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2418B1 - Automatic cooking appliance and method of cooking - Google Patents
Automatic cooking appliance and method of cook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20002418B1 KR920002418B1 KR1019890000234A KR890000234A KR920002418B1 KR 920002418 B1 KR920002418 B1 KR 920002418B1 KR 1019890000234 A KR1019890000234 A KR 1019890000234A KR 890000234 A KR890000234 A KR 890000234A KR 920002418 B1 KR920002418 B1 KR 92000241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oking
- temperature
- menu
- heating
- tim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2—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using devices responsive to thermal changes or to thermal expansion of a medi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의 동일 메뉴에서는 가열열량과 요리량에는 무관한 동일한 "끓임 지속시간"을 적용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국, 찌개, 탕류 요리의 온도-시간 곡선 그래프.FIG. 1 is a graph of temperature-time curves of soups, soups, and soups in the same menu of the present invention, indicating that the same “boiling duration” irrespective of heating calorie and cooking amount can be applied.
제2도는 본 발명의 취사 및 구이류 요리 일실시예의 온도-시간 곡선 그래프로써 끓임 지속시간을 거의 0으로 둘때는 요리완료온도를 조리온도로 설정되게 하고, 끓임 지속시간을 실제보다 충분히 긴 시간으로 둘때는 통상요리의 비등온도를 조리온도로 설정되게 한것을 나타내는 그래프.2 is a temperature-time curve graph of one embodiment of the cooking and roasting dishe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boiling duration is almost 0, the cooking completion temperature is set to the cooking temperature, and the boiling duration is set to a sufficiently long time than actual. A graph showing that the boiling temperature of regular dishes is set to the cooking temperature.
제3도는 본 발명의 동일 메뉴에서는 요리의 량이 달라도 동일 온도분위기 내의 고형물이 익혀지는 속도가 같음을 나타내는 요리 상태도.3 is a cooking state diagram showing that even in the same menu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ed of cooking solids in the same temperature atmosphere is the same even if the amount of cooking is different.
제4도는 본 발명의 장치에 대한 구성도.4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제5도는 본 발명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한 경우의 제어회로 및 장치에 대한 구성도.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trol circuit and an apparatus in the case of using the microprocessor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요리용기 2 : 가열부(버너)1: cooking container 2: heating unit (burner)
3 : 온도감지센서 4 : 제어부3: temperature sensor 4: control part
5 : 요리의 국물 6 : 미조정부5: soup of cooking 6: fine adjustment
7 : 전자변 8 : 가스밸브7: electromagnetic valve 8: gas valve
9 : 가스통로 10 : 고형물(체)(건데기)9: gas passage 10: solid (sieve) (dryer)
11 : 온도감지부 12 : 타이머부11: temperature sensor 12: timer
13 : 온도설정부 14 : 시간설정부13: temperature setting section 14: time setting section
15 : 메뉴선택부 16 : 마이크로 프로세서15: menu selection unit 16: microprocessor
17 : 경보음발생소자 18 : 미소조정 스위치17: alarm sound generating element 18: micro adjustment switch
Vcc : 전원 S1~Sn : 메뉴(메뉴 또는 요리특성)Vcc: Power S1 ~ Sn: Menu (Menu or Cooking Characteristics)
본 발명은 메뉴선택만으로 밥짓기는 물론 국, 찌개, 탕류등의 한국형 요리들의 자동요리가 가능한 간접가열장치에 있어서의 자동조리 가열방법과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요리의 량이나 무게 조리온도, 조리시간등에 관련된 일체의 물리량을 임의 판단하여 수동으로 일일이 설정함이 없이 원하는 메뉴만 선택(지정)하면 최적의 가열이 자동수행된 후 가열이 자동중단되는 가열방법 및 장치에 관한것이다. 지금까지 제안된 종래 기술들은 모두 무게, 부피에 대한 량이나 온도, 시간에 대한 물리량을 사용자가 감각적으로 판단하여 일일이 수동으로 설정하게한 자동조리 장치였다. 이러한 종래 제안된 기술들로는 일본국 특허공개 No : 85-82726, 85-4734, 86-16715 및 86-282724등이 있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cooking heating method and an apparatus for an indirect heating apparatus capable of automatic cooking of Korean dishes such as soup, stew, and soup, as well as cooking, and the amount of cooking, weight of cooking temperatur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ing method and apparatus in which heating is automatically stopped after optimal heating is automatically performed by selecting (designating) a desired menu without any manual determination of any physical quantity related to cooking time. The conventional techniques proposed so far have all been automatic cooking devices that allow the user to manually set the sensory sensory judgment of the physical quantity of weight, volume or temperature and time. Such conventionally proposed techniques include Japanese Patent Laid-Open Nos. 85-82726, 85-4734, 86-16715 and 86-282724.
상기한 종래 제안기술들을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above conventional proposals in detail as follows.
일본국 특허공개 No : 85-82726은 온도를 설정할수 있고, 설정된 온도로 조리물이 가열되면 가열수단을 제어하여 가열량을 낮추어주고 조리물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에 도달된후 다시 설정온도보다 온도가 낮아지면 가열열량을 높여주어서 설정된 온도로 조리물이 유지되게 하기위한 가열열량 제어에 관한 제안 기술로써 조리의 완료를 자동화시키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즉 사용자가 조리완료 싯점을 맛, 냄새, 색깔의 변화를 통하여 감각적으로 판단하여서 수동으로 가열을 중지시켜야되는 단점이 있었다.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85-82726 can set the temperature, and when the food is heated to the set temperature, the heating means is controlled to lower the heating amount, and after the temperature of the food reaches the set temperature, the temperature is higher than the set temperature again. As the proposed technique for heating calorie control to maintain the food at a set temperature by increasing the heating calorie when it is lowered, there was a disadvantage that the completion of cooking could not be automated. In other words, the user has to sense the cooking completion point sensibly through the change of taste, smell, color and have to stop the heating manually.
상기 종래 제안기술(일본국 특허공개 No : 85-82726)은 튀김요리시에 튀김기름의 온도를 설정된 온도로 계속 유지시키는데는 매우 유용한 기술이나, 본 발명의 목적인 메뉴가 선택되는 것만으로 여러가지 요리가 자동완료되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상기 종래기술을 이용하고, 설정온도에 도달되면 가열이 자동 중단되게 할수도 있는 장치가 일본국 공개특허 No : 85-4734 에서 제안된바 있다. 이것은 튀김기름의 온도를 설정된 온도로 계속 유지시키거나 또는 설정된 온도로 조리물의 온도가 상승되면 즉시 가열을 중단시키는데는 유용한 기술이다.The conventional proposal technique (Japanese Patent Laid-Open No. 85-82726) is a very useful technique for maintaining the temperature of the frying oil at a set temperature during frying, but various dishes are selected only by selecting a menu which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as impossible to complete automatically. [0003] Using the prior art, a device capable of automatically stopping heating when a set temperature is reached has been prop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85-4734. This is a useful technique to keep the temperature of the frying oil at the set temperature or to stop the heating immediately when the temperature of the cookware rises to the set temperature.
상기 후자의 기능 즉 설정된 온도로 조리물의 온도가 도달될때 가열을 중단시키는 기능을 이용하여 국물이 없는 상태로 조리가 완료되면서 조리완료 싯점을 온도로써 설정해도 되는 밥짓기 요리등과 같이 일부 제한된 요리의 자동화에는 유용한 기술이지만 본 발명의 목적과 같이 밥짓기는 물론 여러가지 국물이 있는 상태로 조리가 완료되는 요리들, 예를들면 국, 찌개, 탕류와 같은 요리의 자동화는 불가능하였다. 왜냐하면 국물이 있는 요리들은 조리가 완료되는 싯점의 조리물의 온도가 비등이 시작되는 순각의 조리물의 온도와 거의 같기 때문에 상기 종래 기술(일본국 특허공개 85-4734)로 된 조리장치를 이용하여 조리완료온도를 설정하여서 국물이 있는 요리들을 가열할 경우에, 조리물이 비등되기 시작하는 순간에 가열이 중단되어버려서 국물내의 고형체는 채 익혀지지 못하게 되기 때문이다. 물론 본 발명의 목적인 메뉴선택식으로 여러가지 다양한 요리들을 자동화 시키는것이 불가능함은 당연하다.The latter function, that is, the cooking is completed by using the function of stopping the heating when the temperature of the food reaches the set temperature at the set temperature, such as cooking cooking that may set the cooking completion point as the temperature of some limited cooking It is a useful technique for automation, but it is not possible to automate cooking, such as soup, stew, soup, etc., in which cooking is completed with various soups as well as cooking of the present invention. Because the dishes with broth are cooked using 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Japanese Patent Laid-Open No. 85-4734), since the temperature of the food at the point of completion of cooking is almost the same as the temperature of the instant of boiling. This is because, when the temperature is set and the dishes with broth are heated, the heating is stopped at the moment when the food starts to boil and the solids in the broth are not cooked. Of course, it is impossible to automate a variety of dishes with a menu selection o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기술들을 이용하여 밥짓기 요리를 할 경우에 밥이 완료되는 순간의 조리용기 밑면온도를 온도감지센서가 감지하게 되는바 이때 사용하는 조리용기의 종류나 조리되는 요리의 량에 따라서 조리용기 밑면의 바깥표면 온도와 조리용기 내부의 실제 조리되는 내용물의 밑면 온도와의 차이가 변화하게 되는데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또다른 종래 기술로써는 일본국 특허공개 No : 86-16715 가 있었다. 이것은 주로 취반전용에 유용한 기술이다. 즉 이 기술은 비등감지 기능을 갖게하여서 비등이 감지되는 순간의 온도보다 사전에 예정되어 결정된 일정온도만큼 더 상승될때 가열을 중단시키게 한 기술로써 조리용기의 다양성 및 조리되는 요리량의 변화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여서 조리완료 싯점(특히 밥짓기 요리에서)의 온도를 보다 정확히 감지하기 위한 기술일뿐 본 발명에서와 같이 여러가지 다양한 요리들(국, 찌개, 탕류 및 밥짓기 등)을 메뉴선택만으로 자동완료시킬수 없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When cooking using the above techniques, the temperature sensor detects the bottom temperature of the cooking vessel at the time of completion of cooking. At this time, according to the type of cooking vessel used or the amount of cooked food, Another conventional technique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outer surface temperature and the bottom temperature of the actual cooked contents inside the cooking vessel is changed was Japanese Patent Laid-Open No. 86-16715. This is mainly a useful technique for cooking. In other words, this technology has a boiling detection function to stop the heating when the temperature rises by a predetermined predetermined temperature rather than the temperature at which the boiling is detected. It is a technique for more accurately detecting the temperature of cooking completion point (especially in cooking cooking) by solving the various various dishes (such as soup, stew, soup and cooking) as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utomatically completed by menu selection only. None is as described above.
지금까지 상술한 바와 같이 근본적으로 온도조절기 기능만으로 구성된 일본국 특허공개 No : 85-82726, 85-4732, 86-16715들은 조리완료시의 조리물온도(또는 조리용기 온도)를 설정하는 것만으로도 자동화가 가능한 밥짓기 요리나 튀김기름의 온도 유지등에만 실제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기술이고, 국물이 있는 상태로 조리가 완료되는 요리들에는 적용할 수 없는 기술임을 알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Japanese Patent Laid-Open Nos. 85-82726, 85-4732, and 86-16715, which consist essentially of the temperature controller function, are automated by simply setting the cooking temperature (or cooking vessel temperature) at the completion of cooking. It is a technology that can be practically used only for cooking cooking or maintaining the temperature of fried oil, and it can be seen that the technology cannot be applied to dishes in which cooking is completed with soup.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또다른 종래 기술로는 일본국 특허공개 No : 86-282724가 있었다. 이것은 온도감지부, 비등감지부 및 예약시간 설정부 및 타이머부와 열량 제어부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은 조리물(또는 조리용기)이 비등상태로 감지되면 가열열량을 제어하고 그때부터 타이머부가 작동되고, 상기 타이머부에 사용자가 사전에 임의설정한 예약시간이 경과되면 가열이 중단되는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의 특징은 상술한 종래의 기술들과 비교하여 국물이 있는 요리들을 가열하여도 종래기술들(일본국 특허공보 No : 85-82726, 85-4732 및 86-16715)과는 달리 조리물이 비등되는 순간에 가열이 중단되지 않고 사용자에 의해 예약설정된 시간동안 더 끓인후 가열을 중단시킨다는 것이다. 물론 비등 순간에 화력을 제어한다던지 비등감지를 온도 상승 경사로 판단함으로 인하여 다양한 요리용기를 사용할 수 있다던지 하는 특징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함에도 상기 기술(일본국 특허공개 No : 282724)은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즉, 사용자가 다양한 여러 요리 종류 및 요리량에 따라서 스스로 최적의 예약시간을 설정한다는 것은 매우 어렵고 불편하였고, 연소자나 노약자 또는 요리과정에 대한 과학적인 이해가 부족한 일반 사용자에게 "시간"이라는 물리량을 판단하여 결정짓게하는 심리적부담을 줄뿐만 아니라 잘못하여 지나치게 시간을 짧게 설정하거나 지나치게 길게 설정할수도 있어서 요리가 덜된 상태로 완료되거나 반대로 요리를 과도하게 끓이거나 심하면 태울수도 있는 단점이 있었고, 본 발명의 목적과 같은 메뉴선택만으로 요리가 자동완료되게 하는 것은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다. 또다른 종래 기술로써 총 가열시간을 타이머로 설정하고 설정시간이 경과되면 가열이 중단되게 하는 기술이 있다. 이것은 구성이 매우 간단해지는 특징은 있으나 사용자가 요리의 량 및 요리의 종류에 따라 각기 다른 총 가열시간을 감각적으로 판단하여 정확한 시간을 타이머에 설정한다는 것은 역시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다.Another conventional technique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techniques as described above was Japanese Patent Laid-Open No. 86-282724. It is composed of a temperature detector, a boiling detector, a reservation time setting section, a timer section and a calorie control section. It is composed of a system that controls the heating heat when the food (or cooking vessel) is detected as boiling state and the timer is operated from that time, the heating is stopped when the predetermined time set in advance by the user in the timer is elapsed. have. Its feature is that the cooking water boils, unlike the prior arts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85-82726, 85-4732 and 86-16715), even when the dishes with broth are heated in comparison with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echniques. In this case, the heating is not stopped and the heating is stopped after boiling for a predetermined time by the user. Of course, there is also a feature that can be used to control a variety of cooking vessels by judging the thermal power at the moment of boiling or the temperature sensing slope of boiling detection. Nevertheless, the above technique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82724) has the following disadvantages. In other words, it is very difficult and inconvenient for the user to set the optimum reservation time according to various types of dishes and the amount of cooking, and judges the physical quantity of “time” for the young, the elderly, or the general user who lacks the scientific understanding of the cooking process. In addition to giving the psychological burden to determine by mistake, too short time or too long by mistake can be set to a less complete state, or conversely,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can be excessively boiled or burned too much cooking, It was impossible to automatically complete cooking with the same menu selection. Another conventional technique is to set the total heating time to a timer and to stop the heating when the set time elapses. This configuration has a very simple configuration, but it was also impossible for the user to sense the total heating time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amount of cooking and the type of cooking and set the correct time to the timer.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제안된 여러 기술들의 단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본 발명은 일체의 량, 무게, 온도, 시간등의 물리량을 사용자가 직접 판단하여 결정하거나 일일이 수동으로 설정함이 없이 수행하고자 하는 요리의 종류나 요리특성(예를 들면 데우기, 끓이기, 데치기 등)만 지정하면 지정(선택)된 요리에 가장 알맞는 최적의 가열시간이 자동수행된후 가열이 자동완료되는 것으로써, 이를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to solve the shortcomings of the various conventionally proposed techniques as described above is to determine the physical quantity of any quantity, weight, temperature, time, etc. by the user directly to determine or to perform cooking without manual setting If only the type and cooking characteristics (for example, warming, boiling, poaching, etc.) are specified, the heating is automatically completed after the optimal heating time for the selected (selected) dish is automatically performed. If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본 발명은 요리가 시작되어 끝날때까지의 전요리 코스(요리과정)중에서 요리용기(1)내 요리의 량과 가열량에는 무관하고 요리종류(메뉴종류)에만 관련되는 시간값(시간상수)이 있음을 발견하고 이를 실험적으로 측정하여 각 메뉴별로 데이타화고 가열열량 및 요리량에 역시 무관한 공지 조리온도도 실험적으로 측정하여 메뉴별로 데이타화하여 상기 가열열량은 물론 요리량에 무관한 메뉴별 온도값과 시간값(시간상수)을 이용하여 이들이 메뉴선택시에 자동설정되어지게 하여 메뉴선택만으로도 간접 가열방식의 요리장치로 요리가 자동수행되는 자동요리 가열방법 및 장치를 완성한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ime value (time constant) that is related only to the cooking type (menu type) is irrelevant to the amount and heating of the cooking in the cooking container (1) during the entire cooking course (cooking course) from the start of cooking to the end. And then experimentally measure the data for each menu and measure the known cooking temperature, which is not related to the heating calorie and cooking amount, and experimentally measure the data for each menu to heat the heating calorie as well as the cooking temperature. By using the time and time value (time constant), they are automatically set at the time of menu selection to complete the automatic cooking heating method and apparatus in which cooking is automatically performed by an indirect heating type cooking apparatus just by menu selection.
통상의 간접 가열방식의 요리장치에서 우리가 관념적으로 알고있는 사실은 요리량이 증가되면 총 가열시간도 증가된다는 사실 정도이다. 또한 동일 요리량에서도 메뉴(요리)종류에 따라 총 가열시간이 다르다는 사실 정도이다. 상기와 같은 통상의 관념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사실에 착안하였다.In the conventional indirect heating cooking apparatus, we know that the idea is that as the cooking volume increases, the total heating time also increases. It is also true that the total heating time varies depending on the type of menu. In spite of the conventional notions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focuses on the following facts.
첫째, 제3도에서 국물(5)이 일단 조리온도(또는 비등온도 BP℃)에 도달된후 상기 조리온도가 계속 유지되는한 동일 메뉴인 경우 요리량이 Q1, Q2로서 각기 달라도 다른 요리량 Q1, Q2내의 동일 고형물(10)(즉 동일 메뉴로 볼수 있다)의 익혀지는 속도는 같다. 즉 고형체 건데기가 익혀지는데 소요되는 "조리온도 지속시간(끓임 지속시간)"은 요리의 량에는 관계없이 동일 메뉴에서는 동일한 시간값으로 결정하여도 실용상 가능하다. 즉 동일 메뉴에서는 일정시간 뒤의 고형물(10) 내부의 온도(P℃)는 요리량 Q1일때나 Q2일때나 같다. 이 사실은 동일 메뉴에서는 조리온도(또는 비등 온도)도달 뒤부터 조리온도가 계속 유지되는한 요리가 완료될때까지 소요되는 가열시간인 "끓임 지속시간"(조리온도 지속시간)은 요리량에는 관계없고 메뉴(요리)종류에 따라서만 다르며 이를 실제 측정하여 다양한 요리량에 관계없이 동일 시간값(끓임 지속시간)으로 동일 메뉴요리에 적용할 수 있음을 알게된다.First, in FIG. 3, when the
본 발명의 중요한 아이디어인 이 사실 즉 동일 메뉴의 "조리온도 지속시간(끓임 지속시간 또는 조리시간)은 요리량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시간값(시간상수)으로 할 수 있다"라는 사실은 다음과 같은 통상적인 습관이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즉 어떤 메뉴 A라는 요리종류에 투입되는 건데기 재료(예를 들면 감자, 무우, 파, 생선, 육류 등)의 두께나 크기는 대체로 비슷하다는 것이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동일 메뉴일지라도 조리온도 지속시간(끓임 지속시간)을 동일한 시간값(상수)으로 할수 없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끓임 지속시간"은 조리온도(비등온도)가 유지되는한 가열열량에도 무관함을 알수 있으며 이는 "조리온도가 유지되는 한"이라는 조건 때문이다.This fact, which is an important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the cooking temperature duration (boiling duration or cooking time) of the same menu can always be set to a constant time value (time constant) regardless of the amount of cooking is as follows. This is possible because of the usual habits. In other words, the thickness and size of the ingredients (for example, potatoes, radishes, green onions, fish, meat, etc.) used in a certain type of dish A are generally similar. If not, the cooking time duration (boiling duration) cannot be set to the same time value (constant) even in the same menu.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boiling duration' is not related to heating calories as long as the cooking temperature (boiling temperature) is maintained because of the condition that the cooking temperature is maintained.
둘째, 동일 메뉴에서는 습관상 투입하는 재료의 종류나 크기는 유사하다.Secondly, in the same menu, the type and size of ingredients habitually added are similar.
셋째, 최적 가열시간에서 수분이내의 시간증감이 이루어져도 특히 국, 찌게류 요리에서는 맛에 큰 지장을 주지 않는다.Third, even if time increases and decreases within minutes at the optimum heating time, it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taste in soups and Korean dishes.
이 사실은 "끓임 지속시간(조리온도 지속시간)"의 크기가 유사한 메뉴들을 묶어서 한개의 값(상수)으로 대표시킬 수 있으며 이는 곧 요리종류를 지정하지 않고 요리특성을 지정하게 하는 것이 가능함을 의미한다.This fact allows us to group menus with similar sizes of boiling time (cooking temperature duration) and represent them as a single value (constant), which means that it is possible to specify cooking characteristics without specifying the type of cooking. do.
넷째, 상기 첫째 사실에 따른 메뉴별 "조리온도"와 "끓임 지속시간"을 실제 측정하여 데이타화하고, 메뉴 지정 조작에 의해 선택된 메뉴의 해당되는 조리온도-끓임 지속시간이 자동설정되게 하면 간접 가열방식의 요리장치로 메뉴 지정에 의한 자동요리가 가능할 것이다.Fourth, indirect heating when the cooking temperature and the boiling duration of each menu according to the first fact are measured and dataed, and the corresponding cooking temperature-boiling duration of the menu selected by the menu designation operation is automatically set. Automatic cooking by menu designation will be possible with the cooking method of the metho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4가지 사실에 근거하여 각 메뉴별의 "조리온도"(통상 국물 요리의 경우 비등온도)와 조리온도 도달싯점부터 요리가 가장 맛있게 완료되는 싯점까지의 가열시간을 실험적으로 측정하여 이를 데이타화하여 사용자가 수행하고자 하는 메뉴를 지정하면 그 메뉴에 해당되는 상기 "조리온도"와 상기 "끓임 지속시간(조리온도 지속시간)"(이하 "끓임 지속시간"이라 칭함)이 자동적으로 가열장치의 제어회로에 설정되어지고 이에따라 조리물이 조리온도에 도달될때까지 가열된후 계속해서 선택된 메뉴의 시간값(상수)인 "끓임 지속시간"동안 더 가열된후 가열이 중단되어져서 해당 메뉴에 최적인 요리코스가 수행되고 자동완료되게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experimentally measures the heating time from the "cooking temperature" (normal boiling temperature in the case of soup stock) and the cooking temperature to the point at which cooking is most deliciously completed for each menu based on the four fact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designates a menu that the user wants to perform, the “cooking temperature” and the “boiling duration (cooking temperature dur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boiling duration”) corresponding to the menu are automatically set. It is set in the control circuit of the heating device and accordingly, the food is heated until the cooking temperature is reached, and then it is further heated for "boiling duration", the time value (constant) of the selected menu, and then the heating is stopped. The cooking course that is optimal for you is performed and automatically completed.
여기서 조리온도의 측정은 요리용기(1) 표면온도를 온도센서가 측정할때는 요리 용기내(1)의 요리온도 사이와의 온도 편차가 고려된 것임은 물론이다. 만약 메뉴 A 의 상기 "조리온도"와 "끓임 지속시간"(시간상수)이 각각 a℃ 및 Tlsec 라면, 국물요리의 온도-시간 곡선인 제1도에서 요리량이 Q1일때는 (CQ1 곡선) 조리온도 a℃도달까지 가열되므로 ta 시간동안 자동가열되고 그후 메뉴 A 의 시간상수인 "끓임 지속시간" T1시간동안 더 가열되어 ta+T1=tb 시간 동안의 총 가열이 자동수행되며, 만약 요리량이 Q2로 변화되면(CQ2 곡선)동일 조리온도 a℃도달될때까지 가열하게 되므로 tc 시간 동안의 가열이 자동수행되며 그후 Q1때와 동일한 메뉴 A의 시간상수인 "끓임 지속시간"T1시간동안 더 가열하므로 tc+T1=td시간 동안의 총 가열이 자동수행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은 메뉴선택(지정)만으로 해당되는 메뉴의 "조리온도"(통상 비등온도 부근온도)와 "끓임 지속시간" 이 자동 설정되어져서 요리량이 변하여도 그에 따른 총가열시간이 자동으로 수행되어져서 결과적으로 지정된(선택된) 메뉴에 가장 적합한 최적의 요리 코스를 자동적으로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Here, the measurement of the cooking temperature is, of course, the temperature deviation between the cooking temperature in the cooking vessel (1) when the temperature sensor of the cooking vessel (1) surface temperature is taken into consideration. If the "cooking temperature" and "boiling duration" (time constant) of menu A are a ° C. and Tlsec, respectively, the cooking temperature is Q1 in the first degree, the temperature-time curve of the soup (CQ1 curve). It is heated up to a ℃, so it is automatically heated for ta time, and then the boiling time, which is the time constant of menu A, is further heated for T1 hours, and the total heating for ta + T1 = tb hours is performed automatically. When it is changed (CQ2 curve), it will be heated until the same cooking temperature a ℃ is reached, so heating for tc time is automatically performed, and then further heating for "boiling duration" T1 hour, which is the time constant of menu A, same as that of Q1 Total heating for T1 = td hours is automatic. 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nu selection (designation) only the menu "cooking temperature" (usually near boiling temperature) and "boiling duration 자동 is automatically set so that the total heating time according to the amount of cooking changes This can be done automatically, resulting in the optimal cooking course best suited to the specified (selected) menu.
이상과 같은 원리로 된 본 발명에 있어서 메뉴 A, B ,C, D...의 각각의 조리온도(또는 비등온도)가 a,b,c,d...[℃]이고, 소요되는 시간상수인 "끓임 지속시간"이 각각 메뉴별로 T1, T2, T3, T4....[sec]로 실험적으로 측정되어 데이타화될 수 있음을 알았다. 그런데 여기서 a≒b≒c≒d일 경우엔 그중 한 온도값을 대표로 선정하여 공통으로 여러 메뉴에 대한 "조리온도"로 간주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T1≒T2≒T3≒T4≒ 일경우에는 그중 한 시간값을 대표로 선정하여 공통으로 여러 메뉴에 대한 "끓임 지속시간"으로 간주할 수도 있으며, 이럴 경우 메뉴선택 대신에 메뉴군(또는 요리특성)을 지정할수도 있게된다. 또 다른 실시예로는 "끓임 지속시간"T1≒Tn 중에서 대략 중간에 위치하는 끓임 지속시간을 대표값으로 공통으로 사용하면서 사용자가 제1도처럼 △t 시간 범위내에서 미소조정하게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described above, the cooking temperatures (or boiling temperatures) of the menus A, B, C, and D are a, b, c, d ... [° C], and the time required. It was found that the constant "boiling duration" could be measured and experimentally measured by T1, T2, T3, T4 .... [sec] for each menu. By the way, if a ≒ b ≒ c ≒ d, one of the temperature values can be selected as a representative, and it can be regarded as “cooking temperature” for several menus in common, and similarly, if T1 ≒ T2 ≒ T3 ≒ T4 ≒ A time value can be selected as a representative, and it can be regarded as “boiling duration” for several menus in common. In this case, a menu group (or cooking characteristics) can be designated instead of the menu selection. In another embodiment, the boiling duration "T1 내 Tn, which is located approximately in the middle, may be commonly used as a representative value, and the user may be fine-tuned within the Δt time range as shown in FIG. Of course.
또한 국물이 없는 상태로 요리가 완료되는 취반(밥짓기), 구이요리 등에 본 발명을 적용할 경우엔 다음과 같이 할 수 있다. 즉 제2도에서 취반의 경우는 C1곡선과 같은 온도-시간 곡선을 나타내며 b1℃ 에서 요리가 완료된다. 또한 구이요리의 경우에는 C2곡선과 같은 온도-시간 곡선을 나타내며 b2℃ 에서 요리가 완료된다. 따라서 "취반" 메뉴를 선택(지정)할 경우에 "조리온도"로써 취반요리 완료온도인 b1℃가 설정되게 하고, "끓임 지속시간"으로서 T≒0 즉 매우 작은 시간값이 설정되게 하며, 또한 구이요리의 메뉴가 선택(지정)될 경우엔 "조리온도"로써 구이요리 완료온도인 b2℃가 설정되게 하고, "끓임 지속시간"으로써 T≒0 시간값이 설정되게 하여 해당 메뉴가 요리완료온도에 도달되면 거의 즉시 가열을 중단시키게 되어 국물이 없는 상태로 완료되는 메뉴들의 요리도 자동화가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cooking (cooking), grilled dishes, etc., in which cooking is completed without a soup, it can be performed as follows. In other words, in the case of cooking in FIG. 2, the temperature-time curve is the same as the C1 curve, and cooking is completed at b1 ° C. In the case of grilled dishes, the temperature-time curve is the same as the C2 curve, and the cooking is completed at b2 ° C. Therefore, when the cooking menu is selected (designated), the cooking temperature is set to b1 ℃, which is the cooking temperature, and T ≒ 0, that is, a very small time value, is set as the boiling time. When the menu of the grilled food is selected (specified), the cooking temperature is set as b2 ℃ and the boiling time is set as T ≒ 0 time to set the cooking time. When it is reached, the heating is stopped almost immediately, allowing the cooking of menus to be completed without broth.
즉, "끓임 지속시간" T≒0 로 설정되게 하면 조리완료온도에 도달됨으로서 요리가 완료되는 요리의 자동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조리 온도 -끓임 지속시간의 자동설정에 의한 본 발명으로 국물이 없는 상태로 요리가 완료되는 메뉴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That is, when the "boiling duration 지속 T 지속 0 is set to reach the cooking completion temperature it is possible to automate the cooking is completed.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automatic setting of the cooking temperature-boiling duration is another embodiment for a menu in which cooking is completed without a soup.
즉 취반의 경우 "조리온도"로써 제2도에서 취반완료온도보다 낮은 임의온도 예를들면 비등온도 Bp℃가 설정되게 하고 "끓임 지속시간"으로써 요리가 완료되는데 소요되는 여하한 경우의 실제시간보다 충분히 길게 T' 시간만큼 설정되게 하여 T'시간이 완료되기 전에 요리가 과열상태에 돌입하게 유도하고 공지된 과열방지회로의 동작온도를 취반완료온도 b1℃로 설계하여 용기 온도가 b1℃에 도달될때 과열방지 회로의 작동에 의해 가열이 중단되게 하여 자동취반이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In other words, in cooking, the cooking temperature is set at any temperature lower than the cooking completion temperature in FIG. 2, for example, the boiling temperature Bp ℃ is set, and the boiling time is longer than the actual time required for cooking to be completed. When it is set long enough for T 'time, it induces cooking to overheat before T' time is completed, and when the container temperature reaches b1 ℃ by designing the operating temperature of the known overheat prevention circuit to the cooking completion temperature b1 ℃ The heating may be stopped by the operation of the overheat protection circuit, thereby enabling automatic cooking.
이와 같은 과열방지 회로기능을 이용하여 구이요리를 할 경우 통상 구이요리의 요리완료온도인 b2℃는 취반완료온도인 b1℃와 근사하며 따라서 b2를 b1으로 간주하여도 실용상 무난하며 따라서 취반때와 같이 "조리온도"로 임의온도를 설정하게하고, "끓임 지속시간"으로써 실제 소요시간보다 충분히 긴 시간인 T'시간을 설정하게 하여 T'시간 완료전에 과열상태로 돌입하게 유도시켜 상기 과열방지회로 작동으로 구이류의 요리를 자동화시킬 수도 있다.In the case of roasting food using the overheat prevention circuit function, the cooking completion temperature of roasting food is usually close to the cooking completion temperature b1 ° C. Therefore, even though b2 is considered as b1, it is practically practical. Likewise, it is possible to set an arbitrary temperature as the “cooking temperature” and to set the T 'time, which is a time longer than the actual time required by the “boiling duration”, to induce an overheating state before completion of the T' time, thereby preventing the overheating circuit. The operation can also automate the cooking of roast food.
지금까지는 요리할 메뉴의 선택(지정)에 의한 자동요리 가열방법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앞에서 메뉴별 "조리온도"와 "끓임 지속시간"이 근사할 경우 어느 한 값을 대표로 선정하여 이를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보았다. 따라서 이를 확대 응용하면 일일이 메뉴를 지정하지 않고서도 요리특성만 지정하게 할 수도 있다. 즉, 국, 찌게류의 조리온도와 끓임 지속시간은 메뉴별로 근사하여 한개의 온도값 및 시간값으로 대표시킬수 있고 따라서 조작판의 "끓이기" 요리특성에 조작놉을 조작시키거나 요리특성 지정 버턴을 누를때 상기 대표로 선정된 조리 온도값 및 시간값이 "조리온도" 및 "끓임 지속시간"으로 각각 자동 설정되게 함으로써 "끊이기" 요리특성이 자동수행되게 할 수 있다. 또한 한종류의 메뉴군(요리특성)만 구성시킬 경우에는 상기 대표되는 조리온도-시간값(끓임 지속시간)을 미리 설계 구성시켜서 메뉴선택부를 별도로 구성하지 않을수도 있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Until now, the automatic cooking heating method by selecting (designating) a menu to be cooked has been described above. In the previous section, when the cooking temperature and the boiling duration of each menu were approximated, it was found that any one value could be used as a representative. Therefore, if you apply this enlargement, you can specify only the cooking characteristics without specifying the menu one by one. In other words, the cooking temperature and the boiling duration of soup and stew can be represented by one temperature value and time value by approximating each menu. Therefore, operate the operation knob on the cooking characteristics of the boiling plate on the operation panel or press the button for specifying the cooking characteristics. When pressed, the cooking temperature value and the time value selected as the representative may be automatically set to “cooking temperature” and “boiling duration”, respectively, so that the “breaking” cooking characteristic may be automatically performed. In addition, when only one type of menu group (cuisine characteristics) is configured, the representative cooking temperature-time value (boiling duration) may be configured in advance so that the menu selection unit may not be separately configured.
또한 "데우기"를 지정할 경우엔 대략 비등온도까지만 가열해주면 되므로 "조리온도"로써 비등온도가 설정되게 하고 끓임 지속시간으로써 0~약 2분 사이의 시간값이 자동설정되게 하면 된다. 여기서 "데우기"의 경우에 끓임 지속시간을 "0"에서 2분까지의 시간을 고려한 것은 요리용기가 두께가 두껍거나 열전달이 좋지않거나 요리용기의 밑면이 굴곡져 있을 경우에 요리용기(1) 밑면에 접촉된 온도센서(4)가 예를 들에서 100℃를 감지하여도 요리용기(1) 내부의 요리는 덜 데워져 있게 되며 따라서 온도센서(4)가 조리온도를 감지한후 요리량에 따라 약 0~2분 정도 더 끓여주게 함으로써 용기 두께가 두껍거나, 용기의 열전달율이 나빠도 또한 요리용기(1) 밑면이 아주 평탄하지 않아도 "데우기"가 훌륭히 수행되게 된다.In addition, if you specify "heating", you only need to heat up to the boiling temperature, so that the boiling temperature is set as the cooking temperature and the time value between 0 and 2 minutes is automatically set as the boiling duration. In the case of "heating", the duration of boiling from "0 고려 to 2 minutes is taken into account when the cooking container is thick, the heat transfer is poor, or the bottom of the cooking container is curved. Even if the temperature sensor 4 in contact with the sensor senses 100 ° C., for example, the cooking inside the
이와 같이 요리용기(1)의 두께, 열전도율 및 밑면의 평탄도 정도에 따른 "끓임 지속시간"의 추가 증가 고려는 본 발명의 전과정에서 다 고려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 우유 데우기의 경우에는 국, 찌게류의 데우기와는 "조리온도"를 별도로 하여야 함은 물론이다. 왜나하면 우유는 80~90℃이상으로 가열되면 영양이 파손될뿐만 아니라 넘쳐 흐르게 되기 때문이다.As such, consideration of further increase in "boiling duration"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또한 본 발명의 자동 요리 가열방법 중에서 요리도중에 발생될 수 있는 국물의 넘침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지된 국물이 넘치지 않는 구조의 용기 또는 공지된 가열량 제어기술을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취반" 및 "굽기" 요리특성 지정시에는 설명한바 대로 요리완료온도가 "조리온도"로 설정되게 하고 끓임 지속시간을 매우 짧은 시간으로 설정되게 하거나 과열방지 온도를 취반 및 굽기 요리들의 대표되는 요리완료온도로 하고 "조리온도"를 국, 찌게류 때와 같이하고(즉 임의온도) "끓임 지속시간"을 충분히 길게하여 끓임 지속시간 수행도중에 과열상태가 나타나게 유도시켜서 "취반" 및 "굽기" 요리특성이 자동수행되게 할 수도 있음을 알았다.In addition, in the automatic cooking heat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prevent the overflow of the soup that may be generated during cooking,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a container of a known soup is not overflowed or a known heating amount control technique can be used. When cooking characteristics are specified, the cooking completion temperature is set to the cooking temperature and the boiling duration is set to a very short time, or the overheating temperature is set as a representative dish of cooking and baking dishes. Set the cooking temperature to the cooking temperature as in the case of soup and soup (that is, arbitrary temperature) and lengthen the boiling duration sufficiently to induce overheating during the boiling duration. It was found that the property could be performed automatically.
또 다른 요리특성으로서 "조림"의 경우도 "조림"요리의 각 메뉴별 "조리온도"를 측정하여 그중에서 한 온도를 "조림"요리시의 "조리온도"로 설정되게 하고 "끓임 지속시간"들 중에서 공통으로 적용할 수 있는 시간 값을 "끓임 지속시간"으로 설정되게 함으로써 자동 "조림"요리가 가능하다. 또 다른 요리특성으로써(고구마, 감자, 밤류의)"삶기"요리특성이 선택(지정)되었을 경우에도 실험적으로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끓임 지속시간" 및 "조리온도"를 측정하여 자동설정되게 하면 가능하다.As another cooking characteristic, in the case of `` cooked food '', the cooking temperature of each menu of `` cooked food '' is measured, and one of them is set to the `` cooking temperature '' of `` cooked food '' and `` boiling duration '' Automatic cooking can be done by setting the time value that can be commonly applied among them. Another cooking characteristic is the automatic cooking and measuring of the simmering duration and cooking temperature, which can be used experimentally even when the cooking characteristics are selected (specified). It is possibl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메뉴를 지정(선택)하거나, 요리특성을 지정(선택)하는 것만으로 최적의 가열시간이 자동으로 수행되어져서 최적의 요리 코스가 자동 수행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본적인 원리인 가열열량과 요리량에 무관한 "조리온도"와 본 발명의 메뉴별 시간상수인 간접가열상태의 "끓임 지속시간"을 이용하면서 또 다른 조작상의 실시예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본 자동요리 장치의 전면부에 메뉴별 또는 요리특성별 "조리온도"와 "끓임 지속시간"(메뉴별 시간상수)을 표(Table)로써 표시하고 이 표(Table)의 지시에 따라 해당되는 온도와 시간을 온도설정부와 설정온도 도달뒤부터 작동이 개시되는 타이머의 시간설정부에 각각 수동 설정하게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자동설정이 아닌 수동설정임에도 불구하고 요리량에 무관하고 요리 종류에만 관계되는 조리온도와 본 발명의 메뉴별 시간(즉 끓임 지속시간)를 이용하여 요리가 자동수행되게 하는 본 발명의 원리가 적용됨은 당연하다. 마찬가지로 메뉴별 "조리온도"와 "끓임 지속시간"들 중에서 온도(조리온도) 또는 시간(끓임 지속시간)중 어느 하나를 고정시켜 공통으로 사용하고 고정되지 않은 한 상수만 상기표(테이블)에 따라 수동설정하거나 메뉴선택시 자동설정되게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ptimum heating time is automatically performed only by specifying (selecting) a menu or by specifying (selecting) cooking characteristics so that an optimal cooking course is automatically performed. Of course, another operational embodiment is possible using the cooking temperature, which is irrelevant to the heating calorie and cooking amount, which is a basic princi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boiling time of indirect heating, which is a time constant for each menu of the present invention. . In other words, on the front of the automatic cooking device, the menu “cooking temperature” and “boiling duration” (time constant for each menu) by menu or cooking characteristics are displayed as a table.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manually set the temperature and time, respectively, to the temperature setting section and the time setting section of the timer that starts operation after reaching the set temperature. In spite of the manual setting, not the automatic setting, the princi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cooking to be performed automatically by using the cooking temperature and menu time of the present invention (ie, the boiling duration) regardless of the cooking quantity and only the cooking type. Of course. Similarly, among the “cooking temperature” and “boiling duration” by menu, either one of temperature (cooking temperature) or time (boiling duration) is fixed and used in common, and only constants according to the above table (table) Of course, it can be set manually or set automatically when the menu is selected.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자동요리 가열방법은 간접 가열방식으로 가열하는 요리장치에서 각 메뉴(요리특성)별 "조리온도"(요리가 가장 맛있게 수행되는 때의 요리용기(1) 밑면온도)와 상기 "조리온도"로 지속되는 메뉴별 "끓임 지속시간"을 실험적으로 측정하여 데이타화 한후 메뉴(요리특성) 지정조작시에 지정된 메뉴의 상기 "조리온도"와 상기 "끓임 지속시간"이 제어회로에 자동설정되어 상기 자동설정된 "조리온도"와 "끓임 지속시간"에 따라 가열이 자동수행되게 하는 방법과 "조리온도"가 유지되는 한 가열열량과 요리량에는 무고관하게 동일한 메뉴(요리특성)지정시엔 언제나 동일한 "끓임 지속시간"(시간상수)을 적용하여 가열이 수행되게 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져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utomatic cooking heat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oking temperature for each menu (cooking characteristics) in a cooking apparatus heated by an indirect heating method (the bottom temperature of the cooking vessel (1) when cooking is performed most deliciously) and the above. Experimentally measure the "boiling duration" for each menu sustained by "cooking temperature" and make data, and then the "cooking temperature" and the "boiling duration" of the menu designated during the menu (cooking characteristics) designation operation are transferred to the control circuit. It is automatically set so that heating is automatically performed according to the automatically set cooking temperature and boiling duration, and the same menu (cooking characteristics) is irrelevant to heating calorie and cooking quantity as long as cooking temperature is maintained. In order to ensure that heating is always carried out by applying the same boiling duration (time constant).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자동요리 가열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자동요리 장치에 대한 구성과 작용효과를 첨부도면과 함께 가스레인지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h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gas cooker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configuration and effect of the automatic cooking apparatus capable of performing the automatic cooking heat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즉 본 발명 장치의 일실시예인 제4도처럼 본 발명은 메뉴(메뉴군 또는 요리특성, 이하 메뉴라 칭한다) S1, S2....Sn들이 표시된 메뉴선택부(15)와, 상기 메뉴선택부(15)에 표시된 메뉴들(S1~Sn)의 조리온도가 회로구성이나 데이타 형식으로 준비되어진 온도설정부(13)와, 상기 메뉴선택부(15)에 표시된 메뉴들(S1~Sn)의 "끓임 지속시간"(시간상수)이 회로구성이나 데이타 형식으로 준비되어진 시간설정부(14)와, 상기 온도설정부(13)에 의해 자동설정된 "조리온도"와 온도센서(3)로부터의 온도신호를 비교판단하여 온도센서(3)의 온도가 자동설정된 온도에 도달하면 설정온도 도달을 알리는 신호를 출력하고, 센서온도가 미리 예정된 높은 과열온도로 감지되면 과열온도 도달을 알리는 또 다른 신호를 출력하는 온도감지부(11)와, 상기 온도감지부(11)의 설정온도 감지시에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작동이 개시되고, 상기 시간설정부(14)에 의해 자동설정된 예약시간이 경과되면 신호를 출력하는 타이머부(12)와, 상기 타이머부(12)의 출력신호와 상기 온도감지부(11)의 과열온도 도달을 알리는 또다른 출력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제어부(4)와, 상기 제어부(4)의 구동에 의해 제어되어서 가스밸브(8)을 개폐시키는 전자변(7)과 상기 타이머부(12)에 자동설정된 예약시간(끓임 지속시간)을 미소범위 내에서 가변시킬 수 있는 미조정부(6)로 구성된다. 여기서 온도센서(3)는 조리용기(1) 밑면 바깥표면에 접촉되게 설치시킬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 조리 내용물의 실제온도와 온도센서(3)의 온도 사이의 온도 편차를 고려하여 조리온도를 감지하게 함은 물론이다. 물론 상기 온도센서(3)를 조리용기 내부의 조리 내용물에 직접 설치할 수도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4,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장치의 특징은 메뉴선택식 자동요리 장치라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메뉴(S1~Sn)가 표시된 메뉴선택부(15)와 각 메뉴별의 "조리온도"와 "끓임 지속시간"(시간상수)들이 사전에 준비되어진 온도설정부(13)와 시간설정부(14)를 중지장치 구성과 연결하여 구성된다는 것이다. 기타 구성부인 가열부(2), 온도감지부(11), 타이머부(12), 제어부(4), 온도센서(3), 전자변(7), 온도설정부(13), 시간설정부(14) 등의 연결구성은 공지의 전자제어식 조리장치들에서와 같다.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장치의 동작상태 및 작용효과를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state and the effect of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way of examples.
[실시예]EXAMPLE
먼저 국물이 있는 상태로 요리가 완료되는 국, 찌개, 탕류의 요리를 본 발명의 일실시 장치인 가스레인지로 가열하는 경우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제4도에서 가열부(2)위에 국물과 건데기가 포함된 메뉴의 조리물이 담긴 조리용기(1)를 얹고 공지 점화장치(도시되지 않았음)로 가열부(2)에 불꽃을 점화시킨다. 그 다음 사용자는 메뉴선택부(15)에 표시된 메뉴(S1~Sn)중에서 수행하고자 하는 메뉴가 표시된 버턴을 누른다. 만약 S3 메뉴가 표시된 버턴을 눌렀다면 이 신호가 온도설정부(13) 및 시간설정부(14)에 유입되어서 메뉴 S3의 "조리온도"와 메뉴 S3의 "끓임 지속시간(시간상수)"이 자동으로 온도감지부(11) 및 타이머부(12)에 각각 설정되어진다. 가열이 지속되어서 온도센서(3)의 온도가 상기 온도설정부(13)에 의해 설정되어진 메뉴 S3의 조리온도에 까지 도달되면 상기 온도감지부(11)는 타이머부(12)로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First, when the cooking of the soup, stew, hot water cooking is completed in the state with the soup in the gas range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n embodiment of the soup on the
그러면, 상기 타이머부(12)는 작동이 개시되고, 상기 시간설정부(14)에 의해 메뉴선택시에 자동으로 예약설정된 메뉴 S3의 "끓임 지속시간"(시간상수)이 경과되면 타이머부(12)는 제어부(4)로 신호를 출력하여 전자변(7)으로의 통전을 차단시키고 따라서 가스밸브(8)가 가스통로(9)를 차단시켜서 가열부(2)는 가열을 중단하게 된다. 따라서 조리물은 메뉴 S3의 조리온도(즉 비등온도)에 도달할때까지 자동가열된후 계속해서 메뉴 S3의 시간상수인 "끓임 지속시간"동안 더 가열된후에 가열이 중단되기 때문에 메뉴 S3에 가장 최적인 온도-시간특성 곡선을 그리면서 요리가 자동완료되게 되는 것이다. 만약 여기서 요리의 량이 증가되었을 경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요리의 량이 증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에서는 동일한 메뉴인 경우에는 항상 동일한 조리온도와 동일한 끓임 지속시간(시간상수)를 설정시킨다.Then, the
그러면 조리물은 조리온도에 도달될때까지 가열이 지속된후 계속해서 요리량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시간상수인 메뉴 S3의 "끓임 지속시간"동안 더 가열된후 가열이 자동완료된다. 만약 메뉴 S3의 조리온도가 a℃ 이고 시간상수인 메뉴 S3의 끓임 지속시간이 T1이라면 요리량이 Q1, Q2(Q1<Q2)일때의 온도-시간특성 곡선은 제1도와 같이 된다. 제1도에서 알수 있듯이 요리의 량이 Q1에서 Q2로 변하여도 시간상수인 메뉴 S3의 끓임 지속시간은 T1으로 동일함을 알수 있다. 따라서 제1도에 보듯이 요리량이 Q1일때는 tb시간 동안의 가열이 자동수행되고, 요리량 Q2일때는 td시간 동안의 가열이 자동수행된다. 따라서 요리의 량, 무게, 온도, 시간등에 따른 일체의 물리량을 임의로 판단하여 수동으로 설정함이 없이 메뉴선택만으로 국, 찌개, 탕류와 같은 국물이 있는 상태로 요리가 완료되는 요리들의 자동화가 가능해지는 것이다.The food is then heated until the cooking temperature is reached and then heated further for a "boiling duration" of menu S3, which is always a constant time constant, regardless of the amount of cooking, and then heating is completed automatically. If the cooking temperature of menu S3 is a ° C. and the boiling duration of menu S3, which is a time constant, is T1, the temperature-time characteristic curve when the cooking quantities are Q1 and Q2 (Q1 <Q2) is shown in FIG. As can be seen in Figure 1, even if the amount of cooking is changed from Q1 to Q2, the boiling duration of the menu constant S3 is the same as T1. Therefore, as shown in FIG. 1, when cooking amount Q1, heating for tb hours is performed automatically, and when cooking amount Q2, heating for td time is performed automatically. Therefore, it is possible to automate dishes that are finished cooking with soups such as soup, stew, and soup without any manual selection by manually determining any physical quantity according to the quantity, weight, temperature, and time of cooking. will be.
제4도에서 미조정부(6)는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가열정도를 조절할 경우에 사용하거나 메뉴내의 건데기 크기가 통상의 관습을 벗어났을 경우에 사용하며 일정 작은 시간범위내에서 시간상수인 끓임 지속시간의 증감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제4도에서 온도감지부(11)로부터 신호가 출력될때 출력신호를 이용하여 공지의 열량 제어수단(도시되지 않았음)을 구동시켜서 가열열량을 감소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FIG. 4, the fine adjustment unit 6 is used to adjust the degree of heating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 or when the size of the dry season in the menu is out of the usual custom, and the boiling time, which is a time constant within a certain small time range, is used. Will be increased or decreased. In addition, in FIG. 4, when a signal is output from the
[실시예 2]Example 2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제4도와 같은 본 발명의 장치로 취반(밥짓기)이나 구이류 요리를 실시할 경우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즉 국물이 없는 상태로 요리가 완료되는 취반, 구이류 요리에서는 요리완료시의 온도센서(3) 온도(조리용기 밑면온도)를 실험적으로 측정하여서 상기 요리완료시의 온도센서를 온도조절기 기능의 장치에 설정해두므로써 자동화가 가능함을 종래 기술에서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제4도와 같은 본 발명의 장치에서는 국물이 없는 상태로 요리가 완료되는 메뉴를 선택할 경우에는 상기 메뉴의 조리온도를 요리완료온도로 하고, 또한 상기 선택된 메뉴의 시간상수인 "끓임 지속시간"을 매우 짧은 시간값(거의 0)으로 결정하여 각각 온도설정부(13)와 시간설정부(14)에 준비되게 함으로써 해당메뉴가 선택된후 가열이 시작되면 조리물이 요리완료온도에 도달될때까지 가열이 수행된후에는 거의 즉시 가열이 중단되게 되기 때문에 취반, 구이류 등과 같이 국물이 없는 상태로 완료되는 요리들의 자동화도 본 발명의 장치와 가열방법을 사용하여 기능하게 된다.As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mbodiment of cooking (cooking) or roasting cooking with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will be described. That is, cooking, roasting, in which cooking is completed without soup. In cooking, it has been found in the related art that the
[실시예 3]Example 3
종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는 국물이 없는 상태로 요리가 완료되는 요리들을 자동화함에 있어서, 제4도의 과열방지 기능을 이용하여 자동취반이 가능하게 구성시킨 것이다. 즉 제4도에서 온도감지부(11)는 과열온도 도달을 알리는 또다른 신호를 제어부(4)로 출력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따라서 상기 온도감지부(11)가 과열온도로 판단하게되는 온도를 취반이 완료되는 때의 온도센서온도(3)로 미리 설계하여 구성시키고, 제4도의 온도설정부(13)에는 통상의 국, 찌개, 탕류의 조리온도나 취반완료시의 온도센서(3)보다 낮은 임의온도를 취반시의 조리온도로 임의 구성시키고, 또한 시간설정부(14)에는 충분히 긴 임의시간을 취반 요리시의 "끓임 지속시간"으로 구성시켜서 메뉴선택부(24)에서 취반이 선택되면 제4도의 온도감지부(11)에는 상기 임의온도(통상물의 비등온도가 적당하다)가 자동설정되고, 타이머부(14)에는 충분히 긴 시간(통상의 요리량 정도에서는 20분~30분 정도가 적당하다)이 자동설정되어지며, 따라서 가열이 시작되어 지속되는 동안 국물이 증발되고 쌀에 흡수되어서 국물이 없는 상태로 되고 따라서 마침내 과열상태로 되어서 취반완료시의 온도로 설계된 과열온도에서 온도감지부(11)는 과열온도 도달신호를 제어부(4)로 출력시켜서 가열을 중단시키게 되어 취반요리가 자동완료되는 것이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automatic cooking using the overheat prevention function of FIG. 4 in automating the cooking is completed without the soup. That is, in FIG. 4, the
본 실시예 2,3에서는 취반시에 밥물이 넘침을 방지하고 뜸들이 효과를 주기위하여 공지의 압력솥을 사용함이 적당하나, 공지의 열량 제어수단을 이용하여 뜸들이 불꽃으로 화력을 제어하게 할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Examples 2 and 3, it is preferable to use a well-known pressure cooker to prevent rice from overflowing and give effects of moxibustion when cooking, but moxibustion can be controlled by flame using a known calorie control means. Of course.
지금까지 상술한 실시예 1,2,3에서 알수 있듯이 본 발명은 종래 제안된 어떠한 기술에서도 불가능하였던 메뉴선택만으로 취반, 구이류등은 물론 국, 찌개, 탕류와 같이 국물이 있는 상태로 요리가 완료되는 메뉴들의 자동화도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종래 제안된 기술들의 단점이었던 요리의 량, 무게, 온도, 시간등 일체의 물리적인 량을 사용자가 스스로 판단하여 수동으로 임의 설정하여야 되는 문제점들을 완전히 해결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제5도와 같이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제4도의 온도설정부(13), 시간설정부(14), 온도감지부(11), 타이머부(12)등을 공지의 마이크로 프로세서(16)내부에 구성시킬수도 있음은 상식이다. 제5도에서 미설명부호 17은 가열이 정지될때 (요리완료시 및 과열온도 도달시에)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보음 발생소자이고, 미소조정 스위치(18)는 타이머부에 설정된 시간을 작은 범위내에서 증감시키기 위한 스위치이다.As can be seen in Examples 1, 2, and 3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d in a state in which soups such as soup, stew, and soup are prepared as well as cooking, roasting, etc., by simply selecting a menu, which is impossible in any of the conventionally proposed techniques. Automating the menus is also possible. In addition, it is completely solved the problem that the user must determine the physical quantity of the physical quantity such as the amount of cooking, weight, temperature, time, etc., which were disadvantages of the conventionally proposed techniques, and manually set them manually. In addition, in the configuration of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 microprocessor can be used as shown in FIG. That is, it is common sense that the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890000234A KR920002418B1 (en) | 1989-01-11 | 1989-01-11 | Automatic cooking appliance and method of cooking |
US07/460,270 US5096725A (en) | 1989-01-11 | 1990-01-02 | Automatic cooking method |
JP2003296A JPH02277421A (en) | 1989-01-11 | 1990-01-10 |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cook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890000234A KR920002418B1 (en) | 1989-01-11 | 1989-01-11 | Automatic cooking appliance and method of cooking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00012053A KR900012053A (en) | 1990-08-03 |
KR920002418B1 true KR920002418B1 (en) | 1992-03-23 |
Family
ID=19283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90000234A Expired KR920002418B1 (en) | 1989-01-11 | 1989-01-11 | Automatic cooking appliance and method of cookin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20002418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56476B1 (en) * | 2011-11-29 | 2013-04-22 |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 Ramen cooking device for gas range |
US11132918B2 (en) | 2014-07-07 | 2021-09-28 | Breville USA, Inc. | Systems, articles and methods related to providing customized cooking instruction |
WO2016106127A1 (en) | 2014-12-22 | 2016-06-30 | ChefSteps, Inc. | Food preparation guidance system |
WO2016123355A1 (en) * | 2015-01-30 | 2016-08-04 | ChefSteps, Inc. | Food preparation control system |
CN115462678A (en) | 2015-07-21 | 2022-12-13 | 布瑞威利美国公司 | Food preparation control system |
KR20180071392A (en) | 2015-11-16 | 2018-06-27 | 체프스텝스, 인크. | Data merging and personalization for remotely controlled cooking devices |
US11213158B2 (en) | 2018-08-29 | 2022-01-04 | Breville USA, Inc. | Cooking system |
-
1989
- 1989-01-11 KR KR1019890000234A patent/KR920002418B1/en not_active Expir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00012053A (en) | 1990-08-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279660B2 (en) | Apparatus for brewing beverages | |
US7745759B2 (en) | Apparatus for brewing beverages | |
JPH05223257A (en) | Heating power controller of vessel for cooking | |
JPH02277421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cooking | |
KR920002418B1 (en) | Automatic cooking appliance and method of cooking | |
JPS61222419A (en) | Cooker | |
JP3823793B2 (en) | Cooker | |
KR920002419B1 (en) | Automatic Cooking Heating Method and Apparatus by Indirect Heating Method | |
JPH07110263B2 (en) | Electric rice cooker | |
JP2001017329A (en) | Cooking device | |
JPS6368119A (en) | Control of rice cooker | |
KR930006562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food | |
JPS61222415A (en) | Cooker | |
JPS61222420A (en) | Cooker | |
JPH0615210Y2 (en) | Cooking device | |
JPH0324207B2 (en) | ||
JPH0436741Y2 (en) | ||
JPS61222416A (en) | Cooker | |
JPH0439327B2 (en) | ||
EP0083663A1 (en) | Microwave heater | |
JPS63186Y2 (en) | ||
JPS61222418A (en) | Bumping detector of cooker | |
JPH03231612A (en) | Rice cooker | |
JPS61222421A (en) | Cooker | |
WO1997046928A1 (en) | Control system for electrical heating equip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PG1605 |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00323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1032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10324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