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20001213B1 - 스타터 모터의 피니언 스토퍼장치 - Google Patents

스타터 모터의 피니언 스토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1213B1
KR920001213B1 KR1019880017283A KR880017283A KR920001213B1 KR 920001213 B1 KR920001213 B1 KR 920001213B1 KR 1019880017283 A KR1019880017283 A KR 1019880017283A KR 880017283 A KR880017283 A KR 880017283A KR 920001213 B1 KR920001213 B1 KR 920001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ion
ring
output shaft
starter motor
annular re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7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0411A (ko
Inventor
아끼라 모리시따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 덴끼 가부시기가이샤
시끼 모리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 덴끼 가부시기가이샤, 시끼 모리야 filed Critical 미쯔비시 덴끼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10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0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1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12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5/00Other power-operated starting apparatus; 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2N5/00 - F02N13/00
    • F02N15/02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 F02N15/04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gearing including disengaging toothed gears
    • F02N15/06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gearing including disengaging toothed gears the toothed gears being moved by axial displacement
    • F02N15/062Starter drives
    • F02N15/065Starter drives with block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5/00Other power-operated starting apparatus; 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2N5/00 - F02N13/00
    • F02N15/02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5/00Other power-operated starting apparatus; 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2N5/00 - F02N13/00
    • F02N15/02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 F02N15/022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starter comprising an intermediate clutch
    • F02N15/023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starter comprising an intermediate clutch of the overrunning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5/00Other power-operated starting apparatus; 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2N5/00 - F02N13/00
    • F02N15/02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 F02N15/04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gearing including disengaging toothed gears
    • F02N15/06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gearing including disengaging toothed gears the toothed gears being moved by axial displacement
    • F02N2015/061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the gearing including disengaging toothed gears the toothed gears being moved by axial displacement said axial displacement being limited, e.g. by using a stopp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3Machine starters
    • Y10T74/131Automatic
    • Y10T74/132Separate power mes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스타터 모터의 피니언 스토퍼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스타터 모터의 스토퍼 장치의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오버런닝 클러치를 출력축에 삽입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링형부재의 확대평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오버런닝 클러치를 출력축에 삽입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링형부재의 확대 평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 오버런닝 클러치를 출력단에 삽입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링형부재의 확대 평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단면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 오버런닝 클러치를 출력축에 삽입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12도는 종래 스타터 모터의 피니언 스토퍼 장치 단면도.
제13도는 제12도의 Ⅰ-Ⅰ선의 단면도.
제14도는 제12도에 있어서, 피니언 스토퍼 클립의 정면도.
제15도는 종래 스타터 모터의 피니언 스토퍼 장치의 다른 예로서 샤프트 헬리컬 스프라인부를 도시하는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출력축 22 : 오버런닝 클러치
21a,21a,26a : 헬리컬 스프라인 22b : 클러치 아우터
22c : 클러치 인너 22d : 오목부
24 : 피니언 구동축 25 : 피니언
26 : 환형 오목부 27 : 링형부재
본 발명은 출력 회전축의 축장을 단축할 수 있음과 더불어 간단한 구성으로 스토퍼를 형성할 수 있게한 스타터 모터의 피니언 스토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12도는 실공소 55-53727호 공보에 의해 개시된 종래의 스타터 모터의 피니언 스토퍼 장치의 단면도면이며 제13도는 제12도의 Ⅰ-Ⅰ선의 단면도면이며 본 제12도, 제13도에 있어서 계자부로 여자되는 전기자(1)의 출력축(2)을 단부(2A)를 갖추며, 이 단부(2A)의 외주에 헬리컬 스프라인(3)이 형성되어 있다.
본 헬리컬 스프라인(3)에는 피니언(4), 스프라인 튜브(5), 오버런닝 클러치(6) 등으로 구성되는 피니언 기구의 스프라인 튜브(5)를 나합하며 축방향으로 나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전기자(1)의 출력축(2)은 헬리컬 스프라인(3)을 형성하는 단부(2A)와 스프라인 튜브(5)의 구멍 헬리컬 스프라인(5A)을 회전시키는 연삭 언더커트(2B)를 형성하고 있다.
이 연삭 언더커트부(2B)의 길이(L)는 구멍헬리컬 스프라인(5A)의 길이(L) 보다 길게하고, 또한 헬리컬 스프라인(3)의 내경보다 소경으로 하고 있다.
또, 제13도로 분명하듯이 단부(2A)에는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의 홈(2C)과 제2의 홈(2D)을 복수개 병설하며 헬리컬 스프라인(3)을 형성하고 있다. 단부(2A)의 중간부에는 전극홈(17)이 형성되며 이 스프라인 홈(17)에 스프라인 튜브(5)의 구멍 헬리컬(5A)과 거의 동등한 피치의 오목부(18)를 가지는 클립(13)(제14도)이 감합되어 있다.
또한, (10)은 시프트 레버, (12)는 마그네트 스위치, (13)은 플런저, (14)는 토션 스프링, (15)는 기어 케이스, (16)은 링기어, (20)은 센터 플레이트이다.
이같은 구조에 있어서 우선 피니언 기구를 조립한다. 한편, 출력축(2) 단부(2A)의 전주홈(17)에는 클립(19)을 고정한 다음, 피니언 기구의 스프라인 튜브(5)의 구멍 헬리컬(5A)의 산부를 클립(19)의 오목부(18)를 맞춰서 링기어(16)측으로부터 삽입하고 구멍 헬리컬 스프라인(5A)이 출력축(2)의 연삭 언더커트 계합이 벗어난 시점에서 회동되며, 한 나사산씩 처지면서 원래의 쪽으로 되돌려간다.
이것으로 헬리컬 스프라인(5A)의 나사산 부가클립(19)의 일단에 충돌되며 피니언 기구는 출력축(2)에서 빠지지 않도록 한다.
종래의 스타터 모터의 피니언 스토퍼 기구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출력축(2)에 스프라인 튜브(5)의 구멍 헬리컬 스프라인(5A)을 회전시키는 연삭언더커트부(2B)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출력축(2)의 축장은 길어진다.
또, 출력축(2)에는 스프라인 튜브(5)의 구멍 헬리컬 스프라인(5A)의 이동을 저지하는 제2의 홈(2D)을 제15도에 도시하듯이 제1의 홈(2C)과는 별개로 설치할 필요가 있는 경우도 있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같은 문제는 해결하기 위해 이뤄진 것이며 출력축의 축장을 단축할 수 있음과 더불어 간단한 구성으로 되며 제작이 용이한 스타터 모터의 피니언 스토퍼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계하는 스타터의 피니언 스토퍼 장치는 클러치 아우터의 내주면과 출력축의 환상 오목부의 외주면과 사이에 감착되며 이 환상 오목부와의 충합으로 피니언 스토퍼 작용을 보이는 링형부재를 설치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피니언 구동축이 전방향으로 구동되면 오버런닝 클러치의 클러치 아우터가 링형부재를 거쳐서 출력 회전축의 환형 오목부에 서로 접합되며, 따라서 피니인 구동축 및 피니언의 전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된다.
이하 본 발명의 스타터 모터의 피니언 스토퍼 장치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에 기준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1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면이다. 본 제1도에 있어서(21)은 출력 회전축이며, 그 후단(제1도에선 좌단)은 도시하지 않은 전동기의 전기자회전축에 연결되며 전기자 회전축과 더불어 회전토록 되어있다.
이 출력 회전축(21)의 외주면에는 헬리컬 스프라인(21a)이 형성되어 있고, 오버런닝 클러치(22)의 헬리컬 스프라인(22a)과 감합하도록 되어 있다. (22b)는 클러치 아우터이며 롤러(23)를 거쳐서 클러치 인너(22c)와 결합되어 있으며, 또 클러치 인너(22c)와 피니언 구동축(24)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피니언 구동축(24)의 전단에는 피니언(25)이 설치되어 있다. 피니언 구동축(24)과 출력축(21)과의 사이에는 축수(21b)가 개재되어 있으며, 이 축수(21b)로 출력축(21)에 대해서 피니언 구동축(24)은 회전되며 또한 축방향으로 습동 가능토록 되어있다.
한편, (26)은 출력축(21)에 형성된 환형 오목부이다. 이 환형 오목부(26)의 외주면(제1도의 좌측)과 클러치 아우터(22b)의 내주면(제1도의 우측)과의 사이에서 출력축(21)의 외주면에 링형부재(27)가 감착되어 있다.
이 링형부재(27)는 제3도의 확대 평면도에 도시하듯이 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링형부재(27) 예컨대, 스프링강 등을 원환형으로 해서 그 내경 치수는 환형 오목부(26)의 외경 치수보다 작게 형성되며 또한 스프링성을 가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링형부재(27)는 클러치 아우터(22b)의 내주부에 미리 용접 등으로 고정되어 있다.
제2도는 이 실시예의 조립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면이며, 이 제2도로 조립 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2도에 도시하듯이 출력축(21)에 대해서 중간까지 짜붙인 오버런닝 클러치(22)를 제2도의 위쪽 즉, 전단측에서 삽입한다.
이때, 클러치 아우터(22)의 헬리컬 스프라인(22a)과 출력축(21)의 헬리컬 스프라인(21a)과 감합해서 원활하게 오버런닝 클러치(22)가 출력축(21)의 후단측에 삽입되는데 링형부재(27)의 내경은 상술과 같이 환형오목부(26)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링형부재(27)는 그 자체 탄성을 가지고 있고 따라서, 링형부재(27)는 그 내경이 확대되며 환형오목부(26)를 타 넘어서 제1도의 위치에 감착된다.
이같이 함으로서 링형부재(27)의 내주단이 출력축(21)의 환형 오목부(26)에 서로 접합해서 스토퍼의 기능을 이루는 것이다.
또한, 제1도의 (28)은 시일이며, 커버(29)의 내면에 부착되어 있고, 커버(28)는 오버런닝 클러치(22)의 커버이다.
제4도 내지 제6도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이며 각각 제1도 내지 제3도에 대응하고 있다. 이 제2의 실시예의 경우는 링형부재(27)가 상기 제1도 내지 제3도로 도시한 제1의 실시예의 경우와 같은 재질이며 탄성을 가지고 있는데, 클러치 아우터(22b)에 고정되어 있지 않으며 그 자체의 탄성으로 제4도에 도시하는 상태로 장착된다.
또, 이 링형부재(27)는 테이퍼부(27a)를 가지고 있으며 출력축(21)의 환형 오목부(26)를 타넘기 쉽게 구성되어 있다. 기타의 부분은 제1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되어있다.
제7도 내지 제9도는 각각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이며, 각각 제1도 내지 제3도에 대응하는 것이다. 이 제3의 실시예의 경우의 링형부재(27)는 강철 따위로 형성되며, 그 일부는 절결되어, 절결 환형으로 형성되며, 탄성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이 링형부재(27)의 단면형상은 제7도 및 제8도로 분명하듯이 사다리꼴로 형성되어 있다. 이 링형부재(27)는 클러치 아우터(22b)에 하등 고정되어 있지 않으나 제7도에 도시하듯이 클러치 아우터(22b)의 내주면에 형성한 오목부(22b)에 감착상태로 되어 있다.
이 감착전에는 제8도에 도시하듯이 상기 제1, 제2의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환형 오목부(26)를 넘어서 감착된다.
또한, 출력축(21)의 환형 오목부(26)에는 아무런 헬리컬 스프라인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클러치 아우터(22b)로의 헬리컬 스프라인(22a)의 내경은 출력축(21)의 환형 오목부(26)의 외경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제10도 및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4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면이며, 각각 제1의 실시예의 제1도, 제2도에 대응하는 것이다.
이 제4의 실시예에선 제3의 실시예와 동일 링형부재(27)가 사용되고 있으나, 출력축(21)의 환형 오목부(26)에는 헬리컬 스프라인(26a)이 형성되고 있으며 따라서 클러치 아우터(22b)로의 헬리컬 스프라인(22a) 내경은 출력축(21)의 환형 오목부의 외경보다 작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대로 탄성 작용을 가지는 링형부재를 클러치 아우터의 내주면과 출력축의 환형 오목부와의 충합으로 피니언 스토퍼의 작용을 이루도록 구성했으므로 종래의 장치와 같이 출력축에 오버런닝 클러치 장착을 위한 연삭 언더커트부나 스토퍼 작용을 이루는 제2의 홈을 형성할 필요가 없으며, 축장이 단축됨과 동시에 간단한 구성으로 되며, 따라서 제작이 용이하고 값싸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전동기로 구동되며 환형 오목부를 가지는 출력축과 상기 출력축에 헬리컬 스프라인 감합된 클러치 아우터 및 상기 클러치 아우터와 롤러를 거쳐서 결합되며 피니언 구동축과 일체의 클러치 인너를 가지는 오버런닝 클러치, 상기 피니언 구동축의 선단에 설치되며 상기 피니언 구동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피니언, 상기 클러치 아우터의 내주면과 상기 환형 오목부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감착되며 상기 환형 오목부와의 충합으로 피니언 스토퍼 작용을 보이는 링형부재를 갖춘 스타터 모터의 피니언 스토퍼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링형부재는 탄성체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터 모터의 피니언 스토퍼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링형 부재는 일부를 절결해서 절결 환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터 모터의 피니언 스토퍼 장치.
KR1019880017283A 1987-12-26 1988-12-23 스타터 모터의 피니언 스토퍼장치 KR9200012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331166 1987-12-26
JP62331166A JPH01170760A (ja) 1987-12-26 1987-12-26 スタータモータのピニオンストッパ装置
JP331166 1987-12-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0411A KR890010411A (ko) 1989-08-08
KR920001213B1 true KR920001213B1 (ko) 1992-02-06

Family

ID=18240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7283A KR920001213B1 (ko) 1987-12-26 1988-12-23 스타터 모터의 피니언 스토퍼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902905A (ko)
JP (1) JPH01170760A (ko)
KR (1) KR9200012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6243B1 (ko) * 1989-02-17 1992-08-01 미쓰비시전기주식회사 스타터 장치
JP2538599Y2 (ja) * 1991-01-11 1997-06-18 三菱電機株式会社 スタータ装置
FR2681911A1 (fr) * 1991-10-01 1993-04-02 Valeo Equip Electr Moteur Dispositif de butee pour lanceur de demarreur pour moteur a combustion interne et procede pour la mise en óoeuvre d'un tel dispositif.
JP3168228B2 (ja) * 1992-09-16 2001-05-21 オーエスジー株式会社 回転軸のストッパ付ヘリカルスプライン形成方法及びその転造工具
JPH0893799A (ja) * 1994-09-29 1996-04-09 Mitsubishi Electric Corp オーバランニングクラッチ
JP3231193B2 (ja) * 1994-09-29 2001-11-19 三菱電機株式会社 スタータ装置
JPH08291783A (ja) * 1995-04-20 1996-11-05 Mitsubishi Electric Corp 遊星歯車減速スタータ装置
FR2738599B1 (fr) * 1995-09-12 1997-10-03 Valeo Equip Electr Moteur Demarreur de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 lanceur perfectionne et lanceur pour un tel demarreur
FR2745855B1 (fr) * 1996-03-08 1998-04-10 Valeo Equip Electr Moteur Demarreur de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des moyens de butee perfectionnes pour son entraineur
DE69704234T2 (de) * 1996-07-10 2001-10-25 Denso Corp., Kariya Anlasser mit einer Regelvorrichtung der Ritzelbewegung
US6169333B1 (en) * 1997-10-06 2001-01-02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Starter motor drive stop
JP4453227B2 (ja) * 2000-10-20 2010-04-21 株式会社デンソー スタータ
KR20020060292A (ko) * 2001-01-10 2002-07-18 에릭 발리베 스타터모터의 오버 런닝 클러치용 커버 조립구조
FR2827915B1 (fr) * 2001-06-29 2003-12-19 Valeo Equip Electr Moteur Demarreur de vehicule automobile a lanceur perfectionne
JP2011190880A (ja) * 2010-03-15 2011-09-29 Mazda Motor Corp 動力伝達装置
DE102010029260B4 (de) 2010-05-25 2022-01-05 Seg Automotive Germany Gmbh Starter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DE102011081181A1 (de) * 2011-08-18 2013-02-21 Robert Bosch Gmbh Andrehvorrichtung und Verfahren hierfür
DE102012210889B4 (de) * 2012-06-26 2021-03-18 Seg Automotive Germany Gmbh Andreh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Montage einer Andrehvorrichtung
DE102012210890B4 (de) * 2012-06-26 2021-03-18 Seg Automotive Germany Gmbh Andreh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Montage einer Andrehvorrichtung
CN104595081B (zh) * 2013-10-31 2018-06-08 索恩格汽车部件(中国)有限公司 起动机及其啮合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53720A (en) * 1953-09-02 1956-07-10 Bendix Aviat Corp Engine starter gearing
JPH0643979Y2 (ja) * 1985-07-19 1994-11-14 三菱電機株式会社 電磁スイッチ
JPS63143765U (ko) * 1987-03-12 1988-09-21
US4818889A (en) * 1987-05-13 1989-04-04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Pinion stopper for engine starter motor
KR880014248A (ko) * 1987-05-27 1988-12-23 시끼 모리야 시동 전동기
US4843897A (en) * 1988-01-04 1989-07-04 Facet Enterprises, Inc. Engine starter gear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902905A (en) 1990-02-20
KR890010411A (ko) 1989-08-08
JPH01170760A (ja) 198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1213B1 (ko) 스타터 모터의 피니언 스토퍼장치
KR920006243B1 (ko) 스타터 장치
US5197342A (en) Pinion stopper for starter
KR930002641Y1 (ko) 스타팅 모터의 피니온 스톱퍼 장치
US5016484A (en) Starter motor
US5937696A (en) Starter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05195924A (ja) 内燃機関用のピニオン突出し形スタータ
KR950019192A (ko) 엔진 시동장치
US3460655A (en) Combined seal and washer for a roller clutch
US20020069713A1 (en) Starter motor having intermediate gear
US4092870A (en) Engine starting mechanism
KR930006315A (ko) 중간 기어부착 시동 전동기
EP0206754B1 (en) Strain wave gearing
KR900014736A (ko) 스타터 장치
US3071013A (en) Starting apparatus
KR880014247A (ko) 시동 전동기
US7159480B2 (en) Pinion slip-off preventive structure of starting apparatus
KR200162865Y1 (ko) 스타트 모터의 샤프트 롤러
KR830000133B1 (ko) 스 타 터
JPH02163469A (ja) スタータのピニオンストツパ装置
JPS5823501B2 (ja) クラツチ機構を有する始動電動機
JP4157488B2 (ja) 機関始動装置
KR200150235Y1 (ko) 내연기관용 플라이휘일 구동장치
US1948897A (en) Starting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JP2964731B2 (ja) スタ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812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8812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20106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204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207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207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