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20002522B1 - 일체화 전자총 시스템 어셈블리 방법 - Google Patents

일체화 전자총 시스템 어셈블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2522B1
KR920002522B1 KR1019850001809A KR850001809A KR920002522B1 KR 920002522 B1 KR920002522 B1 KR 920002522B1 KR 1019850001809 A KR1019850001809 A KR 1019850001809A KR 850001809 A KR850001809 A KR 850001809A KR 920002522 B1 KR920002522 B1 KR 9200025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 gun
anode
gun system
centering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1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6972A (ko
Inventor
빌헬무스 프란시스 쿠스반 데르 하이덴 안토니우스
안토니우스 마리아 플로이렌 페트루스
Original Assignee
엔. 브이. 필립스 글로아이람펜파브리켄
아이. 엠. 레르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 브이. 필립스 글로아이람펜파브리켄, 아이. 엠. 레르너 filed Critical 엔. 브이. 필립스 글로아이람펜파브리켄
Publication of KR850006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6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2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25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02Manufacture of electrodes or electrode systems
    • H01J9/18Assembling together the component parts of electrode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09/00Apparatus and processes for manufacture of discharge tubes
    • H01J2209/18Assembling together the component parts of the discharge tube
    • H01J2209/185Machines therefor, e.g. electron gun assembl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e Of Electron Tubes, Discharge Lamp Vessels, Lead-In Wires, And The Like (AREA)
  • Cathode-Ray Tubes And Fluorescent Screens For Displa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일체화 전자총 시스템 어셈블리 방법
제1도는 "수평"형의 칼라 표시관에 대한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칼라 표시관에서 전자총 시스템에 대한 사시도.
제3도는 종래 장치의 종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횡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종단면도.
제6도는 제5도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일체화 전자총 시스템 60, 61, 62 : 센터링핀
본 발명은 축 둘레에서 집중된 다수의 전극으로 구성된 "수평(in-line)"형의 칼라 표시관의 일체화 전자총 시스템을 어셈블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 장치는 한 평면에서 종축이 위치된 여러개의 센터링핀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핀상에 전극이 위치되어져 서로 기계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장치에 의해서 "수평"형의 칼라 표시관의 일체화 전자총 시스템을 어셈블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극으로 구성된 3개의 개별 전자총을 구비하는 전자총 시스템을 어셈블리하는 장치는 미합중국 특허원 제3,906,279호에서 기술되어져 있다. 상기 장치는 세개의 센터링핀이 연결되어지는 베이스를 구비하며, 이들 핀의 축은 서로 평행이며 한 평행면에 위치되어 있다. 이들 핀의 직경은 핀의 자유단쪽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계단형으로 되어 있다. 전극은 이들 전극간의 스페이스를 정하는 스페이서판을 삽입하여 핀에 의해 센터링된다. 상기 베이스의 표면은 기준표면으로서 사용된다. 모든 전극을 센터링핀을 중심으로서 위치 결정 한 후 연결용 브레이스(brace)를 구비하는 전극은 상기 브레이스에 의해서 유리 지지 로드에 실드된다. 그리하여 세개의 전자총은 한개의 어셈블리를 형성한다. 그러므로 전자총 시스템은 다음에 센터링핀으로 부터 슬라이드 된다.
"수평"형의 칼라표시관의 일체화 전자총 시스템은 네델란드왕국 특허출원 제8203322호(PHN 10.422)에서 기술되어 있다. 이러한 일체화 전자총 시스템에서는 대부분의 전극은 세개의 전자총 모두와 공통이다. 상기 공통 전극은 통상 칼라(collar)를 갖을 수 있고 세개 전자빔을 통과하도록 작용하는 세개의 구멍을 갖는 금속판을 갖는 것이 보통이다. 상기 금속판은 컵 모양 전극소자의 밑면을 형성하는 것이 보통이다.
이러한 일체화 전자총 시스템을 어셈블리하는 장치는 통상 2개의 센터링핀을 가지며, 이들 센터링핀상에 외측의 구멍이 센터링된다. 상기 센터링핀의 직경은 어셈블리되는 전극 소자의 구멍간의 거리의 허용 오차 및 어셈블리된 전자총 시스템을 센터링핀에서 분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멍의 직경과 센터링핀 직경간의 바람직한 틈에 의해 결정된다.
이러한 전자총을 어셈블리하는 장치의 단점은, 많은 어라인먼트 오차(alignment error)가 생겨난다는 것이다. 이러한 오차는, 구멍의 센터링 오차이며, 구멍이 설치되는 렌즈 소자의 기울기 오차이다.
이러한 형의 어라인먼트 오차는, 특히 3극 부분에 강 렌즈가 도입되는 전자총 시스템에서는 허용되지 않는다. 전자총의 3극 부분은 캐소드, 제어 그리드 및 제1애노드를 구비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전자총 시스템은 네델란드왕국 특허출원 제8204185호(PHN 10.488)에서 기술되어져 있다. 이러한 강렌즈 때문에, 상기 어라인먼트 오차는 공지된 저자총과 비교하여 비교적 큰 빔 변위 오차(이것은 빔의 위치 및 방향의 오차임)을 발생시킨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오차가 상당히 감소되는 "수평"형의 칼라 표시관의 일체화 전자총 시스템을 어셈블리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서두에서 기재된 형의 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즉, 전극의 구멍 영역에서 최소한 거의 가늘고 긴 단면을 갖는 세개의 센터링핀을 구비하는데, 이 센터링핀의 한정된 부만이 전극에서 구멍의 내벽과 접하게 되고, 최외각 핀의 단면의 종축은 상기 평면과는 거의 수직이며, 중심 센터링핀의 단면의 횡축은 상기 평면에 실제로 위치되어진다. 중심 센터링핀은 센터링핀이 통과하는 평면 방향으로 위치시키고 두 최외각 센터링핀은 평면과 직각으로 위치시킴으로써, 핀의 최장 직경은 지금까지 사용된 핀의 직경보다 더 크게 만들어질 수 있는데, 이것은 이 직경이 전극 소자의 구멍사이의 거리에서의 허용 오차와는 무관하기 때문이다. 센터링핀의 비교적 작은 부분만이 센터링에 사용되므로, 전극의 어셈블리가 더욱 용이하며 어셈블리 후에 구멍과, 전자총 시스템을 분리하는 센터링핀의 벽간의 틈은 더욱 작아질 수 있다. 전극이 보다 정확하게 위치되므로, 공지된 전자총에서 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의해서 어셈블리된 전자총에서 발생하는 빔변위 오차는 더욱 작아진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있어서, 축방향으로 전극을 위치 설정하는데 최소한 두 기준면이 사용되고, 제어그리드, 제1애노드 및 제2애노드의 위치는 제1기준면에 의해서 결정되고, 집속 렌즈 전극의 위치는 제2기준면으로 결정되고, 상기 제1기준면은 최외각 센터링핀의 축에 수직으로 제공된 요각면으로 결정되고, 제2기준면은 센터링핀이 연결되는 베이스에 의해서 결정된다.
지금까지 공지된 어셈블리 장치에서는, 단지 이 축방향으로 위치 설정하는데는 단지 한 기준면만이 사용되었다. 모든 전극은 스페이서 판의 삽입에 의해 상기 기준면상에 배열되었다. 이러한 시스템의 단점은 기준면에서 제어 그리드 까지의 모든 기울기 오차가 함께 더해져, 비교적 큰 변위 오차가 생겨난다는 것이다.
두 기준면을 하는 3극 부분용으로 다른 하나는 전자총의 주 집속 렌즈용으로 사용함으로써, 빔변위 오차는 상당히 감소된다. 제2애노드를 제1절반부와 제2절반부로 구성되도록 제2애노드의 구성을 변화시킴으로써 제1절반부는 장치의 제1기준면상에 위치되고 다른 제2절반부는 제2기준면상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의해서 "수평"형의 칼라 표시관에서 세 빔과 공통인 제어 그리드, 제1애노드, 제2애노드 및 제3애노드를 구비하는 일체화 전자총 시스템을 어셈블리하는 적합한 방법에 있어서, 제2애노드는 두개의 독립부로 구성되고, 제3애노드 및 제2애노드의 일부는 제2기준면과 스페이서 판의 삽입에 의해 센터링핀상에 위치된 후 제2애노드의 제2부분, 제1애노드 및 제어 그리드는 제1기준면과 센터링핀상에 위치되고, 이후에 모든 전극이 유리 로드에 의해서 함께 기계적으로 고정된다. 이러한 분할된 제2애노드의 또 다른 장점은 캐소드에서 제2및 제3애노드로의 열전도가 방해를 받는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전극과 연결 브레이스 및 로드의 열팽창의 결과로 인한 빔의 변위는 감소된다. 또한, 사전 집속 및 집속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애노드 두 절반부의 제2애노드에 서로 다른 전위를 인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50%에 걸친 빔변위 감소가 측정되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일례를 들어 지금부터 더욱 상세히 기술하고자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의 사시도이다. 이 경우에는 음극선관은 "수평"형의 칼라 표시관에 관한 것이다. 표시창(2), 콘(3) 및 네크(4)를 구비한 유리용기(1)내에는 네크내에 일체화 전자총 시스템(5)이 설치되며, 편향 이전에는 축이 평면에서 위치되는 세개 전자빔(6,7,8)을 발생한다. 중심 전자빔(7)의 축은 칼라 표시관의 축(9)과 일치한다. 표시창(2)은 그 내측에 형광선의 다수의 트리플렛(triplet)을 구비한다. 각 트리플렛은 청발광 형광체로 이루어진 선과, 녹발광 형광체로 이루어진 선과, 적발광 형광체로 이루어진 선을 구비한다. 모든 트리플렛은 함께 표시 스크린(10)을 구성한다. 형광체 선은 빔축이 통과하는 상기 평면과는 거의 수직이다. 전자빔(6,7,8)이 통과하여 각각 한 색의 형광체 선에만 부딪히는 가늘고 기다란 수많은 구멍이 제공된 샤도우 마스크(11)가 표시 스크린의 정면에 위치되어 있다. 한 평면에 위치된 세 전자빔은 도시되지 않은 편향 코일의 시스템에 의해 편향된다. 칼라 표시관은 연결핀(14)을 구비한 관 베이스(13)를 갖는다.
제2도는 제1도에서 도시된 칼라 표시관에서 사용된 전자총 시스템의 실시예에 대한 확대 사시도이다. 전자총 시스템은, 세개 전극(도시않됨)이 연결되는 공통 컵 모양의 제어 전극(20)과 공통판 모양의 제1애노드(21)를 구비한다. 한 평면에 축이 위치되는 세 전자빔은 세 전자빔과 공통인 제2애노드(22)한 제3애노드(23)에 의해서 집속된다. 애노드(22)는 컵 모양의 세부분(24,25,26)으로 구성된다.
부분(25,26)은 이들 개방단에서 함께 연결되어 있다. 부분(25)은 어떠한 기계적인 접촉이 없이도 부분(24)과 동축으로 위치되어 있다(또한 제5도에서 부분(69,756)도 참조). 애노드(23)는 컵 모양의 한 부분(27)을 구비하며, 이 부분(27)의 밑면은 컵 모양의 다른 부분의 밑면과 같이 세개의 칼라(28,29,30)를 각각 갖는 구멍을 갖고 있다. 애노드(23)는 또한 칼라 표시관의 내크에서 전자총 시스템의 센터링에 사용되는 센터링 슬리브(31)를 구비한다. 상기 센터링 슬리브는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도시되지 않은 센터링 스프링을 갖고 있다. 전자총 시스템의 전극은 브레이스(32)와 유리 로드(33)에 의해서 종래의 방식으로 연결되어진다.
제3도는 일체화 전자총의 소자가 위치되어진 일체화 전자총 시스템을 어셈블리할때 까지 사용된 장치의 단면도이다. 장치는 두개의 원형 센터링핀(40,41)을 갖는 베이스(42)를 구비한다. 일체화 전자총 시스템의 구멍의 직경이 캐소드 방향으로 감소되므로, 센터링핀은 계단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베이스(42)의 표면(43)은 전자총 시스템의 전극의 위치에 대해서 기준면으로서 작용한다. 컵 모양의 전극(44)은 밑면(45)의 최외 각 구멍을 센터링핀(40,41)둘레에 위치시킴에 의해 상기 베이스상에 위치된다. 전극(44)과, 서로 대향하여 연결된 컵 모양의 두 부분으로 이루어진 전극(46)사이에 스페이서 판이 제공되고, 이 판은 어셈블리 후에 제거된다. 전극(46)의 전극부분(48)은 구멍을 갖는 밑면을 가지며, 이 구멍으로부터 칼라(49)가 상기 부분으로 연장되어 있다. 동일한 방법으로 전극(51,53)은 스페이서판(50,52)에 의해서, 베이스(42)의 (기준)면(43)에 대하여 센터링핀(40,41)둘레에서 위치된다. 모든 전극은 도시되지 않은 어셈블리 브레이스를 가지며, 이들 브레이스는 전자총 어셈블리 동안 종래 방법으로 가열된 유리 로드에 프레스되어진다. 어셈블리동안 전자총 시스템은 프레스 소자(54,55)에 의해 베이스의 기준면에 대향하여 프레스된다.
제4도는 제3도의 횡단면도이다.
제5도는 일체화 전자총 시스템의 어셈블리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종단면도이다. 이 장치상에 위치된 일체화 전자총 시스템의 소자가 다시 도시된다. 상기 장치는 세개의 센터링핀(60,61,62)을 갖는 베이스(63)을 구비한다. 상기 센터링핀은 제6도에서와 같이 가늘고 긴 수직 단면을 갖는다. 센터링핀(60,61,62)의 단면을 본 발명에 따라 가늘고 길게함으로써 단면의 종방향으로의 직경 d는 지금까지 사용된 센터링핀(40,41)의 직경보다 더 크게 선택될 수 있는데, 이것은 상기 직경이 어셈블리되어질 전극의 구멍사이의 거리에서의 허용 오차와는 무관하기 때문이다. 센터링핀의 적은 부분(64,65)만이 센터링에 사용되므로, 전극의 어셈블리는 더욱 용이하며, 어셈블리 후 전자총 시스템을 분리하기 위한 전극의 구멍의 벽(66)과 센터링핀 각의 틈은 작게되어진다. 원호(아크)(64,65)의 길이 b는 예를들어 0.5mm이고, 전극(75,76,77)의 구멍 영역에서는 예를들어 0.2mm이다. 베이스(63)의 표면(67)은 제3애노드(68)와 제2애노드(70)의 부분(69)을 위치 설정하기 위한 기준면을 형성한다. 애노드(68)와 부분(69)사이에 다른 스페이서 판(71)이 제공된다.
제3애노드(68)과 제3애노드(70)의 부분(69)내의 구멍은 칼라(72)를 구비한다. 제3애노드(68)의 칼라(72)는 센터링핀(60,61,62)를 둘러싸고 베이스(63)의 리세스내에 들어간다. 센터링핀(60,62)은 3극 부분의 기준면을 함께 구성하는 두 요각면(73,74)을 구비한다. 제2애노드 부분(75), 제1애노드(76) 및 제어 그리드(77)는 스페이서 판(82및 83)을 삽입함에 의해 상기 핀에서 떨어져 연장하는 보다 작은 단면과 핀의 나머지부와 동일한 모양을 갖는 센터링핀의 부분에서 센터링되고, 표면(73,74)에 의해 형성된 기준면에서 위치된다. 어셈블리동안, 전극은 기준면에 대향하여 프레스 소자(78,79)에 의해 프레스된다. 제3애노드(68)및 제2애노드 부분(69)은 프레스 소자(80 및 81)에 의해서 기준면에 프레스 된다. 가늘고 긴 센터링핀은 또한 도시된 것과는 다른 가늘고 긴 단면을 갖을 수도 있다는 것이 명백해질 것이다. 센터링핀이 구멍을 지닌 제한된 접촉면을 갖고, 중심 센터링핀의 단면이 센터링핀의 종축이 통과하는 평면에 위치된 종축을 가지며, 최외각 센터링핀의 단면의 종축이 상기 평면과 수직으로 되어 중심 및 최외각 센터링핀의 센터링 기능이 결합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전극을 서로 위치 결정하기 위한 기준면의 수가 훨씬 많아지게 된다는 것이 명백해질 것이다. 이것은 다단 집속 렌즈를 갖는 전자총 시스템 즉 서로 정확하게 위치되어져야 하는 전자총 시스템에 적합하다. 또한 2개의 연속한 전극의 구멍을 서로 엇갈리게 하기 위하여 센터링핀에 편심 부분을 설치할 수 있다는 것도 명백하다. 공지된 바와같이, 이러한 엇갈린 구멍은 전자빔을 편향시키거나 또는 경사진 전자 렌즈를 제공하기도 할 수 있다.

Claims (2)

  1. 일체화 전자총 시스템(5)의 전극이 장치내에서 한 평면에 종축이 위치된 3개 센터링핀(60,61,62)상에 위치되어져 서로 기계적으로 고정되어지는 "수평"형의 칼라 표시관의 일체화 전자총 시스템(5)을 어셈블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자총 시스템(5)은 3극 부분(75,76,77) 및 주 집속 렌즈(68,69)를 구비하며, 3극 부분의 전극(75)은 최외각 핀(60,62)의 축과 수직으로 연장하여 최외각 핀(60,62)의 표면(73,74)상에 위치되며, 주 집속 렌즈의 최종 전극(68)은 장치의 베이스(63)의 표면(67)상에 위치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화 전자총 시스템 어셈블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전자총 시스템은 제어 그리드(77), 제1애노드(76), 분할된 제2애노드(70) 및 제3애노드(68)를 구비하며, 제3애노드(68)와 제2애노드(70)의 제1부분(69)은 베이스(63)의 표면(67)과, 스페이서 판(71)의 삽입에 의해 센터링핀상에 위치되며, 제1애노드(76) 및 제어 그리드(77)는 최외각 핀(60,62)의 표면(73,74)과 센터링핀상에 위치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화 전자총 시스템 어셈블리 방법.
KR1019850001809A 1984-03-23 1985-03-20 일체화 전자총 시스템 어셈블리 방법 KR9200025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8400927 1984-03-23
NL8400927A NL8400927A (nl) 1984-03-23 1984-03-23 Inrichting en werkwijze voor het monteren van een geintegreerd elektronenkanonsyste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6972A KR850006972A (ko) 1985-10-25
KR920002522B1 true KR920002522B1 (ko) 1992-03-27

Family

ID=19843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1809A KR920002522B1 (ko) 1984-03-23 1985-03-20 일체화 전자총 시스템 어셈블리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685891A (ko)
EP (1) EP0158388B1 (ko)
JP (1) JPS6122531A (ko)
KR (1) KR920002522B1 (ko)
DE (1) DE3563145D1 (ko)
ES (1) ES8703680A1 (ko)
NL (1) NL840092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21384A1 (de) * 1984-06-08 1985-12-12 Standard Elektrik Lorenz Ag, 7000 Stuttgart Vorrichtung zum zusammenbau von elektronenstrahlerzeugern
JPH0313655U (ko) * 1989-06-23 1991-02-12
US5637952A (en) * 1993-04-26 1997-06-10 Nokia Technology Gmbh High-current cathode for picture tubes including a grid 3-electrode having a diaphragm with reduced apertures
JPH0729489A (ja) * 1993-07-16 1995-01-31 Sony Corp 電子銃のビーディング装置
DE4339950C2 (de) * 1993-11-24 1996-12-12 Nokia Deutschland Gmbh Vorrichtung zum Zusammenbau von Elektronenstrahlerzeugern
DE4424877B4 (de) * 1994-07-14 2005-03-2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Kadoma Vorrichtung zum twistfreien Zusammenbau von Elektronenstrahlsystemen
CN1087868C (zh) * 1997-03-13 2002-07-17 中华映管股份有限公司 阴极射线管中电子枪的偏心极片组装定位的结构
CN1096699C (zh) * 1997-03-13 2002-12-18 中华映管股份有限公司 阴极射线管电子枪偏心极片的组装定位结构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21374A (en) * 1950-03-11 1955-10-25 Rca Corp Mounting jig for electron tubes and method of assembling tube mounts
US3289268A (en) * 1964-10-27 1966-12-06 Sylvania Electric Prod Assembly jig
US3417458A (en) * 1966-05-17 1968-12-24 Siemens Ag Production of electrical semiconductor device
NL7217179A (ko) * 1972-12-16 1974-06-18
NL166573C (nl) * 1973-11-17 1981-08-17 Philips Nv Kathodestraalbuis.
US3918694A (en) * 1974-05-06 1975-11-11 Richard D Laudick Locator pin
NL7503177A (nl) * 1975-03-18 1976-09-21 Philips Nv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kathode- straalbuis, inrichting voor het uitvoeren van deze werkwijze en kathodestraalbuis verkregen volgens deze werkwijze.
JPS5215260A (en) * 1975-07-26 1977-02-04 Toshiba Corp Method of assembling electron gun for color picture tube and assembly jigs used
JPS5337573A (en) * 1976-09-20 1978-04-06 Japan Steel Works Ltd:The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waste gas
US4259610A (en) * 1977-09-12 1981-03-31 Tokyo Shibaura Denki Kabushiki Kaisha Electron gun assembly for cathode ray tubes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US4176432A (en) * 1978-12-13 1979-12-04 Rca Corporation Method for establishing uniform cathode-to-grid spacing in an electron gun
PH16634A (en) * 1980-06-16 1983-12-05 Merrell Dow Pharma Method of inhibiting the growth of protozoa
NL8102527A (nl) * 1981-05-22 1982-12-16 Philips Nv Kleurenbeeldbui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158388B1 (en) 1988-06-01
JPS6122531A (ja) 1986-01-31
ES8703680A1 (es) 1987-02-16
EP0158388A1 (en) 1985-10-16
KR850006972A (ko) 1985-10-25
US4685891A (en) 1987-08-11
ES541410A0 (es) 1987-02-16
NL8400927A (nl) 1985-10-16
DE3563145D1 (en) 1988-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03916B1 (en) Colour display tube
KR920002522B1 (ko) 일체화 전자총 시스템 어셈블리 방법
US4940917A (en) Color cathode ray tube having an in-line electron gun
US4337409A (en) Color display tube with control grid positioning feature
US4945283A (en) Cathode ray tube having a tubular focus structure
KR900002902B1 (ko) 칼라 표시관
US4742266A (en) Color picture tube having an inline electron gun with an einzel lens
US4720654A (en) Modular electron gun for a cathode-ray tube and method of making same
US3973161A (en) Plural gun cathode-ray tube with oval control electrodes
RU2081471C1 (ru) Электронная пушка электронно-лучевой трубки
US3322990A (en) Convergence subassembly with indexing provisions in cylindrical support for electron guns
US4400644A (en) Self-indexing insulating support rods for an electron gun assembly
US3745397A (en) Pyramidal gun array having resilient member contacting corresponding supports of each of three guns
RU2093919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электронного прожектора
RU2043675C1 (ru) Цветной кинескоп
EP0170319B1 (en) Colour display tube
US4900980A (en) Color display tube
US3935498A (en) Electron gun assembly
US4832645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cathode ray tube
KR880002813Y1 (ko) 칼라수상관용 전자총 전극
US3927341A (en) Cathode ray tube gun having nested electrode assembly
KR200352068Y1 (ko) 편향요크의 회로기판 고정구조
EP0283190A2 (en) Electron gun for color picture tube
JP3034880B2 (ja) カラー受像管用電子銃
KR0177946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5032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89103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85032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110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20227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206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208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208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503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602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30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03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