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1190A - 표면결함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표면결함 검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20001190A KR920001190A KR1019910011074A KR910011074A KR920001190A KR 920001190 A KR920001190 A KR 920001190A KR 1019910011074 A KR1019910011074 A KR 1019910011074A KR 910011074 A KR910011074 A KR 910011074A KR 920001190 A KR920001190 A KR 92000119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 surface defect
- image processing
- image
- light irradia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38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36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2
- 210000004185 liver Anatomy 0.000 claims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Landscapes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21)
- 거울면으로서 기능하는 피검사면(11)에 대향하여 설치되고, 이 피검사면(11)에 향하여 빛을 조사하는 광조사 수단(13), (50), (60)과 상기한 피검사면(11)에서 반사된 상기의 광조사 수단(13), (50), (60)의 상을 촬영하기 위한 촬영수단(14), (54)과, 이 촬영수단(14), (54)으로 형성된 수광화상(15)에 기초하여, 피검사면(11)의 표면 결함부분을 검출하는 화상처리 수단(33)으로 구성된 표면결함 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광조사 수단(13), (50), (60)은, 상기 피검사면(11)에 향하여 소정의 변화모양을 갖는 빛을 조사하며, 상기한 촬영수단(14), (54)은, 상기의 광조사 수단(13), (50), (60)의 변화모양에 대응하는 수광화상(15)을 작성하고, 상기한 화상처리수단(33)은, 상기 촬영수단(14), (54)로 형성된 수광화상(15)에 기초하여, 이것이 변화모양과 크게 다른 곳을 식별하는 것에 의해, 피검사면(11)의 표면결함부분(12)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결함 검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광조사수단(13), (60)은, 상기의 피검사면(11)에 대하여 광도 분포에 강약이 부여되어 있는 빛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결함 검사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광조사수단(13)은, 상기의 피검사면(11)에 향하여 소정의 방향에 따라서 광도가 큰것에서 작은것으로 서서히 변화하도록 설정된 광도분포를 갖는 빛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결함 검사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촬영수단(14)은, 상기 피검사면(11)에서 반사된 상기의 광조사수단(13)의 상을 촬영하여, 상기한 광조사수단(13)의 광도분포에 대응하는 수광화상(15)을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결함 검사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화상처리 수단(33)은, 상기 촬영수단(14)에서 형성된 수광화상(15)에 기초하여, 광도분포의 변화상태가 주위와 크게 다른곳을 식별하는 것에 의해, 이 식별된 곳을 피검사면(11)의 표면결함부분(12)으로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결함 검사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처리 수단(33)은, 상기 표면결함부분(12)으로서 검출된 곳에서의 광도분포의 변화상태가, 주위의 광도분포의 변화 상태와 같은 경우에는, 이 표면결함부분(12)이 볼록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판별하고, 주위의 광도분포의 변화상태와 반대의 경우에는, 이 표면결함부분(12)이 오목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결함 검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촬영수단(14), (54)은, 상기의 피검사면(11)에서 반사된 광조사수단(13), (50), (60)의 상을, 그 수광화상(15)의 형성범위의 전면에 걸쳐 촬영하도록 설정된 시야를 갖은 카메라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결함 검사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한 촬영수단(14), (54)은, 상기의 수광화상(15)을 비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비디오 신호발생수단을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결함 검사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한 화상처리수단(33)은, 상기한 비디오 신호 발생 수단에서 출력된 비디오 신호를 처리하며, 이 처리된 수치가 미리 설정된 수치를 넘는 시간과, 그 변화상태로부터, 피검사면(11)상에 존재하는 표면결함부분(12)의 위치와 그 오목, 볼록 상태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결함 검사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주사수단(60)은, 강약이 교대로 변화하도록 규정된 광도분포로 빛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결함 검사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한 촬영수단(14)은, 상기의 피검사면(11)에서 반사된 광조사수단(60)의 상을 촬영하여, 이 광조사수단(60)의 광도분포에 대응하는 명암이 있는 수광화상(15)을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결함 검사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한 화상처리수단(33)은, 상기 촬영수단(14)에서 형성된 수광화상(15)에 기초하여, 이것의 밝은 부분 및 어두운 부분의 각각에 있어서 밝기가 주위와 크게 다른곳을 식별하는 것에의해, 이 식별된 곳을 피검사면(11)의 표면결함부부(12)으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표면결함 검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광조사수단(50)은, 상기의 피검사면(11)에 향해서 소정의 방향에 따라 간파장에서 짧은 파장으로 파장이 서서히 변화하도록 설정된 파장부포를 갖은 빛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결함 검사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한 촬영수단(14)은, 상기의 피검사면(11)에서 반사된 상기 광조사수단(50)의 상을 촬영하여, 이 광조사수단(50)의 파장분포에 대응하는 파장부포를 갖는 수광화상(15)을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결함 검사장치.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한 화상처리수단(33)은, 상기의 촬영수단(54)에서 형성된 수광화상(15)에 기초하여, 파장분포의 변화상태가 주위와 크게 다른 곳을 식별하는 것에 의해, 이 식별된 곳을 피검사면(11)의 표면결함부분(12)으로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결함 검사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한 화상처리수단(33)은, 상기의 표면결함부분(12)으로서 검출된곳에 있어서의 파장분포의 변화상태가, 주위의 파장분포의 변화상태와 같은 경우에는 이 표면결함부분(12)이 볼록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판별하고, 주위의 파장분포의 변화상태와 반대의 경우에는, 이 표면결함부분(12)이 오목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결함 검사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한 광조사수단(50은, 이것을부터 조사되는 빛의 파장을, 가사광영역에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결함 검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광조사수단(50)은, 상기의 피검사면(11)에 향해여 소정의 방향에 따라 색이 미리 정해진 순서로 변화하는 색모양을 갖은 빛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결함 검사장치.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한 촬영수단(54)은, 상기의 피검사면(11)에서 반사된 상기 광조사수단(50)의 상을 촬영하여, 이 광조사수단(50)의 색모양에 대응하는 색모양을 갖은 수광화상(15)을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결함 검사장치.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한 화상처리수단(33)은, 상기의 촬영수단(54)에서 형성된 수광화상(50)에 기초하여, 이것의 색모양의 변화상태가, 주위와는 크게 다른 곳을 식별하는 것에 의해, 이 식별된 곳을, 피검사면(11)의 표면결함부분(12)으로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결함 검사장치.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한 화상처리수단(33)은, 상기의 표면결함부분(12)으로서 검출된 곳에 있어서의 색모양의 변화상태가, 주위의 색모양의 변화상태와 같은 경우에는, 이 표면결함부분(12)이 볼록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판별하고, 주위의 색모양의 변화상태와 반대의 경우에는, 이 표면결함부분(12)이 오목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결함 검사장치.※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172492 | 1990-06-28 | ||
JP2172492A JP2863279B2 (ja) | 1990-06-29 | 1990-06-29 | 現像装置 |
JP22749890 | 1990-08-28 | ||
JP22749990A JPH04106461A (ja) | 1990-08-28 | 1990-08-28 | 表面欠陥検査装置 |
JP???2-227499 | 1990-08-28 | ||
JP???2-227498 | 1990-08-28 | ||
JP2339569A JP2926365B2 (ja) | 1990-11-30 | 1990-11-30 | 表面欠陥検査装置 |
JP???2-339569 | 1990-11-30 | ||
JP???03-134092 | 1991-06-05 | ||
JP3134093A JP3054227B2 (ja) | 1990-06-28 | 1991-06-05 | 表面欠陥検査装置 |
JP3134092A JP3062293B2 (ja) | 1990-08-28 | 1991-06-05 | 表面欠陥検査装置 |
JP???03-134093 | 1991-06-05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20001190A true KR920001190A (ko) | 1992-01-30 |
Family
ID=67513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10011074A KR920001190A (ko) | 1990-06-28 | 1991-06-28 | 표면결함 검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20001190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42643B1 (ko) * | 1999-12-28 | 2004-08-02 | 주식회사 포스코 | 온라인으로 공급되는 열연바의 검출장치 및 그 검출방법 |
-
1991
- 1991-06-28 KR KR1019910011074A patent/KR92000119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42643B1 (ko) * | 1999-12-28 | 2004-08-02 | 주식회사 포스코 | 온라인으로 공급되는 열연바의 검출장치 및 그 검출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930010527A (ko) | 조사를 이용한 표면상태 검사방법 및 그 장치 | |
US6091834A (en) | Method of illuminating a digital representation of an image | |
JP2005536732A (ja) | 物体を検査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 |
JP3972749B2 (ja) | 検査装置および貫通孔の検査方法 | |
ES2077865T3 (es) | Sistema de caracterizacion de superficies por vision mecanizada. | |
CA2145718A1 (en) | Optical inspection of container dimensional parameters | |
DE69714401D1 (de) | Optisches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rkennen von Fehlstellen | |
KR960014919A (ko) | 광학적검사방법 및 광학적 검사장치 | |
KR970000781B1 (ko) | 이물 검사 장치 | |
KR920001190A (ko) | 표면결함 검사장치 | |
JPH0579999A (ja) | びん内沈降異物の検査装置 | |
JPS58120106A (ja) | 半導体ウエハの外観検査装置 | |
JPH05196568A (ja) | 鍍金検査装置 | |
JPS62119444A (ja) | パタ−ン検査装置 | |
JP2801916B2 (ja) | 欠陥検査装置 | |
JPS56157841A (en) | Detecting apparatus for surface defect of body | |
JPS6144309A (ja) | プリント基板上の配線パターンの検査装置 | |
JP4534827B2 (ja) | フィルムの欠陥検出方法および欠陥検出装置 | |
JPH09218162A (ja) | 表面欠陥検査装置 | |
JPH03165534A (ja) | 欠陥検査装置 | |
JPH04165641A (ja) | ウェーハ外観検査装置 | |
JPS6048578A (ja) | パタ−ン検出装置 | |
JPH02190707A (ja) | 表面欠陥の検査方法及び装置 | |
JPS57168384A (en) | Detecting method for shape of object | |
JPH02254380A (ja) | パターン検出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106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106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504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1995081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1995042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