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2804B1 - Pin ball machine - Google Patents
Pin ball machi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20002804B1 KR920002804B1 KR1019880010399A KR880010399A KR920002804B1 KR 920002804 B1 KR920002804 B1 KR 920002804B1 KR 1019880010399 A KR1019880010399 A KR 1019880010399A KR 880010399 A KR880010399 A KR 880010399A KR 920002804 B1 KR920002804 B1 KR 92000280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ariable display
- display
- variable
- ball
- data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7/00—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 A63F7/02—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using falling playing bodies or playing bodies running on an inclined surface, e.g. pinball gam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7/00—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 A63F7/0058—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electr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 Display Devices Of Pinball Game Machines (AREA)
- Slot Machines And Peripheral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제1도 내지 제9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그중 제1도는 핀볼 기게의 게임판의 구성예를 도시한 정면도.1 to 9 show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FIG. 1 is a front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a game board of a pinball machine.
제2도는 가변 표시 장치의 전체 사시도.2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 variable display device.
제3도는 가변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variable display device.
제4도는 가변 표시 장치의 본체의 정면도.4 is a front view of a main body of a variable display device.
제5도는 가변 표시 장치의 제어 시스템의 일예를 도시한 블록 다이어그램.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control system of a variable display device.
제6도는 가변 표시 장치내에서 숫자 표시 변화의 형식을 도시한 설명도.FIG. 6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the format of numeric display variation in the variable display device; FIG.
제7도는 7개의 분할형 표시의 설명도.7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seven segmented displays.
제8도는 롬내에 기억된 표시 변화용의 데이터를 도시한 설명도.FIG. 8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data for display change stored in the ROM. FIG.
제9a도 내지 제9c도는 핀볼 기계의 특별한 게임이 발생할때까지의 작동 타이밍에 따른 제어를 제어 장치에 의해 실현하기 위한 일예를 도시한 흐름도.9A to 9C are flowcharts showing an example for realizing control by th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operation timing until a special game of the pinball machine occurs.
제10도는 7개의 분할형 표시의 설명도.10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seven segmented displays.
제11도는 롬내의 기억된 숫자 표시용의 고정된 데이터를 도시한 설명도.FIG. 11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fixed data for displaying stored numbers in a ROM; FIG.
제12도는 중앙 처리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연산 결과로 하여 연산 데이터의 설명도.12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calculation data as a result of calculation performed by the central processing unit.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게임판 2 : 게임 영역1: game board 2: game area
10 : 안내 레일 3, 313 : 특정 입상 구멍10:
30 : 가변 표시 장치 40 : 변동 입상 장치30: variable display device 40: variable granular device
A, B, C : 가변 표시부A, B, C: variable display
본 발명은 볼이 게임판(놀이판)상에 제공된 특정 입상 구멍으로 들어갈 때 예비 조정된 배팅 비율에 따라 입상볼을 내놓고, 특히 가변 표시부가 정지할 때 볼이 표시결과에 따라 쉽게 수용할 수 있는 상태로 작동하고 스위치되는 변동 입상 장치 및 입상 상태에 따라 작동되는 가변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핀볼 기계(빠찡꼬 기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anding ball according to a pre-adjusted betting ratio when the ball enters a specific winning hole provided on a game board (playboard), and particularly when the variable display stops, the ball can be easily accommodated according to the display result. A pinball machine is provided which provides a variable granular device which is operated and switched and a variable display which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granular state.
핀볼 기계에서 가변 장치는 게임에서 흥미를 증가하도록 힛볼을 수용하기 위한 입상 장치로 사용된다.In a pinball machine, the variable device is used as a standing device for accommodating ear balls to increase interest in the game.
한 예를들면, 볼이 특정 입상 구멍으로 들어갈 때 작동된 가변 표시 장치 및 볼이 그 표시 결과를 근거로 하여 쉽게 수용한 상태로부터 볼이 수용하지 않는 상태로 작동하고 스위치되는 변동 입상 장치를 제공하는 핀볼 기계를 제공한다.One example is to provide a variable display device operated when a ball enters a particular winning hole and a variable standing device in which the ball operates and switches from the easily received state to the unacceptable state based on the display result. Provide pinball machine.
가변 표시 장치는 슬로트 머시인과 같은 서로 독립하여 작동되는 복수개의 가변 표시부를 가지고 있으며, 통상 정지부인 각 표시부는 볼이 특정 입상 구멍으로 들어간 조건에서 작동을 출발한다. 그리고 표시상태(예를들어, 숫자)가 연속적으로 변화하며, 특정게임은 예정된 관계가 정지 시간에 서로 표시된 결과(표시된 조합)에 설정될 때 발생된다.The variable display device has a plurality of variable display units that operate independently of each other, such as a slot machine, and each display unit, which is usually a stop unit, starts operation under conditions where a ball enters a specific granular hole. And the display state (e.g. numbers) changes continuously, and a particular game is generated when a predetermined relationship is set to the displayed result (combined combination) at the stop time.
특정 게임은 변동 입상 장치의 개구 폐쇄 부재가 열리고 그 상태가 볼이 볼을 수용하지 않는 상태로부터 예정시간 또 많은 시간동안 쉽게 볼을 수용하는 단계로 스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기간동안 볼이 변동 입상장치의 입상 구멍내에 쉽게 수용되므로 대다수의 핀볼은 에정된 배팅 비율에 따라 다수의 입상볼에 상응하여 얻어지게 된다.Certain games can be switched from the opening of the opening closing member of the variable standing apparatus to a state in which the ball is not accepting the ball from the state of receiving the ball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time during which the ball is Since it is easily accommodated in the granular holes, the majority of pinballs will be obtained corresponding to a number of granular balls depending on the betting ratio set.
게다가, 특정 게임의 사이클이 상기 조건에서 재생되므로 볼은 상기 기간내에 변동 입상 장치내에서 연속탐지부를 통과하고 연속적으로 수행하며(그러나, 특정 게임의 주기는 어떤 다수의 특정 입상 주기에 의하여 제한하게 된다) 게임은 게임자에게 더 흥미를 준다.In addition, since the cycle of a specific game is played under the above conditions, the ball passes through the continuous detection unit in the variable standing apparatus within the period and runs continuously (but the cycle of a specific game is limited by any number of specific winning cycles). The game is more interesting to the player.
추가해서, 가변 표시 장치의 표시 변화는 컴퓨터 제어에 의하여 수행하게 되며 그것은 특정 입상 구멍내에 볼의 입상의 탐지를 자동적으로 시작하며 어떤 시간 경과후 정지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결과를 단지 주시하며 사용자는 표시된 결과에 예상할 여지가 없다. 상기와 같이 전부 자동 제어되어 버리면 사용자에게 덜 흥미를 줄 것이다. 바꿔말하면 작동시킨 가변 표시 장치의 작동을 직접 정지시킬수 있다면 사용자는 표시된 결과를 예상할 수 있으며 스릴 만점인 재미있는 게임을 즐길 것이다. 그러나, 모든 작동이 사용자의 판단에만 맡기게 된다면, 그들은 정지 작동과 미리 충분히 점유된 원래 핀볼 게임을 즐길수 없거나 다음 게임을 못하게 하므로 가변 표시 장치의 작동 주기는 너무 길게 된다.In addition, the display change of the variable display device is performed by computer control, which automatically starts the detection of the granularity of the ball in a specific granular hole and stops after a certain time. Thus, the user merely watches the results and the user has no expectation in the displayed results. All of the above automatic control will be less interesting to the user. In other words, if you can directly disable the variable display, you can expect the displayed results and enjoy a thrilling fun game. However, if all the operations are left to the user's judgment, the operation period of the variable display device becomes too long since they do not enjoy the stop operation and the original pinball game which is sufficiently occupied in advance or prevent the next game.
전술한 사실로부터 가변 표시 장치의 정지 작동은 사용자의 자유의사에 맡겨지며, 정지 작동은 사용자가 원할 때 및 그들이 하지 않을 때 수행하며 어떤 주기 시간 경과후 자동적으로 수행하게 된다.From the foregoing, the stop operation of the variable display device is left to the free will of the user, and the stop operation is performed when the user wants and when they do not, and automatically performs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추가해서, 종래의 가변 표시 장치는 가변 표시부에서 숫자 표시 변화를 위해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한 제어 수단에 의해 등속 디지털 제어를 사용한다. 그러나 숫자 표시가 상기와 같이 디지털식으로 변화한다면, 단속된 상태를 변화하면 눈이 피로할 수 있다. 게다가 변화가 적기 때문에 숫자는 변화동안 다음 올 것에 대하여 전혀 예상할 수 없으므로 정지에서 가변 표시부에 복수의 숫자의 조합의 예상은 일어나지 않고 특정 게임의 발생에 대하여 흥미가 줄어든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variable display apparatus uses constant velocity digital control by control means using a computer system for changing the numerical display in the variable display portion. However, if the numerical display is changed digitally as described above, changing the intermittent state may cause eye fatigue. In addition, because the number of changes is small, the number cannot be expected at all during the change, so the expectation of the combination of multiple numbers on the variable display at stop does not occur and the interest in the occurrence of a particular game is reduced.
따라서, 본 발명의 기본 목적은 가변 표시 장치의 작동을 위하여 사용자의 흥미를 증가시키는 것이다.Therefore, the basic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the interest of the user for the operation of the variable display devi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마음대로 가변 표시 장치의 정지 작동을 맡기는 것 뿐만 아니라 정성들여 만든 게임을 설계하고 정지 작동의 제한되지 않은 연장을 방지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to entrust the stop operation of the variable display device at will of the user, but also to design a game carefully and prevent the unrestricted extension of the stop operation.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표시의 시각인지를 개선하도록 그리고 가변 표시 장치의 숫자 표시 변화의 연속성을 주는 것과 마찬가지로 정지에서 특정 게임의 발생에 대한 기대를 끌어 올리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aise expectations for the occurrence of a particular game at standstill, as well as to improve the visibility of the display and to give the continuity of the numerical display change of the variable display.
본 발명에 따라서 상기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게임판의 표면상에 안내 레일에 의해 둘러 싸여진 게임 영역내에 게임판의 게임 영역으로 볼을 쏘기 위한 힛볼 슈팅 장치와, 볼을 수용하기 위하여 게임 영역내에 제공된 특정 입상 구멍과, 연속 숫자와 같이 가변 표시 숫자인 복수개의 가변 표시부로 구성된 가변 표시 장치와, 볼이 수용되지 않는 상태에서 폐쇄되고 볼이 수용되는 상태에서는 개방되도록 작동되고 스위치되는 개방 폐쇄 부재를 갖는 게임 영역내에 제공된 변동 입상 장치와, 특정 입상 구멍내에 볼의 입상의 탐지에서 가변 표시 장치의 작동을 출발하기 위한 작동 출발 수단과, 외부 작동에 의해 가변 표시 장치의 작동을 정지하기 위한 정지 작동 수단과, 작동의 출발로부터 예정된 시간의 경과후 자동적으로 가변 표시 장치의 작동을 정지하기 위한 정지 작동 수단과, 예정된 조건이 가변 표시 장치의 복수개의 가변 표시부의 정지 표시 상태내에 있을 때 예정된 주기에 대하여 개구 상태로 변동 입상 장치의 개방/폐쇄 부재를 만듬에 의해 특정게임을 발생하기 위한 제어 수단을 제공한다.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an earlobe shooting device for shooting a ball into a game area of a game board in a game area enclosed by a guide rail on a surface of the game board for carrying out the above object, and provided in the game area for accommodating the ball. A variable display device composed of a specific winning hole, a plurality of variable display portions that are variable display numbers such as consecutive numbers, and an open closure member that is closed when the ball is not received and that is operated and switched to open when the ball is received A variable standing apparatus provided in the game area, an operation starting means for starting the operation of the variable display device in the detection of the standing of the ball in a specific prize hole, a stop operating means for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variable display device by external operation; After the scheduled time has elapsed from the start of operation, the variable display Generating a specific game by making a stop operation means for supporting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of the variable granular apparatus in an open state for a predetermined period when the predetermined condition is within the stop display state of the plurality of variable display portions of the variable display device. It provides a control means for.
그러므로, 힛볼이 특정 입상 구멍에 확보될 때 가변 표시 장치는 작동을 시작하지만 작동은 정지 작동 수단을 작동함에 의해 사용자의 의사에 의해 자유롭게 정지할 수 있으며 게임의 흥미는 특정 게임의 발생에 배팅을 증가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ear ball is secured in a specific winning hole, the variable display device starts to operate but the operation can be stopped freely by the user's intention by operating the stop operating means and the interest of the game increases the betting on the occurrence of the specific game. can do.
또한, 예정된 시간이 정지 작동을 수행한 사용자없이 경과할 수 있으며, 타이머 수단은 가변 표시 장치를 정지시키도록 자동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힛볼이 차례차례 특정 입상 구멍에 확보될 때 사용자는 각 시간에 가변 표시 장치의 정지 작동을 수행하지 않고 정지 작동을 자동적으로 특정 게임의 발생을 볼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그가 좋은 조건일 때 원래 히트 작동에 집중할 수 있으며, 리듬의 붕괴를 방지하고, 가변 표시 장치의 각 작동 시간의 필요없는 연장을 방지하며 게임의 속도감을 증가할 것이다.In addition, the predetermined time may elapse without the user performing the stop operation, and the timer means may automatically operate to stop the variable display device. When the ear ball is in turn secured in a particular winning hole, the user can automatically see the occurrence of a particular game in the stop operation without performing the stop operation of the variable display at each time. This will allow the user to concentrate on the original hit operation when he is in good condition, to prevent the collapse of the rhythm, to avoid the unnecessary extension of each run time of the variable display and to increase the speed of the game.
게다가, 본 발명에 따라 전술한 구조에서 가변 표시 장치의 숫자 표시를 연속적으로 변화하기 위한 표시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Furtherm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play control device for continuously changing the numerical display of the variable display device in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가변 표시부의 숫자 표시는 디지털이 아니지만 연속적으로 변화하며, 시각인지 개선 뿐만 아니라 게임에서 흥미를 증가하고 정지부에서 숫자 예견의 가능성을 가져다 준다.The numerical display of the variable display is not digital, but changes continuously, not only improving visual perception but also increasing the interest in the game and bringing the possibility of predicting the number at the stop.
본 발명의 목적은 적합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면 더 명백히 알 수 있을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preferred embodiments are shown.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핀볼 기계의 게임판(1)의 구성예 및 게임 영역(2)의 상부 부분으로 배열되고 핀볼 기계의 하부 부분에 제공된 힛볼 슈팅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발사된 힛볼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레일(10)을 도시한다. 게임 영역(2)은 게임판(1)의 전방측(판 표면)상에 유리판 및 안내 레일(10)에 의해 둘러싸여진 공간에 형성되어 있다.1 is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적절한 발생 장치로서 가변 표시 장치(30)은 오른쪽 및 왼쪽에 제공된 제1특정 입상 구멍(313,313) 또는 게임 영역(2)의 중앙 상부판에 제공되어 중앙 부분에 제공된 제2특정 입상 구멍(3)에 힛볼의 입상에 의해서 작동하게 된다. 가변 표시 장치(30)의 중앙 상부 단부에 "해븐"이라 불리우는 입상 구멍(12)은 힛볼의 입상이 가변 표시 장치(30)에 설치된 장애물 못(11)에 의해 제어된 곳에 제공하게 된다.As a suitable generating device, the
상기 가변 표시 장치(30) 아래에 변동 입상 장치(40)가 제공되지만 가변 표시 장치(30)(적합한 실시예에서, 특정 게임 상태의 권리 발생은 큰 입상이라고 함)의 결과 특정 작동에 의해 생긴 권리 발생에 근거하여 앞으로 떨어지는 방향에서 개방 폐쇄문(41)의 상부 부분측의 회전에 의해 규정된 시간(예를들어, 30초)동안 열려 있게 된다. 상기 변동 입상 장치(40)는 입상볼이 거기에 연속 탐지기(42)를 누르는 연속 조건에 최대로 10배 열게 된다.A
변동 입상 장치(40) 위의 오른쪽 및 왼쪽 대각선으로 상부 위치에 튜울립형의 입상 구멍(4,4)이 제공된다(볼이 각 입상 구멍에 들어갈 때 당첨볼은 미리 각 시간에 세트된 규정된 배팅 비율에 따라 발사된다).In the upper right and left diagonal positions above the fluctuating
변동 입상 장치(40) 주위에 회전 안내 부재(13)(힛볼의 방향 변동 부재, 핀 휘일이라 부름)는 회전 가능하도록 제공되어 있다.The rotation guide member 13 (the direction fluctuation member of the ear ball, called a pin wheel) is provided around the fluctuation
또한, 게임판(1)의 후방에 상기로부터 게임 영역(2)상에 떨어지는 도중에 입상 구멍(3,4,12,313)등이 입상 못하게 하는 힛볼 수집을 위한 외부 구멍(14)이 게임판(1)의 하부 부분에 제공되어 있다.In addition, the
가변 표시 장치(30)는 제2도 및 제3도와 같이 다음에 따라 구성하게 된다.The
즉, 가변 표시 장치(30)는 게임판(1)의 판 표면의 개구 부분의 전방부에 노출된 상태로 제공된 구성 기저 프레임(31)과, 상기 구성 기저 프레임의 후방에 제공된 램프 기판(32)과, 구성 기저 프레임(31) 및 램프 기판(32)의 중심에 개구 부분을 통하여 게임판(1)의 전방측으로부터 볼 수 있는 전방에 가변 표시 부분을 제공한 가변 표시기(33)와, 구성 기저 프레임(31)의 후방으로부터 램프 기판(32)의 후방에 제공된 동력 장치 설치 프레임(34)과, 상기 동력 장치 설치 프레임(34)의 후방 부분에 제공에 와이어 기판(도시하지 않음) 및 상기 구성 기저 프레임(31)의 중앙 상부 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고 상기 동력 장치 설치 프레임의 상부 부분에 제공된 가변 표시 부재(35)로 회전 동력을 주기 위하여 동력 장치로서 모터(도시하지 않음)를 제공하게 된다.That is, the
상기 구성 기저 프레임(31)은 설치판 부분(312)에 전방 및 후방으로 두께 방향으로 중앙 부분에 그 외부 원주 부분을 따라서 제공되어진다. 구성 기저 프레임(31)의 전방 부분은 접착 상태로 게임판(1)의 상부 부분 게임 영역(3)의 중앙에 형성된 개구의 원주 부분의 전방상에 설치판 부분(312)을 설치함에 의해 게임 영역내에 노출되어 있는 상태로 제공하게 된다.The
구성 기저 프레임(31)의 중앙 부분에 상기 가변 표시기(33)를 설치하기 위한 개구(311) 그리고 중앙 상부 단부에 상기 입상 구멍(12) 게다가, 오른쪽 및 왼쪽 단부에 제1특정 입상 구멍(313,313)이 각기 제공되어 있다. 상기 개구(311)의 전방부의 상부 단부에 녹색이고 투명한 제1에서 제3까지 작동 표시 부분(311aa,311bb,311cc)가 제공되고(제1도 참조), 하부 단부에 적색이고 투명한 제4에서 제6까지 작동 표시 부분(311a,311b,311c)이 어떤 간격으로 제공된다(제1도 및 제2도 참조). 제1에서 제6까지 작동 표시 부분(311aa,311bb,311cc,311a,311b,311c) 램프(도면에서 도시하지 않음)가 제공된다. 하부 단상에 제4에서 제6까지 작동 표시 부분(311a,311b,311c)중 특정 입상 기억 표시 윈도우(311e 내지 311h)의 수직 2개의 단은 각기 제공되며(제2도 참조), 입상 기억 표시용 램프(L.1,L.2,L.3,L.4)가 중앙 개구에 각기 제공된다. 또한, 상부 단상에 제1에서 제3작동 표시 부분(311aa,311bb,311cc)중 적절한 발생 표시 부분(311i)가 제공되며 권리 발생 표시 램프(L.5,L.6)는 중앙 부분의 각각에 제공된 램프 삽입 구멍(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음)에 설치하게 된다. 입상 구멍(12,313)의 후방 부분에서 게임판(1)의 후방측으로 입상볼을 안내하기 위한 발사홈(12a,313a)은 각기 제공하게 된다.An
특별히 권리 발생을 표시하기 위한 권리 발생 표시 부분(314)은 구성 기저 프레임(31)의 오른쪽 및 왼쪽에 제공하게 된다. 권리 발생 표시 부분(314)의 전방측은 색깔이 있는 투명한 재료로 만들어졌고 권리 발생 표시 램프(도면에서 도시되지 않음)는 거기에 제공된다.In particular, a right
리브(311l)에 의해 휴지형내에 제공된 적절한 발생 표시기(311m)는 구성 기저 프레임(31) 전방측의 원주부분상에 제공되고 적절한 발생 표시 램프(324a,325a)는 적절한 발생 표시기(31m)에 제공된다.A
적절한 발생 표시 부분에 설치된 방호 부분(38)은 구성 기저 프레임(31)의 중앙 상부 부분에 제공된다. 방호 부분(38) 구성 기저 프레임(31)의 중앙 상부 아래에 제공된 공간에서 상부 부분이 열린 원형 휴지 상태 프레임(311n)이 제공된다. 적절한 발생 표시 램프(도면에서 도시하지 않음)는 원형 휴지 상태 프레임(311n)내에 제공하게 되며, 가변 표시 부재(35)는 가변 표시 부재(35)가 상기로부터 적절한 발생 표시 램프를 덮기 위하여 회전 가능하게 제공된 예에서는 빠진 모터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가변 표시 부재(35)는 모자형이며, 색깔이 있는 투명한 재료이다.A
상기 특정 입상 구멍(313,313)은 구성 기저 프레임(31)의 전방측에 제공되며 또 각기 게임 영역(2)에 굴러 떨어진 힛볼과 접촉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된 장식을 위해 회전 몸체(316,316)와 힛볼의 굴러 떨어진 방향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부재(315,315)를 변화한 떨어진 방향은 각기 특정 입상 구멍(313,313) 직접 아래로 그리고 개구 부분의 오른쪽 및 왼쪽 단부 위치상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된다.The particular standing holes 313 and 313 are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상기 가변 표시기(33)는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구성되어 있다.The
즉, 가변 표시기(33)는 가변 표시기(331)에 제공되고 숫자판(332)는 가변 표시 몸체의 전방측상에 쌓여진 상태로 배열되며, 커버(333)는 가변 표시 몸체(331)의 전방부상에 제공되므로 커버는 상기 숫자판(332)의 전방부로부터 숫자판(332)을 수용한다.That is, the
가변 표시 몸체(331)는 와이어 기판(336h)의 전방측상에 고정된 표시 프레임(331c) 및 와이어 기판(311b)에 제공되고, 7개의 분할형 투명 부분(331d 내지 331j)은 제8도의 형태로 배열되고, 3개의 라인내에 배열은 표시 프레임(331c)에 제공된다. 7개의 분할형 투명 부분(331d 내지 331j)에 와이어 기판(331b)의 전방부 상에 복수개의 발광 다이오드 331k(적색) 및 331l(녹색)이 서로 다른(예를들어, 녹색 그리고 적색) 빛을 내는 2종류의 표시 램프로서 제공되어 있다. 숫자 표시가 짝수일 때 적색 발광 다이오드 331k는 빛을 내며, 숫자 표시가 홀수일 때 녹색 발광 다이오드(331l)이 각기 빛을 내게 된다.The
또한, 7개의 분할형 투명 부분(332d 내지 332j)은 불투명 재료상에 제8도의 형태로 배열되며, 도면의 3개의 라인내의 배열은 숫자판(332)상에 제공된다. 투명 부분(332d 내지 332j)의 각 위치는 싸여진 상태로 표시 프레임(331c)의 전방부상에 숫자판(332)를 배열함에 의해 투명 부분(331d 내지 331j)의 각각 위치에 상응한다.Further, the seven divided
커버(333)는 측면 없이 사각형 형태로 투명한 재료로 만들어졌다. 커버는 가변 표시 몸체(331)의 정면측상에 제공되므로 숫자판(332)은 가변 표시 몸체(331)의 정면측에 싸여지게 배열되며, 커버는 정면측으로부터 숫자판(332)을 수용한다.The
나중에 설명하겠지만, 상기 구성 가변 표시기(33)상에 가변 표시기 부분(A,B,C)의 표시가 나타나고, 가변 표시기(33)의 가변 표시 부분(A,B,C)의 작동 시간에 아래로부터 위로 나타나며 발산된 색깔은 표시 상태에 따라서 변하게 된다.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display of the variable indicator portions A, B, and C on the configurable
다음, 구성된 핀볼 기계와 관련하여, 힛볼이 기계의 하부 부분에 힛볼 발사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게임 영역(2)내에 발사하게 될 때 힛볼은 제1특정 입상 구멍(313,313) 또는 제2특정 입상 구멍(3)을 획득하며, 가변 표시 장치(30)에 제공된 가변 표시기(33)의 가변 표시 부분(A,B,C)의 숫자 표시(a,b,c)는 그들이 각기 흐르는 것처럼 순환하게 작동된다(가변적으로 작동한다).Next, with respect to the configured pinball machine, when the ball is to be fired into the
더 많은 힛볼이 가변 표시기(33)의 숫자 표시(a,b,c)의 순환 작동 동안 특정 입상 구멍(313,313) 또는 (3)을 획득할 때 숫자는 가변 표시의 진행하지 않는 숫자로서 진행하지 않는 숫자 기억 회로(도시하지 않음)에 저장하게 된다. 저장된 진행되지 않는 숫자는 다음 제2도에 도시된 가변 표시 장치(30)의 전방측에 4개의 특정 입상 표시 윈도우(311e 내지 311h)상에 1부터 8까지 지적하게 된다.When more ear balls acquire a particular standing hole 313,313 or (3) during the cyclical operation of the numerical indicators (a, b, c) of the
즉, 1부터 4까지의 표시는 특정 입상 표시 윈도우(311e 내지 311h)내에 램프수가 상부 왼쪽으로부터 1),2),3),4)의 순서로 빛을 내게된 다수의 상기 저장된 진행되지 않는 수에 상응하는 방법으로 수행한다.That is, the display of 1 to 4 includes a plurality of stored non-progressed numbers in which the number of lamps in the specific granular display windows 311e to 311h is illuminated in the order of 1), 2), 3), 4) from the upper left. Perform in a manner equivalent to
저장된 진행되지 않는 수가 4개를 초과할 때 모든 특정 입상 표시 윈도우(311e 내지 311h)내에 램프(323b)가 일단 꺼지면 특정 입상 표시 윈도우(311e 내지 311h)내의 램프(323b)는 상기 4개를 초과한 다수의 진행되지 않는 수로 남은 것으로부터 1),2),3),4)의 순서로 번뜩이고 꺼지며 전부해서 8개의 수의 표시가 가능하다. 만일 숫자가 특정 입상 윈도우(311e 내지 311h)내에 표시할 수 있는 8개를 초과하면 모든 입상 작동되지 않는 부재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작동되지 않는 숫자 기억 회로내에 저장되고, 가변 표시기(33)는 모든 상기 숫자임에도 불구하고 몇배로 작동한다.When the lamp 323b in all the specific figurine display windows 311e to 311h is turned off when the number of stored progresses exceeds four, the lamps 323b in the specific figurine display windows 311e to 311h exceed the four. A number of non-progressed numbers are flashed and turned off in order of 1), 2), 3) and 4), and 8 numbers can be displayed in total. If the number exceeds eight that can be displayed in the particular winning windows 311e to 311h, all the inoperative non-working members are stored in a not-shown but inoperable numeric memory circuit, and the
가변 표시기(33)의 숫자 표시 a,b,c가 순환적으로 작동할 때 가변 표시 부분 A,B,C의 상부 및 하부 위치에 위치된 제1에서 제6까지 녹색 및 적색 작동 표시 부분 311aa,311bb,311cc,311a,311b,311c내에 작동 표시 램프가 켜지고 커지며 플래쉬 라이트는 작동 표시 부분(311aa 내지 311cc 그리고 311a 내지 311c)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시각적으로 볼 수 있는 상태로 된다.First and sixth green and red operation indicator portions 311aa, located in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of the variable indicator portions A, B, C when the numerical indicators a, b, c of the
가변 표시기(33)가 랜덤으로 순화하게 작동된 표시된 숫자에 의해 어떤 시간에 바뀔때(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게임 기계상에 제공된 정지 버튼이 플레이어에 의해 눌려지므로 여전히 시간이 정지되어 있다), 가변 표시 부분 A,B,C는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정지하게 되며 가변 표시 부분 A,B,C의 숫자 표시의 색깔과 같이 같은 색깔측으로 작동 표시 부분 311aa 내지 311cc 그리고 311a 내지 311c내에 작동 표시 램프는 켜지게 된다.When the
각 가변 표시 부분 A,B,C의 숫자 a,b,c로서 같은 색깔인 작동 표시 부분 311aa,311bb,311cc,311a,311b,311c내에 작동 표시 램프는 켜진 상태로 정지하게 되며, 각 가변 표시 부분 A,B,C의 각 숫자 표시 a,b,c가 홀수 또는 짝수로 되는 것이 분명하다.The operation indicator lamps within the operation indicator portions 311aa, 311bb, 311cc, 311a, 311b, 311c that are the same color as the numbers a, b, c of the variable display portions A, B, C are stopped, and each variable display portion is stopped. It is clear that the numerical representations a, b, c of A, B, C become odd or even.
그결과, 적절한 어떤 특정 게임이 나중에 설명하겠지만 정지의 시간에 작동 표시 부분 311a 내지 311c내에 숫자 표시 a,b,c의 조합에 의해 발생하게 된다.As a result, any suitable game will be described later by the combination of the numeric displays a, b, c in the operation display portions 311a to 311c at the time of stopping.
어떤 적절함이 발생할 때 가변 표시 부재(35)가 회전하고 구동하게 된다.When any appropriateness occurs, the
어떤 적절함이 발생할 때 교환 입상 장치(40)의 개방/폐쇄문(41)은 예정된 주기 및 시간동안 열려 있다. 예를들어 개방/폐쇄문이 조정된다면 개방/폐쇄문(41)은 최대로 10배까지 적절한 발생을 위하여 30초 동안 열려 있어야 한다. 각 개구의 연속 조건은 그 개구가 개방/폐쇄문(41)의 거의 중간을 통과하는 동안 개방/폐쇄문(41)안으로 흐르는 힛볼을 요구하며, 개방/폐쇄문(41)내에 연속 탐지기(42)에 의해 탐지하게 된다.The opening / closing door 41 of the exchange
다음, 표시를 조정하기 위한 제어 장치(100)로서 컴퓨터 시스템은 가변 표시기의 가변 표시 부분 A,B,C의 작동의 시간에 흐르는 것처럼 변화하며, 표시 상태에 상응한 방출된 색깔의 변화는 제8도를 통하여 제5도를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Then, the computer system as the
우선, 제5도에 도시된 제어 장치(100)의 제어 시스템의 블록 다이어그램에 따르면 단지 읽는 기억으로서 롬(102)과 같은 타이머(104)와 등속 호출 기억으로서 램(103)은 컴퓨터 시스템을 구성한 중앙 처리 장치(CPU)와 연결되었으며, 순환 표시 및 순환 상태에 따른 색깔 발광 표시를 수행하기 위하여 D0,D1에서 D9까지 색깔 표시 전환 데이터는(예를들어, 적색 발광 표시는 숫자 표시가 짝수일 때, 녹색 발광 표시는 숫자 표시가 홀수일때)상기 롬내에 적용하다.First, according to the block diagram of the control system of the
그리고 상기 중앙 처리 장치(101)에 대하여 입상 검출기로서 검출 스위치 SW1,SW2는 특정 입상 구멍(313,3)에 제공되고 정지 스위치(106)는 입력/출력 포오트(105)를 통하여 연결되며 7개의 분할형 가변 표시 부분 A,B,C는 각기 입력/출력 포오트(107) 및 드라이버(108)를 통하여 연결된다.For the
그리고 롬(102)중에 데이터 D0,D1에서 D9까지 기억되며,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흐르도록 "0"으로부터 "9"까지 흐르도록 변화시키는 전부의 형식으로 정렬된다.In the
제6도에는 기억되는 숫자 표시의 변화 형식을 (1)에서 (10)까지 10개로 도시하고 있다. 즉 "0-1","1-2",…"9-0"와 같이 되는 숫자로부터 다른 숫자에 6단계로 변화시키도록 되어 있고 숫자의 변화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3단계에 빈칸을 제공한다.6 shows ten types of change of the numerical display to be stored, from (1) to (10). That is, 0-1-1, 1-2-2,... It is supposed to change from digits 9-9 to another number in six steps and provide a blank in
제8도에는 상술한 제6도의 변화 형식을 구성하는 데이터D(D0내지 D9)가 도시되어 있다. 같은 도면에 있어서, 좌측에 "0-1","1-2",…"9-0"로 도시되어 있으며 각각 "0"부터 "1", "1"부터 "2"…"9"부터 "0"과 같이 변화하는 것을 의미하고 그 각각의 우측에는 그와 같이 변화되기 위하여 데이터 D(D0내지 D9)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FIG. 8 shows the data D 0 to D 9 constituting the above-described change form of FIG. 6. In the same drawing, on the left side,? 0-1 ?,? 1-2 ?,... "9-0", respectively, "0" to "1", "1" to "2"…, respectively. The data D (D 0 to D 9 ) are respectively shown to change from '9' to '0' and to be changed as such on the right side.
각 데이터 D(D0내지 D9)의 위에 부착되어 있는 "1 내지 7"까지의 번호는 제7도에 7개의 분할형 표시의 설명도중 "1 내지 7"의 번호를 부착한 각 분할과 상응되어 있다. 그들 "1 내지 7"의 번호를 부착한 각 데이터 D 부분중 "0"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들과 대응하는 부분의 분할을 소등시키고, '1'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들과 대응하는 부분의 분할을 점등시키는 데이터이다. 또 각 분할의 위에 '8'의 번호를 붙이는 데이터 부분은 가변 표시 A,B,C에의 숫자 표시의 색채를 결정하는 것으로 그 데이터 부분이 '0'의 때에는 가변 표시기(33)(33)중의 적색의 발광 다이오드(331l)을 점등시키고 '1'의 때에는 녹색의 발광 다이오드(331k)를 점등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숫자 표시가 완전한 홀수로 되는 경우에 오직 녹색의 발광 다이오드(331k)를 점등시키고, 그와같지 않은 경우에는 전부 적색의 발광 다이오드(331k)를 점등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들의 데이터 D를 사용하여 제6도에 도시된 숫자 표시를 6단계로 변화시키는 경우에 제8도에 도시된 좌측의 데이터 D로부터 우측의 데이터 D에도 순서로 사용되도록 하지만 좌측부터 제3번째의 데이터 D를 제4번째의 데이터 P와의 사이에 어떤 데이터를 사용하지 않으면 분할 표시가 전부 소등하는 시간을 만들게 된다.If these data D are used to change the numerical display shown in FIG. 6 in six steps, the data D is used in order from the left data D shown in FIG. 8 to the right data D in the order shown in FIG. If no data is used between the data D and the fourth data P, the division display is turned off.
덧붙여서, "0"부터 "1"에의 숫자 변화에 있어서 제8도에 도시된 데이터 D0,D1,D2,D3,D4…D10을 사용하고 제6도에 도시된 숫자 표시의 6단계 변화의 상응 관계에 있어서 설명하면 데이터 D0을 사용하여 숫자 표시의 "1 내지 6"의 분할(제7도)을 점등시켜서 적색의 "0"의 숫자 표시를 사용한 초기 상태부터 데이터 D1,D2을 순차적으로 사용하여 상방에 이동시키는 것이 하나씩 없어지게 움직이고 그후 어느것도 데이터 D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0"의 숫자의 표시를 일단 완전으로 소거한 상태로 된다. 그런후 데이터 D3,D4,D10을 순차적으로 사용하여 하방으로부터 하나씩 나타나도록 되고, 최후에 데이터 D10을 사용하여 녹색의 완전한 "1"이 숫자 표시를 행하지 않게 된 상태로 변화시키는 것이다.Incidentally, the data D 0 , D 1 , D 2 , D 3 , D 4 ... Shown in FIG. 8 in the numerical change from 0 to 1 1 . Using D 10 and explaining the correspondence of the six-step change of the numerical display shown in Fig. 6, the data D 0 is used to light the divisions of Figs. From the initial state using the numeric display of 0, the data D 1 and D 2 are moved sequentially so that they move upward one by one, and since none of them use the data D, the display of the number of 0 is completely completed. The state is erased. Then, the data D 3 , D 4 , and D 10 are sequentially displayed one by one using the data D 3 , D 4 , and D 10. Finally, the data D 10 is used to change the state of the complete
이와같이 구성된 컴퓨터 시스템(100) 중앙 처리 장치(101)에 상기 검출 스위치 SW1또는 SW2로부터 입출력 포오트(105)를 끼워서 검출 신호가 들어와 통과하면 이 입상 개수가 램(103)에 카운터 기억되고 그 기억 신호에 기초를 둔 롬(102)중에 기억되어 있는 숫자 표시 변환 데이터 D0,D1…D9가 호출된다. 그들 데이터 D0,D1…D9에 기초로 하여 입출력 포오트(107) 및 드라이버(108)를 끼워서 3개의 7개 분할형 표시부 A,B,C의 숫자 표시가 각각 별개 독립하여 하방으로부터 상방에 흐르도록 변환된다. 그리고 타이머(104)에 의해 설정된 일정 시간 경과후(단, 그전에 정지 스위치 SW부터의 신호가 입력될 때에는 그 시점)에 중앙 처리 장치(101)부터 정지 신호가 나오며 7분할형 표시부 A,B,C의 숫자 표시 변화가 1개씩 순차적으로 정지되어 3개의 완전한 숫자 표시가 이루어진다.When the detection signal enters and passes through the input /
그와같이 된 변화후의 각 숫자 표시는 그것이 홀수이면 녹색으로, 짝수의 숫자 표시이면 적색으로 된다.Each numeric display after such a change becomes green if it is odd and red if it is even.
그리고, 그 변화후의 숫자가 예를들면 홀수의 세트로 된 경우에 상기 일정의 권리가 발생한다.And when the number after the change becomes an odd set, for example, the said fixed right arises.
상기 가변 표시부 A,B,C의 숫자 표시의 변화는 상기 램(103)에 기억된 특정 입상 구멍(313,3)에 입상 횟수분만 행하게 된다.The change of the numerical display of the variable display units A, B, and C causes only the number of winning prizes to be performed in the specific winning prize holes 313 and 3 stored in the
제9도에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핀볼 기계에 대하여 특정 입상 구멍(313,3)중에 타구가 입상하여 가변 표시 장치(30)가 작동하고 그 작동 결과로하여 일정의 권리(특별 게임 상태의 권리)가 발생될때까지의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된 제어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기계의 제어 순서의 흐름도이다.In Fig. 9, the
이 경우, 컴퓨터 시스템을 구성하는 마이크로 컴퓨터내에는 특정 입상 구멍(313,3)에의 타구의 n개(n은 임의의 정수)까지의 입상을 기억하는 기억 카운터가 용의되고 가변 표시기(33)를 가변 구동시키는 특정의 작동 결과(예를들면, [1,1,1],[3,3,3]…)등의 홀수의 세트)를 검출하고 그 작동 결과에 기초하여 특별한 게임 상태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실행한다.In this case, in the microcomputer constituting the computer system, a memory counter for storing up to n pieces of granularity (n is an arbitrary integer) to the specific
게임 기계의 전원이 투입되어 게임 기계가 개시되면 우선 단계 R2에 대하여 기억 카운터가 리셋되고 단계 R4에 대해서는 구성 프레임(31) 주위의 권리 발생 표시부(311m)중의 램프(324a,325a)가 일정 방향에 흐르도록 점멸 이동된다.When the power of the game machine is turned on and the game machine starts, first, the memory counter is reset for step R2, and for step R4, the lamps 324a and 325a in the right
그리고, 단계 R6에 대하여 특정 입상 구멍(313,3)중에 타구가 입상되어도 판단되면 단계 R8에 이행하고 기억 카운터의 기억수가 상한의 "n"으로 되고 반대 판정되면 "n"으로 되지 않는 판정되면 다음의 단계 R10에서 기억 카운터를 "1" 카운터 업시킨 위에서 스텝 R12에 이행하면 "n"으로 되어 있으면 판정되는 그것까지 단계 R12에 이행한다.If it is determined even if a ball is won in the specific winning
또, 상기 단계 R6에 대하여 특정 입상 구멍(313,3)중에 타구가 입상이 된다고 판정된 경우에도 단계 R7에 대하여 이전 특정 입상 구멍(313 또는 3)중에의 타구의 입상이 있고 그것이 미처리의 것으로 하여 기억되어 있는 것에 의해 기억 카운터 "0"보다 크게 되어 있다고 판정된다면 스텝 R12에 이행한다. 그러나 단계 R7에 대해서도 기억 카운터가 "0"보다 크게 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다면 특정 입상 구멍(313 또는 3)중에 타구가 입상하는 까지 R6 내지 R7의 단계가 조반된다.In addition, eve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ball is a granular prize in the specific
상기와 같은 단계 R12에 이행된 경우에는 상기 단계 12에 대하여 7개 분할형 가변 표시부 A,B,C의 가변표시를 출발시키고 다음의 단계 R14에서 그 작동의 단속 시간을 약 6초간(단, 가변 표시부 A,B,C 각각에 연속시간을 약 1초정도 연장한다)에 세트된 후 단계 R16,R18에 이행한다.In the case where step R12 is per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variable display of the seven divided variable display units A, B, and C is started for step 12, and in the next step R14, the interruption time of the operation is about 6 seconds (however, variable After each of the display sections A, B, and C is extended for about 1 secon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s R16 and R18.
단계 R16,R18에서는 가변 표시부 A,B,C의 출발후 일정 시간(약 6초) 경과하거나 하지 않으면 정지 스위치 SW가 온되거나 되지 않게 판정된다. 그리고, 일정 시간 경과하거나 또는 정지 스위치 SW가 온되는 것을 가지고 다음의 단계 R20에 이행한다.In steps R16 and R18, it is determined that the stop switch SW is not turned on or not after a predetermined time (about 6 seconds) has elapsed after the start of the variable displays A, B and C. Then, after a fixed time has elapsed or the stop switch SW is turned on, the process proceeds to the next step R20.
그리고, 단계 R20에 대하여 우선 최초에 가변 표시부 A,B,C의 안의 좌측의 가변 표시부 A의 숫자 표자의 변화가 정지된 후 단계 R22에 이행한다.Then, with respect to step R20, first, the change of the numeric characters of the variable display unit A on the left side of the variable display units A, B, and C is stopped, and then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R22.
단계 22에는 그 정지된 가변 표시부 A의 숫자 표시 a가 "홀수"라면 단계 R24에 이행하여 "핑-퐁"이라고 하는 효과음을 생기게 하고 다음의 단계 R26에서 그 가변 표시부 A의 상측의 녹색 제1의 작동 표시부 311aa 중의 램프를 점등시켜서 녹색의 표시를 행하는 것으로 단계 32에 이행된다.In step 22, if the number display a of the stationary variable display unit A is " odd ",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R24 to produce an effect sound called chopping-font.
한쪽으로는 단계 R22에서 가변 표시부 A의 숫자 표시 a가 "홀수"가 아니라고 판정되면 다음의 단계 R28에서 "부"라고 효과음을 발생하고 더욱이 다음의 단계 R30에서 그 가변 표시부 A 하측의 적색의 제4의 작동 표시부(311a)중의 램프를 점등시켜서 적색의 표시를 행하는 것으로 단계 R32에 이행한다.On the one h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R22 that the numerical display a of the variable display unit A is not "odd", then an effect sound is generated in the next step R28, and further in the next step R30, the red fourth of the red display unit below the variable display unit A is generated. Step R32 is performed by turning on the lamp in the operation display section 311a of the display to display red.
그리고, 단계 R32에서 일정 시간(예를들면, 1초간) 대기 시간을 지난후 다음의 단계 R34에서 중앙의 가변 표시부 B의 숫자 표시 b를 정지시킨후 더욱이 다음의 단계 R36에 이행한다.Then, after the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one second) waits in step R32, the next step R34 stops the numeric display b of the central variable display unit B, and then proceeds to the next step R36.
단계 36에서는 정지된 상기 가변 표시부 A의 숫자 표시 a와 가변 표시부 B의 숫자 표시 b가 다름없이 홀수(a=b=홀수)로 된다라고 판정된다. 그리고(a=b=홀수)라면 단계 38에 이행하며 "핑-퐁"이라는 효과음을 발생하고 다음의 단계 R40에서 그 가변 표시부 B의 상측의 녹색의 제2작동 표시부(311bb)중의 램프를 점등시켜서 녹색의 표시를 행하는 것으로부터 단계 R48에 이행한다.In step 36, it is determined that the stopped numeric display a of the variable display unit A and the numeric display b of the variable display unit B are odd (a = b = odd). If (a = b = od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38, and an effect sound called beeping-pong is generated, and in the next step R40, the lamp in the green second operation display part 311bb on the upper side of the variable display part B is turned on. From the green display,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R48.
한편으로는 상기 단계 R36에 있어서, "a=b=홀수"로 되지 않으면 다음의 단계 R44에서 "부"라고 하고 효과음을 발생하고 더욱이 다음의 단계 R46에서 그 가변 표시부 B 하측의 적색 제5의 작동 표시부(311b)중의 램프를 점등시켜서 적색의 표시를 행한 것으로부터 단계 48에 이동한다.On the other hand, in step R36, if? A = b = odd ", it is said to be " below " in the next step R44, and an effect sound is generated. Furthermore, in the next step R46, the red fifth operation below the variable display section B is performed. The lamp in the display portion 311b is turned on to display red color, and then the process moves to step 48.
그리고, 단계 48에서 일정 시간(예를들어, 1초간) 어떤 대기 시간을 지난후부터 다음의 단계 50에서 우측의 가변 표시부 C의 숫자 표시 C의 변화를 정지시킨후 더욱이 다음의 단계 R52로 이행한다.Then, after a certain waiting time (e.g., 1 second) is passed in step 48, the change of the numerical display C of the variable display part C on the right side is stopped in the next step 50, and then the process goes to the next step R52.
단계 52에서는 정지된 가변 표시부 A,B,C의 숫자 표시 a,b,c가 전부 다름없이 홀수(a=b=c 홀수)라고 판정하게 된다. 그리고 "a=b=c=홀수"라면 단계 R54에 이행하여 "핑-퐁"이라고 하는 효과음을 발생하고 다음의 단계 56에서 그 가변 표시부 C 상측의 녹색 제3의 작동 표시부(311cc)중의 램프를 점등시켜서 녹색을 표시를 시킨후 단계 R58에 이행한다. 그리고 단계 R58에서, 특별 게임 기계의 조건이 만족한 것을 알게 시키면 "팡파르"의 효과음을 발생하고 다음의 단계 R60에 따라서 권리 발생 기능 표시 부재(35)를 회전시키는 모터(도시생략)를 작동시킨다.In step 52, all of the numerical displays a, b, and c of the stationary variable display units A, B, and C are determined to be odd (a = b = c odd). If? A = b = c = odd,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R54 to generate an effect sound called beeping-ponge, and in
그리고, 다음 단계 62에서 구성 프레임(31) 주위의 권리 발생 표시 램프 및 투구형부(38), 풍차(13), 회전체(35)의 각각 내부에 설치된 권리 발생 표시 램프를 점등 또는 점멸시켜서 특별 게임이 발생된다.Then, in the next step 62, the right generation indication lamp around the
그리고, 특별 게임 상태가 종료된 후 단계 R68에 이행된 기억 카운터를 "1"카운트 다운시켜 그러한 후 단계 R에 귀환되어 단계 R6 이하의 단계가 실행된다.After the end of the special game state, the memory counter shifted to step R68 is counted down by 1 < 1 > and then returned to step R to execute the steps below step R6.
한편으로는 상기 단계 R52에 있어서 "a=b=c=홀수"로 되지 않게 판정되면 다음의 단계 R64에서 "부"라고 하는 효과음을 발생하고 더욱이 다음의 단계 R66에서 가변 표시 C 하측에 있는 적색의 제6의 작동 표시부(311c)중의 램프를 점등시켜서 기억 카운터를 "1"카운트 다운시켜서 위에서 단계 R6에 귀환하여 단계 R6 이하의 단계를 실행한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the above step R52 that? A = b = c = odd "does not occur, then a sound effect called“ break ”is generated in the next step R64, and further, in the next step R66, the red color under the variable display C is displayed. The lamp in the sixth operation display section 311c is turned on to count down the memory counter by " 1 " to return to step R6 from above and execute steps below step R6.
이 실시예에 관한 핀볼 기계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특정 입상 구멍(313,3)에 타구가 입상된 것에 기인하여 가변 표시 장치(30)가 작동되는 경우에 컴퓨터 시스템(100)의 룸(102)중에 기억시켜 있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그 가변 표시부 A,B,C의 숫자 표시 a,b,c가 흐르도록 변화되고 그 결과 핀볼 기계를 사용한 자에 핀볼 게임에 대하여 보다 많은 흥취를 주게 된다.Since the pinball machin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또한, 가변 표시부 A,B,C의 숫자 표시 a,b,c에 대하여 특별 게임 상태를 발생시키는 홀수의 숫자 표시는 녹색이고 다른쪽은 적색으로 표시되어 있으므로 특별 게임 상태를 발생시켜 얻는 숫자 표시를 색채에도 식별할 수 있는 것으로 되고 게임자에 의해 식별이 용이하도록 된다.In addition, the odd number display for generating the special game state is green and the other side is red for the numerical display a, b, c of the variable display units A, B, C. The color can be identified, and the game player can easily identify the color.
또한, 가변 표시부 A,B,C의 숫자 표시 a,b,c가 하나씩 정지되는 것에 특별 게임 상태의 발생 조건을 만족하거나 하지 않다고 판정되면 만족한 때에는 그 정지 시일이 가변 표시부 A,B,C의 상측의 녹의 제1 내지 제3의 작동 표시부 311aa,311bb,311cc 중의 램프가 점등되어 녹색 표시를 행하므로 녹색의 표시가 3개전에는 특별 게임 상태가 발생하고 만일 없으면 발생하지 않고 특별 게임 상태의 식별이 용이해진다.In addi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number display a, b, c of the variable display units A, B, C is stopped one by one or the condition of occurrence of the special game state is satisfied or not, then the stop seal of the variable display units A, B, C is satisfied. Since the lamps in the first to third operation display units 311aa, 311bb, 311cc of the green rust on the upper side are lit to perform green display, a special game state occurs before the three green displays, and if not, the identification of the special game state does not occur. It becomes easy.
또 이 실시예에 있어서, 가변 표시부 A,B,C에 가변 표시는 숫자 표시로 되지만 숫자 표시가 되지 않아서 다른 표시에도 좋다. 또 가변 표시부 A,B,C에의 표시의 색채를 2색으로 되지만 1색 또는 3색 이상이어도 좋다.In this embodiment, the variable display in the variable display units A, B, and C is numerically displayed, but not in numerical display, which is also good for other displays. The color of the display on the variable display sections A, B, and C is two colors, but one color or three or more colors may be used.
또 가변 표시 이외의 표시, 예를들면, 변동 입상 장치의 입상 갯수 표시 혹은 연속 회수 표시 등에도 흐르도록 이동시켜 표시해도 좋다.Moreover, you may display so that it may flow also to the display other than a variable display, for example, the granular number display of a variable granular apparatus, or a continuous frequency display.
이 실시예의 핀볼 기계는 제10도 내지 제12도에 도시되어 있고 일부의 구성을 제거하여 상기의 제1실시예의 핀볼 기계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어서 같은 구성 부분에 있어서는 도면을 생략함과 동시에 제1실시예에 있어서도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다른 부분에 대하여 다른 부호를 사용하여 다른 부분만 설명한다.The pinball machine of this embodiment is shown in FIGS. 10 to 12, and a part of the configuration is removed to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of the pinball machine of the first embodiment. In the embodiment, only the different parts will be described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e different reference numerals for the other parts.
상기 제1실시예에서는 제어 시스템(100)을 사용하여 가변 표시 장치(30)의 가변 표시부 A,B,C에 숫자 표시가 흐르도록 순환 표시를 행하지 않는 수단으로 하여 제어 시스템(100)의 롬(102)에 전부에의 숫자 표시의 변화 형식의 데이터 D를 기억시켜서 그 데이터 D를 호출하여 행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 실시예에서는 최소한의 데이터 D의 그 데이터 D를 기초로 하여 숫자 표시를 흐르도록 변화시키기 위하여 연산 순서를 제어 시스템(100)의 롬(102)에 기억시켜서 그들의 데이터 D와 연산 순서를 기초로 하여 중앙 처리 장치(101)에 변화 형식의 연산 처리를 시켜 행하도록 한다.In the first embodiment, the ROM of the
제11도에서는 상기 롬(102)에 기억되어 있고 데이터 d(d0내지 d9)가 도시되어 있다.In FIG. 11, the data is stored in the
숫자 표시 "0" 내지 "9"가지의 데이터 d0내지 d9의 위에 부착되어 있는 "1내지 7"까지의 번호의 부분은 제10도의 7개 분할형 표시의 설명도중 "1 내지 7"의 번호를 부착한 각 분할과 대응시킨다. 그들 "1 내지 7"의 번호를 부착한 각 데이터 d 부분중 "0"으로 되어 있는 경우는 그들과 대응하는 부분의 분할을 소등시키고 "1"로 되어 있는 경우는 그들과 대응하는 데이터이다. 또, 각 데이터 d0내지 d9중 "8"의 번호를 부착하고 있는 데이터 부분은 숫자 표시의 색채를 결정하는 것으로 "0"으로 되고 있는 경우는 가변 표시부(33)중의 적색 발상 다이오드(331l)을 점등시키고 "1"로 되어 있는 경우는 녹색의 발광 다이오드(331k)를 점등시키도록 되어 있다. 부수적으로 데이터 d0는 그 데이터 부분의 "2 내지 6"이 "1"에서 "1,7"이 "0"으로 되고 "8"이 "0"으로 되어 있으므로 7개 분할형 표시(제10도)의 "2 내지 6"의 분할 부분을 적색에 점등시켜 그 밖의 분할 부분 "1,7"을 점등시켜서 가변 표시부에 적색의 "0"의 숫자를 표시시키는 것으로 된다.The
또, 동일 롬(102)에는 상기 데이터 d0내지 d9로 하여 기억된 숫자 표시 "0" 내지 "9"을 흐르도록 이동시키도록 하기 위하여 연산 순서가 기억되어 있다.In addition, the order of operations are stored to so as to move to the
제12도에는 상기 롬(102)에 기억된 숫자 표시 "0" 내지 "9"를 흐르도록 이동시키도록 하기 위하여 연산 순서를 기초로 하여 숫자 표시 "0" 내지 "9"을 흐르도록 이동시키는 표시의 방법을 연산하고 그 연산 결과에 기초로 하여 가변 표시부 A,B,C에 가변 표시를 행하는 연산 처리 설명도를 도시한다.FIG. 12 shows a display for moving the numerical displays "0" through "9" based on the calculation order to move the numerical displays "0" through "9" stored in the
그들중에서 "0"의 숫자 표시를 흐르도록 이동시키는 경우의 연산 처리에 있어서 설명하면 이 실시예의 경우 "0"의 설명도중의 우측에 도시한 f1내지 f6까지의 순서에서 "0"의 숫자 표시를 이동시키는 필요가 있고 그와 같은 순서에 표시의 방법이 연산된다.In the arithmetic processing in the case of shifting the numeric display of '0' among them, the number of '0' in the order from f 1 to f 6 shown on the right side of the explanation diagram of '0' in this embodiment is explained. It is necessary to move the display and the method of display is calculated in such an order.
도면에 도시한 연산 결과로 하여 연산 데이터 e1내지 e6에 부착된 "1 내지 7"의 번호는 가변 표시 장치(30)의 7개 분할형 가변 표시부의 각 분할의 위치를 도시한 것이므로 제10도에 도시된 7개의 분할형 도시의 각 분할과 같은 위치에 있는 분할에는 같은 번호를 사용했다. 그리고 각 연산 데이터 e1내지 e6의 각 데이터 부분 "1 내지 7"의 사각의 중에 기재된 "1 내지 6"의 숫자는 가변 표시 장치(30)의 가변 표시부 "1 내지 7"의 분할의 어느 부분에 제10도에 도시된 7개 분할형 표시의 "0"표시에 사용 "1 내지 7"의 분할이 어느 부분을 표시하여 잘 도시되어 있다.As a result of the operation shown in the drawings calculates data e number of 1 to e 6 The "1-7" attached to is because it shows a 7-position of each of the division of dividing the variable display of the variable display device (30) of
예를들면, 연산 데이터 e1에 있어서는 "4"의 번호를 부착한 연산 데이터 부분의 사각의 중에 "1"의 번호가 기재되어 있으므로 제10도에 도시된 7개의 분할형 표시의 "0"표시에 사용 "1"의 분할 부분을 가변 표시 장치(30)의 "4"의 분할 부분에 점등하여 표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같은 모양으로 중앙 처리 장치(101)에 의해 연산 결과로 하여 연산 데이터 e1내지 e6를 사용하여 표시장치(30)의 표시부에 그 연산 데이터 e1내지 e6의 순서에 따라서 표시되면 표시부의 표시는 동일한 도면 f1내지 f6에 도시 순서에서 변화하고 흡사 "0"의 숫자 표시가 숫자 표시부의 하방으로부터 흐르도록 하여 나타나고 그런후 흐르도록 하여 상방에 소멸되어 있는 가변 표시가 실현된다. 이 실시예에 대하여 다른 숫자 표시에의 숫자 표시의 데이터 d를 롬(102)중으로부터 호출시에는 중앙 처리 장치(101)에 의해 숫자 표시를 흐르는 연산 처리를 행하고 그 연산 결과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가변 표시부에 가변 표시를 행하도록 하면 좋다.For example, in the arithmetic data e 1 , the number "1" is written in the rectangle of the calculation data portion to which the number of "4" is attached, and the "0" display of the seven divided display shown in FIG. 10 is shown. It means that the divided part of # 1 'used for the light is displayed on the divided part of # 4' of the
그밖의 숫자에 관해서도 같은 모양으로 되어 있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Since other numbers have the same shape, the description is omitted.
또, 각 숫자 표시의 변화 과정 및 짝수의 숫자의 경우는 완성시에 대해서도 전부 적색으로 표시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그때의 각 연산 데이터 e1내지 e6의 "8"의 번호를 부착한 부분은 "0"으로 되어 있으므로 그 홀수가 완성된 때의 연산 데이터중의 "8"의 번호를 부착한 데이터 부분의 사각의 중에 "1"으로 된다.The change process and the case of the even number because it is to be displayed in whole red also during the completion of each operation data e 1 to a part attached to the number of "8" of the e 6 of the time of each digit display is "0" Since the odd number is completed, it becomes # 1 in the quadrangle of the data portion to which the number of # 8 in the operation data is assigned.
이 실시예에 대해서도 제1실시예에 있는 것과 같은 모양으로 표시부의 표시가 흐르도록 되어 나타나면 소멸되도록 되는 사용자의 흥취를 증가하며 게다가 제어 시스템(100)의 롬(102)의 중에는 최소한의 숫자 표시의 데이터 d의 그 데이터 d를 기초로 하여 숫자 표시를 흐르도록 변화시키기 위하여 연산 순서를 기억시키며 그들의 데이터 d와 연산 순서를 기초로 하여 중앙 처리 장치(101)에 의해 변화 형식의 연산 처리가 행해지며 그 연산 결과에 의해 제1실시의 때에도 같은 모양으로 가변 표시부의 숫자 표시가 흐르도록 하여 나타나서는 사라지는 것으로 되고 롬(102)중에 고정 데이터의 기억이 적어질 수 있다.Also in this embodiment, the display of the display portion flows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first embodiment, increasing the interest of the user to be extinguished. In addition, the
본 발명은 상기 언급한 적합한 실시예를 제한하지 않으며, 임의의 변경 및 개선이 본 발명 기술적 개념의 범위내에 들어감을 알 수 있을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limit the above-mentioned suitable embodiments, and it will be appreciated that any changes and improvement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technical concept.
Claims (7)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62-299348 | 1987-11-27 | ||
JP62299348A JP2958953B2 (en) | 1987-11-27 | 1987-11-27 | Ball game machin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90007768A KR890007768A (en) | 1989-07-05 |
KR920002804B1 true KR920002804B1 (en) | 1992-04-04 |
Family
ID=17871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80010399A KR920002804B1 (en) | 1987-11-27 | 1988-08-16 | Pin ball machine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JP (1) | JP2958953B2 (en) |
KR (1) | KR920002804B1 (en) |
CN (1) | CN1036765C (en) |
AU (1) | AU591845B2 (en) |
ES (1) | ES2008583A6 (en) |
MY (1) | MY103549A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602665B2 (en) * | 1987-10-05 | 1997-04-23 | 株式会社ソフィア | Pachinko machine |
AU609507B2 (en) * | 1988-08-17 | 1991-05-02 | Kabushiki Kaisha Sophia | Pinball machine |
JP2004223239A (en) * | 2002-11-27 | 2004-08-12 | Seiko Epson Corp | Display control method, display control device, and game machine |
JP5099962B2 (en) * | 2004-07-30 | 2012-12-19 | 株式会社ユニバーサルエンターテインメント | Game machine |
JP2012249972A (en) * | 2011-06-06 | 2012-12-20 | Kyoraku Sangyo Kk | Game machine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363485A (en) * | 1980-07-31 | 1982-12-14 | D. Gottlieb & Co. | Time based pinball game machine |
US4354680A (en) * | 1980-10-29 | 1982-10-19 | Bally Manufacturing Corporation | Pinball game including elevated ball pathway |
JPS5881071A (en) * | 1981-11-11 | 1983-05-16 | シャープ株式会社 | Electronic throttle machine |
US4548408A (en) * | 1983-05-06 | 1985-10-22 | Bally Manufacturing Corporation | Bonus ball pinball game |
JP2602665B2 (en) * | 1987-10-05 | 1997-04-23 | 株式会社ソフィア | Pachinko machine |
AU609507B2 (en) * | 1988-08-17 | 1991-05-02 | Kabushiki Kaisha Sophia | Pinball machine |
-
1987
- 1987-11-27 JP JP62299348A patent/JP2958953B2/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88
- 1988-08-03 AU AU20402/88A patent/AU591845B2/en not_active Ceased
- 1988-08-10 MY MYPI88000920A patent/MY103549A/en unknown
- 1988-08-16 KR KR1019880010399A patent/KR920002804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88-09-12 ES ES8802775A patent/ES2008583A6/en not_active Expired
- 1988-11-14 CN CN88107807A patent/CN1036765C/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MY103549A (en) | 1993-07-31 |
JPH01139086A (en) | 1989-05-31 |
AU2040288A (en) | 1989-06-01 |
CN1036765C (en) | 1997-12-24 |
AU591845B2 (en) | 1989-12-14 |
KR890007768A (en) | 1989-07-05 |
JP2958953B2 (en) | 1999-10-06 |
ES2008583A6 (en) | 1989-07-16 |
CN1033243A (en) | 1989-06-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001120728A (en) | Illumination method for lighting components of gaming machines | |
JP2002126166A (en) | Display device for effective game remaining time | |
KR920002804B1 (en) | Pin ball machine | |
JP2002346064A (en) | Game machine equipped with illumination device | |
JP2001157764A (en) | Gaming machine | |
JP2720991B2 (en) | Gaming machine | |
JP2770963B2 (en) | Pachinko machine | |
JP3201798B2 (en) | Variable prize ball device for ball game machines | |
JP2621013B2 (en) | Ball game machine | |
JPH07289699A (en) | Winning device for pachinko machine | |
JP2713435B2 (en) | Gaming machine | |
JP2682671B2 (en) | Gaming machine | |
JPH05177030A (en) | Slot machine | |
JPH0615613Y2 (en) | Pachinko machine winning device | |
JPH07313695A (en) | Display unit of pachinko machine | |
JP2698352B2 (en) | Ball game machine | |
JP2672129B2 (en) | Gaming machine | |
JP2808577B2 (en) | Ball game machine | |
JP2713434B2 (en) | Gaming machine | |
JPH06319855A (en) | Display and informing device in pachinko machine | |
JP2989655B2 (en) | Gaming machine | |
JPH0832276B2 (en) | Pachinko machine | |
JP4067301B2 (en) | Game machine | |
JPH0458967A (en) | Pinball machine | |
JP2001120731A (en) | Gaming machi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8081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8808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108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PG1605 |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20307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206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209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199209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199502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199603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199703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199803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1999020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0021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1021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2020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3021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40216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50217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50509 Year of fee payment: 1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50509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