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10021319A - 안전벨트 견인기 - Google Patents

안전벨트 견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21319A
KR910021319A KR1019910002811A KR910002811A KR910021319A KR 910021319 A KR910021319 A KR 910021319A KR 1019910002811 A KR1019910002811 A KR 1019910002811A KR 910002811 A KR910002811 A KR 910002811A KR 910021319 A KR910021319 A KR 9100213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ing
pad
belt
ribs
retr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2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0166376B1 (ko
Inventor
엘 지거티스 제임즈
아아서 돗티 제랄드
Original Assignee
원본미기재
오큐펀트 세이프티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팃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본미기재, 오큐펀트 세이프티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팃드 filed Critical 원본미기재
Publication of KR910021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213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6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63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6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 B60R22/42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having means for acting directly upon the belt, e.g. by clamping or fri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안전벨트 견인기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견인기의 정면도. 제2도는 제1도 견인기의 측면도. 제3도는 제1도 견인기의 제동 기구에 대한 확대 정면도.

Claims (31)

  1. 고정된 기부; 상기 기부상에 지지되어 상기 제동기구와 협력하는 프레임; 연장 방향 및 수축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지지되는 릴, 및 상기 릴의 연장 방향으로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방지하는 관성 고정기구를 가지며, 상기 프레임상에 지지되는 스프링 바이어스식 릴조립체; 상기 릴상에 감겨하고 상기 제동기구에 의해 선택적으로 결합하도록 상기 제동 기구를 통과하여 연장하며, 일정한 길이의 끈을 가지는 벨트; 상기 끈이 상기 제동 기구를 통과하여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비작동 위치, 및 상기 벨트의 제1면의 제동 접촉부에 결합되어 그 제동 접촉부에 의해 연장이 구속되는 제동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상기 제동 접촉부를 가지며, 상기 기부상에 지지되는 제동기구; 및 벨트의 반대측 표면에 결합하도록 상개 기부상에 배치되고 상기 벨트의 반대측 표면의 파지하여 그 표면상에 실질적인 구속력의 가하도록 압축성 표면의 파지하여 그 표면상에 실질적인 구속력을 가하도록 압축성 표면 및 고 마찰 계수를 가지는 탄성중합체 패드로 구성되는, 안전 벨트 견인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기구는 상기 기부상에 선회가능하게 지지되는 캠을 가지며, 상기 제동 접촉부는 상기 벨트와 결합하도록 상기 캠상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며, 바이어싱 수단은 상기 제동 기구를 상기 비 작동 위치를 향해 밀고; 상기 제동 접촉부는 상기 벨트와 결합하는 제동표면을 가지며; 상기 끝을 틈새기들를 가지며 상기 제동교면 및 상기 반작용표면 사이에 상기 벨트를 고정하면 상기 제동 위치에서 상기 탄성중합체 패드 표면을 상기 틈새기들 안으로 변형시키는 상기 견인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는 상기 제동 접촉부 제동표면에 대향하는 적어도 두개의 리브들을 갖는 횡방향으로 리브가 형성된 표면을 가지며, 상기 리브들은 그들 사이에 횡방향 요면을 형성하고; 상기 탄성 중합체 패드는 상기 리브들 및 요면상에 배치되어 보유되는, 상기 견인기.
  4. 제3항에 있어서, 창을 갖는 웨브 안내부를 더 포함하고, 그 웨브 안내부는 상기 리브들 및 상기 패드위에 배치되어 상기 패드를 상기 리브들상의 제위치에 고정하며, 상기 반작용표면이 상기 창내에 배치되어 상기 벨트 및 상기 제동표면과 결합하는, 상기 견인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웨브안내부는 비작동 위치에서 패드 반작용 표면과 거의 일직선으로 정렬되는 상부표면의 구비함으로써 에너지를 흡수하는 반작용 표면을 상기 벨트에 제공하는, 상기 견인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중합체는 고마찰 계수를 갖는 우레탄 고무인, 상기 견인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접촉부는 제동표면을 가지며, 상기 고정된 기부는 상기 제동접촉부 제동표면에 대향하는 적어도 두개의 리브들을 갖는 횡방향으로 리브가 형성된 표면을 가지며, 이 리브들은 그들 사이에 횡방향 요면을 형성하고; 탄성 중합체 패드는 상기 리브들 및 요면상에 배치되어 보유되며, 이 패드는 상기 제동표면에 대해 에너지를 흡수하는 반작용 표면을 제공하는 상기 견인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들 및 패드위에 배치된 웨브 안내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패드를 상기 리브들상의 제위치에 고정시키는 상기 견인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웨브안내부는 패드 반작용 표면과 거의 일직선으로 정렬된 상부 표면의 구비함으로써 상기 벨트와 결합하는 제도표면에서 일반적으로 연속하고 편평하며 에너지를 흡수하는 지지 면을 상기 벨트에 제공할 수 있고, 이 에너지를 흡수하는 패드는 횡방향 리브들 사이에 끼워져서 제동 위치에서 더욱 균일하게 제동력을 분포시키는 상기 견인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중합체가 우레탄 고무인, 상기 견인기.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밸트는 틈새기들을 갖는 직조면의 구비하고, 제동표면에는 상기 벨트와 결합하는 상기 탄성중합체 패드는 상기 반작용 표면을 상기 틈새기들쪽으로 변형시켜서 유사한 형태로 되게할 수 있는, 상기 견인기.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된 기부는 상기 제동 접촉부 제동표면에 대향하는 적어도 두개의 리브들을 갖는 횡 방향으로 리브가 형성된 표면을 가지며, 상기 리브들은 그들 사이에 횡방향요면을 형성하고; 탄성중합체게 패드가 상기 리브들 및 요면상에 배치되어 보유되며, 이 패드는 상기 제동표면에 대한 에너지 흡수성 반작용표면인, 상기 견인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들 및 패드위에 배치된 웨브 안내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패드를 상기 리브들상의 제위치에 고정할 수 있는 상기 견인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웨브 안내부는 패드 반작용 표면과 거의 일직선으로 정렬된 상부표면을 가짐으로써, 상기 벨트와 결합하는 제도표면에 일반적으로 연속하고, 편평하며 에너지를 흡수하는 지지 표면을 상기 벨트에 제공할 수 있고, 그 에너지 흡수형 패드는 횡방향리브들 사이에 끼워져서 더욱 균일하게 제동력을 분포시키는 상기 견인기.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중합체가 우레탄 고무인, 상기 견인기.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틈새기들을 갖는 직곡면을 구비하고, 상기 벨트와 결합하는 제동 표면에서 상기 탄성 중합체 패드는 상기 반작용 표면을 상기 틈새기들쪽으로 변형시켜서 유사한 형태로 되게 할 수 있는 상기 견인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는 상부 제동 수단에 대항하는 적어도 두개의 리브들을 갖는 횡방향으로 리브가 형성된 표면을 가지며, 상기 리브들은 그들 사이에 횡방향으로 요면을 형성하고; 탄성 중합체 패드가 상기 리브들 및 요면상에 배치되어 보유하며, 이 패드는 상기 제동 표면에 대한 에너지 흡수형 반작용 표면인, 상기 견인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들 및 패드위에 배치된 웨브 안내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패드를 상기 리브들상의 제위치에 고정할 수 있는, 상기 견인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웨브 안내부는 패드 반작용 표면과 거의 일직선으로 정렬된 상부표면을 가짐으로써, 상기 벨트와 결합하는 제동 수단에서 일반적으로 연속하고 펀핑하며 에너지를 흡수하는 지지 표면을 상기 벨트에 제공할 수 있고, 그 에너지 흡수형 패드가 횡방향 리브들 사이에 끼워져서 더욱 균일하게 제동력을 분포시키는 상기 견인기.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중합체 우레탄 고무인, 상기 견인기.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틈개들을 갖는 직조면의 구비하며 상기 벨트는 결합하는 제동 수단에서 상기 탄성중합체 패드는 상기 반작용 표면을 상기 틈새기들 쪽으로 변형시켜서 유사한 형태로 되게 할 수 있는, 상기 견인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는 상기 제동 수단에 대향하는 적어도 두개의 리브들을 가지는 횡방향으로 리브가 형성된 표면을 가지며, 상기 리브들은 그들 사이에 횡방향 요면을 형성하고, 탄성중합체 패드가 상기 리브들 및 요면상에 배치되어 보유되며, 그 패드는 제동수단에 대한 에너지 흡수형 반작용 표면인, 상기 견인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으로 리브들 및 패드위에 배치된 웨브 안내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패드를 상기 리브들상의 제위치에 고정할 수 있는 상기 견인기.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웨브 안내부는 패드 반작용 표면과 거의 일직선으로 정렬된 상부평면을 가짐으로써, 상기 벨트와 결합하는 제동수단에서 일반적으로 연속하고 편평하게 에너지를 흡수하는 지지면을 상기 벨트에 제공할 수 있고, 이 에너지 흡수형 패드는 횡방향 리브들 사이에 끼워져서 더욱 균일하게 제동력을 분포시키는, 상기 견인기.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중합체가 우레탄 고무인, 상기 견인기.
  2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틈새기들을 갖는 직조면을 구비하고, 상기 벨트와 결합하는 제동 수단에서 상기 탄성중합체 또는 상기 반작용 표면을 상기 틈새기들 쪽으로 변형시켜서 유사한 형태로 되게 할 수 있는, 상기 견인기.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된 기부는 상기 재동 접촉부 제동표면에 대향하는 적어도 두개의 리브들을 갖는 횡방향으로 리브가 형성된 표면을 가지며, 상기 리브들은 그들 사이에 횡방향 요면을 형성하고; 탄성 중합체 패드가 상기 리브들 및 요면상에 배치되어 보유되며, 이 패드는 상기 제동표면에 대한 에너지 흡수형 반작용 표면인, 상기 견인기.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들 및 패드위에 배치된 웨브 안내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패드를 상기 리브들상의 제위치에 고정할 수 있는 상기 견인기.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웨브 안내부는 패드 반작용 표면과 거의 일직선으로 정렬된 상부면을 가짐으로써, 상기 벨트와 결합하는 제동표면에서, 일반적으로 연속하고 편평하며 에너지를 흡수하는 지지표면을 상기 벨트에 제공할 수 있고, 그 에너지 흡수형 패드가 횡방향 리브들 사이에 끼워져서 더욱 균일하게 제동력을 분포시키는, 상기 견인기.
  30.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중합체가 우레탄 고무인, 상기 견인기.
  31.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틈새기들을 갖는 직조면을 구비하고, 상기 벨트와 결합하는 제동표면에서 상기 탄성중합체 패드가 상기 반작용 표면을 상기 틈새기들 쪽으로 변형시켜서 유사한 형태로 되게 할 수 있는, 상기견인기.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10002811A 1990-02-22 1991-02-21 안전 벨트 견인기 KR01663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484,499 US5024391A (en) 1989-04-21 1990-02-22 Retractor with auxiliary braking mechanism
US484,499 1990-02-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21319A true KR910021319A (ko) 1991-12-20
KR0166376B1 KR0166376B1 (ko) 1999-02-01

Family

ID=23924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2811A KR0166376B1 (ko) 1990-02-22 1991-02-21 안전 벨트 견인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024391A (ko)
EP (1) EP0443764B1 (ko)
KR (1) KR0166376B1 (ko)
CA (1) CA2036493A1 (ko)
DE (1) DE69101985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17405C3 (de) * 1991-05-28 1998-07-09 Schroth Gmbh Carl F Sicherheitsgurt
US5511741A (en) * 1994-09-30 1996-04-30 Alliedsignal Inc. Web clamping retractor mechanism with swinging housing
DE69609606T2 (de) * 1995-05-10 2001-04-12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Gurtaufroller mit verschiebbarem spulenkörper
GB9509429D0 (en) * 1995-05-10 1995-07-05 Alliedsignal Ltd Sliding spool retractor
GB9509779D0 (en) * 1995-05-15 1995-07-05 Alliedsignal Ltd Sliding web locking retractor
DE20120219U1 (de) 2001-12-13 2002-04-18 TRW Occupant Restraint Systems GmbH & Co. KG, 73553 Alfdorf Sperrklinke
DE102009053226A1 (de) * 2009-11-06 2011-05-12 Thyssenkrupp Presta Ag Steer-by-wire-Lenkung mit elektromechanischer Lenkungsverriegelung
CN103448604A (zh) * 2013-09-23 2013-12-18 宁波旭力金属制品有限公司 便捷汽车安全拉紧装置
WO2016100566A1 (en) * 2014-12-16 2016-06-23 Shield Restraint Systems, Inc. Web adjusters for use with restraint systems and associate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BR112018006591A2 (pt) 2015-10-02 2018-10-23 Shield Restraint Systems Inc indicadores de carga para sistemas de restrição pessoais e sistemas e métodos associados
US10604259B2 (en) 2016-01-20 2020-03-31 Amsafe, Inc. Occupant restraint systems having extending restraint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9814282B2 (en) 2016-02-02 2017-11-14 Shield Restraint Systems, Inc. Harsh environment buckle assemblie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CN110267561A (zh) 2017-02-07 2019-09-20 谢尔德约束系统公司 带子调节器
US20190283704A1 (en) * 2018-03-16 2019-09-19 Sikorsky Aircraft Corporation Harness restraint lock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67337A (en) * 1967-04-03 1969-09-16 James A Putman Restraint device
US3504867A (en) * 1967-09-29 1970-04-07 Wendell G Stevenson Safety belt lock
US4544112A (en) * 1981-01-22 1985-10-01 American Safety Equipment Corporation Safety belt webbing emergency locking apparatus
US4394034A (en) * 1981-04-08 1983-07-19 General Motors Corporation Belt clamp for retractor
US4492348A (en) * 1982-01-29 1985-01-08 American Safety Equipment Corporation Protractive force responsive safety belt locking apparatus
EP0185367B2 (de) * 1984-12-21 1993-03-24 Autoliv-Kolb GmbH & Co. Sicherheitsgurtsystem
DE3446981A1 (de) * 1984-12-21 1986-09-18 Britax-Kolb GmbH & Co, 8060 Dachau Klemmvorrichtung fuer ein sicherheitsgurt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443764B1 (en) 1994-05-18
DE69101985T2 (de) 1994-09-01
KR0166376B1 (ko) 1999-02-01
CA2036493A1 (en) 1991-08-23
DE69101985D1 (de) 1994-06-23
US5024391A (en) 1991-06-18
EP0443764A1 (en) 1991-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21319A (ko) 안전벨트 견인기
US5042797A (en) Active/passive exercise apparatus
US4650214A (en) Belt turning ring and clamping device
BR9815759A (pt) Tensionador de correia
KR970046330A (ko) 장력 조절 장치용 감쇠 기구
AR036922A1 (es) Tensador de correa
US10766451B2 (en) Buffer device
WO2003054419A3 (en) Unidirectional motion asymmetrically damped tensioner
ES2126786T3 (es) Tensor de correa.
KR920011806A (ko) 감쇄장치를 구비하는 인장기
CA2383236C (en) Dual-adjustable belt idler
BR0007710A (pt) Disposição para cabos em veìculos
CA2068391A1 (en) Springs for sash frame tensioning arrangements
ATE466214T1 (de) Spanneinrichtung für zugmittel, insbesondere riemenspanneinrichtung
ES2082946T3 (es) Dispositivo tensor encerrado en una polea.
WO2004016970A3 (en) Dual friction surface asymmetrical damped tensioner
WO2005072428A3 (en) Dual friction surface asymmetrically damped tensioner
KR920008383A (ko) 전동장치용 롤러 타이트너
ES2174614T3 (es) Tensor con un segundo brazo de pivote para mecanismo amortiguador.
JPH11506405A (ja) スポーツ用具を運搬するための車両に装着可能な緩衝運搬装置および衝撃力を吸収する方法
JPS6180078U (ko)
KR960019062A (ko) 피아노 지동장치
US4638935A (en) Paper feed tractor with belt tensioning
US4462531A (en) Paper feed tractor with belt tensioning
US20030056338A1 (en) Shock absorbing strap attachmen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1022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02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1022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7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9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09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20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