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20000832Y1 - 좌변기의 항문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좌변기의 항문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0832Y1
KR920000832Y1 KR2019880005620U KR880005620U KR920000832Y1 KR 920000832 Y1 KR920000832 Y1 KR 920000832Y1 KR 2019880005620 U KR2019880005620 U KR 2019880005620U KR 880005620 U KR880005620 U KR 880005620U KR 920000832 Y1 KR920000832 Y1 KR 9200008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section
pipe
toilet seat
injection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56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20673U (ko
Inventor
정미자
Original Assignee
김경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환 filed Critical 김경환
Priority to KR20198800056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0832Y1/ko
Publication of KR8900206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2067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08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8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8Devices or hand implements for cleaning the butt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좌변기의 항문 세척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일부 분해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절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요부 구성를 보인 종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보인 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항문세척장치 2 : 소독약품저장통
3 : 분사구 3a : 파이프
3b, 3b' : 분사공 4 : 급수통
5 : 괘지간 5a : 횡간
5b, 5c : 괘지편 5b', 5c' : 장홈
6 : 급수관 7 : 밸브
8 : 개폐간 9 : 작동간
10 : 고무캡 11 : 고무줄
12 : 보울트 13 : 너트
14 : 좌변기 15 : 수도관
16 : T형 연결관
본 고안은 좌변기에 부설하여 용변후 항문을 세척할수 있는 좌변기의 항문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항문세척 장치의 좌변기 장착이 용이하고 사용시의 폐단을 해결함과 동시에 소독효과를 득할수 있도록한 것이다.
근자에 들어 재래식 변기의 비위생적인 점을 보완코져 좌변기가 널리 보급되면서 좌변기에 부착하여 용변후 항문및 여성의 질구등을 세척할수 있는 장치가 안출실시되고 있다.
종래 좌변기의 항문세척장치는 크게 좌변기 동체에 부착하는 것과, 시트에 부착하는 것으로 대분되며, 이들은 각기 아래와 같은 문제점을 안고있다.
즉, 전자의 경우는 좌변기 동체에 부착시에 결합공을 천공하여 나사결합등의 수단으로 장착되는데, 이때 도자기로 제작된 좌변기 동체에 균일및 파손이 빈번이 발생하며, 혹 어렵게 설치한 경우에는 연결돤 배관부위의 누수가 잦아 수도물의 낭비및 사용상의 불편을 초래하였다.
후자의 경우에는 좌변기 동체 부착을 피하여 시트에 부착하므로서 좌변기 동체의 균열, 파손등은 예방할수 있으나 이는 또다른 사용상의 문제를 야기한다.
즉, 소변시에는 통상 시트를 수직으로 젖혀서 사용케되는데, 이때 시트에 장착된 항문세척장치의 자중에 의해 시트가(수평상태로)원복되어 소변이 시트에 묻게되어 위생상 불결하기 그지없다.
또한 분사구가 사각형의 평면상에 천공되어 있으므로 분사구의 청소에 난점이 있고, 분사구를 고정하는 고정구가 시트 상부로 돌출되어 사용자의 둔부를 압박하여 통증을 주는등 다수의 문제점이 누적되어 왔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 난점을 일소할수 있는 좌변기의 항문세척 장치를 제공코져한 것으로서, 이하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키로 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일부 분해사시도로서, 항문세척장치(1)는 크게 통상의 수도관(15)으로부터 T형연결관(16)을 통해 연결되는 소독약품저장통(2)과, 소독약품저장통(2)을 경유한 용수를 분사구(3)로 선택분사하는 급수통(4), 분사구 (3)를 좌변기(14)에 고정키위한 괘지간(5)으로 구성된다.
소독약품 저장통(2)을 경유하여 소독약품이 희석된 용수는 급수관(6)을 통해 급수통(4)으로 유입되는데 급수통(4)의 구성을 상세히 살펴보면, 내부에는 급수관(6)이 설치되고 급수관(6)중도에는 밸브(7)가 개폐간(8)에 고정되어 급수관(6)을 개폐토록 하였는데, 상기 개폐간(8)은 일측에 작동간(9)과 연결되고 작동간(9)은 급수통(4)상부로 수직돌출되어 급수통(4)상부에 밀폐착된 고무캡(10)의 압지작동으로 승강하면서 밸브(7)를 개폐토록 하였다. 그리고 작동간(9)의 원복을 일측에 고무줄(11)또는 스프링등의 원복탄성에 의해 이루어지도록한다.
급수통(4)에서 급수된 물은 분사구(3)로 급수분사케되는데 분사구(3)의 파이프(3a)부위는 좌변기(14)에 부착할시에 부피를 최소화하고 협지력을 높이기위하여 제2도에서 보다 바와같이 단면이 개략 직사각형을 갖추도록 하였으며, 선단은 반구형으로 구성하여 분사공(3b, 3b')을 다수개 천공한 것이다.
분사구(3)를 좌변기(14)에 부착키위한 괘지간(5)은 제1도에 개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횡간(5a)과 장홈(5b', 5c')이 형성된 좌우의()형 괘지편(5b, 5c)으로 구성되는데, 횡간(5a)은 분사구(3)의 파이프(3a)상부를 압지연접케되며, 괘지편(5b, 5c)은 횡강(5a)좌우에 장홈(5b', 5c')을 경우하여 보울트(12)및 너트(13)로 고정되어 괘지편(5b, 5c)하단이 좌변기(14)의 동체를 좌우에서 협지고정케 구성하였다.
도면중의 미설명 부호 (17)은 좌변기의 시트 (18)은 좌변기의 커버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분사구(3)의 직사각형 파이프(3a)부위를 좌변기 (14)의 시트(17)가 힌지결합되는 후방에 위치시키고[이때 분사구(3) 선단은 좌변기 (14)내부로 제4도에서와 같이 위치함] 횡간(5a)으로 압지한후 횡간(5a)좌우에 괘지편 (5b, 5c)을 보울트(12)와 너트(13)로 체결케되는데, 이때 괘지편(5b, 5c)의 장홈 (5b', 5c')은 좌변기(14) 시트(17)후방의 폭에 따라 횡간(5a)과 괘지편(5b, 5c)의 체결간격을 조절할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여 다양한 좌변기의 규격에 대응할수 있게되며, 소독약품저장통(2)을 경유한 물은 급수통(4)상부의 고무캡(10)을 압지하면 작동간 (9)이 하강하여 작동간(9)과 연결된 개폐간(8)이 하향각운동하여 밸브(7)이 급수관 (6)으로 부터 개방되어 물이 급수관(6)을 통해 분사구(3)로 공급되어 분사구(3)선단의 다수의 분사공(3b, 3b')을 통해 분사케되어 용변을 마친 사용자의 항문및 질구등을 깨끗이 세척할수 있다.
세척이 완료된후 고무캡(10)에서 손에 떼면 고무캡(10)은 원복탄성에 의해 원복되며, 동시에 작동간(9)도 고무줄(11)에 의해 원복되어 급수관(6)은 밸브(7)에 의해 폐쇄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항문세척장치(1)는 좌변기 동체에 고정되는 분사구(3)의 파이프(3a)가 직사각형으로 구성되고 괘지간(5)이 간격조절기능을 갖추어 좌변기(14)의 장착이 용이하며, 분사구(3)와 괘지간(5)을 좌변기(14)설치시에 상부로 거의 돌출되지 않아 시트(17)및 커버(18)의 수직 개폐에 방해받지않으며, 사용자가 시트(17)에 좌정했을시에도 통증을 주지않아 사용상의 편의 제공케 된다.
그리고 용수는 소독약품저장통(2)을 경유하여 급수통(4)의 밸브(7)의 개폐로 공급, 차단되므로 소독효과및 용수개폐의 용이성을 제공케되며, 분사구(3)의 분사공 (3b, 3b')부위가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세척시에 용이하게 세척할수 있는 잇점이 주어지는 것이다.
이하의 부수되는 실용신안 등록청구의 범위에 본 고안에서 보호 받고져 하는 기술의 범위가 언급될 것이다.

Claims (1)

  1. 소독약품저장통(2), 급수통(4), 분사구(3), 괘지간(5)으로 대분구성되는 항문세척장치(1)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급수통(4)에는 분사구(3)로 용수를 공급, 차단하는 밸브(7)가 급수관(6)중도의 개폐간(8)에 설치되어, 개폐간(8)과 수직연결된 작동간(9)의 승강작동으로 밸브(7)가 개폐토록하되, 상기 작동간(9)의 상단은 급수통 (4) 상부로 노출되어 급수통(4)상부에 밀폐착된 고무캡(10)의 압지작동으로 연동토록 하며, 상기 분사구(3)의 파이프(3a)부위는 단면이 직사각형을 갖추며, 분사공(3b, 3b')이 천공된 선단은 반구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괘지간(5)은 횡간(5a)과 장홈(5b, 5c')이 형성된 좌우의 ()형 괘지편(5b, 5c)을 보울트(12)와 너트(13)로 간격조절이 가능케 결합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의 항문세척장치.
KR2019880005620U 1988-04-18 1988-04-18 좌변기의 항문 세척장치 KR9200008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5620U KR920000832Y1 (ko) 1988-04-18 1988-04-18 좌변기의 항문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5620U KR920000832Y1 (ko) 1988-04-18 1988-04-18 좌변기의 항문 세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20673U KR890020673U (ko) 1989-11-01
KR920000832Y1 true KR920000832Y1 (ko) 1992-01-31

Family

ID=19274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5620U KR920000832Y1 (ko) 1988-04-18 1988-04-18 좌변기의 항문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083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3883B1 (ko) * 2000-10-23 2005-03-07 안영남 소독기능을 갖는 변기용 비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20673U (ko) 1989-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90374A (en) Water-conserving urinal
US4127904A (en) Water closet seat and bidet assembly
KR100944385B1 (ko) 소변기가 부착된 절수형 변기
KR920000832Y1 (ko) 좌변기의 항문 세척장치
CN109024805A (zh) 一种收放式节水杀菌大小便使用系统
KR20100071911A (ko) 양변기의 절수를 위한 소형함체 및 보조장치
KR200211463Y1 (ko) 비데
US4819280A (en) Portable handheld urinal and complementary flush system for same
KR200316313Y1 (ko) 비데용 노즐구조
CN111827429B (zh) 智能马桶
KR20100003858U (ko) 파지형 수동식 간이 비데
CN209620197U (zh) 一种负压吸附无臭无味节水陶瓷便器设备
JPH0312855Y2 (ko)
KR200165638Y1 (ko) 변기의 세정 및 좌대기복장치
KR870001516Y1 (ko) 수세관이 형성된 좌변기
CN2598499Y (zh) 移动式坐便器
KR200236424Y1 (ko) 양변기 좌대 세척장치
JPH0348291Y2 (ko)
KR890005379Y1 (ko) 좌변기용 물 탱크
KR960000169Y1 (ko) 화장실용 세항기(洗肛器)
KR20230080252A (ko) 이동식 세정변기
JPH0234303Y2 (ko)
KR970005515Y1 (ko) 수세장치를 갖는 좌변기
KR20220141439A (ko) 양변기와 소변기가 결합된 일체형 변기
KR20240011028A (ko) 이동식 세정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880418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880418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1043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11018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11227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2042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2050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2050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19961125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