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20000700Y1 - 마이컴 한 포트를 이용한 다기능 키 입력회로 - Google Patents

마이컴 한 포트를 이용한 다기능 키 입력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0700Y1
KR920000700Y1 KR2019880020934U KR880020934U KR920000700Y1 KR 920000700 Y1 KR920000700 Y1 KR 920000700Y1 KR 2019880020934 U KR2019880020934 U KR 2019880020934U KR 880020934 U KR880020934 U KR 880020934U KR 920000700 Y1 KR920000700 Y1 KR 9200007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data
key
output
signal
circu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209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2910U (ko
Inventor
최경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209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0700Y1/ko
Publication of KR9000129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291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07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700Y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4Arrangements for synchronous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마이컴 한 포트를 이용한 다기능 키 입력회로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부분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마이컴 20 : 키데이타 발생부
30 : 리모콘 수신부 G1 : 인버터
G2 : 앤드게이트 G3 : 오아게이트
본 고안은 기능 키(KEY)수행에 대한 전자기기의 다기능 키데이타 입력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의 기능키의 누름에 의한 데이타를 마이컴(Micom)의 한 포트(Port)에 입력할 수 있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최근에 제품의 다기능화 및 디스플레이(Display)의 다양화와 많은 수의 센서(Sensor)를 필요로 하는 경우 마이컴의 입출력포트수가 늘어나야만 되는데 마이컴의 입출력 포트수는 제한되어 있었다.
마이컴을 사용하는 종래의 전자기기의 키 입력회로는 다수의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키 매트릭스(MATRIX)를 상기 마이컴에 직접 연결함으로써, 기능을 추가할때 마다 키스캔포트 및 스캔 데이타 입력포트 확장에 대응하는 다수의 입출력 포트를 갖는 마이컴의 선정이 필요했었다.
또한, 리모콘에서 발생된 키데이타와 예 매트릭스에서 발생된 키를 마이컴의 서로 다른 포트로 입력시켰으므로 마이컴의 포트수의 증가로 인해 회로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에따라 제품 양산시 작업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다기능의 기 매트릭스의 키 누름 신호를 마이컴의 한 포트에 입력할 수 있어 마이컴의 나머지 포트를 다른 기능에 이용할 수 있는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리모콘 수신신호와 전면 판넬상에 부착된 키 신호중 한 신호만 입력되어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고안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회로도로서, 소정의 키데이타를 입력단자(RI)로 입려하여 해당 기능을 제어 처리하는 CPU(10)와, 키매트릭스(K)에 연결되어 상기 키매트릭스(K)의 키누름 상태에 따른 키데이타를 발생하는 키데이타 발생부(20)와, 원격(무선)으로 입력되는 신호에 따른 키 데이타를 발생하는 리모콘 수신부(30)와, 저항(R) 및 캐패시터로 이루어진 적분수단과 인버터(G1)로 구성되어 상기 키데이타 발생부(20)에서 출력되는 키데이타를 검출하여 디세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디세이블 신호생성수단과, 앤드게이트(G2), 오아게이트(G3)로 구성되어 상기 키데이타 발생부(20)와 상기 리모콘 수신부(30)의 출력단자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키데이타 발생부(20)와 상기 리모콘 수신부(30)으로 부터 출력되는 키데이타중 하나를 상기 마이컴(10)의 입력단자(RI)에 전송하고 상기 디세이블 신호 생성수단에서 출력되는 디세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리모콘 수신부(30)에서 입력되는 키데이타를 차단하는 키데이타 선택수단으로 구성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부분 파형도로서, (a)는 제품에 내장된 키 데이타발생부 (20)의 키 데이타 출력파형이고, (b)는 적분 수단의 출력파형이며, (c)는 인버터(G1)의 출력파형이고, 상기 파형들에서 (A) 및 (C)부분은 키를 누르지 않은 상태의 파형이며, (B)부분은 키 누름상태의 파형이다.
상술한 구성에 의거 본 고안을 제1-2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제1도의 리모콘 수신부(30) 및 키 매트릭스(K)는 제품의 전면판넬 (PANNEL)에 위치하며 키는 제품을 동작시키는 각종의 다 기능키이다.
리모콘 전송 집적회로와 같은 집적회로로 이루어져 제품에 내장되어 있는 키 데이타발생부(20)의 키스캔단자(S1, S2, S3…)와 스캔데이타 입력단자(D1, D2, D3…)사이에 키 매트릭스(K)를 연결한다. 상기 키매트릭스(K)의 기능 키를 누르면 키스캐닝 (Scanning)을 하는 키스캔단자(S1, S2, S3…)를 통해 상기 키 데이타발생부(20)의 스캔데이타 입력단자(D1, D2, D3…)에서 키를 인지하여 키 데이타 출력단자(K0)를 통해 키 데이타가 발생되어 출력한다. 상기 키 데이타는 제2도의 (a)의 (B)부분의 파형과 같으며, 이 파형과 같이 키를 누른상태에는 하이 또는 로우의 데이타가 키 데이타발생부(20) 내부에서 세팅(Setting)된 상태로 출력된다. 이때 키를 누르지 않은 상태이면 항상 제2도의 (A) 및 (C)부분의 로우신호가 키 데이타발생부 (20)의 키데이타 출력단자(K0)로 출력하게 된다. 상기 키메트릭스(K)의 키를 눌렀을때 키 데이타 출력단자 (K0)로 출력되는 신호는 라인(1)을 통해 디세이블 생성수단으로 인가되어 파형 정형되어 디세이블 신호로 출력된다. 상기 디세이블 신호를 생성하는 디세이블 신호 생성수단의 동작을 보면 상기 키데이타 발생부(20)에서 발생되는 키데이타는 적분수단인 저항(R) 및 캐패시터(C)로 인가된다. 상기 저항(R) 및 캐패시터(C)를 거친 신호는 RC 시정수로 직류화하여 파형 정형됨으로 제2도의 (b)의 (B)부분의 파형과 같다. 상기 적분 수단에서 출력된 파형은 라인(2)을 통해 슈미트 트리거용 인버터(G1)로 입력하여 반전되어 제2도의 (c)의 (B)부분과 같은 파형을 출력한다. 그래서 상기 키메트릭스 (K)에서 키를 누를 경우에는 상기 인버터(G1) 출력단자로 로우신호가 출력하게 되는데 상기 로우신호가 디세이블 신호가 된다.
상기 디세이블 생성수단에서 출력된 로우신호는 라인(3)을 통해 앤드게이트 (G2) 제1입력단자로 입력하고 리모콘 수신부(30)의 출력신호가 앤드게이트(G2) 제2입력단자로 입력하게 된다. 상기 앤드게이트(G2)는 키메트릭스(K)의 키를 누를 경우에는 상기 리모콘 수신부(30)의 출력신호에 관계없이 앤드게이트(G2)의 출력단자로 로우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로우 신호는 리모콘 수신부(30)의 출력신호를 디세이블(DISABLE)하고 오아게이트(G3)의 제2입력단자로 입력한다. 그리고 상기 라인(1)을 통한 신호는 오아게이트(G3)의 제1입력단자로 입력한다. 그러므로 상기 오아게이트(G3)는 제2입력단자로 로우신호가 인가되므로 키 데이타 발생부(20)의 키 데이타 출력단자(K0)로 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선택 출력하게 된다. 상기 오아게이트(G3)의 출력신호는 마이컴(10)의 입력단자(Ri)로 인가된다. 또한 상기 키 데이타 발생부(20)에 연결된 키메트릭스 (K)에서 키를 누르지 않을때는 상기 키 데이타 발생부(20)의 키 데이타 출력단자(K0)로 로우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로우신호는 라인(1) 및 적분수단을 통해 인버터(G1)로 인가되어 인버터(G1)의 출력단자로 하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하이신호는 제2도 (c)의 (A)부분의 파형이다.
상기 하이신호가 라인(3)을 통해 앤드게이트(G2)의 제1입력단자로 인가되어 상기 앤드게이트(G2)를 인에이블(Enable)시킨다. 그러므로 상기 앤드게이트(G2)는 제2입력단자로 입력되는 리모콘 수신부(30)의 출력신호를 출력단자로 출력한다. 상기 앤드게이트(G2)의 출력신호와 키 데이타 발생부(20)의 출력신호는 오아게이트(G3)의 제1-제2입력단으로 각각 인가된다. 이때 상기 키데이타 발생부(20)의 출력신호가 로우 상태이르모 상기 오아게이트(G3)는 출력단자로 상기 앤드게이트(G2)에서 출력된 키데이타를 선택 출력하게 된다. 상기 오아게이트(G3)출력된 키데이타는 마이컴(10)의 입력단자(Ri)로 입력된다. 그래서 상기 마이컴(30)은 입력포트(RI) 하나만으로 제품의 전면판넬에 있는 모든 기능을 입력하며, 리모콘 수신신호와 전면 판넬상의 키 입력중 한 신호만 선택 입력하여 있어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다기능키 매트릭스를 구비한 전자기기에서 리모콘에 의해 발생된 키신호나 매트릭스에 의해 발생된 키 신호를 마이컴의 포트로 입력시킴으로서 기능이 추가될때마다 마이컴포트수를 증가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마이컴의 입출력포트를 절약할 수 있는 또한 하나의 입출력포트로 디스플레이 및 각종 센서등의 입출력을 위한 기능을 수행 할수 있어 마이컴의 활용도 및 제품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마이컴(10)과, 리모콘 수신부(30)를 구비한 다기능키 입력회로에 있어서, 키매트릭스(K)의 키누름 상태에 따른 키데이타를 발생하는 키데이타 발생회로(20)와, 상기 키데이타 발생회로(20)에서 출력되는 키데이타를 검출하여 디세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디세이블 신호 생성 수단과, 상기 키데이타 발생회로(20)와 상기 리모콘 수신부(30)의 출력단자에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키데이타 발생회로(20)와 상기 리모콘 수신부(30)으로 부터 출력되는 키데이타중 하나를 상기 마이컴(10)에 전송하고 상기 디세이블 신호 생성수단에서 출력되는 디세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리모콘 수신부(30)에서 입력되는 키데이타를 차단하는 키데이타 선택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키 입력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세이블 생성수단이 상기 키데이타 발생회로(10)에서 출력되는 키데이타를 적분하는 적분수단과, 상기 적분수단에서 적분된 신호를 반전 출력하는 인버터(G1)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키 입력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데이타 선택수단이 선택된 키데이타를 상기 마이컴 (10)의 한 포트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키 입력회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분수단이 상기 키데이타 발생회로(10)으로 출력되는 키데이타를 파형 정형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키 입력회로.
KR2019880020934U 1988-12-17 1988-12-17 마이컴 한 포트를 이용한 다기능 키 입력회로 Expired KR9200007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20934U KR920000700Y1 (ko) 1988-12-17 1988-12-17 마이컴 한 포트를 이용한 다기능 키 입력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20934U KR920000700Y1 (ko) 1988-12-17 1988-12-17 마이컴 한 포트를 이용한 다기능 키 입력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2910U KR900012910U (ko) 1990-07-04
KR920000700Y1 true KR920000700Y1 (ko) 1992-01-20

Family

ID=19282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20934U Expired KR920000700Y1 (ko) 1988-12-17 1988-12-17 마이컴 한 포트를 이용한 다기능 키 입력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070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2910U (ko) 1990-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0700Y1 (ko) 마이컴 한 포트를 이용한 다기능 키 입력회로
US5702625A (en) Encoder key input device for a microwave oven and interrupt processing method using the same
US6191709B1 (en) Keyboard with separated keyboard frames and portable computer having the same
KR930003406B1 (ko) 키 스캔닝 장치 및 방법
KR0120708Y1 (ko) 리모콘의 오동작 표시장치
KR100442370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키 스캔장치 및 방법
KR100594081B1 (ko) 통신 단말 장치에서 문자 입력 방법_
KR0143285B1 (ko) 리모콘의 비밀번호 제어방법
KR920006747Y1 (ko) 브이티알의 이중 기능 키이회로
KR940002729Y1 (ko) 공통 키매트릭스를 갖는 리모트 콘트롤러
KR880000501B1 (ko) 다기능 파워 콘트롤러
KR940001509B1 (ko) 키메트릭스 제어회로
KR0170142B1 (ko) 초간편 원격조정기
KR0136470B1 (ko) 리모콘 송신부의 제어장치
KR930006699Y1 (ko) 매트릭스 키보드
KR0165396B1 (ko) 컨버젼스 조정장치
KR100237242B1 (ko) 커서제어 스위치 시스템의 커서제어 방법
JPH0553706A (ja) キー入力回路およびキー入力検出方法
JPS5852726A (ja) 電子機器
KR930003625B1 (ko) 가정용 오락기의 사업용화 제어장치
JPH04132493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送信装置
KR20000005271U (ko) 키패드 상태 스캐닝 로직을 이용한 스위치 상태검출 회로
KR960011704B1 (ko) 광 다이얼을 이용한 숫자표시장치
SU1691829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ввода информации
JPS6243211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881217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881217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10731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11223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2042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2042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2042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412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512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612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08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9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08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