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20002779A - 포유동물 gap-43 조성물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포유동물 gap-43 조성물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2779A
KR920002779A KR1019900017212A KR900017212A KR920002779A KR 920002779 A KR920002779 A KR 920002779A KR 1019900017212 A KR1019900017212 A KR 1019900017212A KR 900017212 A KR900017212 A KR 900017212A KR 920002779 A KR920002779 A KR 9200027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p
cells
peptide
protein
anti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7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씨. 피쉬맨 마크
제이. 페데로프 하워드
엑스. 쥬버 모리시오
엠. 스트리트매터 스테펜
발렌쥬엘라 다리오
Original Assignee
원본미기재
더 제네랄 호스피탈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본미기재, 더 제네랄 호스피탈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원본미기재
Publication of KR920002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2779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11DNA or RNA fragments; Modified forms thereof; Non-coding nucleic acids having a biological activity

Landscapes

  • Genetics & Genom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Zo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포유동물 GAP-43 조성물 및 이의 용도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GAP-43 cDNA의 하이브리드-선택된 전사를 도시한 것이다.
제2도는 GAP-43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 및 예정되는 이의 아미노산 서열을 도시한 것이다.
제3도는 PC12 세포중의 GAP-43 발현의 조절을 나타낸것이다.

Claims (59)

  1. 원핵 또는 진핵 숙주세포를 cDNA 암호화-포유동물의 GAP-43을 함유하는 벡터로 형질 감염시키고, 이숙주세포를 포유동물 GAP-43이 발현되도록 하는 조건하에 적절한 배지중에서 배양시키고, 배지로 부터 포유동물의 GAP-43을 분리함을 특징으로하여, 포유동물의 GAP-43 또는 이의 기능적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
  2. GAP-43 을 함유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시료를 MAb항-GAP-43(H5) 또는 이의 기능적 또는 화학적 유도체의 특이성을 실질적으로 지닌 모노클로날 항체와 접촉시키고, 시료가 항체와 함께 GAP-43 항체 복합체를 형성하도록 배양시킨후, 복합체-비형성 항체로부터 복합체-형성 항체를 분리시키고, 표지된 복합체-형성 항체를 측정 또는 검출하는 방법.
  3. GAP-43에 대한 검출가능하게 표지된 항체를 함유하는 컨테이너 하나 이상을 밀폐구획내에서 수용할 수 있도록 구획화된 담체를 함유하는 GAP-43 측정 또는 검출용 키트.
  4. 제3항에 있어서, 항체가 폴리클로날 및 모노클로날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되는 키트.
  5. 세포를 유효량의 신경 성장 인자에 노출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세포내에서 GAP-43의 발현을 유도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세포가 신경세포인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세포가 동일 반응계내에서 신경 성장 인자에 노출되는 방법.
  8. cDNA 암호화 GAP-43 함유하는 DNA 발현 벡터를 세포에 도입시킴을 특징으로하여, 세포내에서 GAP-43의 발현을 증진시키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형질감염, 형질 도입 또는 직접 마이크로주사법으로 벡테를 세포내로 도입하는 방법.
  10. 세포내에서 GAP-43발현을 제6항 내지 9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으로 유도함을 특징으로하여, 신경세포의 구조적 재구성(remodeling)을 촉진시키는 방법.
  11. 손상된 신경조직 내 및 그 주위에서 GAP-43의 발현을 유도함을 특징으로하여, 손상된 신경조직의 회복을 촉진시키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신경손상이 허혈을 동바하는 불완전 골절, 불완전골절을 동반하지 않는 일시적 허혈증, 저신소증, 산소결핍증, 산소결핍성 뇌염, 저환류층, 또는 발작 증에 의해 유발된 방법.
  13. 신경 성장 인자, 스테로이드 및 이의 기능적 유도체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 효과량에 세포를 노출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뉴우런 세포의 구조적 재구성을 조절하는 방법.
  14. 신경 성장 인자, 스테로이드 및 이의 기능적 유도체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 효과량에 세포를 노출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뉴우런 세포의 시냅스 성형성을 조절하는 방법.
  15. 신경 성장 인자, 스테로이드 및 이의 기능적 유도체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 효과량에 세포를 노출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뉴우런 세포의 미세 주변 환경을 조절하는 방법.
  16. 세포를 하나 이상의 스테로이드 유효량을 노출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표유동물 신경세포에서 GAP-43의 발현을 억제하는 방법.
  17. 세포를 하나 이상의 스테로이드 유효량을 노출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완전히 분화된 표유동물의 뉴우런세포에서 GAP-43의 발현을 조절하는 방법.
  18. 제13항 내지 1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테로이드가 피질 스테로이드인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피질 스테로이드가 미네랄 콜티코이드 및 글루코콜티코이드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미네랄 콜티코이드가 덱사메타손, 콜티코스테론, 알도스테론 및 프로게스테론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방법.
  21. 세포를 유효량의 사이클로헥사마이드에 노출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스테로이드에 노출된 포유동물 뉴우런 세포의 GAP-43 발현의 스테로이드성 억제를 증대시키는 방법.
  22. 제8항 또는 9항에 있어서, 세포사 비-뉴우런 세포인 방법.
  23. 뉴클레오타이드 서열 atg ctg tgc tgt atg aga acc aaa cag 또는 이의 기능적 유도체를 함유하는 막-표적화 펩타이드를 암호화하는 cDNA.
  24. Ⅰ. MET LEU CYS CYS MET ARG ARG THR LYS GLN;
    Ⅱ. MET LEU CYS CYS MET ARG ARG THR LYS;
    Ⅲ. MET LEU CYS CYS MET ARG ARG THR;
    Ⅳ. MET LEU CYS CYS MET ARG ARG;
    Ⅴ. MET LEU CYS CYS MET ARG;
    Ⅵ. MET LEU CYS CYS MET;
    Ⅶ. MET LEU CYS CYS; 및
    Ⅷ. 이의 기능적 유도체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함유하는 막-표적화 펩타이드.
  25. Ⅰ. MET LEU CYS CYS MET ARG ARG THR LYS GLN;
    Ⅱ. MET LEU CYS CYS MET ARG ARG THR LYS;
    Ⅲ. MET LEU CYS CYS MET ARG ARG THR;
    Ⅳ. MET LEU CYS CYS MET ARG ARG;
    Ⅴ. MET LEU CYS CYS MET ARG;
    Ⅵ. MET LEU CYS CYS MET;
    Ⅶ. MET LEU CYS CYS; 및
    Ⅷ. 이의 기능적 유도체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암호화하는 뉴클레오타이드를 함유하는 막-표적화 펩타이드를 암호화하는 DNA 서열.
  26. 아미노- 말단에서 제24항의 서열을 지니는 막-표적화 펩타이드를 암호화하는 뉴클레오타이드를 함유하는 구조유전자 또는 이의 단편.
  27. 아미노 말단에서 제24항의 서열을 지니는 막-표적화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단백질 또는 펩타이드.
  28. (a) 단백질 또는 펩타이드의 아미노 말단에 제24항의 아미노선 서열을 함유하는 막-표적화 펩타이드를 연결시키고, (b) 막-표적화 도메인을 함유하는 생성된 단백질 또는 펩타이드를 세포내로 도입함을 특징으로하여 (이때, 단계 (b)의 단백질 또는 펩타이드는 막-표적화 도메인에 의해 세포의 막에 직접적으로 기능한다).목적하는 단백질 또는 펩타이드를 세포막에 직접 작용시키는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세포가 뉴우런-또는 비뉴우런-세포로 구성된 그룹중에서 선택되는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뉴우런 세포에서 단계 (b)의 생성된 단백질 및 펩타이드가 세포의 성장돌기 영역에 직접 작용하는 방법.
  31. 제24항의 펩타이드 또는 제27항의 단백질 또는 펩타이드에 대해 직접 작용하는 임의로 검출 또는 치료 목적으로 표지화된 항체 또는 이의 기능적 또는 화학적 유도체.
  32. 제31항에 있어서, 모노클로날 항체인 항체.
  33. 게놈성 GAP-43을 암호화하는 제13도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 또는 이의 기능적 또는 화학적 유도체.
  34. GAP-43을 암호화하는 뉴클레오타이드 서열, 또는 이의 기능적 또는 화학적 유도체.
  35. 다수의 출발부 및 콘센서스 Pit-1 결합부를 지미며, TATA-박스 및 콘센서스 SP-1 결합부를 지니지않고 3중쇄(H-DNA) 구조를 만들수 있는 긴 호모퓨린-호모피리미딘 연장부를 지님을 특징으로 하는, 제14도에 나타낸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프로모터.
  36. 아미노말단에, 제34항 또는 35항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 또는 이의 기능적 또는 화학적 유도체를 함유하는 구조유전자 또는 이의 단편.
  37. 제36항의 구조유전자를 함유하는 DNA 발현 벡터.
  38. 제37항의 벡터로 형질감염된 숙주세포.
  39. 내부 조절 단백질(IRP)
  40. Ⅰ. MLCCMRRTKQVEKNDEDQKIEQDGV;
    Ⅱ. MLCCMRRTKQVEKNDEDQKIEQDG;
    Ⅲ. MLCCMRRTKQVEKNDEDQKIEQD;
    Ⅳ. MLCCMRRTKQVEKNDEDQKIEQ;
    Ⅴ. MLCCMRRTKQVEKNDEDQKIE;
    Ⅵ. MLCCMRRTKQVEKNDEDQKI;
    Ⅶ. MLCCMRRTKQVEKNDEDQK;
    Ⅷ. MLCCMRRTKQVEKNDEDQ;
    Ⅸ. MLCCMRRTKQVEKNDED;
    Ⅹ. MLCCMRRTKQVEKNDE;
    XI. MLCCMRRTKQVEKND;
    XII. MLCCMRRTKQVEKN;
    XIII. MLCCMRRTKQVEK;
    XIV. MLCCMRRTKQVE;
    XV. MLCCMRRTKQV;
    XVI. MLCCMRRTKQ;
    XVII. MLCCMRRTK;
    XVIII. MLCCMRRT;
    XIX. MLCCMRR;
    XX. MLCCMR;
    XXI. MLCCM;
    XXII. MLCC; 및
    XXIII. 이의 기능적 유도체로 구성된 그룹중에서 선택된 아미노산 서열을 함유하는 IRP 펩타이드.
  41. 제40항의 IRP 펩타이드를 암호화하는 뉴클레오타이드 서열.
  42. 콘센서스 이미노산 서열인 소수성-leu-cys-cys-x-염기성-염기성을 지니는 IRP 펩타이드 또는 이의 기능적 유도체.
  43. 제40항 또는 42항에 있어서, 시스테인이 팔미트산 처리된 IRP 펩타이드.
  44. 목적하는 단백질 및 이의 결합기질을 함유하는 환경내에 효과량의 IRP 펩타이드를 도입함을 특징으로 하여, 목적하는 단백질의 결합활성을 조절하는 방법.
  45. 제44항에 있어서, 목적한 단백질이 G 단백질인 방법.
  46. 제44항에 있어서, G 단백질이 G0인 방법.
  47. 제44항에 있어서, IRP 펩타이드가 제40항, 42항 또는 43항의 펩타이드 방법.
  48. 제44항에 있어서, 환경이 생존세포 내부인 방법.
  49. 제48항에 있어서, 세포가 중추 또는 말초신경세포인 방법.
  50. 제45항에 있어서, 결합기질이 GIP 인 방법.
  51. 제40 또는 42항의 IRP에 대해 직접적이고, 임의로 검출 또는 치료목적으로 표지화한, 항체, 또는 이의 기능적 또는 화학적 유도체.
  52. 제51항에 있어서, 모노클로날 항체인 항체.
  53. 제40 또는 42항의 IRP 펩타이드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함유하고, 치료적 효과제 하나 이상을 임의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54. 제51항의 항체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치유하고, 치료적 효과제 하나 이상을 임의로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55. 제53항 또는 52항의 조성물 유효량을 세포에 투여함을 특징으로하여, 신경세포의 구조적 재구성을 조절하는 방법.
  56. 목적하는 단백질 및 이의 결합 기질을 함유하는 환경으로 선별하기에 바람직한 물질을 도입시킨 후 언급된 물질의 부재하에서 결합하는 기질에 대한 기질 결합에서의 증가 또는 감소를 측정함을 특징으로 하여, 목적하는 단백질의 결합활성을 조절할 수 있는 물질에 대해 선별하는 방법.
  57. 제56항에 있어서, 목적하는 단백질이 G 단백질인 방법.
  58. 제57항에 있어서, G 단백질이 G0인 방법.
  59. GAP-43과 특이적으로 결합하고, 분자량이 39,000이며 50mM 트리스 완충액중의 EDTA를 사용할 수경우 단일밴드로 용출되고, G0에 대한 폴리클로날 항체와 반응하지 않음을 특징으로하는, 신경 성장-관련 단백질.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00017212A 1990-07-02 1990-10-26 포유동물 gap-43 조성물 및 이의 용도 Withdrawn KR9200027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4645390A 1990-07-02 1990-07-02
US07/546,453 1990-07-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2779A true KR920002779A (ko) 1992-02-28

Family

ID=24180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7212A Withdrawn KR920002779A (ko) 1990-07-02 1990-10-26 포유동물 gap-43 조성물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466595A (ko)
KR (1) KR92000277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83339B1 (en) 1999-10-12 2012-05-22 Xigen S.A. Cell-permeable peptide inhibitors of the JNK signal transduction pathway
JP4387669B2 (ja) * 2000-10-13 2009-12-16 ザイジェン エス.アー. 新規なトランスポーターペプチド配列による生物学的エフェクターの細胞内送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466595A (ja) 1992-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rouin et al. Pro‐opiomelanocortin gene: A model for negative regulation of transcription by glucocorticoids
Howard et al. Evidence for intracellular association of the glucocorticoid receptor with the 90-kDa heat shock protein.
Richardson et al. Pax-6 is essential for lens-specific expression of zeta-crystallin.
Server et al. Nerve growth factor
Hoeck et al. Hormone-dependent phosphorylation of the glucocorticoid receptor occurs mainly in the amino-terminal transactivation domain.
Zhang et al. Characterization of the IL-6 responsive elements in the γ fibrinogen gene promoter
Fischer et al. Interdependent transcription control elements regulate the expression of the SPRR2A gene during keratinocyte terminal differentiation
Bois-Joyeux et al. Members of the CAAT/enhancer-binding protein, hepatocyte nuclear factor-1 and nuclear factor-1 families can differentially modulate the activities of the rat α-fetoprotein promoter and enhancer
Zhang et al. HAP1 is nuclear but is bound to a cellular factor in the absence of heme.
Koster et al. TAp63α induces AP-2γ as an early event in epidermal morphogenesis
Matsukage et al. The DRE/DREF transcriptional regulatory system: a master key for cell proliferation
Gordon et al. Type V collagen and Bowman's membrane. Quantitation of mRNA in corneal epithelium and stroma.
Buratowski et al. Transcription initiation complexes and upstream activation with RNA polymerase II lacking the C-terminal domain of the largest subunit
Montmayeur et al. Targeting of Gαi2 to the Golgi by alternative spliced carboxyl-terminal region
Van Nest et al. Proteins synthesized and secreted during rat pancreatic development.
Tuaillon et al. A lipoyl synthetic octadecapeptide of dihydrolipoamide acetyltransferase specifically recognized by anti-M2 autoantibodies in primary biliary cirrhosis.
Beylkin et al. MyoD, Myf5, and the calcineurin pathway activate the developmental myosin heavy chain genes
Inoue et al. Structures of regulatory regions in the human cytochrome P‐450scc (desmolase) gene
GHERZI et al. The human homeodomain protein OTX2 binds to the human tenascin-C promoter and trans-represses its activity in transfected cells
St-Arnaud et al. Wnt-1-inducing factor-1: a novel G/C box-binding transcription factor regulating the expression of Wnt-1 during neuroectodermal differentiation
KR920002779A (ko) 포유동물 gap-43 조성물 및 이의 용도
Niesel et al. Structural analysis of adult and larval isozymes of sn-glycerol-3-phosphate dehydrogenase of Drosophila melanogaster.
Zhang et al. Identification of a novel alternative splicing form of human netrin-4 and analyzing the expression patterns in adult rat brain
KR910700258A (ko) 포유동물 gap-43 조성물 이의 용도
Hatfield et al. Post-translational processing of pro-opiomelanocortin (POMC)-derived peptides during fetal monkey pituitary development: II. β-lipotropin (β-LPH)-related peptid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0102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