글라스(Glass)내에 삽입될 가는코일 또는 휴즈
C : 시간타이머 D : 현재 차량에 사용하고 있는 호온(Horn)
B+: 밧데리 전원
본 고안은 자동차의 도난방지 경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동차를 일정장소에 주차시켜 두었을때, 도범이 도어(Door)를 열지않고 글라스(Glass)를 파손하여 차내의 물품이나 차량자체를 절도하는 행위를 일정시간(2-3분)동안 경보음으로서 알려주어 차량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글라스(Glass)파손시 경보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산업의 발달과 국민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자동차는 일상생활의 중요한 필수품의 하나로 인식되어가고 있다.
이러한 필수품의 하나인 고가의 자동차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하여 수많은 도난방지장치에 관한 발명품이 속출하고 있으나, 흉포화되고, 지능화되는 도범들이 도어(Door)를 열지않고 글라스(Glass)를 파손시켜 차내의 물품이나 차량자체를 절도하는 행위를 방지하는데는 부적합 하였던 것이다.
또한 종래의 도난방지 장치들은 그 구조및 취급 방법에 복잡하고, 취급하는데 있어서도 세심한 주위를 요하는 고가의 장치들이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자동적으로 항시 감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도범이 글라스(Glass)를 파손시키면 릴레이로 구성된 자동차제어회로에 의하여 경보음이 일정시간(2-3분)발휘할 수 있도록 하여, 자동차를 안전하게 보호함과 동시에 별다른 취급방법이 없이 자동적으로 작동되도록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회로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로서, 밧데리(B+)에, 릴레이(Relay)내의 접점(A2)과 코일부(A1)를 병렬로 연결하고, 상기 릴레이(Relay)내의 접점(A2) 일단에 시간타이머(C)를 거쳐 현재 차량에 사용되고 있는 경음기인 호온(D)을 연결하며, 또한 상기 릴레이(Relay)내의 코일부(A1)와, 차량에 사용되는 글라스(A) 내부로 운전에 지장이 없도록 삽입한 가는코일 또는 휴즈(B)를 연결하며 접지로 흐르게 구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차량의 글라스(A)내부로 운전에 지장이 없도록 삽입되며, 경보기 스위치 역할을 하는 가는코일 또는 휴즈(B)가 파손되지 않으면, 밧데리(B+)로 부터 인가되는 전원이 릴레이(Relay)내의 코일부(A1)를 거치면서 발생된 기전력에 의해 접점(A2)을 오프시키게 되므로 전원은 글라스(A)내의 가는 코일 또는 휴즈(B)를 거쳐 접지로 흐른다.
따라서 경보기 역할을 하는 호온(D)은 자동되지 않는다.
그러나 도범이나 기타의 피해로 글라스(A)가 파손되면, 삽입된 가는코일 또는 휴즈(B)가 파손(절단)되어, 코일부(A1)에서 발생되던 기전력이 상실되므로 밧데리(B+)로 부터 인가되는 전원은 릴레이(Relay)의 접점(A2)을 턴온(Turn on)시켜 공급되는 전압은 경보음이 발하는 시간을 제어하는 시간타이머(C)를 거친후, 현재 차량에 사용되고 있으며, 경보기 역활을 하는 호온(D)을 작동시켜 경보음을 발하게 한다.
이때 발하는 경보음은 시간타이머(C)의 접속에 의해 일정지연시간, (즉 2-3분간)만 발한후 멈추게 하여 불필요한 밧데리(B+)의 손실을 줄일뿐만 아니라, 경보음으로 인한 소음의 피해를 막을 수 있도록 하였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같이 도범이 차내의 물품이나 차량자체를 절도하고져 글라스(Glass)를 파손하였을시 경보음을 발함으로서 주위사람들의 시선을 집중시킬 수 있도록 하여 차량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게 될뿐아니라, 장치의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원가도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자동차가 불의의 사고를 당하여 글라스가 파손되었을시 경보음이 발하게 되므로, 주위사람에게 빨리 알릴수 있어, 신속한 사고처리를 할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 고안이다.

Claims (1)

  1. 밧데리(B+)에 릴레이(Relay)내의 접점(A2)과 코일부(A1)를 병렬로 연결하고, 상기 릴레이(Relay)내의 접점(A2) 일단에 시간타이머(C)를 거쳐 현재 차량에 사용되고 있는 경음기인 호온(D)을 연결하며, 또한 상기 릴레이(Relay)내의 코일부(A1)에 차량의 글라스(A) 내부에 운전에 지장없도록 삽입되는 가는코일 또는 휴즈(B)를 연결하여 접지로 흐르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글라스(Glass)파손시 경보장치.
KR2019900005822U 1990-05-04 1990-05-04 자동차의 글라스(Glass)파손시 경보장치 Expired KR9200039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5822U KR920003941Y1 (ko) 1990-05-04 1990-05-04 자동차의 글라스(Glass)파손시 경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5822U KR920003941Y1 (ko) 1990-05-04 1990-05-04 자동차의 글라스(Glass)파손시 경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20056U KR910020056U (ko) 1991-12-19
KR920003941Y1 true KR920003941Y1 (ko) 1992-06-13

Family

ID=19298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5822U Expired KR920003941Y1 (ko) 1990-05-04 1990-05-04 자동차의 글라스(Glass)파손시 경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394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20056U (ko) 1991-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76909A (en) Automatic light control for automotive vehicles
US5128651A (en) School bus alarm system
US3422398A (en) Vehicle solid state alarm system
US2935730A (en) Vehicle alarm system
US3670301A (en) Vehicle anti-theft device
KR920003941Y1 (ko) 자동차의 글라스(Glass)파손시 경보장치
US4194175A (en) Automobile headlight alarm system
US4058793A (en) Vehicle headlight warning circuit
US3891967A (en) Antitheft alarm system for automobiles
JP2005008124A (ja) 車両用電装品の盗難防止装置
GB2138611A (en) Alarm systems
JPH10297393A (ja) 車両の安全装置
US4006451A (en) Modular alarm circuit
GB2319653A (en) Security Battery
JPH0585262A (ja) 車両用ランプの点滅制御装置
JPH01223051A (ja) 車両用盗難防止装置
KR100192912B1 (ko) 자동차 밧데리의 방전방지장치
JPS6140577B2 (ko)
JPH0730407Y2 (ja) 車両用空気清浄器の自動停止装置
JP3174709U (ja) 車載用盗難防止装置
KR0156408B1 (ko) 자동 비상등 작동시스템
SU616645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тревожной сигнализации
KR920004564Y1 (ko) 자동차용 오디오 시스템 도난 경보 장치
KR900006280Y1 (ko) 자동차 도난 방지기
KR100214940B1 (ko) 후드 오픈시 감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00504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00504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20224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20519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2082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2112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0

Payment date: 1992112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101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02

Year of fee payment: 12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60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