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20000388B1 - 송·수신 데이타 충돌 감지회로 - Google Patents

송·수신 데이타 충돌 감지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0388B1
KR920000388B1 KR1019890011019A KR890011019A KR920000388B1 KR 920000388 B1 KR920000388 B1 KR 920000388B1 KR 1019890011019 A KR1019890011019 A KR 1019890011019A KR 890011019 A KR890011019 A KR 890011019A KR 920000388 B1 KR920000388 B1 KR 9200003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transmission
line
output
transm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1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3968A (ko
Inventor
최상현
김지홍
이근양
Original Assignee
금성전선 주식회사
홍종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전선 주식회사, 홍종선 filed Critical 금성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90011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0388B1/ko
Publication of KR910003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39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0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3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송·수신 데이터 충돌 감지회로
제1도는 종래의 송, 수신 데이터 충돌 감지회로.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송, 수신 데이터 충돌 감지회로.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송신기 2 : 출력 구동회로
6 : 데이터라인 7 : 지연회로
8 : 배타적 오어게이트 9 : 검출기
본 발명은 1회선을 공용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에서 네트워크 데이터 충돌 감지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시간으로 데이터 충돌을 감지하여 송, 수신 데이터를 입출력하도록 한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데이터 통신에서 네트워크 데이터 충돌 감지수단은 수신데이터를 일정한 기억장소에 저장한 후 송신 데이터와 비교하여 충돌여부를 판단하게 되므로 실시간 감지가 불가능하고 기억장소가 필요하므로 데이터의 고속 전송의 실현이 불가능한 결점이 있었다.
종래의 기술 구성은 다음과 같으며, 제1도에 따라 설명하면 송신기(1)에는 송신데이터를 데이터라인(6)으로 송출하는 출력구동회로(2)와 이 송신 데이터를 일시 기억시키는 기억부(3)가 연결되고 데이터라인(6)에는 수신부 인터페이스 라인(6b)과 수신데이터를 일시 기억하는 기억부(5)가 연결되고 기억부(3,5)에는 송, 수신 데이터를 비교 판별하는 비교부(4)가 연결된 구성이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컴퓨터 데이터 버스라인을 통해 송신기(1)에 전달되는 데이터의 일부가 일단은 기억부(3)의 기억장소에 기억되어진다.
이 데이터의 신호형태는 바이패스 코딩(Biphase coding)의 일종인 멘체스터 코딩(Manchester coding) 방식으로서 이것은 2진 코드의 데이터에서 “θ”의 값은 212nsec로우레벨과, 212nsec하이레벨로 전송되며 2진 코드의 데이터에서 “1”의 값은 212nsec하이레벨과, 212nsec로우레벨로서 전송되어진다.
이렇게 전달된 데이터는 데이터라인을 통해 전송되는 신호의 전송속도인 2.38MHz로 분주되어진 클럭신호와 함께 송신기(1)에 인가되면 타컴퓨터와 연결하는 데이터라인(6)을 위한 전기적인 인터페이스로서 동작하여 송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주변장치 및 타컴퓨터로부터 송출되는 데이터가 데이터라인(6)을 통해 컴퓨터에 전달되어질때 수신되는 데이터의 일부가 기억부(5)의 일정기억 장소에 기억되어진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기억부(3,5)에 기억된 데이터는 비교기(4)에서 비교되어지게 된다.
즉 송신기(2)에서 송출되는 데이터가 있을 때 주변기기 또는 타 컴퓨터등으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가 있을때에는 상기와 같이 비교기(4)에서 비교된 신호가 별도의 충돌 표시 출력 신호를 발생시켜 알려주게 되면서 이 충돌표시 출력신호는 컴퓨터에 입력되어져 수신 인터페이스 라인과 컴퓨터 데이터 버스라인을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제어하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 구성에 의한 송수신 데이터 충돌 감지에 의하면 전기한 바와 같이 별도의 송수신 데이터를 기억시킨 후 비교 검출하는 수단이 필요하게 됨으로 구현되는 구성요소가 복잡하거나 또는 원가가 상승되는 결점이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2도와 같이 지연회로부를 갖는 배타적 논리 비교 검출회로를 구성시켰다.
컴퓨터 데이터 버스라인에 연결되는 송신기(1)에 출력구동회로(2)를 연결하여 데이터라인(6)에 연결시키되 송신기(1)에서 송출되는 데이터의 일부가 지연회로(7)를 통해 배타적 오어게이트(8)의 일단에 전달되게 접속하고 그 타단은 데이터 라인(6)에 연결하여 수신데이터가 전달되게 하며, 배타적 오어게이트(8)의 출력단은 송신기(1)에서의 인터럽트 신호가 전달되는 검출기(9)와 컴퓨터 수신부 인터페이스라인(6b)에 연결하여 구성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데이터 충돌감지회로에 의하면 송신기(1)에서 출력되는 멘체스터 코딩(Manchester coding) 방식의 데이터가 출력 구동회로(2)를 통해 데이터라인(6)으로 송출되어질때, 송신기(1)에서 출력되는 데이터 신호의 일부가 지연회로(7)를 통해 배타적 오어게이트(8)의 일단에 입력되어진다.
또한 출력 구동회로(2)에서 데이타라인(6)으로 출력되는 송출신호의 일부 또한 배타적 오어게이트(8)에 입력이 되어진다.
이때 지연회로(7)에서의 지연시간과 출력 구동회로(2)를 통해 전달되는 지연시간이 같다면 배타적 오어게이트(8)에 인가되는 각각의 신호는 같게 되므로 배타적 오어게이트(8)의 출력은 로우레벨의 신호가 되어진다.
즉 동축선인 데이터라인(6)을 통해 전송되는 신호의 전송속도인 2.38MHz로 분주된 송출신호와 포함된 데이터 신호에서 예로서 데이터 신호의 1 비트가 2진 코드로 θ라고 가정할 때 그 값은 212nsec 로우레벨과 212nsec하이레벨로 나타나게 된다.
이 데이터 신호가 지연회로(7)와 출력 구동회로(2)를 통해 배타적 오어게이트(8)에 전달되어질때 지연시간이 같을 때에는 출력신호는 로우레벨의 신호가 되는 것이다.
이 로우레벨의 출력신호는 수신부 인터페이스 라인(6b)을 통해 컴퓨터의 수신부에 입력되어져 동작대기 상태로 유지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데이터 송신중에 타컴퓨터로부터 송출되는 데이터 데이터라인(6)을 통해 수신되어지면, 바이패스라인(6a)을 통해 배타적 오어게이트(8)의 타단에 입력이 되어진다.
이때 바이패스라인(6a)을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도 본 발명의 컴퓨터에서 수신부가 정보를 판별할 수 있도록 DFT통신 프로토콜에 준하여 분주된 데이터 신호로서 전달되어지기 때문에 출력 구동회로(2)를 통해서 출력되는 데이터와 수신되는 데이터의 주기적인 인터럽트 신호는 다르게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배타적 오어게이트(8)의 출력은 하이레벨의 상태가 되어지게 된다.
그러면 검출기(9)는 배타적 오어게이트(8)의 출력신호로서 송신기(1)에서 데이터가 송출되어질때 송수신데이터 충돌의 실시간을 감지하게 된다.
이렇게 감지되면, 충돌표시 출력신호로서 컴퓨터에 수신데이터가 있음을 알려주게 되어 송수신 데이터의 입출력을 제어하게 된다.
이와 같은 송수신 데이터 감지수단에 의하면 기억장소가 필요 없으므로 데이터의 고속 전송시 송수신 실시간을 감지할 수 있는 잇점이 있게 된다.

Claims (1)

  1. 컴퓨터 데이터 버스라인에 연결되는 송신기(1)에 출력 구동회로(2)를 연결하여 데이터라인(6)에 연결시키되 송신기(1)에서 송출되는 데이터의 일부가 지연회로(7)를 통해 배타적 오어게이트(8)의 일단에 전달되게 접속하고, 그 타단은 데이터 라인(6)에 연결하여 수신데이터가 전달되게 하며, 배타적 오어게이트(8)의 출력단은 송신기(1)에서의 인터럽트 신호가 전달되는 검출기(9)와 컴퓨터 수신부 인터페이스라인(6b)에 연결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 수신 데이터 충돌 감지회로.
KR1019890011019A 1989-07-31 1989-07-31 송·수신 데이타 충돌 감지회로 KR9200003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1019A KR920000388B1 (ko) 1989-07-31 1989-07-31 송·수신 데이타 충돌 감지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1019A KR920000388B1 (ko) 1989-07-31 1989-07-31 송·수신 데이타 충돌 감지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3968A KR910003968A (ko) 1991-02-28
KR920000388B1 true KR920000388B1 (ko) 1992-01-13

Family

ID=19288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1019A KR920000388B1 (ko) 1989-07-31 1989-07-31 송·수신 데이타 충돌 감지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03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7344B1 (ko) * 1997-06-25 2000-10-16 윤종용 에이치.디.엘.씨(hdlc)버스 구조 교환기 시스템의 전송 데이터 충돌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3968A (ko) 1991-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6180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 rate of data transmission
US5247163A (en) IC card having a monitor timer and a reset signal discrimination circuit
US4903016A (en) Communication control unit
EP0476444B1 (en) Optical transceiver
EP0049917A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station suitable therefor
CN116185936B (zh) 一种spi通信数据收发异常检测控制系统及检测方法
US5889817A (en) Communication system with data comparison circuit
US6542947B1 (en) Data bus for serial data transmission
EP0893019B1 (en) Multiplex communication interface circuit and method
CA1324690C (en) Optical fiber bus controller
KR920000388B1 (ko) 송·수신 데이타 충돌 감지회로
US5212685A (en) Control circuit for half-duplex/simplex interface in communication system
GB2030825A (en) Message broadcast system receiver arrangement
US6993082B2 (en) Station and method for operating a CAN communication line
KR920007098B1 (ko) 데이타 오분산 검출기를 포함하는 데이타 전송장치 및 데이타 전송방법
FI90483B (fi) Tiedonsiirtomenetelmä häiriöllisessä ympäristössä toimivaa toimilaitejärjestelmää varten
JP3252556B2 (ja) 通信装置
KR940006657Y1 (ko) 정보 송.수신 방법의 선택회로
KR0161698B1 (ko) 유니트 버스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JP2002094535A (ja) エラーコード送出装置および方法
KR960005108B1 (ko) 센트로닉스 인터페이스의 포트를 이용한 양방향 통신 방법
JP3296639B2 (ja) 通信切替システム装置
KR100290677B1 (ko) 피포디바이스의자동리스타트장치
KR930702867A (ko) 데이터의 송수신 방법 및 그 장치
KR20000055479A (ko) 수신된 직렬 데이터 상의 글리치를 방지하는 범용비동기직렬데이터송수신장치의 스테이트머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907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89073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1113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203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206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206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507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12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112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11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