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20000370B1 - 차량 앞좌석의 전방경사조절용 기계적인 잭을 포함하는 메모리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앞좌석의 전방경사조절용 기계적인 잭을 포함하는 메모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0370B1
KR920000370B1 KR1019880010111A KR880010111A KR920000370B1 KR 920000370 B1 KR920000370 B1 KR 920000370B1 KR 1019880010111 A KR1019880010111 A KR 1019880010111A KR 880010111 A KR880010111 A KR 880010111A KR 920000370 B1 KR920000370 B1 KR 9200003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lever
spindle
vehicle
memory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0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3575A (ko
Inventor
삐뽕 이브
드불롱 죠지
Original Assignee
아. 에. 앰. 꾸쟁-에 따블리스멍 꾸쟁 프레르
삐뽕 이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 에. 앰. 꾸쟁-에 따블리스멍 꾸쟁 프레르, 삐뽕 이브 filed Critical 아. 에. 앰. 꾸쟁-에 따블리스멍 꾸쟁 프레르
Publication of KR890003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3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0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370B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00Flexible shafts; Mechanical means for transmitting movement in a flexible sheathing
    • F16C1/10Means for transmitting linear movement in a flexible sheathing, e.g. "Bowden-mechanisms"
    • F16C1/101Intermediate connectors for joining portions of split flexible shafts and/or sheat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til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919Positioning and locking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 Special Chairs (AREA)
  • Inorganic Compounds Of Heavy Metals (AREA)
  • Liquid Carbonaceous Fuels (AREA)
  • Compounds Of Unknown Constitution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차량 앞좌석의 전방경사조절용 기계적인 잭을 포함하는 메모리장치
제1도는 투-도어형 좌석에서 후측으로 향하고 있는 경사조절용 잭으로 구성된 간단한 메모리장치가 구비된 좌석의 측면도.
제2도는 제동장치를 갖는 역회전 가능한 스크류가 구비된 래크 연결봉의 부분확대정면도.
제3도는 제2도의 Ⅲ-Ⅲ선 단면도.
제4도는 제2도의 평면도.
제5도는 좌석의 후측을 지지하는 암의 하측부를 보인 확대측면도.
제6도는 제5도의 Ⅵ-Ⅵ선 단면도.
제7도는 뒷좌석으로 탑승할 수 있도록 앞좌석이 조향핸들측으로 경사조절된 것을 보인 측면도.
제8도는 간단한 메모리장치가 구비된 좌석이 제2실시형태를 보인 측면도.
제8a도는 제8도의 상측부를 보인 확대도.
제9도는 좌석의 후측부를 지지하고 메모리장치가 구비된 암의 하측부를 보인 부분확대측면도.
제10도는 제9도의 Ⅹ-Ⅹ선 단면도.
제11도는 투-도어형 차량의 뒷좌석으로 탑승할 수 있도록 앞좌석이 전방으로 경사져 있음을 보인 측면도.
제12도는 전자제어회로로 구성되는 간단한 메모리장치가 구비된 좌석의 측면도.
제12a도는 제12도의 상측부를 보인 확대도.
제13도는 투-도어형 차량의 뒷좌석으로 탑승할 수 있도록 전방으로 경사져 있는 제12도의 좌석을 보인 측면도.
제14도는 메모리장치의 다른 실시형태를 보이고 조인트브레이스의 하측부가 좌석을 지지하는 암의 일부를 구성하는 좌석을 보인 측면도.
제15도는 조인트브레이스가 구비된 기억장치의 다른 실시형태로 구성된 좌석의 측면도.
제16도와 제17도는 제15도에서 보인 좌석하측부의 정면도와 측면도.
제18도는 제15도에서 보인 메모리장치의 다른 실시형태를 구성된 좌석의 측면도.
제19도와 제20도는 제18도에서 보인 좌석하측부의 정면도와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좌석 2,252 : 등받이
3 : 베이스플레이트 4 : 조인트기구
5 : 차체의 바닥면 6,206 : 프레임
7 : 지지대 8,15,20,38,43,204,207,208,231 : 스핀들
9 : 박스(bos) 11 : 스크류
12 : 슈우(shoe) 14,28,42 : fpqk
17 : 요구 18,28 : 스피링
18a : 일측단부 18b : 타측단부
23 : 래크연결봉 23a : 개방부
24 : 브라킷트 25,207 : 모서리판
39,201,210,211 : 플랜지 35 : 암
31,203 : 빗장부재 40 : 링
42a : 돌출부 45,53,205 : 보우덴케이블8bowden cable)
50 : 케이블 51 : 단일제어장치
61,62,64 : 마이크로스위치 71 : 전기모우터의 급전선
70 : 전환스위치 72 : 전자회로
72a : 메모리스위치 200 : 바닥면
202 : 만곡안내부 202a : 상향안내로부분
202b : 하향안내로부분 225 : 버튼
260 : 조인트브레이스
본 발명은 뒷좌석을 갖는 투-도어형 차량의 앞좌석을 전방으로 경사지게 하는 기계적인 잭을 포함하는 간단한 메모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차량에 있어서, 좌석의 베이스플레이트가 전후로 이동될 수 있도록한 슬라이드레일장치는 구조가 복잡하여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 실제로 이러한 장치에 소요되는 실제비용은 모든 차량에는 별개의 두 앞좌석이 구성되어 있어 두배가 소요된다.
이러한 상황은 앞좌석을 차량의 전방측으로 조향핸들 위로 경사지게 하여 차량의 뒷좌석으로 탑승자가 타고 내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서는 앞좌석에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기구의 사용이 요구되는 투-도어형의 차량인 경우에 더욱 많은 비용이 소요되게 한다.
이러한 기구, 즉 앞좌석을 전방으로 경사지게 하는 기구는 돌발적인 사고가 발생될때에 특별히 안전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따라서 종래의 저가급 차량에 있어서는 고급차량의 좌석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기능을 가지나 비용이 저렴한 경우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비용을 증가시키는 부가적인 기계부품을 필요로 하게 되는 장치의 사용은 억제되었다.
비용을 줄이기 위한 연구 결과로 투-도어형 차량의 뒷좌석으로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앞좌석을 경사지게 하는 것과 앞좌석의 후방에 두개의 연결포인트를 가지고 좌석의 전방에서 그 종축선의 내측에 제3의 포인트를 갖도록 설계된 “3-포인트”형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3-포인트”방식은 좌석이 차량의 바닥면에 견고히 착석되므로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앞좌석을 전방으로 경사지게 하였을 때에 앞좌석이 경사질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의 일부가 좌석의 후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소형의 메모리장치가 개발된 바 있으며, 이러한 장치는 앞좌석이 전방으로 경사졌을 때에 좌석이 베이스 플레이트 하측에 놓여 있도록 않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좌석을 전방으로 경사조절하기 위한 기계적인 잭이 결합되는 간단한 메모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 장치는 역회전 가능한 스크류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는 축을 고정하는 소형박스로 구성되고, 이 소형박스는 좌석의 하측중앙 영역에서 차체의 바닥면에 직접 착설되거나 프레임을 통하여 착설 되는 한편, 래크연결봉이 좌석이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좌석의 저면에 일체로 착설된다.
역회전가능한 스크류를 사용하므로서 좌석을 수동 또는 소형모우터에 의하여 제1선택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
상기 언급된 사실로부터 기계적인 장치를 통하여 선택된 위치로 복귀시키는것, 전기기계적인 수판을 사용하여 선택된 위치로 복귀시키는 것과 전자회로의 제어를 통하여 선택된 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좌석의 후방에 위치하는 두개의 연결포인트를 각 고정장치의 경사암으로 구성되고 위치선정 메모리가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각 앞좌석의 베이스플레이트 하측에는 그 종축선의 하측에 래크연결봉과 기계적인 빗장이 착설된다. 이 래크연결봉은 프레임과 지지대에 의하여 차량의 바닥면에 결합된 박스에 결합되어 있다. 이 박스내에는 차단가능한 모우터장치가 수용되어 있다. 상기 언급된 앞좌석의 장치는 먼저 좌석의 뒷부분에 연결되고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레버에 결합되는 하나의 요입부를 갖는 래치트로 구성된 메모리를 포함하는 스핀들에 의하여 차량의 바닥면에 연결되는 두 개의 평행한 암에 결합되며, 빗장, 래치트로 구성되는 메모리, 요입부와 레버의 돌출부로 구성되는 장치가 보우덴케이블(bowden cable)을 통하여 다양한 메모리에 연결된 단일장치에 의하여 조절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라서, 박스내에는 래크연결봉내에서 회전하는 역회전 가능한 스크류가 배치되어 있고, 무단 스크류형태와 이 스크류는 박스내의 베어링에 축설된 스핀들에 착설되고 평상시에는 스프링에 의하여 무단스크릇 제동위치에 놓이는 레버의 작용을 받는 슈우에 의하여 제동된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투-도어형 차량의 전방에 착설되는 원전자좌석 또는 탑승자 좌석을 나타내는 좌석(1)을 보인 것으로, 이들 두 좌석은 차량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부터 뒷좌석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전방으로 완전히 경사질 수 있게되어 있어 뒷좌석에 탑승자가 뒷좌석으로 승하차할 수 있다.
좌석(1)은 등받이(2)와 베이스플레이트(3)로 구성되는 바, 이들은 공지된 형태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하지 않기로 한다.
베이스플레이트(3)와 등받이(2) 사이의 연결은 역시 잘 알려진 바와같이 베이스플레이트(3)에 대하여 등받이(2)의 경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조인트기구(4)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등받이(2)의 경사를 조절하는 이들 기구는 공지된 형태이며 이후에 “조인트브레이스(joint brace)”라는 용어로 표기하였다.
제1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자체의 바닥면(5)은 전방측에 수직으로 돌출되게 배치된 프레임(6)으로 구성되고 이 프레임은 좌석(1)의 종축선 하측에 놓이는 지지대(7)를 지지한다. 이 지지대(7)에는 스핀들(8)이 착설되고 그 둘레에서 박스(9)가 회전한다. (제2도, 제3도 및 제4도 참조). 상기 박스(9)내에는 축(10)이 장설되어 있으며 이 축에는 무단 스크류형태의 역회전가능한 스크류(11)가 착설되어 있다.
슈우(12)에 의하여 제동될 수 있는 이 스크류(11)는 박스(9)에 일체로 착설된 스핀들(13)상에서 회전할 수 있다. 슈우(12)는 박스(9)내에 착설되어 있는 축(10)에서 연결된 레버(14)에 의하여 작동되고, 레바(14)의 중간에 고정된 스핀들(15)을 평상시 슈우(12)의 연장부(16)에 접촉하여 있으며, 이 연장부(16)에 인접하여 슈우(12)에는 레버(14)가 상승시에 이 레버(14)의 스핀들(15)이 결합하여 슈우(12)가 상승함으로서 스크류(11)에서 벗어나도록 하는 요구(17)가 형성되어 있다.
끝으로, 박스(9)에 일체로 착설된 스핀들(20)에 감기어 일측단부(18a)가 박스(9)에 고정된 스핀들(28)은 그 타측단부(18b)가 레버(14)의 단부(14a)상에 놓여있어 슈우(12)를 통하여 스크류(11)를 제동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스크류(11)는 각 나선부분이 래크연결봉(23)의 수직면에 형성된 개방부(23a)에 결합되어 있어 래크연결봉(23)이 박스(9)내에서 미끄럼운동할 수 있다. 이러한 래크연결봉(23)의 전후방향 미끄럼 운동시에 스크류(11)가 정역회전하여 래크연결봉(23)의 감속수단으로 작용한다.
래크연결봉(23)은 베이스플레이트(3)의 선단하측에 착설된 브라킷트(24)와 베이스플레이트(3)의 후단하측에 착설된 모서리판(25)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역회전가능한 스크류(11)가 슈우(12)로부터 자유롭게 되었을 때에 래크연결봉(3)이 전방(제1도의 화살표 F1)으로 또는 후방으로 미끄럼운동할 수 있다. 브라킷트(24)와 모서리판(25)은 시이트(11)가 종축선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스프링(18)이 작용에 대하여 레바(14)를 상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슈우(12)를 해제하는 것은 박스(9)에 일체로 착설된 스핀들(29)에 회전가능하게 착설된 레바(28)(제1도 참조)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모서리판(25)의 하측연장부에 일체로 착설된 스핀들(32)에는 후퇴가능한 빗장부재(31)가 회전가능하게 착설된다. 이 빗장부재(31)는 래크연결봉(23)에 결합하여 정지부를 구성하고 좌석이 통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며 래크연결봉(23)이 박스(9)를 통하여 이동하여 박스(9)가 이 정지부를 벗어나는 경우 좌석이 전방으로 더 이상 이동되는 것이 허용되지 않으며 다만 이 위치에서는 좌석이 전방으로 완전히 경사져 탑승자가 뒷좌석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제1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좌석(1)에서 베이스플레이트(3)의 후측부는 양측에서 베이스플레이트(3)의 저면에 일체로 착설된 스핀들이 암(35)의 상측부(36)에 결합되어 암(35)에 의해 지지되고 이 암(35)의 하측부는 스핀들(38)에 결합되어 있으며 이 스핀들(38)에 플랜지(39)가 형성되어 이에 요입부(41)를 갖는 링(40)이 착설되고 이 링(40)에는 암(35)에 일체로 착설된 스핀들(43)에 축설된 레바(42)가 결합될 수 있게되어 있다. 이 레바(42)에는 제5도에서 보인 바와같은 경사위치에서 각 암(35)을 고정하기 위하여 평상시에 요입부(41)에 삽입되어 있는 돌출부(42a)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므로서 좌석의 정상사용 위치는 기억되고 고정된다. 그러나 보유덴케이블(45)에 의한 기계적인 명령에 의하여 레바(42)가 해제되므로서 그 돌출부(42a)가 요입부(41)로 빠져나와 각 암(35)이 쉽게 그러나 제어된 상태에서 회전될 수 있다. 더우기 이러한 암(35)의 회전은 링(40)에 작용하는 스프링(46)의 압력을 받아 제어되며, 이 스프링(46)은 스프링(38)상에 결합되어 있다. (제6도 참조).
마찬가지로, 빗장부재(31)도 등받이(2)의 상측부에 배치된 단일제어장치(51)에 연결된 보우덴케이블(50)에 의하여 제어된다(제1도 참조). 즉 제1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레바(28)를 상측으로 당기면 보우덴케이블(53)이 레바(42)를 상측으로 밀고 이에 연결된 다른 보우덴케이블(45)이 상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단일제어장치(51)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며 이러한 단일제어장치(51)의 상측이동으로 보우덴케이블(50)이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빗장부재(31)가 스핀들(32)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되게 한다.
레바(42)의 회전운동시에 보우덴케이블(53)에 의하여 레바(14)가 제3도 및 제7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스프링(18)의 작용에 대항하여 회전하게 되므로서 슈우(12)가 해제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므로서, 역회전가능한 무단스크류(11)는 암(35)과 동시에 자유롭게 되고, 빗장부재(31)도 역시 자유롭게 해제됨으로서 좌석이 전방으로 용이하게 경사질 수 있게 되어 탑승자는 앞좌석의 베이스플레이트나 등받이에 의하여 방해받지 않고 투-도어형 차량의 뒷좌석으로 승하차할 수 있게된다.
좌석(1)을 제7도에서 보인 위치로부터 제1도에서 보인 위치로 복귀시키고자할 때에는 단순히 좌석을 후방으로 제키면 되고, 이때에 암(35)은 이들의 정상위치로 복귀되며, 레바(42)가 좌석을 그 사용위치에 놓이도록 암(35)을 고정하고 래크연결봉(23)도 제자리에 복귀된다.
이때에 슈우(12)가 다시 스크류(11)를 고정하고 좌석은 완벽하고 안전하게 고정된다. 또한 이때에 빗장부재도 제자리에 복귀하여 좌석의 통상적인 사용이동범위의 한계가 결정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탑승 후 이 시이트에 공지의 방법으로 안전벨트를 고정시킬 수 있다.
래크연결봉(23), 암(35)과 이들을 연결하는 조인트등 모든 가동부분은 측면 또는 전후방면에서의 충돌에도 좌석이 제자리에 놓여있도록 하고 차량내 승객의 안전에 적합하도록 되어있다.
좌석이 그 사용위치로 복귀되는 것은 좌석(1) 자체의 무게에 의하여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제8도-제11도에서 보인 좌석(1)의 경사장치는 회전시 역회전가능한 무단스크류(11)를 구동시키는 저기 모우터가 박스(9)내에 내장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1도-제7도에서 보인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동일부분에 대하여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였다. 모우터(도시하지 않았음)에는 급전선(60)을 통하여 전력이 공급되며 이러한 전력의 공급은 등받이(2)의 상측부에 착설된 두 개의 마이크로스위치(61)(62)(제8a도 참조)에 의하여 제어된다. 따라서 제1도의 단일제어장치(51)에 해당하는 레바(63)를 화살표(F8)(제8a도)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박스(9)내에 내장된 모우터에 공급되는 전력은 마이크로스위치에 의하여 차단되고 이전의 실시형태와 같이 좌석이 화살표(F11)(제11도 참조)의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동시에 레바(42)가 해제되고 마이크로스위치(64)가 폐쇄되어 박스(9)에 내장된 모우터의 전원공급회로가 제어된다. 빗장부재(31)는 케이블(50)의 작용없이도 벗기어진다.
좌석을 제8도에서 보인 정상사용위치로 복귀시키고자 할때에는 레바(63)를 반대측으로 조작하여 마이크로스위치(62)를 통하열 박스(9)내에 내장된 모우터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력을 공급하며 좌석이 제1도-제7도에서 보인 상황에서 설명된 바와같이 그 정상 사용위치로 복귀되었을 때에 레바(42)에 의하여 작동되는 마이크로스위치(69)가 모우터의 전력공급회로를 개방하여 박스(9)내의 모우터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며, 이때에 레바(42)의 돌출부(42a)는 링(40)의 요입부(41)에 삽입된다(제8도에서 보인 위치를 참조). 이와 같이 하므로서 좌석은 처음의 선택된 위치로 복귀된다. 다른 이용자가 좌석을 경사조절코자 할때에는 별도의 버튼(100)을 이용하여 도선(60)을 통해 모우터를 제어할 수 있다.
제12도, 제12a도 및 제13도에서, 등받이(2)(제12도와 제12a도)의 상부에는 제9도-제11도에서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박스(9)내에 내장된 모우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스위치(70)가 착설되어 있다. 그러나 이 전기모우터의 급전선(71)은 기억회로가 포함되어 있는 전자회로(72)에 연결되어 모든 작동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있다. 이러한 스위치(70)는 한편으로는 좌석을 전방으로 경사지게 하고(제13도 참조) 다른 한편으로는 좌석을 그 정상사용위치(제12도 참조)로 복귀될 수 있도록 전환작동될 수만 있으면 된다.
전자회로(720에 기억회로가 내장되어 있어 래크연결봉(23)이 제한된 범위내에서 이동될 수 있으며, 이 전자회로(72)에는 탑승자가 원하는 바에 따라서 좌석을 전후로 이동조절할 수 있도록 기억회로의 내용을 바꾸어 줄 수 있는 메모리장치(72a)가 구성되어 있다.
제12도와 제13도에 따른 경우에 있어서, 전환스위치(70)와 메모리스위치(72a)는 뒷좌석에 탑승자나 앞좌석에 탑승한 운전자나 탑승자에 의하여 경사조절될 좌석을 용이하게 다루기 위하여 차체의 서로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8도의 경우에 있어서는 래크연결봉(23)의 빗장부재(31)는 수동으로 이동될 수 있는 두개의 이동제한 스위치에 의하여 대체될 수 있다. 제8도에 후측의 이동제한 스위치(101)가 도시되어 있으며, 통상적으로 동일한 스위치가 좌석의 베이스플레이트(3)의 전방하측에 배치된다.
제14도에 따른 경우에 있어서, 간단한 메모리장치의 앞부분은 이전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동일부분에 대하여서는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였다.
후측의 암(35)은 비록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1도에 관련하여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은 메모리장치로 구성되며, 이는 요입부(41)를 갖는 링(40)과 돌출부(42a)를 갖는 레바로 구성되고, 이들 후측의 암은 그 상측부(36)가 베이스플레이트(3)에 대하여 등받이의 경사를 조절하는 장치의 힌지핀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 특히 각 암(35)은 등받이와 베이스플레이트를 연기하는 조인트브레이스에 일체로 결합되어 좌석이 전방으로 경사질때에 암(35)이 큰 원호형태의 이동곡선(C14)을 그릴 수 있게되어 있다. 이로써, 제1도-제13도의 경우에서는 좌석의 전체 경사각도는 약 29°이나 이 제14도의 경우에서는 좌석의 경사각도가 약 50°에 이르도록 한다. 이러한 현상은 암(35)에 대한 박스(9)의 고정점과 등받이/베이스 플레이트의 조인트브레이스와 암(35) 사이의 연결점의 각도를 보정하여 이루어진다. 좌석의 위치선택은 버튼(72a)(제2도 참조)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제15도에서 보인 실시형태에서, 바닥면(200)에는 프레임(206)이 착설되어 있고 좌석의 종축선하측에 상향안내로부분(202a)과 전방측의 하향안내로부분(202b)으로 구성되는 만곡안내로(202)가 형성된 하트형 플랜지(201)가 착설되어 있다(좌석의 종축선이라 함은 좌석 또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종축선이며 실제로 베이스 플레이트는 좌석의 좌부분에 해당한다). 빗장부재(203)가 스핀들(204)에 축설되고 보우덴케이블(205)을 통하여 레바(42)에 연결되어 있다. 좌석(1)의 베이스 플레이트(3)에는 그 하측에 모서리판(207)이 착설되고 스핀들(207)이 모서리판(207)의 하측부에 착설되어 만곡안내로(202)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 안내로를 따라 이동될 수 있게되어 있다. 프레임(206)의 후측에는 지지부재(209)가 착설되고 이에 조인트브레이스의 고정플랜지(210)가 착설되며 그 가동플랜지(211)는 암(212)에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제16도와 제17도). 가공플랜지(211), 암(212)과 링(40)과 동일한 메모리랑(213)이 스핀들(214)에 연결된다(제16도 참조).
링(213)에는 선행 실시형태의 요입부(41)와 동일한 요입부(21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레바(212)에는 보우덴케이블(45)로 제어되는 레바(42)가 착설되어 있다.
제1도-제13도의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하측의 두 암(212)은 공통의 스핀들(220)에 착설된다. 플랜지(210)(211)를 둘러싸고 있는 조인트브레이스는 그 회전이 모우터(도시하지 않았음)에 의하여 제어되며, 각 좌석에 대하여 두 암(212)의 하측부에 단일 조인트브레이트 또는 두개의 조인트브레이스가 배치되어 있다. 베이스플레이트(3)와 등받이(2)는 좌석(1)의 베이스플레이트(3)에 대하여 등받이(2)의 경사를 조절하는 다른 조인트브레이스(221)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도면을 평상시에 도어로 닫혀있는 차체의 개방부를 나타내고 부호 A1은 조향핸들을 나타낸다.
제15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좌석이 실선으로 보인 위치에 있을때에 이 좌석에 운전자나 탑승자가 앉을 수 있으며 이 좌석이 점선(A10)(제15도)으로 보인 바와같이 전방으로 경사지게 되는 것은 선행 실시형태의 경우와 같이 버튼(225)을 상측(제15도의 화살표 F15방향)으로 조작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레바(42)를 해제시키고 빗장부재(203)를 화살표(F16)(제15도)의 방향으로 회전시켜야 한다.
회로(도시하지 않았음)에 의하여 수행되는 이러한 조작으로 플랜지(210)(211)를 둘러싸고 있는 조인트브레이스(221)의 구동모우터에 전력이 공급됨으로서 암(212)이 전방으로 회전구동되고 스핀들(208)이 만곡안내로(202)의 상향안내로부분(202a)을 지나 하향안내로부분(202b)으로 이동되어 하측위치(208a)에 이르게 된다(제15도 참조).
따라서 좌석은 전방으로 완전히 경사져서 탑승자가 투-도어형 차량의 뒷좌석으로 탑승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버튼(225)을 화살표(F15)의 반대방향으로 조작하면 플랜지(210)(211)를 둘러싸고 있는 조인트브레이스(221)를 구동시키는 모우터의 효과로 좌석은 제15도에서 점선(A10)으로 보인 위치에서 실선으로 보인 정상 사용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그러나 좌부(3)의 조절이 용이하도록 예를 들어 우 앞좌석 사이에 좌석의 일측 부에 레바(230)가 배치되며, 이 레바(230)는 스핀들(231)에 축설되고 보우덴케이블(232)이 소형레바(223)에 연결되어 이를 제어하며 소형레바(233)의 작동으로 플랜지(210)(211)를 둘러싸고 있는 조인트브레이스(221)를 구동시키는 전기모우터에 전력이 공급되고, 암(212)이 일정한 각도로 회전하며 스핀들(208)이 만곡안내로(202)의 상측부로 이동하여 베이스플레이트가 탑승자 또는 운전자에 적합한 위치에 놓이도록 한다.
레바(230)를 해제하면 상기 언급된 조인트브레이스의 제어모우터에 공급되는 전력의 공급이 차단되고 이들 브레이스가 선택된 위치에 놓이게된다. 이러한 운동은 빗장부재(203)에 의하여 제한되며 최대이동범위에서 스핀들(208)은 좌석 베이스플레이트의 위치가 안정되게 조절되는 중에 최하 측의 위치(208b)에 도달한다(제15도 참조).
일반적으로 스핀들(208)은 만곡안내로(202)에서 원활한 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하는 굵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 물질로 되어 있으며, 만곡안내로(202)는 특히 스핀들(208)의 정확한 안내가 이루어지도록하고 원활한 미끄럼운동이 이루어지도록 그 내측둘레에 돌출핀이 돌출형성되어있다.
제18도에서 보인 실시형태에서 차량의 바닥면(250)에 프레임(251)이 착설되고 그 상부에 모서리 브라킷트(252)가 고정된다. 모서리 브라킷트(252)에는 스핀들(253)이 착설되어 있으며 이 스핀들(253)은 등받이(257)를 갖는 좌석(256)의 베이스플레이트(255)에 일체로 착설된 플랜지(254)에 형성된 “V”자형 안내로(300)에 삽입되어 있다. 이 “V”자형 안내로의 양측 안내로부분(300c)(300b)은 동일하지 않고, 안내로부분(300c)은 약간 만곡되어 있으며 안내로부분(300b)은 직선형으로 되어 있다.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등받이(252)는 조인트브레이스(4)에 의하여 베이스플레이트(255)에 결합된다. 좌석의 후측부는 두 개의 암(258)으로 지지되고 이들 암(258)의 상측부가 좌부의 스핀들(259)에 연결되고 하측부는 조인트브레이스(260)에 연결된다. 좌석을 전방으로 경사지게하는 다른장치들은 제15도의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동일부분에 대하여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였다.
이 실시형태에서 좌석구조의 기능은 제15도의 실시형태와 동일하나 “V”자형 안내로(300)의 양측 두안내로부분 사이인 “V”자형 안내로의 저면측에 배치된 빗장부재(261)는 앞쪽의 안내로부분(300c)이 좌석(356)의 전후이동 조절시에 이용될 수 있도록하고 빗장부재(261)가 제어장치(225)에 의하여 해제될 때에 스핀들(253)이 “V”자형 안내로(300)의 다른 안내로부분(300b)까지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 좌석이 조향핸들(V1)측으로 완전히 회전하여 이 좌석의 후측에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어 탑승자가 뒷좌석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Claims (9)

  1. 차량앞 좌석의 경사조절용 기계적인 잭을 포함하는 간단한 메모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좌석이 종축선을 갖는 베이스플레이트로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측에 래크연결봉과 기계적인 빗장부재가 구성되고 있으며, 상기 래크연경봉은 프레임과 지지수단을 통하여 상기 차량의 바닥면에 결합된 박스에 결합되고, 상기 박스에는 두 평행한 암과 결합하여 협동하는 장치를 구성토록 제동가능한 모우터장치가 장설되어 있으며, 상기 각 암은 상기 좌석의 후측부에 결합되고 스핀들을 통하여 상기 차량의 상기 바닥면에 결합되며, 상기 스핀들에는 제1레바의 돌출부가 삽입되는 요입부를 갖는 링 형태의 메모리가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레바는 상기 암에 회전가능하게 착설되고 보우덴케이블수단에 의하여 상기 제1레바와 상기 기계적인 빗장부재에 연결된 단일제어장치에 의하여 조절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앞좌석의 전방경사조절을 위한 기계적인 잭으로 구성된 메모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 내에서는 상기 래크연결봉의 내측에서 회전할 수 있게된 역회전가능한 무단스크류가 배설되고, 상기 무단스크류를 스핀들에 착설되어 있으며, 정상위치에서 상기 무단스크류는 상기 스핀들에 착설되고 스프링에 의하여 제동위치에 고정되는 제2레바와 협동하는 슈우에 의하여 제동될 수 있게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우터장치가 상기 무단스크류의 회전을 제어하는 전기모우터이고, 상기 보우덴케이블수단이 연결된 상기 단일장치의 제3레바를 통하여 상기 전기모우터에 신호가 공급됨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역회전가능한 스크류가 상기 모우터장치에 의하여 구동되고, 상기 모우터장치는 기억회로가 구비된 전자회로에 의하여 제어되며, 상기 전자회로는 상기 단일 제어장치에 결합되어 상기 좌석이 이동될 수 있도록함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이 공통의 힌지핀을 통하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오 상기 암에 연결되어 상기 차량의 뒷좌석으로 탑승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도록 상기 좌석이 전방으로 이동될때에 상기 좌석이 조향핸들에 매우 근접한 위치로 이동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이 그 하측부에서 모우터 구동되는 상기 스핀들상의 조인트브레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좌석에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기 종축선의 중앙영역에 모서리판이 착설되어 그 하측부에 상기 차량바닥면의 상기 프레임과 일체로 되어 있는 지지부에 착설된 하트형 플랜지에 형성된 만곡안내로내에서 이동하는 스핀들이 배치되어 있어 상기 차량의 뒷좌석으로 탑승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도록 상기 좌석이 그 정상사용위치로부터 전방으로 경사진 위치로 이동되며, 상기 기계적인 빗장부재는 상기 만곡안내로의 상측부에서 상기 만곡안내로의 하측부에 놓여있는 스핀들이 무단히 회전되지 않고 상기 좌석의 전후이동을 제한하는 회전형의 빗장부재형태이고, 상기 좌석의 제어는 상기 보우덴케이블수단을 통하여 상기 메모리의 상기 제1레바를 제어하고 베이스플레이트의 위치와 사익 좌석의 회전된 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버튼형태의 상기 단일장치를 통하여 전체적으로 회전하므로서 수행되며, 상기 제1레바와 회전형 빗장부재를 연결하는 제2의 보우덴케이블수단을 통하여 상기 제어버튼은 상기 회전형 빗장부재를 해제할 수 있게되어 있고, 상기 좌석에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안정위치 조절이 모우터장치에 의하여 회전되도록 제어레바로부터 상기 조인트브레이스로 연장된 제3보우덴케이블에 의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좌석의 전방영역하측에서 상기 차량바닥면이 상부에 모서리판이 구비된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고, 상기 모서리판은 상기 안내로의 양측 안내로부분에서 이동될 수 있게되어 있는 스핀들을 지지하며 상기 안내로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저면부의 일체로 구성된 플랜지에 형성되고 일측 안내로부분은 만곡형이고 타측 안내로부분은 직선형인 “V”자 형태의 안내로에는 그 하측부에 상기 제어버튼에 연결된 제4보우덴케이블수단에 의하여 제어되는 가동형의 빗장부재가 착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단스크류가 수동으로 제어됨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단스크류가 모우터에 의하여 제어됨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장치.
KR1019880010111A 1987-08-06 1988-08-06 차량 앞좌석의 전방경사조절용 기계적인 잭을 포함하는 메모리장치 Expired KR9200003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871194 1987-08-06
FR8711194 1987-08-06
FR8711194A FR2619060B1 (fr) 1987-08-06 1987-08-06 Mecanisme a memoire simple comportant un verin mecanique pour la manoeuvre de basculement sur l'avant d'un siege de vehicu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3575A KR890003575A (ko) 1989-04-15
KR920000370B1 true KR920000370B1 (ko) 1992-01-13

Family

ID=9353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0111A Expired KR920000370B1 (ko) 1987-08-06 1988-08-06 차량 앞좌석의 전방경사조절용 기계적인 잭을 포함하는 메모리장치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4925228A (ko)
EP (1) EP0306374B1 (ko)
JP (1) JPS6483425A (ko)
KR (1) KR920000370B1 (ko)
CN (1) CN1031508A (ko)
AT (1) ATE63725T1 (ko)
AU (1) AU610212B2 (ko)
BR (1) BR8803860A (ko)
CA (1) CA1289049C (ko)
DE (1) DE3862911D1 (ko)
DK (1) DK435788A (ko)
ES (1) ES2022666B3 (ko)
FR (1) FR2619060B1 (ko)
PT (1) PT88165B (ko)
ZA (1) ZA88572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35624A (en) * 1993-10-12 1995-07-25 Ford Motor Company Powered vehicle seat
DE19602211C1 (de) * 1996-01-23 1997-04-10 Faure Bertrand Sitztech Gmbh Betätigungsvorrichtung für das Entriegeln der Sperrklinke einer klappbaren Rückenlehne eines Kraftfahrzeugsitzes
DE19520857A1 (de) * 1995-06-08 1996-12-12 Johnson Controls Naue Engineer Kraftfahrzeugsitz
US5979986A (en) * 1996-02-28 1999-11-09 Fisher Dynamics Corporation Linear seat recliner with easy entry memory feature
US5769493A (en) * 1996-02-28 1998-06-23 Fisher Dynamics Corporation Linear recliner with easy entry memory feature
US5660440A (en) * 1996-02-28 1997-08-26 Fisher Dynamics Corporation Linear recliner with easy entry memory feature
US5707112A (en) * 1996-05-03 1998-01-13 Magna Lomason Corporation Linear recliner with memory seatback dump mechanism
US5918939A (en) * 1997-03-27 1999-07-06 Fisher Dynamics Corporation Seat recliner with memory dump mechanism
US5823622A (en) * 1997-05-08 1998-10-20 Fisher Dynamics Corporation Linear recliner with memory dump mechanism
US6199953B1 (en) 1999-05-18 2001-03-13 Fisher Dynamics Corporation Sector recliner with single position memory
DE19939183C1 (de) * 1999-08-20 2000-10-05 Daimler Chrysler Ag Elektrische Verstelleinrichtung für einen Vordersitz eines Kraftfahrzeugs
WO2002096699A1 (en) 2001-05-29 2002-12-05 Intier Automotive Inc. Easy entry seat with seat back mounted floor latch
DE10143403A1 (de) * 2001-09-05 2003-03-27 Keiper Gmbh & Co Entriegelungsvorrichtung in einem Fahrzeugsitz
US6676216B1 (en) * 2002-03-22 2004-01-13 Lear Corporation Vehicle seat assembly
KR100472655B1 (ko) * 2002-06-19 2005-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승객 탑승장치
US6962384B2 (en) * 2002-08-23 2005-11-08 Daimlerchrysler Corporation Fold flat motor vehicle seat
US6932424B2 (en) * 2002-08-23 2005-08-23 Daimlerchrysler Corporation Articulated base with guide track for fold-in-floor vehicle seat
US6869138B2 (en) * 2002-08-23 2005-03-22 Daimlerchrysler Corporation Underfloor stowage of a folding seat in a vehicle
US6955386B2 (en) * 2002-08-23 2005-10-18 Daimlerchrysler Corporation Underfloor stowage of a folding seat in a vehicle
FR2870795B1 (fr) * 2004-05-26 2006-09-01 Faurecia Sieges Automobile Siege de vehicule et vehicule muni d'un tel siege
FR2874867A1 (fr) * 2004-09-07 2006-03-10 Renault Sas Agencement de siege basculant pour un habitacle de vehicule automobile
US20080007106A1 (en) * 2006-06-16 2008-01-10 Schukra Of North America Head Rest Release Mechanism
US8534758B2 (en) 2010-09-13 2013-09-17 Tropitone Furniture Co., Inc. Reclinable seating apparatus and method
US9717340B2 (en) 2010-09-13 2017-08-01 Tropitone Furniture Co., Inc. Adjustable seating and furniture
US8646840B2 (en) 2010-12-22 2014-02-11 Nissan North America, Inc. Vehicle seat assembly
DE102012102699B4 (de) * 2012-03-29 2013-10-17 medica - Medizintechnik GmbH Aufstehtrainer
KR20150032172A (ko) 2013-09-17 2015-03-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염화비닐계 나노복합체 조성물 및 염화비닐계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
CN105150965B (zh) * 2015-09-25 2018-01-23 深圳创维汽车智能有限公司 汽车座椅调整方法及装置
DE102021127103A1 (de) * 2021-10-19 2023-04-20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sitz für ein Kraftfahrzeug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823912A (fr) * 1937-07-05 1938-01-28 Accessoires En Tube Pour Autom Siège inclinable en arrière, particulièrement applicable aux véhicules
DE1037093B (de) * 1955-03-23 1958-08-21 Matthias Krebs Ruhestuhl mit verschiebbarem Sitz und verschwenkbar gefuehrter Rueckenlehne
US2929439A (en) * 1958-07-30 1960-03-22 Gen Motors Corp Vehicle seat adjuster
US3741511A (en) * 1971-06-01 1973-06-26 G Streeter Seat tilting structure
DE3225546A1 (de) * 1982-07-08 1984-01-12 Keiper Automobiltechnik Gmbh & Co Kg, 5630 Remscheid Vorrichtung zur hoehenverstellung von sitzen, insbesondere kraftfahrzeugsitzen
DE3244922A1 (de) * 1982-12-04 1984-06-07 Bernhard 4790 Paderborn Elbers Behindertenfahrzeug
EP0120817B1 (en) * 1983-03-24 1986-12-30 FIAT AUTO S.p.A. Front seat assembly for motor vehicles
FR2556946B1 (fr) * 1983-10-25 1986-12-12 Sable Siege mobile, notamment siege amovible pour vehicule
FR2589800B1 (fr) * 1985-11-08 1989-06-23 Peugeot Cycles Siege arriere transformable
JPH054429Y2 (ko) * 1987-03-30 1993-02-0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06374A1 (fr) 1989-03-08
FR2619060B1 (fr) 1989-12-22
US4925228A (en) 1990-05-15
AU610212B2 (en) 1991-05-16
DK435788D0 (da) 1988-08-04
DK435788A (da) 1989-02-07
CA1289049C (en) 1991-09-17
FR2619060A1 (fr) 1989-02-10
EP0306374B1 (fr) 1991-05-22
ES2022666B3 (es) 1991-12-01
DE3862911D1 (de) 1991-06-27
ATE63725T1 (de) 1991-06-15
KR890003575A (ko) 1989-04-15
JPS6483425A (en) 1989-03-29
PT88165B (pt) 1993-09-30
CN1031508A (zh) 1989-03-08
PT88165A (pt) 1989-06-30
AU2026888A (en) 1989-02-09
ZA885722B (en) 1989-04-26
BR8803860A (pt) 1989-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0370B1 (ko) 차량 앞좌석의 전방경사조절용 기계적인 잭을 포함하는 메모리장치
US5348373A (en) Elecromechanical release mechanism for a seat assembly
EP0236415B1 (en) Movable seat arrangement
US4765683A (en) Headrest apparatus
JP4675625B2 (ja) 自動車シートのためのシート装置
US6547303B1 (en) Pivoting seating system
JP2002522131A (ja) 可調節型ヘッドレスト
JPH06305349A (ja) パワー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S63212308A (ja) ヘツドレスト装置
JPH1059037A (ja) 傾動可能な背部を有するチャイルドシート
JPH0834271A (ja) 乗り物用座席の長手方向位置調節装置
KR20170121250A (ko) 이지 엔트리 기능을 구비한 차량좌석
US4283036A (en) Position memory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seat assemblies
JP4663322B2 (ja) 自動車シートのためのシート装置
JP2000052827A (ja) 自動車の回転シート
JPH05301560A (ja) シートベルトのスルーガイド構造
JPH0412818Y2 (ko)
JPS6328030Y2 (ko)
JPS62101548A (ja) 車両用座席
JP2534103Y2 (ja) シートのパワースライド機構
JPH0436681Y2 (ko)
JPH054758Y2 (ko)
JPH051565U (ja) パワー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S6319372B2 (ko)
JPS62101554A (ja) 車両用座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111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1996011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19960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