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20003110B1 - 보강토 옹벽 보완장치 - Google Patents

보강토 옹벽 보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3110B1
KR920003110B1 KR1019880011818A KR880011818A KR920003110B1 KR 920003110 B1 KR920003110 B1 KR 920003110B1 KR 1019880011818 A KR1019880011818 A KR 1019880011818A KR 880011818 A KR880011818 A KR 880011818A KR 920003110 B1 KR920003110 B1 KR 9200031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plate
hole
plate portion
retaining wall
drill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1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5023A (ko
Inventor
백운일
박성윤
Original Assignee
대림산업 주식회사
이준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림산업 주식회사, 이준용 filed Critical 대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80011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3110B1/ko
Publication of KR900005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0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3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3110B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보강토 옹벽 보완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이 설치된 전체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이 있어 앵커부와 박판부의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있어 전면판부의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있어 전면판부가 설치되는 상태의 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결합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연결부 2, 2' : 전면판부
3 : 앵커부 4 : 박판간
5 : 마찰돌기 8 : 원형박판
11 : 연결부재 15 : 연결부재
17 : 박판 18 : 돌부
19 : 연결편 21 : 배수홈
24 : 완충판 27 : 기초 콘크리트
28 : 벽 30 : 고정홈
30' : 배수로 31 : 덮개
32 : 결합돌기 33 : 연결공
34 : 배수공 36 : 쐐기
본 발명은 토목공사중 성토부 구간에 사용되어 왔던 보강토 옹벽 보완장치를 개선시킨 것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보강토 옹벽 보완장치는 강철도금 또는 고분자 화합물 계통인 폴리에스터 코어를 폴리에틸렌으로 피복하여 마찰형 박판으로 이용하고, 전면판은 콘크리트 판넬로 만들어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보완장치는 강철박판을 영구구조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부식으로 인한 응력 감소현상으로 구조물이 파손되는 사례가 발생되어 많은 인명과 재산의 피해를 주었고, 뒷 채움시 다짐이 잘 안되는 예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단가가 비싸다는 단점이 있었으며, 고분자 화합물 박판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박판의 설치시 크리프의 변형으로 인해 박판의 변형율이 커져서 전면판의 선형이 잘 맞지 않는 점과 폴리에스터 코어가 가수분해를 일으켜 옹벽이 감소되므로 물에 대한 내구성이 취약해지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콘크리트 판넬로 전면판을 만드는 경우에는 전면판의 중량이 과다하여 거치시 중장비가 필요하고, 옹벽의 높이가 높아지는 경우 중량이 과다하여 연직침하 등의 우려가 있었으며, 전면판의 중량에 의해 집중 응력이 발생하므로 국부적인 파손이 일어나 붕괴되는 사례가 있었다.
한편, 이러한 전면판의 중량을 줄이기 위해 콘크리트 판넬을 작게 만들수도 있으나, 작업의 번거로움과 시공성 등에 문제점을 유발시키게 되고, 최소의 크기로 만들더라도 중장비의 사용은 불가피하였으며, 또한 기존의 이러한 보강토 보완장치로 시공할 경우 별도의 배수처리 시설을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앵커부는 박판에 의한 마찰력과 인장력을 극대화시키는 구조로 형성하고, 내구성 및 내화학성이 강한 F.R.P(Fiber-Glass Reinforced Plastic)제품으로 신소재의 공학적 이용증대를 높혔다.
그리고 전면판도 콘크리트 제품이 아닌 F.R.P로 대체함으로서 재료 자체가 갖는 강점(인장강도 약 250배, 압축강도 약 20배, 충격강도 약 100배, 전단 및 휨강도 약 150배)을 이용하여 전면판의 중량을 감소(약 50㎏내외)시키므로 중장비 없이도 시공이 가능하게 하고, 또한 전면판에는 별도의 배수 처리 시설을 하지 않고 수직배수공 및 관통판을 형성한 것이다.
이와같은 본 발명의 보강장치를 도면에 의거 설명한다.
전면판부(2)와 상기 전면판부(2)의 배면에 일단이 연결된 연결부(1)와 상기 연결부(1)의 타단에 앵커부(3)를 연결한 것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부(2)의 전면에는 조립된 옹벽을 아름답게 하기 위하여 일정 형상이 돌출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전면판부(2)를 상하 좌우로 열결할 수 있도록 전면판부(2)의 주연에 다수개의 연결공(22)을 형성하여, 전면판부(2)(2')의 연결공(22)을 맞대고 상기 연결공(22)에 쐐기(46)를 삽입한 후 쐐기(36)에 뚫린 삽입공(37)에 고정핀(38)을 삽입하면 전면판부(2)(2')가 서로 연결된다.
그리고 전면판부(2)가 변형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모서리 내에는 지지편(23)을 형성한다.
상기 전면판부(2)의 배면에 형성된 연결편(19)을 연결부(1)에 연결하기 위하여 체결공(20)이 뚫린 연결편(19)이 삽입될 수 있도록 사각공(26)을 뚫은 완충판(24)을 형성하고, 상기 완충판(24)에 뚫린 사각공(26)에 연결부(1)의 연결편(19)을 삽입하며, 상기 완충판(24)에는 다수개의 배수공(25)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상기 연결편(19)에 연결하는 연결부(1)의 박판간(4)에는 마찰 저항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마찰돌기(5)를 다수개 형성하였다.
상기 연결부(1)의 선단에 마찰력과 인장력에 의하여 보강토에서 잘 빠지지 아니하도록 원형 박판(8)으로 형성된 앵커부(3)를 구성하고, 상기 원형박판(8)의 주연에 체결공(10) 뚫린 연결구(9)를 다수개 형성하며, 상기 연결구(9)에 박판(17)을 연결하였다.
그리고 상기 전면판부(2)의 하부 주연에 뚫린 연결공(22)에는 배수로(31')의 덮개(31)에 뚫린 연결공(33)을 맞대고 상기 연결공(22)(23)에 쐐기(36)를 삽입하여 연결토록 구성하였고, 상기 덮개(31)는 배수로(31')의 양벽 상단에 형성된 결합홈(30)에 결합하고, 수로의 하부에 뚫린 구멍(29)을 통하여 기초 콘크리트(27)에 결합하도록 구성하였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6,6'는 박판간(4)의 양단에 뚫린 체결공이고, 11은 연결부(1)와 앵커부(3)을 연결하는 연결부재이며, 12,12'는 연결부재(11)에 뚫린 체결공이고, 9는 원형 박판(8)에 형성된 연결부이며 10은 연결부(9)에 뚫린 체결공이며, 15는 전면판부(2)와 연결부(11)를 연결해주는 연결부재이고, 16,16'는 연결부재(15)의 양단에 뚫린 체결공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옹벽을 설치코져 할때는 옹벽설치부에 기초 콘크리트(27)를 설치한다.
상기 기초 콘크리트(27)위에는 배수로(31')를 올려놓고 기초 콘크리트(27)에 형성된 앵커볼트(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아니함)에는 배수로(31')에 뚫린 구멍(29)을 삽입하여 고정한다.
배수로(31')는 계속적으로 기초 콘크리트(27)위에 나란히 연결하여 설치한다.
상기 배수로(31')의 양벽(28) 상단에 형성된 결합홈(30)에 결합돌기(32)가 삽입되도록 덮개(31)을 올려 놓는다.
이와같이 덮개(31)를 결합홈(30)에 올려 놓기전에 전면판부(2)의 주연 하부에 뚫린 연결공(22)을 덮개(31)에 뚫린 연결공(33)과 나란히 하고, 상기 연결공(22)(33)에 쐐기(36)를 삽입한다.
이와같이 삽입된 쐐기(36)에 형성된 삽입공(37)에 고정핀(38)을 삽입하면 전면판부(2)의 하단에 덮개(31)가 결합된다.
이와같이 전면판부(2)가 결합된 덮개(31)을 상기와 같이 배수로(31')의 상단에 덮는 것이다. 그리고, 전면판부(2)의 배면에 형성된 연결편(19)에 뚫린 체결공(20)에는 연결부재(15)에 뚫린 체결공(16)을 일치시키고, 상기와 같이 일치된 체결공(20)(16)에 고정볼트를 끼워 연결한다.
이와같이 전면판부(2)의 연결편(19)에 연결된 연결부재(15)를 완충판(24)에 뚫린 사각공(26)을 삽입하여, 상기 연결부재(15)가 완충판(24)의 바깥쪽으로 돌출된 상태가 된다.
이와같이 된 상태에서 연결부재(15)의 선단에 형성된 체결공(16')에 연결부(1)의 박판간(4)의 일측에 뚫린 체결공(6)을 일치시킨 후 고정볼트(13)와 너트(14)로 고정하여 연결한다.
이와같이 전면판부(2)에 연결부(1)가 연결된 상태에서 전면판부(2)(2')의 주연을 서로 맞대어 연결공(22)이 일치되게 하고, 상기 연결공(22)에 쐐기(36)를 삽입하고, 쐐기(36)의 선단에 형성된 삽입공(37)에는 고정핀(38)을 삽입하여 고정함으로써 전면판부(2)(2')을 상하 좌우로 계속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것으로써 옹벽의 크기에 따라 임의대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전면판부의 배면에 형성된 완충판(24)은 성토된 부토가 전면판부로 밀려올때 완충작용을 하여 전면판부(2)가 안정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성토된 부토에 포함되어 있는 물은 완충판(24)에 뚫린 배수공(26)으로 유입되어 전면판부(2) 형성된 배수홈(21)을 따라 아래로 계속 흐른다. 이와같이 물이 배수홈(21)를 따라 흘러내려 맨 아래의 전면판부(2)에 연결된 덮개(31)의 배수공(34)을 통하여 배수로(30')내로 떨어져서 흘러 나가는 것이다.
그리고 전면판부(2)에 연결된 연결부(1)의 박판간(4)에는 다수의 마찰동기(5)를 형성하여 줌으로써 마찰저항 효과를 증대시켜 박판간(4)이 전면으로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박판간(4)의 선단에 형성된 체결공(6')에 연결부재(11)에 뚫린 체결공(12)을 일치시킨 후 고정볼트(13)와 너트(14)로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11)의 선단에 뚫린 체결공(12)에는 원형 박판(8)에 형성된 연결구(9)의 체결공(10)을 일치시킨 후 고정볼트로 고정하여 연결토록 하였다.
따라서 원형 박판(8)은 인장에 대한 저항력을 증가시키되 앵커의 구조를 링구조로 하여 적은 재료로써 저항 효과를 배가 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원형 박판(8)에 형성된 연결구(9)의 체결공(10)에 핀을 끼워 땅에 박아 고정시키도록 함으로써 시공도중 연결구(1)가 느슨해지거나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여 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연결구(9)의 체결공(10)을 이용하여 박판(17)들을 연결하면 개개의 저항구조에 일체식 저항구조로 안정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7)

  1. 전면판부(2)의 배면에 일단이 연결된 연결부(1)의 타단을 앵커부(3)에 연결한 것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부(2)를 상하 좌우로 연결할 수 있도록 전면판부(2)의 주연에 다수개의 연결공(22)을 형성하고, 상기 전면판부(2)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모서리 내에 지지편(23)을 형성하며, 상기 전면판부(2)를 연결부(1)에 연결하기 위하여 체결공(20)이 뚫린 연결편(19)이 삽입되는 사각공(26)을 형성한 완충판(24)과, 상기 완충판(24)에 물이 배수되도록 형성한 배수공(25)과, 상기 연결부(1)의 선단에 마찰력과 수동저항력에 의하여 보강토에서 잘빠지지 아니하도록 한 원형 박판(8)으로 형성된 앵커부(3)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보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부(2)(2')를 연결하기 위하여 전면판부의 주연에 뚫린 연결공(22)을 서로 맞대고 상기 연결공(22)에 쐐기(36)를 삽입하고, 상기 쐐기(36)에 뚫린 삽입공(38)에 고정핀(38)을 삽입하여 구성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보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1)는 마찰저항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마찰돌기(5)가 다수개의 형성한 박판간(4)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보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 박판(8)의 주연에는 체결공(10)이 뚫린 연결구(9)를 다수개 형성하고, 상기 연결구(9)에 박판(17)을 연결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보완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부(2)의 하부 주연에 뚫린 연결공(22)에 배수로(30')의 수로의 덮개(31)에 뚫린 연결공(33)을 맞대고 상기 연결공(22)(33)에 쐐기(36)를 삽입하여 연결토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보완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31)는 배수로(30')의 양벽(28)의 상단에 형성된 결합홈(30)에 결합하고, 상기 배수로(30')의 하부에 형성된 구멍(29)을 통하여 기초 콘크리트(27)에 결합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보완장치.
  7.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부(2)의 주연과 연결편(19)에 배수홈(21)을 형성하고, 상기 전면판부(2)의 주연 하부에 형성된 배수홈(21)이 덮개(31)에 뚫린 배수공(34)과 일치되어 물이 배수홈(21)과 배수공(34)을 따라 배수로(30')떨어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옹벽 보완장치.
KR1019880011818A 1988-09-13 1988-09-13 보강토 옹벽 보완장치 Expired KR9200031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1818A KR920003110B1 (ko) 1988-09-13 1988-09-13 보강토 옹벽 보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11818A KR920003110B1 (ko) 1988-09-13 1988-09-13 보강토 옹벽 보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5023A KR900005023A (ko) 1990-04-13
KR920003110B1 true KR920003110B1 (ko) 1992-04-18

Family

ID=19277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1818A Expired KR920003110B1 (ko) 1988-09-13 1988-09-13 보강토 옹벽 보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31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8442B1 (ko) * 2001-09-20 2004-09-13 주식회사 포스코 볼트접합강재를 구비한 옹벽보강재
KR20030025369A (ko) * 2001-09-20 2003-03-29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파형 옹벽보강재
KR20030030499A (ko) * 2001-10-11 2003-04-18 보강기술주식회사 보강토옹벽의 전방지지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5023A (ko) 1990-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04438B2 (en) Wale and retaining wall system
CA2420991A1 (en) Integrated footings
KR102300113B1 (ko) 교각 보강 거푸집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교각 보강 공법
KR100394072B1 (ko) 강관말뚝과 콘크리트구조물기초의 결합구조 및 그강관말뚝 결합구
KR101990393B1 (ko) 내진보강 패널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1864857B1 (ko) 보강 케이싱 구조를 갖는 기초말뚝 시공방법
KR920003110B1 (ko) 보강토 옹벽 보완장치
KR100473375B1 (ko) Phc 말뚝을 이용한 옹벽
WO2022008992A1 (en) Seismic isolation foundation system and method for buildings
KR20020002145A (ko) 다단식 옹벽용 기초블록 및 그를 이용한 상층부 옹벽의기초지반 보강공법
KR102457875B1 (ko) 프리캐스트 옹벽 구조물
KR200258921Y1 (ko) 흙막이용 벽체 패널의 설치구조
KR200183308Y1 (ko) 그라운드 앵크의 지수판용 정착구
KR200203646Y1 (ko) 2차 프리스트레스 도입용 보강재 정착구
KR100657654B1 (ko) 복수개의 앵커삽입홀이 형성된 에이치형 파일
JPH0525821A (ja) 連続地中壁とその施工法
KR200253358Y1 (ko) 지하공사용 흙막이 구축장치
KR102351788B1 (ko) 간편 지보재 연결장치
KR200285572Y1 (ko) 강관말뚝 머리보강 연결구
JP3114141B2 (ja) 地下室
KR102568888B1 (ko) 합성데크형 조인트필라스터가 구비된 내진 지하연속벽
KR200258922Y1 (ko) 흙막이용 벽체패널의 설치구조
KR200372011Y1 (ko) 식생블록용 고정구
KR200273547Y1 (ko) 보강토옹벽 축조구조
CN215926046U (zh) 一种组合式装配式板式基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206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40419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40419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