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20000459B1 - 다당류 유도체가 도포된 인공혈관과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다당류 유도체가 도포된 인공혈관과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0459B1
KR920000459B1 KR1019890018490A KR890018490A KR920000459B1 KR 920000459 B1 KR920000459 B1 KR 920000459B1 KR 1019890018490 A KR1019890018490 A KR 1019890018490A KR 890018490 A KR890018490 A KR 890018490A KR 920000459 B1 KR920000459 B1 KR 9200004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ficial blood
blood vessels
polysaccharide
blood vessel
derivati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8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1226A (ko
Inventor
이해방
신병철
강길선
이진호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한국화학연구소
채영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한국화학연구소, 채영복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한국화학연구소
Priority to KR1019890018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0459B1/ko
Priority to JP2410150A priority patent/JPH0785745B2/ja
Publication of KR910011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12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0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459B1/ko
Priority to US08/147,923 priority patent/US5415619A/en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7/20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28Materials for coating prostheses
    • A61L27/34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3/00Antithrombogenic treatment of surgical articles, e.g. sutures, catheters, prostheses, or of articles for the manipulation or conditioning of blood; Materials for such treatment
    • A61L33/0005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33/0011Anticoagulant, e.g. heparin, platelet aggregation inhibitor, fibrinolytic agent, other than enzymes, attached to the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3/00Antithrombogenic treatment of surgical articles, e.g. sutures, catheters, prostheses, or of articles for the manipulation or conditioning of blood; Materials for such treatment
    • A61L33/0005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33/0064Hydrogels or hydrocollo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6Blood vesse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mat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다당류 유도체가 도포된 인공혈관과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혈관이식 재료로 사용하는 다당류 유도체가 도포된 인공혈관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에스테르를 소재로하여 직조된 인공혈관의 직물조직 사이에다 다당류나 이를 변성시킨 다당류를 도포해줌으로써, 혈관벽면의 공극률을 감소시켜 혈액누출을 막아주어서 예비응혈과정이 불필요한 새로운 인공혈관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공장기용 재료는 생체내에서 예컨대 독성, 발암성, 발열성, 알레르기성의 위해작용이나 조직반응 및 피부반응 등에 부작용이 없어야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인공혈관은 그 재료의 종류에 따라 조직세포의 성장속도와 특성이 달라지게 되는데, 외과적으로 손상된 혈관은 대체 이식하기 위해 사용되는 인공혈관의 재료는 항혈전성을 가져야 함은 물론이거나와 유연성을 가져야 하며 직조하기에도 수월해야 한다.
종래에 사용되던 인공혈관재료로서는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폴리프로필렌, 폴리아실로니트릴 등이 직조되어 사용되어 왔으나 체내에 장기간 사용시 재료의 물성이 거의 변하지 않는 PTFE, 폴리에스테르 등이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중에서도 폴리에스테르, 특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상품명 Dacron)는 다루기가 쉽고 직조가 용이하기 때문에 인공혈관의 재료로 가장 널리 쓰이고 있다.
이러한 고분자재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표면특성을 향상시키거나 적당한 고분자재료를 사용하여 혈전을 감소시키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는바, 예컨대 폴리에스테르로 직조된 혈관표면에 피롤리틱카본(Pyrolytic carbon)이 도포된 인공혈관이 초저온동위원소(ULTI ; Ulfra-low-temperature isotropic deposition) 침적기술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이는 항혈전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F. Unger, “Assisted Circulation”, Academic Press, New York, P520(1979)].
또한, 이러한 고분자재료를 이용하는 경우, 제료의 직조상태나 다공성정도 역시 영향을 크게 미치는데, 인공혈관의 재료로서 최적 다공도는 120mmHg의 압력에서 직포단위면적당 통과하는 물의 량이 500~5000ml/min 정도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S.A.Wesolowskl et al., Ann. N. Y. Acad. Sci., 146,325(1968)].
만일, 다공도가 상기 범위보다 낮게되면 조직세포성장이 힘들게 되고, 다공도가 상기 범위보다 높게되면 혈액이 과다하게 누출되어 좋지 않게 된다.
그 외에도 인공혈관으로 사용되는 직포의 두께도 혈전형성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직포가 얇으면 얇을수록 혈전이 작고 얇게 형성되는 것을 알려져 있으며, 또한 인공혈전이 굽어질 때 접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튜브로 직조된 혈관을 주름가공(Crimping)한 주름관형태의 인공혈관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고분자재료로 제조된 인공혈관은 환자에게 외과적으로 시술하기 전에 항원성이 없는 환자 자신의 혈액으로 예비응혈을 시켜 혈관벽을 통한 혈액누출을 방지해서 사용해야 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이 과정에서 예상치 않은 병균감염의 우려가 있고, 예비응혈의 잘못으로 인해 이식수술이 실패하는 경우도 있게 된다. 특히 출혈이 심한 응급환자의 경우, 예비응혈 과정을 거치는 것이 상당히 치명적이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최근에 들어서는 인공혈관을 예비응혈시키지 않고 혈관을 접합(anastomose) 시키는 방법이 개발되어지고 있다. 즉, 폴리에스테르섬유로 직조된 인공혈관에 콜라겐(Type I/Ⅲ)용액을 부어서 도포하고, 여기에다 비독성 글루타알데히드로 가교시키고 내피세포성장인자로 작용할 수 있는 콜라겐(Type Ⅳ)을 그위에 부착시켜서 인공혈관을 제조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있으며[R. Schmidt, et al., “Recent Advances in vascular Grafting”, System 4 Associates, Garrards Cross U.K., PP39~42(1985) ; Williams, Stuart Konradd, Eur, Patent O 206 025(A2)], 상기의 콜라겐 도포방법과 한편 유사하게 알부민을 알데히드로 가교시켜 줌으로써 예비응고를 시키지 않고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인공혈관이 개발되어 있다[R. Guidoin, et al., Ann. Thorac. Surg. 37:457~465,(1984) : T.M.S.Chang. Can. J. Physiol. Pharmacol., 52:275~285, (19741)].
또한, 인체구성 단백질중 신축성이 우수한 엘라스틴을 용해시켜서 이것을 폴리에스테르 인공혈관에 도포시킨 후에 가교시켜서 사용하도록 된 인공혈관 제조기술도 알려져 있다[D.W.Urry et al., J. Biomed. Mater. Res., 16;11~16(1982)].
그러나, 상기와 같이 직조된 인공혈관에다 알부민, 콜라겐 또는 엘라스틴과 같은 단백질을 도포하여 사용하는 경우, 그 인공혈관의 제조시나 보존시 단백질이 쉽게 변형이 되고, 에탄올이나 글루타알데히드 등의 사용으로 인하여 혈관이 부드럽지 못하게 되고 잘 부스러지는 문제가 있을뿐 아니라, 사용하기전에 생리식염수내에서 상기 도포된 단백질성 물질을 다시 팽윤시켜서 사용해야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는 글리세린을 함유시켜서 사용하게 되면 어느정도 해결할 수는 있으나 만족할만한 정도는 되지 못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인공장기로 사용되는 인공혈관, 특히 혈액적합성재료를 도포한 인공혈관이 갖추어야 할 바람직한 조건을 열거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봉합수술하기에 쉽고 표면이 부드러우며 잘 휘어지는 것이어야 한다.
둘째, 수술하기전에 생리식염수로 세척하거나 팽윤시킬 필요가 없이 즉시 수술에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예비응혈 과정을 거치지 않아야 한다.
넷째, 체내이식후 초기에 인공혈관을 통한 내부출혈을 방지하기에 충분한 정도로 물의 투과성이 낮아야 한다.
다섯째, 수술후 수시간내에 발열반응이 나타나지 않아야 하고, 오랜시간동안 조직반응이 나타나지 않아야 한다.
여섯째, 내피세포의 부착과 피막형성이 빠르게 형성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바람직한 제조건을 가지는 개량된 인공혈관을 제조하기 위해 부단히 연구해온 결과, 폴리에스테르섬유로 직조된 다공성 인공혈관의 소수성 표면을 개질시켜서 표면처리한 후, 생체분해성 물질인 다당류 및 그의 유도체를 도포하여 줌으로써, 상기의 바람직한 제조건을 모두 만족시켜 줄 수 있는 개량된 인공혈관을 제조할 수가 있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섬유로 직조된 인공혈관을 표면처리시키고 다당류 또는 그 유도체를 도포시켜서된 개량된 인공혈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섬유로 직조된 인공혈관의 표면에 생체분해성, 혈액적합성 재료가 도포된 인공혈관에 있어서, 상기 인공혈관의 표면에 분자사슬내에 카르복시기를 가지고 있는 다당류 또는 그 유도체가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섬유로 직조된 인공혈관의 표면에 생체분해성, 혈액적합성 재료를 도포시켜 인공혈관을 제조함에 있어서, 상기 인공혈관의 표면를 화학적 또는 물리적처리방법으로 친수화처리시킨 다음, 여기에다 다당류 또는 그 유도체를 도포시켜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는 폴리에스테르섬유로 직조된 인공혈관의 소수성 표면을 화학적 또는 물리적 처리방법으로 친수화처리시켜서 친수성을 증가시키고, 여기에다 생체분해성, 혈액적합성 재료로서 다당류 또는 그 유도체를 도포시키되 다당류 또는 그 유도체를 금속이온으로 킬레케이트 결합시키거나 물리적 흡착방법으로 도포시켜 줌으로써, 결합특성이 증가되도록 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인공혈관의 표면을 친수화처리시키기 위해서 화학적처리 또는 물리적처리를 하는데, 화학적 친수화처리는 황산 또는 과염소산으로 직조혈관 표면을 산화시키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고, 물리적 친수화처리는 플라즈마방전이나 코로나방전으로 직조혈관의 섬유표면을 처리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가 있다.
이대, 황산처리는 부피비로 진한황산 10~80%, 산화크롬 10~80%, 증류수 20~80%로 조성된 용액에 폴리에스테르 직조인공혈관을 침적시켜서 산화시킨다. 이렇게 황산용액으로 섬유표면을 처리시켜 주게 되면 술폰화반응(Sulfonation)에 의해 고분자섬유표면이 음전하를 띠게 되어 표면의 친수성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과산화처리는 부피비로 30~90%의 과염소산과 10~70%의 KClO3포화용액의 혼합용액을 이용하여 섬유표면을 처리시키는데, 이렇게 하면 섬유표면은 수산기(Hydroxy group)를 많이 포함하게 되어 친수성이 증가하게 된다.
한편, 물리적 친수화처리로서의 플라즈마 또는 코로나방전처리는 전압에 의해 고주파를 발생시켜서 생성된 고주파방전이 전극으로부터 방전되어 주위의 기체층을 활성화시키고, 그 활성화된 이온이나 라디칼이 섬유표면과 반응을 일으켜서 산화층을 형성함으로써 친수성을 증가시키는 원리를 이용한 처리방법이다.
이와 같이, 폴리에스테르로 직조된 인공혈관 표면을 화학적 또는 물리적처리하여서 얻어진 친수화처리된 고분자표면을 표면분석기인 E.S.C.A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는바, 그 결과는 다음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표 1]
Figure kpo00001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친수화처리를 한 경우, 폴리에스테르 표면의 산화반응이 진행된 결과로 C-C 결합의 감소와 C-OH/C-O-C 및 C=O 결합의 증가는 표면의 산화가 이루어짐으로써 친수성이 증가된 것을 나타내 주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표면처리된 직조인공혈관에 혈액적합성 재료를 도포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생체분해성, 혈액접합성 재료로는 다당류 또는 그의 유도체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다당류 또는 그의 유도체로서는 예컨대, 셀룰로오스, 변성셀룰로오스(C.M.C), 알긴산 또는 알긴산염, 카르복시메틸알긴산염(C.M.A), 펙틴, 카라기난, 키틴 또는 키토산, 잔탄검, 전분 또는 변성전분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은 알콜정제 등을 거쳐서 사용하거나, 화학적인 변성을 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분자사슬내에 카르복시기를 갖도록 화학구조를 변형시켜서 수용성을 증가시키고 혈액응고성과 수팽윤성을 향상시켜 사용하면 좋은데, 상기와 같은 다당류의 주사슬내에 카르복시기를 함유하게 하는 방법은 분자사슬내에 수산기(-OH)를 가성소오다로 처리하여 알칼리화시킨 상태에서 클로로아세트산염을 첨가하므로서 카르복시 메틸화된 반응물을 얻도록 한다. 이렇게 하면 수산기의 반응정도를 나타내는 에테르화도가 0.64~3 사이에 이르는 반응물을 얻을 수 있게 된다. 그 다음에는 이를 알코올 농도가 20~80%되게 변화시켜서 반응물을 계속 교반, 세척하므로서 정제할 수 있으며, 80℃이하의 건조기에서 건조시킨다.
이와 같이 알코올 정제하여 얻은 다당류나 카르복시화 반응(Carboxylation)으로 변성시킨 유도체들은 상기 친수화처리된 인공혈관에 도포물질로 사용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표면처리된 인공혈관에 도포된 다당류는 직조된 폴리에스테르 섬유표면과 물리적인 흡착에 의해 결합되어지거나 금속이온에 의한 카르복시관능기의 킬레케이트 형성으로 화학적 결합을 동반하게 된다. 이를 도식화하면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다음에서 “A”는 친수화된 폴리에스테르 표면을 나타낸다.
[예 1]
Figure kpo00002
한편, 친수화된 폴리에스테르섬유는 상기 표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그 표면에 수산기가 많이 분포되어 있으므로, 다당류를 바람직하게 도포시키려면 카르복시화시켜야 한다. 폴리에스테르섬유표면에서의 수산기의 카르복시화는 30%의 가성소오다 용액중에서 60℃의 온도로 약 1시간동안 알칼리화를 진행시키고, 수산기의 수소이온과 소디움이온의 교환반응으로 생성된 반응물을 꺼내어 78%의 클로로아세트산에 넣은 뒤 약 70℃에서 1시간동안 반응시켜 주게 되면 소디움이온과 아세트산의 치환반응으로 생성된 카르복시메틸화된 폴리에스테르섬유를 얻게 된다.
이렇게 처리된 섬유는 기존에 형성된 카르복시관능기이외에 수산기의 카르복시화반응으로 생성된 관능기를 포함하고 있어서, 알긴산과 같은 다당류와 친화성이 좋고 칼슘이온과 같은 다가이온을 첨가하게 되면 섬유표면과 서로 가교반응이 진행되어 결합력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다당류나 그의 유도체가 화학적 또는 물리적으로 결합도포된 인공혈관의 물투과성 및 공극률을 실험한 결과를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Figure kpo00003
상기의 물투과성과 공극률은 인공혈관을 인체에 이식할 경우 발생되는 내부출혈의 문제점과 외부로부터의 조직세포의 성장 및 내피세포증식에 영향을 주는 인자로서, 폴리에스테르섬유의 직조가 너무 조밀하게 되면 내부출혈의 문제는 해결되지만 조직세포의 성장에 방해가 되고, 그 직조가 엉성하면 그 반대로 문제가 생긴다. 따라서, 비교적 엉성한 직조를 가지면서 내부출혈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지금까지는 예비응혈을 사용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섬유에 생체분해성, 혈액적합성 물질을 도포하여 이식수술시 혈액누출을 막아주고, 이식후에는 도포물질이 체내에서 서서히 분해되면서 직조들 사이로 조직세포의 성장이 촉진되어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할 수가 있었다.
즉, 상기 표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공혈관(KR-평직)의 물투과성과 공극률은 쿨리-L.P 보다 매우 크게 나타났고, V.P 50K-삼중직 보다는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인공혈관을 다당류로 도포한 KR-도포직물은 알부민을 도포한 V.P 50K-도포직물에 비하여 물투과량이 현저하게 감소하였는바, 이는 도포된 물질이 물에 접촉하면서 팽윤되어 물의 투과를 억제할 결과이다. 또한 도포량에 관계없이 물이나 혈액에 접촉하여 도포된 물질이 팽윤된 겔상태로 존재하에 되므로서 매우 부드러운 상태를 유지하여 인공혈관 본래의 물성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한편, 예비응혈을 하지 않고서 직접 인공혈관을 이식시킬 경우 인공혈관표면에 빠른 혈액응고가 일어나서 표면을 도포해 버리므로서, 혈액의 내부출혈을 방지하고, 그 피막형성으로 인해 내피세포의 부착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표 2에 따른 인공혈관표면에 혈액응고 특성을 전혈응고시험법을 사용하여 측정한 결과를 다음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
Figure kpo00004
상기 표 3에서 보면, 다당류를 도포한 KR-도포직물은 2.6분으로서, 도포하지 아니한 폴리에스테르 인공혈관에 비하여 그 응고시간이 3~4배 정도 빠르게 나타났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인공혈관은 종래와는 달리 폴리에스테르섬유로 직조된 인공혈관의 소수성 표면을 화학적 또는 물리적처리로 친수화시켜서 친수성을 증가시키고, 여기에다 다당류 또는 그 유도체를 금속이온으로 킬레케이트 결합시키거나 물리적흡착으로 결합특성을 증가시키면서 도포하여 주었으며, 유연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섬유에 도포된 다당류에 글리세린을 첨가하여 사용시 혈액에 의해 겔화가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이렇게 하므로써 인공혈관을 수술하기 전에 생리식염수로 세척할 필요가 없으며, 취급이 쉽고 표면이 매우 부드러운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또한 섬유조직과 다당류의 결합이 비교적 강하여 생체내에서 혈류에 의해 도포된 물질이 떨어져 나올 가능성도 없게 된다. 그 뿐만 아니라 직조된 혈관표면을 단백질로 도포한 것보다 초기혈액응고가 빠르게 진행되고 도포된 물질에 의해 물의 투과성이 매우 낮게 되는 장점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폴리에스테르섬유로 직조된 통상의 주름관타입의 인공혈관을 0.25torr하의 진공반응기에 넣고, 여기에다 80ml/min의 속도로 산소를 공급하면서 50mA의 출력으로 상온에서 플라즈마를 발생시켜서 표면을 개질시켰다.
그후, 산소로 산화된 인공혈관을 꺼내어 1.5%(이하, 중량 %임) 알긴산염수용액에 담그어 진공오븐에서 기포를 완전히 제거하였다. 기포가 제거되면 알긴산염으로 도포된 인공혈관을 꺼내어 1% 염화칼슘용액에 침적하여 5분간 반응시킨 후, 다시 각각 80%, 95% 에탄올에 순서대로 침적하여 탈수시키고, 이것을 60℃ 진공건조기에서 건조시켰다. 건조된 인공혈관은 4% E.D.T.A 염에 30초간 적신후에 20%와 80% 에탄올로 계속 세척하여 건조하였다. 이렇게 제조한 인공혈관은 E.O gas나「-선(2.5Mard)으로 살균하여 인공혈관으로 사용한다.
[실시예 2]
폴리에스테르로 직조된 인공혈관 내부를 150mA의 출력을 갖는 코로나방전처리를 하여 내부표면을 개질하였다. 표면개질된 인공혈관을 30% 가성소오다용액에 넣고 60℃에서 30분간 처리하여 표면을 알칼리화시킨 다음, 이것을 2차 증류수로 pH가 7~8로 될 때까지 세척을 반복하였다.
그 다음에는 2~5%의 카르복시메틸알긴산염에 넣어 진공오븐에서 기포를 완전히 제거하였다. 기포가 제거되면 인공혈관을 꺼내어 2% 염화칼슘용액에 넣고 인공혈관표면에 생성된 카르복시관능기와 도포용액의 가교반응을 상온에서 5분간 진행시켰다. 이를 차례로 80%와 95%의 에탄올로 탈수, 건조한 후 10% 소디움아세테이트용액에 초산을 첨가하여 pH5.5로 조절한 다음 혈관을 넣어 30분간 교반하였다. 그후 이것을 꺼내어 20%와 80% 에탄올에서 탈수하여 진공건조기에서 건조시켰다. 이렇게 제조된 인공혈관은 E.O gas나「-선으로 살균하여 인공혈관으로 사용한다.
[실시예 3]
폴리에스테르로 직조된 인공혈관을 진한황산 30%, 산화크롬 30%, 증류수 40%가 함유된 용액에 넣고, 60℃에서 10분간 반응하여 표면을 개질하였다. 이를 40% 가성소다용액에 인공혈관을 넣은 다음 50℃에서 30분간 표면을 알칼리화하고, 이것을 3차 증류수로 수번 세척하여 미반응용액이 제거되도록 하였다.
그 다음에는 이를 4% 카르복시메틸알긴산염 용액에 침적시키고 진공오븐에서 기포를 제거하였다. 그후 2% 염화칼슘용액에서 5분간 가교시키고 에탄올로 탈수건조한 것을 실시예 2와 동일한 공정으로 진행하여 도포된 인공혈관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폴리에스테르로 직조된 인공혈관을 70% 과염소산과 KClO3포화용액을 3:2로 혼합한 용액에 담그어 60℃에서 10분간 처리한 다음, 이것을 꺼내어 증류수로 세척하고 40% 가성소오다용액에 60℃에서 20분간 표면을 알칼리화시켰다. 그후 이것을 80% 클로로아세트산 용액에 담그어 알칼리화된 표면에 카르복시메틸기가 결합하도록 70℃에서 1시간 반응시켰다.
이 반응후 용액의 pH가 7~8 범위가 되도록 소디움카보네이트를 첨가하고 미반응물이 제거될때까지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이렇게 하여 표면이 카르복시메틸화된 인공혈관을 1.5% 알긴산염수용액에 침적시키고, 진공오븐에서 탈기시켜서 2% 염화칼슘용액에서 5분간 가교시킨 다음, 실시예 2와 동일한 공정으로 실시하여 도포된 인공혈관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4의 실험결과를 토대로하여 알진을 도포한 인공혈관(Meadox, Microbel
Figure kpo00005
, Doulbevelour, 직경 6mm)을 살아있는 개의 대동맥에 예비응혈 과정없이 이식수술한 결과, 1년이상 아무 이상없이 개가 건강하게 살아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예비응혈과정을 거친후 이식된 것을 알진도포가 안된 Control 인공혈관과 해부, 비교해본 결과, 혈전이 얇고 조밀하게 형성되었고 혈관 내피세포 증식이 균일한 단일세포층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예비응혈과정을 거치는 기존 Dacron 인공혈관에 비해 본 특허에서 개발한 인공혈관은 예비응혈과정을 거치지 않으므로, 이식수술이 훨씬 간편하고, 이식후 생체적합성이 우수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Claims (10)

  1. 폴리에스테르섬유로 직조된 인공혈관의 표면에 생체분해성, 혈액적합성 재료가 도포된 인공혈관에 있어서, 상기 직조된 인공혈관의 표면에 생체분해성, 혈액적합성 재료로서 분자사슬내에 카르복시기를 가지고 있는 다당류 또는 그 유도체가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혈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당류 또는 그 유도체는 셀룰로오스, 변성셀룰로오스(C.M.C), 알긴산 또는 알긴산염, 카르복시메틸알긴산염(C.M.A), 펙틴, 카라기난, 키틴 또는 키토산, 잔탄검, 전분 또는 변성전분중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혈관.
  3. 폴리에스테르로 직조된 인공혈관의 표면에 생체분해성, 혈액적합성 재료를 도포시켜서 인공혈관을 제조함에 있어서, 상기 직조된 인공혈관의 표면을 화학적 또는 물리적 처리방법으로 친수화처리시킨 다음, 여기에다 다당류 또는 그 유도체를 도포시켜서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혈관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적 친수화처리는 황산처리 또는 과산화처리로 시행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혈관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황산처리는 부피비로 진한황산 10~80%, 산화크롬 10~80% 및 증류수 20~80%로 조성된 용액에 상기 직조된 인공혈관을 침적시켜서 산화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혈관의 제조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과산화처리는 부피비로 30~90%의 과염소산과 10~70%의 KClO3포화용액으로 이루어진 혼합용액을 사용하여 처리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혈관의 제조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적 친수화처리는 플라즈마처리 또는 고주파방전처리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혈관의 제조방법.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당류 또는 그 유도체로서는 셀룰로오스, 변성셀룰로오스(C.M.C), 알긴산 또는 알긴산염, 카르복시메틸알긴산염(C.M.A), 펙틴, 카라기난, 키틴 또는 키토산, 잔탄검, 전분 또는 변성전분중에서 선택된 것을 사용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혈관의 제조방법.
  9. 제3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당류 또는 그 유도체는 상기 표면처리된 인공혈관 섬유표면에 금속이온으로 킬레케이트 결합되거나 물리적 흡착방법에 의해 도포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혈관의 제조방법.
  10. 제3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당류 또는 그 유도체는 상기 표면처리된 인공혈관 섬유표면에 가교결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혈관의 제조방법.
KR1019890018490A 1989-12-13 1989-12-13 다당류 유도체가 도포된 인공혈관과 그 제조방법 Expired KR9200004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8490A KR920000459B1 (ko) 1989-12-13 1989-12-13 다당류 유도체가 도포된 인공혈관과 그 제조방법
JP2410150A JPH0785745B2 (ja) 1989-12-13 1990-12-13 人工血管及びその製造方法
US08/147,923 US5415619A (en) 1989-12-13 1993-11-05 Method of manufacturing a vascular graft impregnated with polysaccharide derivativ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8490A KR920000459B1 (ko) 1989-12-13 1989-12-13 다당류 유도체가 도포된 인공혈관과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1226A KR910011226A (ko) 1991-08-07
KR920000459B1 true KR920000459B1 (ko) 1992-01-14

Family

ID=19292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8490A Expired KR920000459B1 (ko) 1989-12-13 1989-12-13 다당류 유도체가 도포된 인공혈관과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415619A (ko)
JP (1) JPH0785745B2 (ko)
KR (1) KR9200004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11447A (en) 1993-01-28 1998-09-22 Neorx Corporation Therapeutic inhibitor of vascular smooth muscle cells
US6515009B1 (en) 1991-09-27 2003-02-04 Neorx Corporation Therapeutic inhibitor of vascular smooth muscle cells
JP3363282B2 (ja) * 1995-03-20 2003-01-08 株式会社クリニカル・サプライ 潤滑化された表面を有する医療用具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20091433A1 (en) * 1995-04-19 2002-07-11 Ni Ding Drug release coated stent
US5837313A (en) * 1995-04-19 1998-11-17 Schneider (Usa) Inc Drug release stent coating process
US6099562A (en) * 1996-06-13 2000-08-08 Schneider (Usa) Inc. Drug coating with topcoat
US6120536A (en) * 1995-04-19 2000-09-19 Schneider (Usa) Inc. Medical devices with long term non-thrombogenic coatings
US5851229A (en) * 1996-09-13 1998-12-22 Meadox Medicals, Inc. Bioresorbable sealants for porous vascular grafts
US6162537A (en) * 1996-11-12 2000-12-19 Solutia Inc. Implantable fibers and medical articles
US5980972A (en) * 1996-12-20 1999-11-09 Schneider (Usa) Inc Method of applying drug-release coatings
US6273913B1 (en) 1997-04-18 2001-08-14 Cordis Corporation Modified stent useful for delivery of drugs along stent strut
US5854382A (en) * 1997-08-18 1998-12-29 Meadox Medicals, Inc. Bioresorbable compositions for implantable prostheses
US6316522B1 (en) 1997-08-18 2001-11-13 Scimed Life Systems, Inc. Bioresorbable hydrogel compositions for implantable prostheses
AU6386799A (en) * 1998-09-28 2000-04-17 Intera Technologies, Inc. Hydrophilic synthetic blood vessels
US6540780B1 (en) * 1998-11-23 2003-04-01 Medtronic, Inc. Porous synthetic vascular grafts with oriented ingrowth channels
US6554857B1 (en) 1999-07-20 2003-04-29 Medtronic, Inc Transmural concentric multilayer ingrowth matrix within well-defined porosity
US6702848B1 (en) 1999-07-20 2004-03-09 Peter Paul Zilla Foam-type vascular prosthesis with well-defined anclio-permissive open porosity
KR100347484B1 (ko) * 2000-01-05 2002-08-07 강인규 간세포 지지체의 제조방법
FR2807326B1 (fr) * 2000-04-10 2002-08-23 Therapeutiques Substitutives Prothese vasculaire impregnee de dextrane reticule et/ou d'un derive fonctionnalise de dextane reticule et son procede de preparation
US6776796B2 (en) 2000-05-12 2004-08-17 Cordis Corportation Antiinflammatory drug and delivery device
US7300662B2 (en) 2000-05-12 2007-11-27 Cordis Corporation Drug/drug delivery systems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vascular disease
US8236048B2 (en) 2000-05-12 2012-08-07 Cordis Corporation Drug/drug delivery systems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vascular disease
AU9486901A (en) 2000-09-29 2002-04-08 Cordis Corp Coated medical devices
US20020111590A1 (en) 2000-09-29 2002-08-15 Davila Luis A. Medical devices, drug coatings and methods for maintaining the drug coatings thereon
US7261735B2 (en) 2001-05-07 2007-08-28 Cordis Corporation Local drug delivery devices and methods for maintaining the drug coatings thereon
US6641607B1 (en) 2000-12-29 2003-11-04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Double tube stent
US6635082B1 (en) 2000-12-29 2003-10-21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Radiopaque stent
US6613083B2 (en) 2001-05-02 2003-09-02 Eckhard Alt Stent device and method
US8182527B2 (en) * 2001-05-07 2012-05-22 Cordis Corporation Heparin barrier coating for controlled drug release
US6994722B2 (en) 2001-07-03 2006-02-07 Scimed Life Systems, Inc. Implant having improved fixation to a body lumen and method for implanting the same
US7022135B2 (en) * 2001-08-17 2006-04-04 Medtronic, Inc. Film with highly porous vascular graft prostheses
US7195640B2 (en) 2001-09-25 2007-03-27 Cordis Corporation Coated medical devices for the treatment of vulnerable plaque
US7108701B2 (en) 2001-09-28 2006-09-19 Ethicon, Inc. Drug releasing anastomosis devices and methods for treating anastomotic sites
JP2003126125A (ja) * 2001-10-24 2003-05-07 Katsuko Sakai 人工血管及びその製造方法
JP3970013B2 (ja) * 2001-12-14 2007-09-05 泰晴 野一色 管腔形成誘導性材料および体内挿入用器具
US7838119B2 (en) * 2002-09-19 2010-11-23 Medtronic, Inc. Medical assembly suitable for long-term implantation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7329531B2 (en) * 2003-12-12 2008-02-12 Scimed Life Systems, Inc. Blood-tight implantable textile material and method of making
JP2010511415A (ja) * 2005-12-01 2010-04-15 イノグラフト,リミティド ライアビリティー カンパニー 薄皮膜の施用のためにポリサッカライド物質をイオン架橋する方法及びそれから生成された製品
WO2007070301A2 (en) * 2005-12-05 2007-06-21 Regeneration Technologies, Inc. Vascular graft sterilization and decellularization
US20080132991A1 (en) * 2006-11-30 2008-06-05 Leonard Pinchuk Method for Ionically Cross-Linking Gellan Gum for Thin Film Applications and Medical Devices Produced Therefrom
US8240946B2 (en) * 2009-10-27 2012-08-14 Sheldon Applefield Water drainage system
US9045657B2 (en) 2010-03-24 2015-06-02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Illinois Viscoelastic ink for direct writing of hydrogel structures
WO2011131222A1 (en) 2010-04-19 2011-10-27 Invatec S.P.A. Photoactivated polymeric material and its use for the preparation of medical devices
CN101934091B (zh) * 2010-09-07 2013-10-30 德州海利安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多糖人工血管及其制备方法和应用
EP2760492B1 (en) 2011-09-27 2018-10-31 Invatec S.p.A. Balloon catheter with polymeric balloon having a surface modified by a photoactivation reaction and method for making
GB201322777D0 (en) 2013-12-20 2014-02-05 Algipharma As Use of alginate oligomers as blood anticoagulants
FR3062854B1 (fr) 2017-02-10 2019-04-12 Polymerexpert Sa Solution viscoelastique aqueuse et son utilisation dans un dispositif d'injection
WO2019103227A1 (ko) * 2017-11-21 2019-05-31 주식회사 글로원 생체적합성 소재를 활용한 인공혈관 및 그의 제조방법
WO2020172162A1 (en) * 2019-02-19 2020-08-27 Tc1 Llc Vascular graft and methods for sealing a vascular graft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125698A (en) * 1978-03-09 1982-06-15 Masaru Yoshida Process for preparing a polymer composition
GB8305045D0 (en) * 1983-02-23 1983-03-30 Courtaulds Plc Stabilising fibres/particles of organic polymers
IL78950A (en) * 1985-06-06 1991-12-15 Univ Jefferson Coating for prosthetic devices
JPS6238172A (ja) * 1985-08-12 1987-02-19 株式会社 高研 抗血栓性医用材料の製造方法
WO1987005038A1 (en) * 1986-02-17 1987-08-27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 Implantable materials
JPS6397158A (ja) * 1986-10-15 1988-04-27 宇部興産株式会社 人工血管
US4979959A (en) * 1986-10-17 1990-12-25 Bio-Metric Systems, Inc. Biocompatible coating for solid surfaces
JPS63115554A (ja) * 1986-11-04 1988-05-20 東レ株式会社 擬内膜形成性に優れた人工血管及びその製法
US4883605A (en) * 1987-02-09 1989-11-28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Zirconium chelates and their use for cross-linking
US4961954A (en) * 1987-04-10 1990-10-09 University Of Florida Surface modified surgical instruments, devices, implants, contact lenses and the like
US4882148A (en) * 1987-06-18 1989-11-21 Corvita Corporation Crack prevention and improved thrombogenicity of implanted prostheses by sulfonation
US5112873A (en) * 1991-03-28 1992-05-12 The Dow Chemical Company Resins having improved exchange kinetic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3254752A (ja) 1991-11-13
US5415619A (en) 1995-05-16
KR910011226A (ko) 1991-08-07
JPH0785745B2 (ja) 1995-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0459B1 (ko) 다당류 유도체가 도포된 인공혈관과 그 제조방법
JP3784798B2 (ja) ポリテトラフルオロエチレン製の埋め込み可能なチューブ状プロテーゼ
US4822361A (en) Tubular prosthesis having a composite structure
US5028597A (en) Antithrombogenic materials
JP3504389B2 (ja) ヘパリン含有コラーゲンシーラントを含浸した管状グラフト
CN111481743B (zh) 一种抗凝血抗钙化生物材料及其制备方法
US5098977A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providing articles having improved biocompatability characteristics
EP0531547A1 (en) Composite artificial blood vessel
JPH0575429B2 (ko)
JPH0211258B2 (ko)
JP2001506512A (ja) 多孔性の血管グラフト用の改良された生物学的に再吸収可能な密閉剤
WO1992009312A1 (fr) Materiau pour implants
EP0212209B1 (en) A production process of an antithrombogenic and antiadhesive material for medical use
JPH0636818B2 (ja) コラ−ゲン合成血管移植組織
CN111068113B (zh) 一种纳米纤维涂层人造血管、涂层的制备方法及制备装置
CN119158076A (zh) 一种细菌纳米纤维素复合管及其制备方法和应用
CA1299937C (en) Antithrombogenic material
JPS61263448A (ja) 血管補綴物
Eberhart et al. Cardiovascular materials
Machy et al. A new vascular polyester prosthesis impregnated with cross-linked dextran
JPH06285150A (ja) 人工血管
JPS62152468A (ja) 複合構造管状臓器補綴物
WO2021199950A1 (ja) 人工血管および人工血管の製造方法
JP3141653B2 (ja) 人工血管
JPH0135666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122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3011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30115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