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20003134Y1 - 착탈기능을 구비한 기구용 케이스 - Google Patents

착탈기능을 구비한 기구용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3134Y1
KR920003134Y1 KR2019900005885U KR900005885U KR920003134Y1 KR 920003134 Y1 KR920003134 Y1 KR 920003134Y1 KR 2019900005885 U KR2019900005885 U KR 2019900005885U KR 900005885 U KR900005885 U KR 900005885U KR 920003134 Y1 KR920003134 Y1 KR 9200031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detachable
front case
portions
pai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58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21364U (ko
Inventor
전광철
Original Assignee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정몽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정몽헌 filed Critical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000058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3134Y1/ko
Publication of KR91002136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2136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31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3134Y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1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comprising several parts forming a closed ca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착탈기능을 구비한 기구용 케이스
제1a도는 본 고안에 의한 기구의 베면케이스 정면도.
제1b도는 제1a도의 가-가선을 따라 절취한 상태의 단면도.
제1c도는 제1a도의 평면도.
제2a도는 본 고안에 의한 기구의 전면케이스 배면도.
제2b도는 제2a도의 나-나선을 따라 절취한 상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배면케이스 10 : 전면케이스
4A 및 4B : 체결부 5A : 및 5B : 경사부
13A 및 13B : 유도부재 14 : 사각홈
15 : 사각홀
본 고안은 기구의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면 케이스와 배면 케이스의 체결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할수 있도록 케이스 자체가 착탈기능을 갖는 기구용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구는 전면 케이스와 배면 케이스로 이루어지며, 완제품을 위한 각 케이스의 조립 및 필요에 의한 분리작업이 빈번히 발생된다.
전면 케이스와 배면 케이스와의 체결수단중 가장 보편적으로 이용되는 것은 고정 보울트로서, 배면 케이스 내부에 너트부를 구성하고, 전면 케이스에 보울트 관통부를 형성하여 보울트를 통하여 양 케이스를 체결 및 분리하게 된다.
그러나, 보울트를 이용한 각 케이스의 체결 및 분리방법은 그 과정중에 상당한 시간이 소모될 뿐아니라 추가적인 도구를 사용하게 되며, 또한 전면 케이스 표면에 보울트 관통부를 형성함으로서 미관상 양호한 외관을 기대할 수 없게 된다.
본 고안은 이와같이 일반적인 각기구의 착탈수단과는 달리 각기구 자체에 서로 연동하는 부재를 각 케이스에 일체로 구비하여 착탈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 기구용 케이스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의한 기구용 케이스는 상부부재(2) 및 하부부재(3)상에는 후미가 각부재(2, 3)에 일체화되고, 양측면은 상기 각부재(2, 3)와 소정간격 이격되며, 그 전단부는 상향경사진 경사부(5A, 5B)로 이루어진 착탈부(4A, 4B)를 각각 1쌍식 구성한 배면케이스(1)와, 상부부재(11) 및 하부부재(12)의 내면에는 상기 배면 케이스(1)의 각 착탈부(4A, 4B)와 대응하도록 상기 경사부(5A, 5B)의 평면적과 동일한 면적의 사각홈(14) 및 사각홀(15)을 각각 형성하고, 사각홈(14)과 사각홀(15)의 연변에서 각 부재(11, 12)후단부까지에는 소정높이의 유도부재(13) 1쌍을 구성한 전면케이스(1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a도는 본 고안에 의한 기구 배면케이스의 정면도를, 제1b도는 제1a도의 가-가선을 따라 절취한 상태의 단면도를, 제1c도는 제1a도의 평면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일반적인 구조를 갖는 배면케이스(1)는 상, 하부재(2, 3)의 복수위치에 착탈부(4A, 4B)를 구비한다.
(필요에 의하여 좌우부재에도 착탈부를 구성할 수 있다)
각 착탈부(4A, 4B)의 구성은 제1b도 및 제1c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그 길이는 상부 및 하부부재(2및3)보다 길며, 각 측면부는 상, 하부재(2및3)와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이고, 후단부는 상하부재(2, 3)에 일체화 된다.
착탈부(4A, 4B)의 전단부(후술할 전면케이스와의 대응부)는 착탈부(4A, 4B)전폭에 걸쳐 일정길이의 경사부(5A, 5B)가 구성되며, 경사부(5A, 5B)의 후단은 착탈부(4A, 4B)와 수직을 이룬다.
이와같은 구조를 갖는 배면케이스(1. 배면케이스는 각종 전자회로 및 부품들을 내장한 상태로 장착위치에 고착된다)와 대응하는 전면케이스의 구성을 설명하면, 제2a도는 전면케이스의 배면을, 제2b도는 제2a도의 나-나선을 따라 절취한 상태의 단면을 각각 도시한다.
전면케이스(10)의 전면부재(16)와 상부부재(11)가 맞닿는 위치의 상부부재(11) 내면에는 소정면적(상술한 체결부(4A)의 경사부(5A) 평면적과 통일한 면적)의 사각홈(14) 1쌍이 형성되며(제2a도에는 도시되지 않고, 제2b도에 단수로 도시됨) 전면부재(16)와 하부부재(12)가 맞닿는 위치의 하부부재(12)에는 소정면적의 사각홀(15) 1쌍을 구성한다.
여기서 1쌍의 사각홈(14)과 1쌍의 사각홀(15)은 전술한 배면케이스(1)와의 체결시 각 착탈부(4A, 4B)와 대응하는 위치이다.
각 사각홈(14)와 사각홀(15)의 연변에서부터 상부 및 하부부재(11및12)의 후단부에 이르는 각 부재(11, 12)의 내면에는 소정높이의 1쌍의 안내부재(13A및14B)를 각각 구성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전면케이스(10) 및 배면케이스(1)의 상호 연동관계를 설명하면, 벽등과 같은 장착위치에 고착된 배면케이스(1)의 상, 하착탈부(4A, 4B)와 전면케이스(10)의 1쌍씩의 각 유도부재(13A, 13B)를 대응시킨뒤, 전면케이스(10)를 배면케이스(1)를 향하여 밀게되면, 전면케이스(10)는 각 유도부재(13A, 13B)의 착탈부(4A, 4B) 경사표면에 대한 미끄럼 이동에 의하여 원활하게 미끄러진다. 이때 각 착탈부(4A, 4B)는 그 측면이 상부 및 하부부재(2및3)와 이격된 상태에서 단부가 각부재(2, 3)와 일체화된 상태이므로 초기 접촉시 착탈부(4A, 4B) 자체가 눌려진 상태로 전면케이스(10)의 유도부재(13A, 13B)와 접하게 된다.
미끄럼 이동후 각 착탈부(4A, 4B)의 경사부(5A, 5B)가 전면케이스(10)의 상부홈(14) 및 하부홀(15)에 각각 대응되면, 각 착탈부(4A, 4B)에 가해지는 압력이 해제되며, 이때 착탈부(4A, 4B)의 복원력이 작용되어 각 착탈부(4A, 4B)의 경사부(5A, 5B)는 전면케이스(10)의 상부홈(14) 및 하부홀(15)에 각각 삽입된다. 삽입된 경사부(5A, 5B)의 수직후단부는 상부홈(14) 및 하부홀(15)의 후단 연변에 대응되어 소정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이탈되지 않는다.
여기서, 각 착탈부(4A, 4B)의 경사부(5A, 5B)와 대응하는 전면케이스(10)의 상부부재(11)에는 사각홈(14)을, 하부부재(12)에는 사각홀(15)을 각각 달리 구성한 이유는 상부부재(11)의 홈(14)에 유도부재(4A)의 경사부(5A)가 삽입될시 외부에서 경사부(5A)를 인지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하부부재(12)의 사각홀(15)을 동일하게 홈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같이 체결된 전면케이스(10)를 배면케이스(1)에서 분리할 경우에는 전면케이스(10)에 힘을 가한후 잡아다니면 사각홈(14) 및 홈(15)에 체결된 각 경사부(5A, 5B)가 이탈되어 각 부재(1, 10)가 용이하게 분리된다.
이와같은 각 케이스는 분리 및 체결과정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체결후 양호한 외관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착탈가능한 전면케이스와 배면케이스로 이루어진 기구용 케이스에 있어서, 상부부재(2) 및 하부부재(3)상에는 후미가 각부재(2, 3)에 일체화되고, 양측면은 상기 각부재(2, 3)와 소정간격 이격되며, 그 전단부는 상향경사진 경사부(5A, 5B)로 이루어진 착탈부(4A, 4B)를 각각 1쌍씩 구성한 배면케이스(1)와, 상부부재(11) 및 하부부재(12)의 내면에는 상기 배면 케이스(1)의 각 착탈부(4A, 4B)와 대응하도록 상기 경사부(5A, 5B)의 평면적과 동일한 면적의 사각홈(14) 및 사각홀(15)을 각각 형성하고, 사각홈(14)과 사각홀(15)의 연변에서 각 부재(11, 12)후단부까지에는 소정높이의 유도부재(13) 1쌍을 각각 구성한 전면케이스(10)로 이루어진 착탈기능을 구비한 기구용 케이스.
KR2019900005885U 1990-05-07 1990-05-07 착탈기능을 구비한 기구용 케이스 Expired KR9200031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5885U KR920003134Y1 (ko) 1990-05-07 1990-05-07 착탈기능을 구비한 기구용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5885U KR920003134Y1 (ko) 1990-05-07 1990-05-07 착탈기능을 구비한 기구용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21364U KR910021364U (ko) 1991-12-20
KR920003134Y1 true KR920003134Y1 (ko) 1992-05-21

Family

ID=19298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5885U Expired KR920003134Y1 (ko) 1990-05-07 1990-05-07 착탈기능을 구비한 기구용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313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21364U (ko) 1991-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3414920A1 (de) Tastenfeld
KR920700734A (ko) 조립세트에서 요소를 분리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도구
US5566445A (en) IC mounting tool
KR920003134Y1 (ko) 착탈기능을 구비한 기구용 케이스
JP4053349B2 (ja) ファスナ構造
DE602006000310T2 (de) Dekorationsvorrichtung für eine Karosserie
KR970004874Y1 (ko) 전자제품의 하우징 조립구조
KR0131226Y1 (ko) 전기.전자제품의 쉴드 고정장치
KR200174774Y1 (ko) 서랍 손잡이
KR970008507B1 (ko) 컴퓨터본체의 프론트패널 결합구조
KR0123657Y1 (ko) 인쇄회로 기판 고정장치
KR100409026B1 (ko) 선풍기
KR950005200Y1 (ko) 컴퓨터 본체의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고정장치
JPH0742184Y2 (ja) 配線器具取付け枠
KR910009346Y1 (ko) 셔터부재의 연결홀더
KR870004191Y1 (ko) 프린트 기판 고정장치
JPH0453030Y2 (ko)
KR940006483Y1 (ko) 가구문 손잡이 고정쇠
KR200194098Y1 (ko) 고정체에피고정체의분리결합을용이하게할수있는체결구
KR200212570Y1 (ko) 가전제품의 키패드부
KR100214953B1 (ko) 차량의 보조 매트 고정장치
JPS645912Y2 (ko)
KR940003968Y1 (ko) 문짝의 장식판 고정장치
KR0123933Y1 (ko) 피시비 지지구조
US2616135A (en) Fasten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00507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00507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20423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20803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2082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2082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19961125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