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17801A - 독립 동기형 구내정보통신망 및 그것에 사용되는 노드장치 - Google Patents
독립 동기형 구내정보통신망 및 그것에 사용되는 노드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10017801A KR910017801A KR1019910004428A KR910004428A KR910017801A KR 910017801 A KR910017801 A KR 910017801A KR 1019910004428 A KR1019910004428 A KR 1019910004428A KR 910004428 A KR910004428 A KR 910004428A KR 910017801 A KR910017801 A KR 91001780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information
- clock signal
- synchronous
- nod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02—Details
- H04J3/06—Synchronising arrangements
- H04J3/062—Synchronisation of signals having the same nominal but fluctuating bit rates, e.g. using buffers
- H04J3/0626—Synchronisation of signals having the same nominal but fluctuating bit rates, e.g. using buffers plesiochronous multiplexing systems, e.g. plesiochronous digital hierarchy [PDH], jitter attenuato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02—Details
- H04J3/06—Synchronising arrangements
- H04J3/062—Synchronisation of signals having the same nominal but fluctuating bit rates, e.g. using buffers
- H04J3/0623—Synchronous multiplexing systems, e.g. synchronous digital hierarchy/synchronous optical network (SDH/SONET), synchronisation with a pointer proces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02—Details
- H04J3/06—Synchronising arrangements
- H04J3/0635—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in a network
- H04J3/0638—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among nodes; Internode synchronisation
- H04J3/0647—Synchronisation among TDM nod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2—Loop networks
- H04L12/422—Synchronisation for ring network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2203/00—Aspects of optical multiplex systems other than those covered by H04J14/05 and H04J14/07
- H04J2203/0001—Provisions for broadband connections in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using frames of the Optical Transport Network [OTN] or using synchronous transfer mode [STM], e.g. SONET, SDH
- H04J2203/0028—Local loop
- H04J2203/0039—Topology
- H04J2203/0042—R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2203/00—Aspects of optical multiplex systems other than those covered by H04J14/05 and H04J14/07
- H04J2203/0001—Provisions for broadband connections in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using frames of the Optical Transport Network [OTN] or using synchronous transfer mode [STM], e.g. SONET, SDH
- H04J2203/0073—Services, e.g. multimedia, GOS, QOS
- H04J2203/0082—Interaction of SDH with non-ATM protoco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2203/00—Aspects of optical multiplex systems other than those covered by H04J14/05 and H04J14/07
- H04J2203/0001—Provisions for broadband connections in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using frames of the Optical Transport Network [OTN] or using synchronous transfer mode [STM], e.g. SONET, SDH
- H04J2203/0089—Multiplexing, e.g. coding, scrambling, SONE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02—Details
- H04J3/06—Synchronising arrangements
- H04J3/0635—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in a network
- H04J3/0685—Clock or time synchronisation in a node; Intranode synchronis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20)
- 다수의 노드장치가 전송선로를 거쳐서 접속된 독립 동기형 구내 정보 통신망에 있어서, 상기 노드장의 각각은 수신 클럭 신호를 추출하는 추출수단, 셀프 노드 장치의 클럭신호를 발생하는 클럭원, 상기 클럭원의 발진주파수를 기준으로 하여 고정 길이의 프레임을 생성하는 프레임 생성 수단, 수신한 프레임으로 특정 영역으로부터 동기 클럭 신호의 변화점 위치 정보를 리드하고, 상기 추출수단에 의해 리드된 추출 클럭신호를 사용하여 상류 노드 장치가 송출한 동기 클럭 신호를 재생하는 수단, 재생한 클럭 신호를 상기 셀프 노드 장치의 클럭 신호에 동기화 하는 동기화 수단과 상기 동기화 수단에 의해 동기화된 동기 클럭의 변화점을 검출하고, 상기 프레임 생성 수단에 의해 생성된 프레임내에서의 상기 변화점 위치를 상기 프레임 내의 특정 영역에 동기 클럭 신호의 변화점 위치정보로서 끼워넣는 수단을 포함하는 독립 동기형 구내 정보 통신망.
- 특허청구 범위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장치의 각가은 또 셀프 노드 장차기 발생하는 프레임 선두 신호의 위치로부터 상기 셀프 노드 장치가 발생한 노드 클럭에서동기화된 동기 클럭 신호의 변화정까지의 시간을 카운트하는 수단과 카운트한 결과 값을 상기 특정 영역으로 삽입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독립 동기형 구내 정보 통신망.
- 특허청구 범위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SONET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동기 클럭의 변화점 위치 전송하는 상기 프레임내의 특정 영역은 데이타 통신 채널인 독립 동기형 구내 정보 통신망.
- 특허청구 범위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노드장치중 적어도 1개의 노드장치는 나머지의 노드장치에 동기 클럭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마스터 노드장치이고, 상기 마스터 노드장치는 외부 클럭 신호 또는 셀프 노드 클럭신호를 동기 클럭신호로 하여, 프레임내의 특정 영역에 그의 변화점 위치 정보를 끼워 넣는 수단과 상기 동기 클럭에 의해 규정된 정보량이 출력되도록 1프레임내의 정보량을 제어하는 수단을 갖는 독립 동기형 구내 정보 통신망.
- 고정 길이의 프레임의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 독립의 클럭 신호를 발생하는 클럭원,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프레임의 정보를 상기 독립의 클럭 신호에 동기화하는 수단, 동기화된 정보를 일시 정가흔 기억 수단, 동기계 단말장치와 정보를 주고 받는 인터페이스 장치와 상기 독립의 클럭 신호에 따라 고정길이의 송신 프레임을 형성하고, 상기 기억 수단에 축적된 정보량에 따라서 1프레임내의 정보량을 증감한 정보 또는 상기 동기계 단말 장치로 부터의 정보를 전송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구내 정보 통신망용 노드장치.
- 고정 길이의 프레임의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 클럭신호를 발생하는 클럭원, 상기 클럭원의 발진 주파수를 기준으로 하여 고정 길이의 송신 프레임을 생성하는 프레임 생성 수단,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프레임의 특정 영역으로부터 동기 클럭 신호의 변화점 위치 정보를 리드하고, 상기 수신 클럭 신호를 사용하여 상류 노드 장치가 송출한 동기 클럭 신호를 재생하는 재생 수단, 재생한 동기 클럭 신호를 상기 클럭원에 의해 발진된 클럭 신호에 동기화하는 동기화 수단, 상기 송신 프레임내에서 동기화된 동기 클럭신호의 변화점을 검출하는 수단과 상기 송신 프레임내에서의 변화점 위치 정보를 프레임 내의 특정영역에 삽입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구내 정보 통신망용 노드장치.
- 다수의 노드장치와 상기 다수의 노드장치 사이를 결합하는 전송선로로 구성되는 독립 동기형 구내 정보 통신 망에 있어서, 상기 노드장치의 각각은 수신 클럭 신호를 추출하는 수단, 셀프 노드장치의 클럭 신호를 발생하는 클럭원, 수신 정보를 일시 기억하는 기억 수단, 상기 클럭원의 발진 주파수를 기준으로 하여 고정 길이의 프레임을 생성하는 수단과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량이 소정의 제1의 기준값보다 많은 경우에는 1프레임내에 송출하는 정보량을 증가시키고,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량이 소정의 제2의 기준값보다 적은 경우에는 1프레임내의 송출하는 정보량을 감소시키는 정보 송출량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독립 동기형 구내 정보 통신망.
- 특허청구 범위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장치는 상기 프레임내의 특정 영역을 사용하여, 상기 프레임내에서의 상기 동기 클럭신호의 변화점 위치 정보로서, 동기계 단말 장치에 공급하기 위한 동기 클럭 신호를 전송하는 전송수단을 포함하는 독립 동기형 구내 정보 통신망.
- 특허청구의 범위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수단은 상기 노드장치가 발생한 프레임 선두 신호의 위치로 부터, 상기 노드장치가 발생한 노드 클럭에 동기화된 상기 동기 클럭 신호의 변화점까지의 시간을 카운트하는 수단과 카운트한 결과의 값을 상기 특정영역으로 삽임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독립 동기형 구내 정보 통신망.
- 특허청구의 범위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노드장치는 링 형태로 접속된 독립 동기형 구내 정보 통신망.
- 특허청구의 범위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SONET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동기 클럭의 변화점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상기 프레임내의 특정 영역은 데이타 통신 채널인 독립 동기형 구내 정보 통신망.
- 특허청구 범위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노드장치중 적어도 1개의 노드장치는 나머지의 노드장치에 동기 클럭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마스터 노드장치이고, 상기 마스터 노드장치는 외부 클럭 신호 또는 셀프 노드 클럭신호를 동기 클럭신호로 하여, 프레임내의 특정 영역에 그의 변화점 위치 정보를 끼워 넣는 수단과 상기 동기 클럭에 의해 규정된 정보량이 출력되도록 1프레임내의 정보량을 제어하는 수단을 갖는 독립 동기형 구내 정보 통신망.
- 특허청구의 범위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수단에 축적된 정보량에 따라서 1프레임 내의 정보량을 증감하는 수단이 상기 기억 수단내의 정보량을 적어도 1프레임에 걸쳐서 누계하거나 평균화하는 누계또는 평균화 수단과 상기 평균화 수단의 출력에 의해 1프레임내의 정보량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갖는 독립 동기형 구내 정보 통신망.
- 특허청구의 범위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SONET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동기 클럭의 변화점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상기 프레임내의 특정 영역은 데이타 통신 채널인 독립 동기형 구내 정보 통신망.
- 특허청구 범위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노드장치중 적어도 1개의 노드장치는 나머지의 노드장치에 동기 클럭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마스터 노드장치이고, 상기 마스터 노드장치는 외부 클럭 신호 또는 셀프 노드 클럭신호를 동기 클럭신호로 하여, 프레임내의 특정 영역에 그의 변화점 위치 정보를 끼워 넣는 수단과 상기 동기 클럭에 의해 규정된 정보량이 출력되도록 1프레임내의 정보량을 제어하는 수단을 갖는 독립 동기형 구내 정보 통신망.
- 특허청구의 범위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노드장치는 링 형태로 접속된 독립 동기형 구내 정보 통신망.
- 특허청구 범위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노드장치중 적어도 1개의 노드장치는 나머지의 노드장치에 동기 클럭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마스터 노드장치이고, 상기 마스터 노드장치는 외부 클럭 신호 또는 셀프 노드 클럭신호를 동기 클럭신호로 하여, 프레임내의 특정 영역에 그의 변화점 위치 정보를 끼워 넣는 수단과 상기 동기 클럭에 의해 규정된 정보량이 출력되도록 1프레임내의 정보량을 제어하는 수단을 갖는 독립 동기형 구내 정보 통신망.
- 특허청구의 범위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SONET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동기 클럭의 변화점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상기 프레임내의 특정 영역은 데이타 통신 채널인 독립 동기형 구내 정보 통신망.
- 특허청구 범위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노드장치중 적어도 1개의 노드장치는 나머지의 노드장치에 동기 클럭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마스터 노드장치이고, 상기 마스터 노드장치는 외부 클럭 신호 또는 셀프 노드 클럭신호를 동기 클럭신호로 하여, 프레임내의 특정 영역에 그의 변화점 위치 정보를 끼워 넣은 수단과 상기 동기 클럭에 의해 규정된 정보량이 출력되도록 1프레임내의 정보량을 제어하는 수단을 갖는 독립 동기형 구내 정보 통신망.
- 특허청구 범위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노드장치중 적어도 1개의 노드장치는 나머지의 노드장치에 동기 클럭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마스터 노드장치이고, 상기 마스터 노드장치는 외부 클럭 신호 또는 셀프 노드 클럭신호를 동기 클럭신호로 하여, 프레임내의 특정 영역에 그의 변화점 위치 정보를 끼워 넣는 수단과 상기 동기 클럭에 의해 규정된 정보량이 출력되도록 1프레임내의 정보량을 제어하는 수단을 갖는 독립 동기형 구내 정보 통신망.※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69779 | 1990-03-22 | ||
JP2069779A JP3047920B2 (ja) | 1990-03-22 | 1990-03-22 | 独立同期型ローカルエリアネットワーク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10017801A true KR910017801A (ko) | 1991-11-05 |
KR0145178B1 KR0145178B1 (ko) | 1998-08-01 |
Family
ID=13412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10004428A Expired - Fee Related KR0145178B1 (ko) | 1990-03-22 | 1991-03-21 | 독립동기형 구내정보 통신망 및 그것에 사용되는 노드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3047920B2 (ko) |
KR (1) | KR0145178B1 (ko) |
DE (1) | DE4109150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35584B1 (ko) * | 1991-06-18 | 1999-12-15 | 존스 웨인 에이 | 동기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스위칭 네트워크 이용 방법 및 스위칭 네트워크 동작 동기화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4142048C1 (ko) | 1991-12-19 | 1993-02-25 | Siemens Ag, 8000 Muenchen, De | |
JP2006519532A (ja) * | 2003-02-27 | 2006-08-24 | オアシス.シリコンシステムズ.アーゲー | 同期マルチクラスタネットワークアーキテクチャ |
JP6025613B2 (ja) * | 2013-03-04 | 2016-11-16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Mpls装置、及び転送方法 |
-
1990
- 1990-03-22 JP JP2069779A patent/JP3047920B2/ja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1
- 1991-03-20 DE DE4109150A patent/DE4109150A1/de not_active Withdrawn
- 1991-03-21 KR KR1019910004428A patent/KR0145178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35584B1 (ko) * | 1991-06-18 | 1999-12-15 | 존스 웨인 에이 | 동기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스위칭 네트워크 이용 방법 및 스위칭 네트워크 동작 동기화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0145178B1 (ko) | 1998-08-01 |
DE4109150A1 (de) | 1991-09-26 |
JPH03272232A (ja) | 1991-12-03 |
JP3047920B2 (ja) | 2000-06-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068758B2 (ja) | データ再生回路 | |
EP2515591B1 (en) |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clock synchronization | |
EP0188443A1 (en) | An interface circuit for interfacing between asynchronous data in start/stop format and synchronous data | |
US4528661A (en) | Ring communications system | |
KR940008582A (ko) | 회로 | |
IE57406B1 (en) | Coder for moving pictures recognizing the stuffing characters by itself | |
EP0503657A2 (en) | Pulse stuffing apparatus and method | |
KR910017801A (ko) | 독립 동기형 구내정보통신망 및 그것에 사용되는 노드장치 | |
KR930703768A (ko) | 비동기성 전송 모드인 디지탈 원거리통신망 단말 장비의 동기화 장치 | |
EP0308450B1 (en) | Jitter control in digital communications links | |
JP2713252B2 (ja) | パケット位相同期回路 | |
CN109150360B (zh) | 同步以太网设备间时钟防环的方法 | |
US4796281A (en) | Digital signal transmission system | |
US20020037018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the line rate of time-multiplexed signals | |
JPH09270779A (ja) | データ同期方式 | |
KR100340050B1 (ko) | 동기식 디지털 전송 시스템의 역동기화 장치 | |
JP2005175614A (ja) | フレーム同期装置および光送受信器 | |
JP2834145B2 (ja) | パケット位相同期回路およびパケット位相同期方法 | |
JP3508843B2 (ja) | 多重化装置 | |
JP2788499B2 (ja) | 非電話信号中継方法 | |
KR100287421B1 (ko) | 광가입자 전송장치에서의 데이터 읽기 클럭 조정장치 | |
JP2802143B2 (ja) | ビット同期回路 | |
JPH1065660A (ja) | フレーム同期回路 | |
JPH08111672A (ja) | パケット位相同期回路 | |
JP2006173752A (ja) | クロック周波数の同期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1032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5052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1032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33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4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199804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1033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103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30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