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1435Y1 - 오디오 앰프의 과출력 방지회로 - Google Patents
오디오 앰프의 과출력 방지회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20001435Y1 KR920001435Y1 KR2019880022425U KR880022425U KR920001435Y1 KR 920001435 Y1 KR920001435 Y1 KR 920001435Y1 KR 2019880022425 U KR2019880022425 U KR 2019880022425U KR 880022425 U KR880022425 U KR 880022425U KR 920001435 Y1 KR920001435 Y1 KR 92000143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utput
- over
- audio
- amp1
- audio amplifi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52—Circuit arrangements for protecting such amplifier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1—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217—Class D power amplifiers; Switching amplifier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03—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amplifier being designed for audio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4)
- 소정 오디오신호를 증폭출력하는 오디오 증폭기(AMP1)와, 상기 오디오 앰프(AMP1)의 출력을 가청음으로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SP)을 구비한 오디오앰프의 과출력 방지회로에 있어서, 소정 레벨의 기준전압(Vref)와 상기 오디오 앰프(AMP1)의 오디오출력을 입력 비교하여 상기 오디오 앰프(AMP1)로 부터 출력되는 과출력의 찌그러짐이 상기 설정 기준전압(Vref)이상일 때 이를 검출하여 소정 논리의 검출신호 출력하는 오디오 과출력 검출수단과, 상기 오디오 과출력 검출수단의 과출력 검출 신호를 입력하여 과출력이 소정시간 이상 지속시에 과출력 차단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과출력 지속감지수단과, 상기 과출력 지속 감지수단의 차단제어 신호를 소정레벨의 신호로서 드라이브하는 드라이브(20)와, 상기 오디오 앰프(AMP1)와 스피커(SP)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드라이브(20)의 출력에 의해 온, 오프 스위칭되어지는 스위칭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과출력 방지회로.
- 제1항에 있어서, 오디오 과출력 검출수단은 제1입력단자가 저항(R1)을 통해 상기 오디오 앰프(AMP1)의 출력단자에 접속되어 있으며, 제2입력단자가 소정레벨의 기준전압(Vref)을 입력하는 저항(R3)과 가변저항(SR1)에 접속되어 상기 제1입력단자와 제2입력단자로 입력되는 두 신호 레벨을 비교하여 상기 오디오 앰프(AMP1)의 과출력을 검출하는 비교기(COM)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앰프의 과출력 방지회로.
- 제1항에 있어서, 과출력 지속 감지수단은 상기 오디오 과출력 검출수단으로 부터 출력되는 과출력 검출신호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검출신호의 입력 기간동안 소정 주기의 펄스열을 게이팅 출력하는 펄스열 게이팅회로(10)와, 상기 오디오 과출력 검출수단으로 부터 출력되는 과출력 검출신호 입력에 의해 리세트 해제되어 상기 펄스열 게이팅회로(10)로 부터 출력되는 펄스열을 소정 카운팅하여 과출력 차단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카운터(G)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앰프의 과출력 방지회로.
- 제3항에 있어서, 펄스열 게이팅회로(10)는 소정 주기의 발진제어 펄스(PGEN)를 입력하여 소정 분주 출력하는 분주기(F)와, 일측 입력단자가 상기 분주기(F)의 출력에 접속되어 있으며, 타측 입력단자가 상기 오디오 과출력 검출수단의 출력에 접속 구성되어 상기 타측 입력단자로 입력되는 과출력 검출신호를 응답하여 상기 분주기(F)의 펄스열을 상기 카운터(G)의 클럭단자로 게이팅하는 앤드게이트(AMP1)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하는 디오 앰프의 과출력 방지회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880022425U KR920001435Y1 (ko) | 1988-12-31 | 1988-12-31 | 오디오 앰프의 과출력 방지회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880022425U KR920001435Y1 (ko) | 1988-12-31 | 1988-12-31 | 오디오 앰프의 과출력 방지회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00013620U KR900013620U (ko) | 1990-07-05 |
KR920001435Y1 true KR920001435Y1 (ko) | 1992-02-24 |
Family
ID=19282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880022425U Expired KR920001435Y1 (ko) | 1988-12-31 | 1988-12-31 | 오디오 앰프의 과출력 방지회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20001435Y1 (ko) |
-
1988
- 1988-12-31 KR KR2019880022425U patent/KR920001435Y1/ko not_active Expir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00013620U (ko) | 1990-07-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262546B1 (en) | Variable threshold motor commutation pulse detection circuit | |
US20010010482A1 (en) | Circuit for amplifying and outputting audio signals | |
US4146801A (en) | Apparatus for protecting power transistors in an h configuration power amplifier | |
US6380757B1 (en) | Start pulse rejection for a motor commutation pulse detection circuit | |
CA2096549A1 (en) | Fire detector | |
KR920001435Y1 (ko) | 오디오 앰프의 과출력 방지회로 | |
US3686511A (en) | Speaker protective circuit | |
JPH01106975A (ja) | 内燃機関点火装置 | |
JPH02504321A (ja) | 電圧制御回路 | |
GB2282016A (en) | Overload detecting circuit for a power amplifier | |
KR0134066Y1 (ko) | 전력용 반도체 트랜지스터 구동 보호회로 | |
KR940012092A (ko) | 바람직하지 않은 입력 오버슈트 전압으로부터 프로그램가능 논리소자를 보호하는 보호장치 및 방법 | |
GB2300530A (en) | Method and circuit arrangement for monitoring a power output stage | |
KR930008803B1 (ko) | 기관점화장치 | |
JPS5838415Y2 (ja) | スイツチングレギユレ−タ | |
KR900005088Y1 (ko) | 소형모우터용 과부하 보호회로 | |
KR0184564B1 (ko) | 모터 보호 회로 | |
KR930003742Y1 (ko) | 출력 트랜지스터 보호회로 | |
KR19990047151A (ko) | 비엘디씨(bldc) 모터의 과전류 제어장치 | |
KR0138110Y1 (ko) | 빔 전류 제어 회로 | |
KR0123373Y1 (ko) | 스피커 보호회로 | |
JPH09167926A (ja) | 増幅器の保護回路 | |
SU1043783A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 защиты электродвигател от перегрузки | |
JPH0438566Y2 (ko) | ||
JPS5844644Y2 (ja) | Pcm再生中継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881231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19881231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10527 |
|
UG1604 | Publication of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20125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19920523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1992060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20605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199501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199601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199612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199708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19970829 Year of fee payment: 8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199708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