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10009907B1 - 제어프로그램 분할을 이용한 데이타 메모리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제어프로그램 분할을 이용한 데이타 메모리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9907B1
KR910009907B1 KR1019890017700A KR890017700A KR910009907B1 KR 910009907 B1 KR910009907 B1 KR 910009907B1 KR 1019890017700 A KR1019890017700 A KR 1019890017700A KR 890017700 A KR890017700 A KR 890017700A KR 910009907 B1 KR910009907 B1 KR 9100099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data
microprocessor
data memory
progra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7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0313A (ko
Inventor
어준선
Original Assignee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정몽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정몽헌 filed Critical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90017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9907B1/ko
Publication of KR910010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03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9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9907B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dvance Control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어프로그램 분할을 이용한 데이터 메모리 제어 시스템
제1도는 종래의 메모리 맵핑(Memory Mapping)방법을 이용한 제어시스템.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프로그램 분리영역 표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전체 구성도.
제4도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명령어 페취(FETCH) 타이밍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31 : 마이크로 프로세서 15,32,33 : 디코더
35 : 래치회로 13,14,36 : 램(RAM)
12 : 롬(ROM) 34,37 : AND게이트
본 발명은 데이터 메모리(RAM)의 확장에 대한 것으로, 특히 제어프로그램의 적절한 분할을 통해서 프로그램 메모리(ROM)의 영역을 나누어 데이터 메모리(RAM)영역을 확장하는 데이터 메모리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제1도에 표시된 것과 같이 종래의 메모리 맵핑(MEMORY MAPPING)방법을 이용하여 구성한 제어시스템은 아래와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들어 8bit 마이크로 프로세서(어드레스 버스가 A0-A15 이하면)를 사용하여 구성할 경우에 16진수로 표시하면(216=64Kbytes) 0000H-FFFFH까지의 영역내에서 모든 메모리의 크기와 영역을 할당하게 된다. 제1도에서 프로그램 메모리(12)에 0000H-7FFFH(32Kbytes)를 할당하고, 데이터 메모리(13,14)에 나머지 영역 800H-FFFFH(30Kbytes)를 할당했다고 하면, 추가적인 IC를 쓰지 않고서는 데이터 메모리의 영역을 32Kbytes 이상 확장시킬 수 없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어드레스 신호(Ai)를 디코딩(decoding)하여 메모리에 할당되어진 어드레스 영역은 중복하여 다른 메모리에 할당할 수가 없음으로 해서 종래의 메모리 할당기술은 마이크로 프로세서(11)의 어드레스 버스의 개수에 의해 메모리 영역이 제한되어지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그리하여 종래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추가적인 IC와 마이크로세서의 포트 또는 제어신호를 함께 이용하여 확장시키는 방법이 있으나 이것은 경제적인 부담과 제어신호를 또하나 추가해야 된다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배제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제어 프로그램이 들어있는 프로그램 메모리(ROM)영역을 적절히 분할하고, 여기서 얻어지는 어드레스 신호를 이용하여 데이터 메모리 제어신호를 추가함으로써, 어드레스 버스의 개수에 의해 제한되는 데이터 메모리 영역을 필요한 만큼 확장시키는 데이터 메모리 제어 시스템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을 두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연결되어 메모리 선택신호를 출력하는 제1디코딩 수단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 및 상기 제1디코딩 수단에 연결된 제1논리곱 수단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어드레스버스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논리곱 수단을 통해 제어신호를 받아 어드레스 데이터를 입력하고 저장하는 래치수단과, 상기 래치수단에 연결된 제2디코딩수단과, 상기 제1 및 제2디코딩수단에 연결된 제2논리곱수단과, 상기 제2논리곱수단에 연결되어 칩선택신호를 입력하는 데이터 메모리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프로그램 영역 분리표시도로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프로그램을 i개의 부분으로 나누어 프로그램 메모리(ROM)에 배치하면 i개의 데이터 메모리를 중복하여 같은 영역에 할당할 수 있으므로 데이터 메모리(RAM)의 영역이 또다른 메모리 IC의 추가없이 i배로 확장된다.
즉, 도면에서 어드레스 버스의 예와 같이 프로그램 제1부분(SW1)과 프로그램 제i부분(SWi)은 어드레스 버스 앞부분의 두 개의 번지에 의해 구별가능하다. 이 두 개의 어드레스 신호를 이용하여 복수의 데이터 메모리(RAM)를 구성하여 프로그램 제1부분(SW1)이 수행 중일때는 데이터 메모리(RAM1)가 선택되게 하고 프로그램 제1부분(SWi)부분이 선택되게 하여 추가적인 메모리 영역의 설정없이도 똑같은 크기의 데이터 메모리를 똑같은 영역에 할당할 수 있는 방법이 생김으로써 종래의 한계를 극복하였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전체 구성도로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이크로 프로세서(31), 디코더(32,33), 래치회로(35), AND게이트(34,37) 및 데이터 메모리(36)로 구성되어 있다.
제2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어드레스 신호(Ai,Ah,Ag)로 프로그램영역(SW1-SWi)이 구별이 가능함을 본도에 적용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31)가 프로그램을 수행하기 위해 프로그램 메모리(ROM)에 있는 내용을 읽어올 때 액티브(Active)시키는 프로그램 메모리 읽기 신호(
Figure kpo00001
) 및 메모리 요구신호(
Figure kpo00002
)와, 마이크로 프로세서(31)에 연결된 디코더(32)로부터 출력되는 프로그램 메모리 선택신호(
Figure kpo00003
)가 동시에 액티브(Active:′로우′레벨)될 경우에 AND게이트(34)의 출력이 래치회로(35)에 인가되어 래치 인에이블 되도록 하며, 마이크로 프로세서(31)에 어드레스 버스를 통해 연결된 래치회로가 어드레스 버스에 실려있는 프로그램 메모리의 어드레스가 래치회로(35)에 저장 가능하도록 하고 프로그램 메모리를 액세스(Access)하지 않을 경우에는 래치회로(5)의 인에이블단자(
Figure kpo00004
)를 ′하이′로 하여 래치 불가능 상태로 한다.
그리고 래치 출력단자는 ′로우′로 묶어서 항상 출력가능 상태로 한다. 그 다음에 제어프로그램 분리에 의해 생긴 어드레스 신호(Ai,Ah,Ag)를 디코더(33)로서 나누어 각각의 나눈 제어프로그램이 수행될 때 각각에 대응되는 데이터 메모리(RAM)들에 지금 실행하고 있는 영역의 프로그램에 해당되는 데이터 메모리(RAM1,RAM2,…RAMi)만 선택되도록 램선택신호(
Figure kpo00005
)와 디코더 출력을 AND게이트(37)로 논리곱하여 각각의 데이터 메모리(RAM1,RAM2,…RAMi)의 칩선택 단자(
Figure kpo00006
)에 가한다.
그리고 데이터 메모리(RAM1,RAM2,…RAMi)는 프로그램 메모리에 있는 어느 특정한 영역의 제어 프로그램이 수행될때만 독립적으로 쓸 수 있으므로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 서로의 프로그램간의 통신을 위한 공통의 데이터 메모리 영역으로서 데이터 메모리(RAMj)를 하나 추가하여 소프트 웨어를 분리함에서 오는 각 프로그램간의 고립을 제거하였다.
제4도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명령어 페취(FETCH) 타이미도로서 (a)는 어드레스 버스에 실리는 어드레스 신호이고, (b)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메모리 요구신호(
Figure kpo00007
)이고, (c)는 메모리 읽기 신호(RD)이며, 시간 t는 래치가능 시간을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제3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각각 나누어지니 프로그램에서 공통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데이터 메모리(RAMj)와 독자적으로만 쓸 수 있는 데이터 메모리(RAM1,RAM2,…RAMi)로 구성되어 있다.
즉, 같은 어드레스 번지를 가진 데이터 메모리(RAM1,RAM2,…RAMi)를 여러개 같은 영역에 할당할 수 이는 방법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한정된 어드레스 번지내에서 필요한 만큼의 확장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제어 시스템의 데이터 메모리 부분의 융통성을 확보하게 된다. 또한 분리된 각각의 프로그램별로 독립적으로 쓸 수 있는 데이터 메모리를(RAM1,RAM2,…RAMi)갖게 되므로 각각의 프로그램의 실수로 인한 다른 영역의 데이터 메모리로의 영향을 메모리 분리에 의해서 최소화 시킴으로써 제어시스템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가지게 된다.

Claims (5)

  1. 마이크로 프로세서(31)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31)에 연결되어 메모리 선택신호를 출력하는 제1디코딩 수단(32)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31) 및 상기 제1디코딩 수단(32)에 연결된 제1논리곱 수단(34)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31)에 어드레스 버스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논리곱수단(34)을 통해 제어신호(
    Figure kpo00008
    )를 받아 어드레스 데이터를 입력하고 저장하는 래치수단(35)과, 상기 래치수단(35)에 연결된 제2디코딩수단(33)과, 상기 제1 및 제2디코딩 수단(32,33)에 연결된 제2논리곱수단(37)과, 상기 제2논리곱수단(37)에 연결되어 칩선택신호(
    Figure kpo00009
    )를 입력하는 데이터 메모리수단(36)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프로그램 분할을 이용한 데이터 메모리 제어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메모리 수단(36)은 프로그램 메모리(ROM)의 특정 영역의 제어프로그램이 수행될 때만 독립적으로 동작되는 데이터 메모리(RAM1,RAM2,…RAMi)와 상기 제어 프로그램 상호간의 통신을 위해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1개의 데이터 메모리(RAMj)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프로그램 분할을 이용한 데이터 메모리 제어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메모리(RAM1,RAM2,…RAMi)는 같은 어드레스 영역에 중첩시킴으로써 데이터 메모리 영역을 확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프로그램 분할을 이용한 데이터 메모리 제어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논리곱수단(34)는 마이크로 프로세서(31)로부터의 메모리 요구신호(
    Figure kpo00010
    ) 및 메모리 읽기 신호(
    Figure kpo00011
    )와 제1디코더(32)로부터의 프로그램 메모리 선택신호(
    Figure kpo00012
    )를 논리곱(AND)하여 어드레스 버스의 신호를 제어하는 래치수단(35)의 제어단자(
    Figure kpo00013
    )에 인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프로그램 분할을 이용한 데이터 메모리 제어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논리곱 수단(37)은 데이터 메모리(RAM1,RAM2,…RAMi) 각각에 AND게이트(37a,37b,…37n)를 할당하여 구성하고 제1디코딩 수단(33)을 통해 본리된 어드레스와 마이크로 프로세서(31)가 상기 데이터 메모리(RAM1,RAM2,…RAMn)를 엑세스(Access)할 때 액티브(Active)되는 제어신호(
    Figure kpo00014
    )를 논리곱(AND)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 분할을 이용한 데이터 메모리 제어시스템.
KR1019890017700A 1989-11-30 1989-11-30 제어프로그램 분할을 이용한 데이타 메모리 제어 시스템 Expired KR910009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7700A KR910009907B1 (ko) 1989-11-30 1989-11-30 제어프로그램 분할을 이용한 데이타 메모리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7700A KR910009907B1 (ko) 1989-11-30 1989-11-30 제어프로그램 분할을 이용한 데이타 메모리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0313A KR910010313A (ko) 1991-06-29
KR910009907B1 true KR910009907B1 (ko) 1991-12-03

Family

ID=19292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7700A Expired KR910009907B1 (ko) 1989-11-30 1989-11-30 제어프로그램 분할을 이용한 데이타 메모리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990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0313A (ko) 1991-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66727A (en) Combination flash memory and dram memory board interleave-bypass memory access method, and memory access device incorporating both the same
EP0183231B1 (en) Data processor
US5359717A (en) Microprocessor arranged to access a non-multiplexed interface or a multiplexed peripheral interface
US5088023A (en) Integrated circuit having processor coupled by common bus to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for processor operation and processor uncoupled from common bus when programming read only memory from external device
EP0072219B1 (en) Memory addressing system
EP0372841B1 (en) Arrangement for and method of locating ROM in computer memory space
US4780812A (en) Common memory system for a plurality of computers
US4393443A (en) Memory mapping system
US5592652A (en) Single-chip microcomputer system having address space allocation hardware for different modes
KR910009907B1 (ko) 제어프로그램 분할을 이용한 데이타 메모리 제어 시스템
US5317750A (en) Microcontroller peripheral expansion bus for access to internal special function registers
KR960002029B1 (ko) 싱글칩 마이크로컴퓨터 및 다기능 메모리
US4388707A (en) Memory selecting system
JPS645341B2 (ko)
JP2537526B2 (ja) マルチプロセッサシステム
US7676631B2 (en) Methods for operating a CPU having an internal data cache
JPH1153338A (ja) 半導体集積回路およびその半導体集積回路における外部バスモード選択方法
JPH07334420A (ja) 拡張メモリ制御回路
JPH0462648A (ja) 記憶装置
KR930004901B1 (ko) 디램을 사용한 컴퓨터 시스템의 메모리 제어장치
KR930009061B1 (ko) 메모리 억세스 장치
JPH03176754A (ja) マルチプロセッサシステム
GB2226433A (en) Microcontroller peripheral expansion bus
JPS6348688A (ja) メモリ装置
JPH077372B2 (ja) アドレス割当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7-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120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3120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31204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