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20000650B1 - 직기용 회전 바디장치 - Google Patents

직기용 회전 바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0650B1
KR920000650B1 KR1019900000706A KR900000706A KR920000650B1 KR 920000650 B1 KR920000650 B1 KR 920000650B1 KR 1019900000706 A KR1019900000706 A KR 1019900000706A KR 900000706 A KR900000706 A KR 900000706A KR 920000650 B1 KR920000650 B1 KR 920000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body
gear
central axis
rotating
loo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0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4549A (ko
Inventor
차문규
Original Assignee
차문규
허상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문규, 허상구 filed Critical 차문규
Priority to KR1019900000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0650B1/ko
Publication of KR910014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45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0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650B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3/00Weavers' tools, e.g. knot-tying tools
    • D03J3/02Reed and heald hoo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직기용 회전 바디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사시도.
제2a,b,c도는 본 발명 바디침 운동상태를 차례로 나타낸 측면구성도.
(a)는 최대로 개구된 경사 사이에 위치한 회전바디의 안내홈에 위사가 위입된 상태도.
(b)는 위입 직후 회전 바디의 회전으로 위사가 직전 쪽으로 밀려가는 상태도.
(c)는 위입된 위사가 원형 바디의 정점에 의해 직전까지 밀려가서 완전히 바디침 된 상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작동기어와 간헐기어가 치합된 상태의 측면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회전바디 2, 2′ : 안내홈
3, 3′ : 제 1 만곡면 4, 4′ : 제 2 만곡면
5, 5′ : 정점 10, 10′ : 걸림편
11 : 간헐기어 14 : 작동기어
15, 15′: 작동홈
본 발명은 직기에 있어 위입된 위사를 직전까지 밀어주는 바디를 회전식으로 함으로서 작동소음과 직기의 진동 없이 적은 동력으로도 바디침운동이 고속으로 경쾌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회전바디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크랭크샤프트와 바디를 코넥팅로드로 연결하여 크랭크샤프트의 회전운동을 코넥팅로드가 직선왕복운동으로 변경하여 줌으로서 바디가 왕복 운동하여 바디침을 하도록 한 것이기 때문에 운동방향전환과 바디의 왕복 운동에 많은 동력이 소모되고 진동과 소음이 심할 뿐 아니라 빠른 속도로 바디를 왕복 운동케 함에 따라 직기의 작동에 많은 무리가 가중되고 왕복운동은 회전운동과 달리 운동속도를 일정속도이상 빠르게 하기가 곤란하므로 생산성 향상에도 장애가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양측에 안내홈을 대칭으로 형성하고 안내홈에서부터 정점까지는 점차 중심 축으로부터 멀어지는 제 1 만곡면을 형성하고 정점에서부터 다음 안내홈까지는 점차 중심 축에 가까워지도록 제 2 만곡면을 형성하여서된 다수의 회전바디를 축봉에 일정간격으로 굴대설치하고 축봉이 작동기어와 간헐기어에 의하여 간헐적으로 회전토록 함으로서 안내홈을 따라 위사가 위입될때는 회전바디의 회전이 일시 정지되고 위입이 완료되면 회전바디가 회전함으로서 중심 축으로부터 멀어지는 제 1 만곡면이 위사를 밀어 정점에서 바디침이 되게 하고 정점을 지나면 축봉에 가까워지는 제 2 만곡면에 의하여 위사로부터 물러나도록 하며 다시 안내홈이 위입위치에 오면 회전이 정지하여 위사가 위입되는 작동의 연속반복으로 바디침이 계속되도록 한 것으로서 이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양측에 안내홈(2)(2′)이 대칭으로 형성되고 이들 안내홈(2)(2′) 사이에 제 1 만곡면(3)(3′)과 제 2 만곡면(4)(4′)을 대칭으로 형성하되 제 1 만곡면(3)(3′)은 안내홈(2)(2′)에서 정점(5)(5′)으로 갈수록 점차 중심 축으로부터 멀어지고 제 2 만곡면(4)(4′)은 정점(5)(5′)에서 안내홈(2)(2′)으로 가면서 점차 중심 축에 가까워지도록 함으로서 안내홈(2)(2′)이 중심 축에 가장 가깝고 정점(5)(5′)이 가장 멀리 위치하도록 회전바디(1)를 구성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안내홈(2)(2′)은 위사의 위입위치와 일치토록 하고 정점(5)(5′)은 바디침이 완료되는 지점까지 위입된 위사를 밀고 갈 수 있도록 안내홈(2)(2′)과 정점(5)(5′)의 위치를 정하고 그사이에 중심 축으로부터 점차 멀어지는 제 1 만곡면(3)(3′)과 중심 축에 가까워지는 제 2 만곡면(4)(4′)을 형성한 것이다.
이렇게 구성된 다수의 회전바디(1)를 축봉(6)에 간격유지링(7)과 교호로 굴대설치하여 회전바디(1)사이에 일정간격이 유지되게 하고 회전바디(1)하부에도 다수의 안내편(8)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안내구(9)를 설치하여 각 안내편(8)사이에 개개의 회전바디(1)가 위치토록 하였다.
회전바디(1)의 축봉(6)은 직기의 양측 프레임(도시 안됨)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하되 회전바디(1)의 안내홈(2)이 최전방에 위치할 때 위사의 위입 통로와 일치하도록 위치를 정하여 설치하고 축봉(6)의 일측에는 걸림편(10)(10′)이 대향으로 돌출된 간헐기어(11)를 굴대설치하였으며 이때 걸림편(10)(10′)은 회전바디(1)의 안내홈(2)(2′)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하였다.
축봉(6)의 뒤쪽(대체로 종래의 크랭크샤프트 위치)에 구동모터(도시안됨)와 벨트(12)로 연결된 회전축봉(13)을 역시 직기의 프레임상에 설치하고 이 회전축봉(13)에 간헐기어(11)와 치합하는 작동기어(14)를 굴대 설치하되 작동기어(14) 양측에 대향으로 형성된 작동홈(15)(15′)에 걸림편(10)(10′)이 들어가 걸리도록 하여서된 것이다.
미설명부호 (16)은 직기의 프레임상에 설치된 안내구 고정용 지지간, (17)은 풀리, (18)은 경사, (19)은 위사, (20)은 직물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경사(18)의 개구운동이 간격유지링(7)에 의하여 간격이 유지되는 회전바디(1) 사이에서 자유롭게 이루어지며 구동모터에 의하여 작동기어(14)가 회전하면 간헐기어(11)도 회전하나 간헐기어(11)의 일측 걸림편(10′)이 작동기어(14)의 일측 작동홈(15′)에 삽입되면 작동기어914)는 계속회전하여도 작동홈(15′)의 한쪽 내벽(A)에서 다른쪽 내벽(A′)까지 사이에서는 걸림편(10′)을 밀어주는 힘이 없으므로 간헐기어(11)의 회전이 일시정지된다.
이때 경사(18)의 개구폭은 “제2a도”에서와 같이 최대치에 이르게 되고 원형바디(1)의 일측 안내홈(2)은 최전방에 위치하게 되어 위사의 위입통로와 일치하며 회전도 잠시 정지하므로 그 순간 샷틀이 안내홈(2)의 개구사이를 지나 위사(19)를 위입하게 된다.
위사(19)의 위입이 완료되면 작동홈(15′)의 다른 쪽 내벽(A′)이 걸림편(10′)을 밀어주므로 간헐기어(11)가 다시 회전하고 회전바디(1)도 시계반대방향으로(제2도의 화살표방향)으로 회전하며 경사(18)는 서서히 폐구되고 안내홈(2)을 따라 위입된 위사(19)는 “제2b,c도”에서와 같이 회전하는 경우 일측 제 1 만곡면(3)에 의하여 직물(20)쪽으로 밀려가고 정점(5)에 의하여 바디침위치인 직전까지 밀려가며 이때 경사(18)가 완전히 폐구되어 제직이 이루어진다.
계속되는 회전바디(1)의 회전으로 일측 정점(5)을 지나면 일측 제 2 만곡면(4)에 의하여 회전바디(1)는 점차 직전으로부터 멀어지고 타측 안내홈(2′)이 최전방으로 이동하여 위사 통로와 일치하면 다시 타측 걸림편(10)과 작동홈(15)에 의하여 회전바디(1)가 일시 정지하여 위사(19)가 위입되고 타측 제 1 만곡면(3′)과 정점(5′)에 의하여 위사(19)가 밀려가 바디침이 되고 경사(18)가 폐구되어 제직이 이루어지는 작용의 연속반복으로 제직이 진행된다.
원형바디(1)의 회전속도는 개구와 바디침의 운동속도에 따라 작동기어(4)와 간헐기어(11)의 크기를 조절하므로서 임으로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바디침운동을 회전바디(1)의 회전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하므로서 종래와 같이 모터의 회전운동을 직선왕복운동으로 전환할 필요가 없어 운동방향전환과 바디의 직선왕복운동에 따른 많은 동력소모와 진동 및 소음을 대폭 줄어들게 하므로서 작업환경을 개선하고 적은 동력으로도 바디침운동이 가능토록하고 직기에 무리가 없어 사용수명이 연장되고 직선왕복 운동에 비하여 무리없이 고속회전이 가능하므로 생산성이 향상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안내홈(2)(2′)과 제 1 만곡면(3)(3′)과 정점(5)(5′) 및 제 2 만곡면(4)(4′)이 형성된 다수의 회전바디(1)를 일정간격이 유지되도록 축봉(6)에 굴대설치하고 축봉(6)일측에 걸림편(10)(10′)이 돌출된 간헐기어(11)를 굴대설치하고 구동모터와 연결된 회전축봉(13)에 작동홈(15)(15′)이 형성된 작동기어(14)를 굴대설치하여 간헐기어(11)와 서로 치압되게 하여서 된 직기용 회전바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회전바디(1)의 안내홈(2)(2′)은 중심축에 가장 가깝고 정점(5)(5′)은 중심축에서 가장 멀도록 형성하며 제 1 만곡면(3)(3′)은 중심축에서 점차 멀어지도록하고 제 2 만곡면(4)(4′)은 중심축에 점차 가까워지도록 형성하여서됨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용 회전바디장치.
KR1019900000706A 1990-01-18 1990-01-18 직기용 회전 바디장치 Expired KR9200006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00706A KR920000650B1 (ko) 1990-01-18 1990-01-18 직기용 회전 바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00706A KR920000650B1 (ko) 1990-01-18 1990-01-18 직기용 회전 바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4549A KR910014549A (ko) 1991-08-31
KR920000650B1 true KR920000650B1 (ko) 1992-01-20

Family

ID=19295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0706A Expired KR920000650B1 (ko) 1990-01-18 1990-01-18 직기용 회전 바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065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4549A (ko) 1991-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0650B1 (ko) 직기용 회전 바디장치
US4385649A (en) Device for programmed change of position of nozzles in jet looms
US2888956A (en) Filling carrier drive for shuttleless looms
US4901768A (en) Picking apparatus for a loom
KR920009210B1 (ko) 북 없는 직기의 위사 삽입 부재 이동 제어 장치
US2066532A (en) Loom
US4580605A (en) Leno selvedge forming device
US4427037A (en) Shuttleless looms
US4111240A (en) Loom drive mechanism
GB2073789A (en) Tape drives
US3124165A (en) Drive mechanism for high production loom
US4259996A (en) Shuttleless loom
US3378041A (en) Shuttle drive
KR200173021Y1 (ko) 실권취용 와인더기
CN219239901U (zh) 一种适配剑杆织机剑带导向装置
US3682204A (en) Weaving looms with external weft reserve
KR960031672A (ko) 레비어 직기에 있어서의 씨실 삽입장치
CN110937466A (zh) 一种自动化纺织机械用防绞纱装置
US3884275A (en) Devices for the actuation of lances in looms without shuttles
KR940001737Y1 (ko) 레피어직기의 레피어와 리드의 구동장치
CN112093578A (zh) 一种纺织机械用连续绕线装置
CN110331492A (zh) 一种变交机构及其丝网编织设备
US4051873A (en) Weft yarn carrier
CN222251245U (zh) 一种主动轴
KR200235282Y1 (ko) 실린더의 회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001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001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11214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20407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