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20000123Y1 - 창문 청소 용구 - Google Patents

창문 청소 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0123Y1
KR920000123Y1 KR2019860014548U KR860014548U KR920000123Y1 KR 920000123 Y1 KR920000123 Y1 KR 920000123Y1 KR 2019860014548 U KR2019860014548 U KR 2019860014548U KR 860014548 U KR860014548 U KR 860014548U KR 920000123 Y1 KR920000123 Y1 KR 9200001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queegee
blade
head
cleaning
window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145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8002U (ko
Inventor
에이. 스마릭 마이클
Original Assignee
유니온 쇼오지 가부시기가이샤
아사지 마사가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온 쇼오지 가부시기가이샤, 아사지 마사가즈 filed Critical 유니온 쇼오지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180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800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01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123Y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00Cleaning windows
    • A47L1/06Hand implement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창문 청소 용구
제1도, 제2a-2c도는 본고안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제1도는 사시도.
제2a도는 평면도.
제2b도는 저면도.
제2c도는 측면도.
제3a-3d도는 스퀴지에 의한 유리청소 작업의 한 양태를 도시하는 것으로,
제3a도는 종래의 스퀴지를 사용한 작업을 도시하고,
제3b도, 제3c도는 본 고안의 스퀴지를 사용하여 상방의 유리를 청소하는 작업을 도시하고,
제3d도는 본 고안의 스퀴지를 사용하여 하방의 유리를 청소하는 작업을 도시한다.
제4a-4f도는 높이방향의 치수가 작은 유리를 청소하는 작업을 도시하는 것으로,
제4a도, 제4b도는 종래스퀴지를 사용한 청소작업의 양태.
제4c-4f도는 본 고안의 스퀴지를 사용한 청소 작업의 양태를 각각 도시한다.
제5a-5i도는 폭이 좁은 유리를 청소하는 양태를 도시하는 것으로,
제5a도는 종래의 스퀴지를 사용한 경우이고,
제5b-5i도는 본 고안의 스퀴지를 사용한 경우를 각각 도시한다.
제6a-6f도는 경사진 변을 가진 변형 유리를 청소하는 양태를 도시하는 것으로,
제6a, 6b도는 종래의 스퀴지를 사용한 경우.
제6a-6f도는 본고안의 스퀴지를 사용한 경우를 도시한다.
제7a도, 제7b도는 만곡된 유리를 청소하는 양태를 도시한 것으로,
제7a도는 종래의 스퀴지를 사용하는 경우를,
제7b도는 본고안의 스퀴지를 사용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제8도는 각구등의 뒤에있는 유리면을 본고안의 스퀴지를 사용하여 청소하는 양태의 도시.
제9a-10b도는 본고안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제9a도는 평면도.
제9b도는 저면도.
제10a도는블레이드를 장치한 상태의 측면도.
제10b도는 블레이드를 제거한 상태의 측면도.
제11a도, 제11b도는 제2실시예의 요부의 부분확대 측면도로서,
제11a도는 블레이드를 제거한 상태이고,
제11b도는 블레이드를 장치한 상태에서의 쐐기형 부재의 작동을 각각 도시한다.
제12a도, 제12b도는 제11a도, 제11b도와 동일 양태의 부분확대 정면도.
제13a도, 제13b도는 제2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는 것으로,
제13a도는 종래의 스퀴지를 사용하는 경우를,
제13b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의 스퀴지를 사용하는 경우를 각각 도시한다.
제14도는 본고안의 제3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70)(90) : 스퀴지 (12)(92) : 헤드
(14) : 핸들 (16) : 와이핑 블레이드
(18) : 설부(舌部) (24) : 축지(軸支)수단
(74) : 연결수단 (76) : 쐐기형 부재
(78) : 핀 (94) : 블레이드 이외의 다른 청소구
본 고안은 창문청소 용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 말하면 와이굉(wiping) 블레이드를 가지는 형의 유리창청소용구(스퀴지(squeegee))에 관한 것이다.
걸레를 사용하는 유리창 청소 대신 와이핑 블레이드가 부착된 형의 유리창 청소용구인 스퀴지를 사용하여유리창 청소작업을 하고 있다. 일본 실공소49-34625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같은 스펀지는 물만을 사용하는 간단한 작업으로 유리에 부착된 오염을 제거하여 유리를 깨끗이 청소할 수 있으므로, 대단히 유용한 유리창 청소용구이다. 그러나, 스퀴지의 와이핑 블레이드는 핸들 또는 그 핸들에 연결한 포울(pole)에 대하여 언제나 직각이 되도록 고정된다. 그러므로 스퀴지를 포울에 연결해서 하는 유리창 청소작업에 있어서 하기와 같은결점이 지적되고 있다.
(1) 청소작업의 발판보다 높은 위치의 유리를 청소할때, 제 3a도와 같이 스퀴지에 의한 청소는 세로방향만이 가능하고 스퀴지를 가로 방향으로 움직여서 유리를 청소할 수는 없다.
(2) 문이나 창문 위에 만든 작은 창문의 유리와 같이 높은곳에 있고, 또 유리의 높이 방향의 길이가 짧을경우는 스퀴지를 세로방향으로 여러번 움직여야 하고(제4a도, 제4b도), 작업이 대단히 복잡하다.
(3) 제5도와 같이, 유리창의 폭이 스퀴지의 와이핑블레이드의 길이보다 짧을 경우는 포울과 연결된 종래의 스퀴지로는 청소가 불가능하다.
(4) 3각 유리와 같이 경사진 변을 가지는 유리에 있어서는 어떠한 방향으로 부터 포울을 늘려 사용해도 스퀴지가 창틀에 닿아 청소가 안되는 부분(제6a도의 3각형 OXX부분, 또는 제6b도의 3각형OPQ부분)이 남게된다.
(5)제7a도와 같은 만곡된 유리의 경우 스퀴지의 오이핑 블레이드가 유리면에 밀착이 안되므로 청소 작업을 효과적으로 할 수 없다.
(6) 종래의 스퀴지는 청소를 하면서 스퀴지를 작동할 수 있는 방향 및 범위가 한정되므로 책상의 뒤 등의 청소를 하는 사람이 들어갈 수 없는 공간의 유리를 청소하기가 곤란하다. 이들(1)-(6)의 결점은, 상기와 같이스퀴지의 와이핑 블레이드가 포울(핸들)의 축에 대하여 직각으로 고정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본고안은 상기의 종래 스퀴지의 결점을 고려하여 고안된 것으로 상기의(1)-(6)의 결점을 해소하고 포울에연결한 스퀴지를 사용하는 청소작업의 작업능률을 더욱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이것을 위하여, 본고안에 있어서는, 와이핑 블레이드를 장치한 헤드와 포울에 연결이 가능한 핸들을 가지는 유리창 청소용구에 있어서, 와이핑 블레이드와 포울의 각도를 자유롭게 변화시키기 위하여 헤드가 핸들에 대하여 회동 가능게축 지지되어 있다.
본고안의 청소용구에 있어서는 와이핑 블레이드가 단 한번의 조작으로 착탈이 자유롭고, 또한 와이핑 블레이드가 헤드에 대하여 좌우 비대칭으로 배치될수 있도록 그 블레이드를 파지(把持)하는 헤드의 파지홈과, 그 파지홈과 함께 와이핑 블레이드를 파지하는 설부(舌部)와, 그 설부와 헤드를 연결하는 연결수단과, 그 연결수단끼리를 결합하는 핀과, 그 핀이 회동 가능하게 관통되는 쐐기형 부재를 더 포함시킬 수 있다. 그밖에 또, 본 고안의 유리창 청소 용구의 경우는 와이핑 블레이드 이외의 다른 청소구, 예를들면 물을 부여하는 용구를 헤드에 부착할 수가 있다. 스퀴지에 의한 유리창 청소작업중에 헤드가 불필요한 동작을 하는 일이 없고, 한편 와이핑 블레이드를 창틀에 대고 미는 것에 의해 그 블레이드가 포울에 대한 각도를 쉽게 변경할 수 있는 구조로 헤드가 핸들에 대하여 축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포울은 신축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고안에 있어서는, 와이핑 블레이드를 장치한 헤드가 핸들(또는 포울)에 대한 각도를 자유롭게 변경시킬수 있으므로 블레이드와 포울이 직각으로 고정된 종래의 스퀴지로는 해결할'수 없는 상기의(1)-(6)의 결점이 모두 해소된다. 따라서, 포울에 연결된 스퀴지에 의한 청소작업의 작업효율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 그리고, 종래 접사다리나 곤돌라등을 사용해야만 가능했던 장소의 유리창도 포울에 연결된 본고안의 스퀴지로써 청소가 가능하므로 작업비를 저감할 수 있고, 또한 작업의 안전성도 향산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고안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 요소에는 동일부호로 표시한다.
제1도 및 제2a-2b도는 본고안의 제1실시예에 관한 유리창 청소용구(10) (이하″스퀴지(10)″으로 기재한다)를 표시하고 이 스퀴지(10)는 헤드(12)와 핸들(14)을 가지고 있다. 헤드(12)는 와이핑 블레이드(16)가 부착되고, 그리고 이 블레이드 (16)는 설부(18)(제2b도)및 볼트-너트와 같은 연결수단(20)에 의하여 헤드(12)에 취부된다. 핸들(14)은 제1도중 점선으로 표시하는 포울(22)과 연결이 가능하다.
헤드(12)와 핸들(14)은 축지수단(24)에 의하여 상호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보다 상세히 말하면, 헤드(12)의 말단부(26)는 핸들(14)이 둘로 갈라진 선단부(28) (28) 사이에 끼워지고, 이 말단부(26)와 두갈래가 된 선단부(28) (28)를 통하여 축지 수단(24)이 관통 하여있다. 그리하여, 말단부(26), 즉 헤드(12)가 이 축지수단(24)을 중심으로 선단부(28), 즉 핸들(14) (및 포울(22))에 대하여 화살표 A로 표시하는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된다. 축지수단(24)에 대해서는, 특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와이핑 청소작업 중에 헤드(12)가 불필요한 동작을 하거나 건들거리는 일이 없는 상태로 말단부(26)와 선단부(28)(28)가 긴밀히 체결되어 있으나, 일정 이상의 힘을 가하면 이 말단부(26)와 선단부(28)(28)(즉 헤드(12)와 핸들(14))가 상대적으로 회동하는 상태를 제공하는 그러한 부재가 사용될수 있다.
또한 이실시예에서, 포울(22)는 신축이 자유로운 것이 사용되고, 핸들(14)의 작은구멍 (30)을 통하여 비스나핀 등의 결합수단으로 이 포울(22)이 핸들(14)에 연결된다. 다음에, 종래의 스퀴지(1)에 의한 작업과 비교하면서 본고안의 스퀴지(10)를 사용한 유리창 와이핑 청소작업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3-7도에서, 스퀴지(1), (10)에 의하여 와이핑된 부위가 사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제3a도는 상기의 종래기술의 결점 1에 관하여 도해한 것이다. 작업자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유리창(37)을 포울(22)에 연결한 스퀴지로 청소할때 종래의 스퀴지 (1)에서는 세로 방향(화살표 B방향)으로 밖에 닦을 수가 없고, 가로방향(제3b도, 제3c도의 화살표 C방향)으로는 닦을 수가 없었다. 이것에 대하여, 본고안의 스퀴지(17)에 의한 와이핑 청소작업은 우선 제3b도의 도시와 같이 블레이드(16)를 창틀(32)에 대고 민다. 그러면 축지수단(24)(제1도 및 제2도)을 중심으로 헤드가 포울(22) (및 핸들(14))에 대하여 회동하여 제3b도의 도시와 같이 비스듬히 기울어진 상태로 상호 연결된다. 이 상태에서 블레이드(16)의 상부선단을 창틀(34)을 따라 포울(22)을 화살R방향으로 작동시키면 블레이드(16)는 화살표 C 방향으로 동작한다. 이것으로 제3c도와 같이 가로방향으로의 와이핑 청소가 가능해진다. 제3d도는 작업자의 발판보다 하방에 있는 유리창을 청소하는 양태를 도해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종래의 스퀴지로는 불가능했던 가로방향(화살표 C 방향)의 청소가 가능하다. 이 경우의 작업순서는 제3b도, 제3c도에서 도해한 순서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4a도, 제4b도는 상기 종래기술의 결점 2에 대하여 도해한 것으로, 창문위에 만든 작은 창문의 유리창과같이 작업자의 상방에 있고, 또 높이방향의 치수가 비교적 작은 유리창(36)청소할 경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스퀴지(1)는 상기와 같이 세로방향(화살표 B방향)으로 밖에 작동시킬 수 없으므로 세로방향으로 여러번 스퀴지(1)를 왕복동시켜야 하고 청소작업이 대단히 번잡하였다. 이것에 대하여 본고안의 스퀴지(10)를 사용했을때 작업순서가 현저히 간략화된다. 제4c도의 도시와 같이 우선 블레이드(16)를 창틀(38)에 대고 밀어서 이 블레이드 (16)가 창틀(38)과 평행하게 밀착된(제4c도) 상태에서 블레이드(16)의 상단을 창틀 (40)을 따라 포올(22)를 화살표 R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스퀴지(10)가로방향(화살표 C 방향)으로 작동(제4d도)하여 유리창(36)이 가로방향으로 청소되므로 작업이 극히 간단하다. 제4e도 및 제4f는 청소작업자의 발판의 하방에 있는 높이방향의 치수가 작은 유리창(42)을 본고안의 스퀴지(10)로 청소하는 경우에 대하여 도해한 것이다. 작업의 순서에 대해서는 제4c도, 제4d도에서 도시하는 경우와 유사하므로 생략한다.
제5a도는 종래 스퀴지의 결점에 관한 상기 3항의 설명에 관한 것이다. 작업자의 발판보다 높은 곳에 있는 폭이 좁은 유리창(47)을 청소할때 포울(22)을 연결한 종래의 스퀴지에서는 블레이드이 단부(46)(46)가 측부창틀에서 돌출하기 때문에 와이핑 청소를 할 수가 없다. 이것에 대하여, 본고안의 스퀴지(10)를 사용하면 이러한 유리창(44)도 닦을 수가 있다. 작업의 순서로는 우선 제5b도의 도시와 같이 블레이드(16)를 창틀(48 )에 대고밀어서 블레이드(16)를 포울(22)에 대하여 회동시킨다. 블레이드와 포울이 (제5b도의 도시와 같이)일정한 각도가 되면, 스퀴지(10)를 화살표 C 방향으로 작동시켜서 블레이드(16)가 창틀(52)에 접촉될때까지 와이핑 청소를 한다(제c도) .
다음에 제5c도에 도시한 순서에 있어서, 와이핑 청소된 영역 (54)내에 스퀴지의 블레이드(16)를 위치시킨다. 이때 블레이드(16)의 양단이 측부창틀(48)(52)과 각각 접촉되도록 블레이드(15)와 포울(22)의 각도를 조절한다(제5d도). 그리고 포울(22)을 화살표 B방향으로 당기면(제5e도), 유리창(44)의 와이핑 청소가 행해진다.
제5f-5i도는 작업자의 발판보다 하방에 있는 폭이 좁은 유리창(54)을 본고안의 스퀴지로 청소하는 경우의 작업순서를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의 작업순서는 제5b-5e도에 따라 설명한 작업순서에 대응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6a도, 제6b도는 종래의 스퀴지를 포울(22)에 연결하여 경사진 변을 가진 변형유리(56)를 청소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종래 기술의 결점 4참조). 종래 스퀴지(1)에서는 포울을 똑바로 아래로 신장시킨 경우에는(제6a도), 3각형의 영역 OXY를 청소할 수가 없고, 또 비스듬히 대각방향(화살표 D 방향)으로 포울을 신장시켜도(제6b도), 영역 OPQ를 청소할 수가 없다. 이것에 대하여, 본고안의 스퀴지(10)는 우선 블레이드 (16)를 창틀(58)에 대고 헤드를 포울(22)에 대해서 회동시키고 (제6c도, 제6e도) , 다음에 블레이드(16)를 창틀(60)를 따라 화살표 D 방향으로 동작 시키므로써 유리창 (56)의 전면에 대하여 와이핑 청소가 가능해진다.
제7a도는 만곡된 유리면(62)을 포울(22)과 연결한 스퀴지(1)로 청소하는 경우를 도시한다.(상기 결점 5참조). 도시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의 단부(2)(2)가 유리면 (62)과 밀착이 안되므로 효과적인 와이핑 청소를 할수없다. 이에 대하여. 본고안의 스퀴지(10)는 제7b도의 도시와 같이 블레이드를 세로방향(화살B방향)으로 일직선으로 하므로써 블레이드 전체를 유리면(62)에 밀착시킬 수 있으므로 이 상태에서 화살표 (C)방향으로 이동시키므로써 청소를 실시할 수 있다.
본고안의 스퀴지는 상기와 같이 청소의 가능범위가 제한을 받지 아니한다. 따라서 제8도의 도시와 같이 가구(64)의 뒷부분 등의 청소작업자가 들어갈 수 없는 장소의 유리창도 닦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결점 6을 해소시킨다. 다음에 본고안의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제9,10도에서 전체를(70)으로 도시한 제2실시예에 있어서의 스퀴지는, 제1, 제2도에 도시하는 것과 대략 동일한 구성이다. 그러나 블레이드(16)를 헤드(12)에 착탈이 자유롭게 장치하는 구조가 상이하다. 헤드(12)의 블레이드(16)를 파지하는 위치에는 홈(72) (제10b도)이 형성되어 있다. (18) (제9b도, 제10도)은 홈(72)상대되는 장소에 설치된 설부(舌部)이다. 그리고 이 설부(18)는 헤드(12)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연결수단(74)에 의하여 헤드(12)에 취부된다. 연결수단(74)은 볼트-너트 등의 일반적인 기계요소로서 충분하다. 헤드(12)의 상면에는 쐐기형 부재(76)가 설치되고 이 쐐기형 재(76)를 회동이 자유롭게 관통하는 핀(75)이 연결수단(74)(74)끼리를 접합시킨다.
제10b도, 제11a도, 제12a도에 도시한 상태에서 블레이드(16)를 헤드(12)에 취부할 때에는 우선 홈(72) (제10b도)과 설부(18) 사이에 블레이드(16)를 끼운다. 다음 쐐기형 부재(76)를 화살표 E의 방향으로 회동시킨다(제11a도). 그러면 이 부재(76 )은 점(80)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는데, 동시에 핀(78)의 위치도 화살표 G를따라 상방에 점선으로 표시한 위치까지 이동한다. 그리고 제11b도 또는 제12b도의 도시와 같은 상태가 된다. 제11a도에 있어서의 헤드(12)의 상면으로부터 핀(78)까지의 거리h는 제11b도에 있어서의 헤드(12)의 상면으로부터 핀(78)까지의 거리 H보다 작다. 따라서 쐐기형부재(76)를 화살표 E방향으로 쓰러뜨리므로써 핀(78)은 거리H-h 만큼 상방으로 끌어올려진다. 핀(78)은 연결수단(74)끼리를 결합하고 있으므로 연결수단(74)도 거리H-h만큼 상방으로 끌어올려지고 그리고 설부(18)를 홈(72)방향으로 압압한다. 이 압압작용에 의하여 블레이드(16)가 홈(72)과 설부(18)와의 사이에 파지된다.
블레이드(16)를 떼어낼때는 제10a도나 제11b도의 상태로부터 쐐기형 부재 (76)를 화살표 F방향으로 쓰러뜨린다. 그러면 이 부재(76)는 점(80) (제11b도)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와는 반대동작으로 핀(78)을 걸리 H-h 만큼 하강시킨다. 동시에 연결수단(74)도 거리 H-h 만큼 하강하여 설부(18)가 홈(72)으로 부터 결리 되도록 작용한다. 이것에 따라 설부(18)와 홈(72)과의 사이에 파지압력이 완화되어 블레이드 (16)를 떼어낼 수 있다.
이 실시예에 관한 스퀴지(70)에서는 쐐기형 부재(76)를 압압(쓰러뜨림)하는 간단한 동작으로 단 한 번에 블레이드의 착탈이 가능하다. 또 제13b도의 도시와 같이 헤드(12)를 블레이드(16)의 중앙부 이외의 장소에 위치시킬 수 있다. 그 결과로 제13a도와 같이 종래의 스퀴지(1)로는 손이 닿지 않았던 부분도 제9-12도의 실시예를 사용하면 와이핑 청소가 가능하다(제13b도).
제14도는 본고안의 제3실시예의 스퀴지(90)를 도시한다. 헤드(92)에는 와이핑 블레이드 이외의 다른 용구(94)가 장치되어 있다. 이 부재(94)는 예를들면 원통형의 봉으로서, 이봉에는 물을 끼얹는 작업용의 외장기구등을 장착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과 같이 본고안의 스퀴지는 바아에 대한 헤드(블레이드)의 각도를 자유롭게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종래의 포울에 연결한 스퀴지로는 청소가 불가능했던 유리창을 모두 청소할 수 있다. 따라서 접사다리나곤돌라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이것은 작업원가를 저감시키는 것은 물론 작업의 안전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킨다. 또. 접사다리나 곤돌라가 불필요해지면 빌딩이나 점포 등의 미관상으로도 효과적이다. 또 구조가 극히 간단하므로 제조 가격도 낮게 된다.

Claims (3)

  1. 와이핑 블레이드(16)를 장치한 헤드(12)와 포울(22)에 연결가능한 핸들(14)을 가지는 유리창 청소용구(10)에 있어서, 헤드(12)가 핸들(14)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축지되도록 축지수단(24)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 청소용구.
  2. 제1항에 있어서, 와이핑 블레이드(16)를 파지하는 헤드(12)이 파지홈(72)가, 그 파지홈(72)과 함께 와이핑 블레이드를 파지하는 설부(18)와, 그 설부(18)와 헤드(12)를 연결하는 연결수단(74), 그 연결수단(74)끼리를 결합하는 핀(78)과, 그 핀(78)이 회전 가능하게 관통되는 쐐기형부재(76)를 추가로 가지는 유리창 청소용구.
  3. 제1항에 있어서, 헤드(92)에는, 와이핑 블레이드 이외의 다른 청소구(94)를 장치할 수 있는 유리창 청소용구.
KR2019860014548U 1986-05-30 1986-09-23 창문 청소 용구 Expired KR920000123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1022(??) 1986-05-30
JP1986081022U JPS62196150U (ko) 1986-05-30 1986-05-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8002U KR870018002U (ko) 1987-12-22
KR920000123Y1 true KR920000123Y1 (ko) 1992-01-15

Family

ID=13734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4548U Expired KR920000123Y1 (ko) 1986-05-30 1986-09-23 창문 청소 용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2196150U (ko)
KR (1) KR920000123Y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7277A (en) * 1974-07-12 1976-01-21 Honshu Paper Co Ltd Kanshikihonyoru kamiseitoreenoseizoho
JPS5130395A (ko) * 1974-09-05 1976-03-15 Nippon Electric C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8002U (ko) 1987-12-22
JPS62196150U (ko) 1987-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05658B1 (en) Glass wiper
EP0176696A2 (de) Reinigungsgerät zum Trocken- oder Nasssaugen und/oder zur Sprühextraktionsreinigung
DE4125866C2 (ko)
US2201079A (en) Wringer mop
KR920000123Y1 (ko) 창문 청소 용구
EP3225146A1 (de) Verfahren zur reinigung von böden und bodenreinigungsmaschine
CA2365574A1 (en) Improved vacuum nozzle for cleaning ceiling fan blades
US5471696A (en) Hooked cleaning tool for wooden decks
DE3518544C1 (de) Saugfuß für ein Naßreinigungsgerät für textile Bodenbeläge
WO2023179657A1 (zh) 双握杆清理器
CA2237544A1 (en) Suction head for floor cleaning machine
DE19748276C1 (de) Fahrbares Bodenreinigungsgerät
JPH10117985A (ja) モップ
DE3017485A1 (de) Vorrichtung zur reinigung von flaechen wie bodenflaechen, insbesondere von hartbodenflaechen, sowie von wandflaechen, fassadenflaechen o.dgl.
DE10212422C2 (de) Handreinigungsgerät
CN2930583Y (zh) 新式擦窗器
CN210871280U (zh) 一种便捷窗玻璃双向擦刮器
EP1734853B1 (en) Low profile side squeegee assembly
CN222149942U (zh) 一种可站立式迷你拖把
DE3420639A1 (de) Eiskratzschaber
DE2905554B2 (de) Mehrzweck-Staubsaugermundstück
CN2566787Y (zh) 擦窗器
EP4144273B1 (de) Zusatzbauteil für ein bodenreinigungsgerät und bodenreinigungsgerät
DE102005012679A1 (de)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Flächenreinigungskopfes und Flächenreinigungskopf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DE2332924C2 (de) Flächenwischgerä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860923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880303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60923

Patent event code: UA02011R01I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19891215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891215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UJ2001 Appeal

Decision date: 19911031

Appeal identifier: 1990201000807

Request date: 19900630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1112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2033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2061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2061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1213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412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