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10009364Y1 - 칼라 음극선관용 섀도우 마스크 - Google Patents

칼라 음극선관용 섀도우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9364Y1
KR910009364Y1 KR2019890008580U KR890008580U KR910009364Y1 KR 910009364 Y1 KR910009364 Y1 KR 910009364Y1 KR 2019890008580 U KR2019890008580 U KR 2019890008580U KR 890008580 U KR890008580 U KR 890008580U KR 910009364 Y1 KR910009364 Y1 KR 9100093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dow mask
cathode ray
electron beam
ray tube
ho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085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1578U (ko
Inventor
안민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관 주식회사
김정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관 주식회사, 김정배 filed Critical 삼성전관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900085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9364Y1/ko
Publication of KR9100015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57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93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9364Y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6Screens for shielding; Masks interposed in the electron stream
    • H01J29/07Shadow masks for colour television tubes
    • H01J29/076Shadow masks for colour television tub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distribution of beam-passing aper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07Shadow masks
    • H01J2229/0727Aperture plate
    • H01J2229/0788Parameterised dimensions of aperture plate, e.g. relationships, polynomial expressions

Landscapes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칼라 음극선관용 섀도우 마스크
제1도는 일반적인 음극선관의 개략적인 입단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음극선관용 섀도우마스크의 정면도.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A부분의 확대도로서, 종래 섀도우마스크에 주변부가 형성된 전자빔 통과공의 배열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섀도우 마스크의 주변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섀도우마스크 13, 13a : 전자빔통과공
P : (전자빔통과공의)피치 B : (전자빔통과공 사이의)브리지 길이
본 고안은 칼라음극선관용 섀도우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섀도우마스크에 형성된 전자빔 통과공의 크기 및 이들간의 간격을 조절하여 용극선관의 회도와 색순도를 향상시킨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섀도우마스크(10)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1)에 고정된 상태로 음극선관판넬(12)의 내층면과 입정 유지하면서 고정되는데, 그 전면에 수십만개 정도의 작은 전자빔통과공(13)이 형성되어 전자총(14)으로 부터 발생되는 전자빔(14a)이 통과하게 된다.
상기 섀도우마스크(1)의 전자빔통과공(13)을 통과한 전자빔(l4a)은 형광막의각 형광체에 렌딩되어 하나의 화소를 이루게 되며, 이들이 모여 하나의 화면을 형성하게 된다.
이에 사용된 종래 섀도우마스크의 전자빔 통과공은 제2도 및 제3도에 형성된 바와 같이 섀도우마스크(10)의 전면에 걸쳐 빔통과공(13)의 피치(P)가 동일하게 형성되고, 섀도우 마스크(10)의 중앙부에서 그 주변부로 밀어질수륵 전자빔 통과공들 사이의 브리지 길이(B)(제3도의 종방향의 전자빔통과공 사이의 간격)가 길게 형성되는 한편 전자빔 통과공은 작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섀도우마스크(10)는 전자빔통과공 사이의 브리지길이(B)가 길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 강도가 유지되어 프레스에 의한 소정의 곡률로 가공하여도 늘어남이나 파손은 방지할 수 있으나 주변부의 전자빔통과공(13)이 작아 음극선관의 패널(12) 내측면에 블랙 매토릭스 및 R. G, B 형광막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노광작업시에 충분한 빛이 통과하지 못함으로써 그 패턴이 고르게 형성되지 않게 된다.
또한 음극선관의 넥크부에 장착된 전자총으로부터 방사되는 전자빔을 충분히 통과시킬 수 없으므로 형광막의 중앙부에 비하여 주변부의 휘도가 떨어지는 분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분제점을 감안하여 음극선관의 패널 내측면에 형성되는 형광막 패턴 및 블랙 매트릭스의 형성상태 즉 진직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칼라 음극선관용 섀도우마스크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 형광막 주변부에서 색순도를 향상시킨 칼라음극선관용 섀도우마스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음극선관의 패널내측면과 소정의 간격을 유지한체 고정되는 칼라음극선관용 섀도우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섀도우마스크의 전면에 형성된 전자빔통과공의 크기와 피지의 전자빔 통과공 사이의 브리지길이가 섀도우마스크의 중앙부에서 그 주변부로 멀어질수록 점차 크게 형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한다.
이하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 제2도 및 제4도에는 본 고안에 따른 음극 선관용 섀도우마스크(10)가 도시되어 있는바, 이는 음극선관용 패널(12)내측면에 소정의 간격을 유지한채 고정되며 그 전면에는 무수한 전자빔통과공(13a)이 형성된다. 상기 섀도우마스크(10)의 전면에 형성된 진자빔통과공(13a)은 그 피치(P') 및 전자빔통과공(l3a)의 크기(H')가 섀도우마스크(10)의 중앙부에서 그 주변부로 멀어질수록 점차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자빔통과공(13a)들 사이의 브리지의 길이(B')또한 중앙부에서 주변부로 멀어질수록 점차 길어지되 그 길이가 최대 0.3㎜에서 0.05㎜내에 들도륵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칼라음극선관용 섀도우 마스크(l0)는 음극선관의 패널 내측면에 소정의 간격을 유지한채 고정되어 음극선관 넥크부에 장착된 전자총에서 방출되는 전자빔을 일부 통과시키게 되는데, 그 전면에 형성된 전자빔통과공(13a)의 크기(H') 및 전자빔통과공(13a)간의 피치(P')가 섀도우마스크의 중앙부에서주변부로 밀어질수록 점차 크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균일한 형광체 스트라이프 및 블랙매트릭스를 형성할 수 있다. 즉 패널 내측면에 형광막을 형성하기 위한 노고아작업시 상기 새도우마스크(l0)의 주변부에 형성된 전자빔통과공(13a)이 중앙부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광원으로부터 빛의 투광율이 좋아 패널 내측면에 균일한 형광체 스트라이프 및 블랙매트릭스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전자총으로부터 방출된 전자빔은 편향요오크에 의하여 편향되어 섀도우마스크의 형광막에서 주변부에 형성된 진자빔 통과공(13a)을 통과하여 랜딩되게 되는데. 이때에 섀도우마스크(10)의 중앙에 형성된 전자빔통과공보다 주변부의 전자빔 통과공(13a)이 크케 형성되어 있으므로 충분한량의 전자빔이 통과하게되어 패널 내측면에 형성된 형광막주변부의 휘도색순도가 향상되게 된다. 그리고 본 원인의 실험에 의하면 섀도우마스크(10)의 전면에 형성된 전자빔 통과공(13a)간의 브리지의 길이(B')가 최대 0.3㎜에서 최소 0.05㎜로 형성할때에 섀도우마스크이 강도 및 형광막 주변부의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섀도우마스크의 중앙부에서 주변부로 떨어질수록 전자빔 통과공의 크기, 피치 및 브리지의 길이를 길게함으로써 고휘도의 칼라 음극선관을 제작할 수 있다.

Claims (2)

  1. 음극선관의 패널 내측면과 소정의 간격을 유지한 채 고정되는 칼라 음극선관용 섀도우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섀도우마스크(10)에 형성된 복수의 전자빔통과공(13a)의 크기(H')와 전자빔통과공(13a) 사이의 브리지길이(B')가 상기 섀도우마스크(10)의 중앙부에서 그 주변부로 멀어질수륵 점차 크게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섀도우마스크.
  2. 상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빔통과공(13a) 사이의 브리지길이(B')가 0.05㎜ 내지 0.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섀도우마스크.
KR2019890008580U 1989-06-21 1989-06-21 칼라 음극선관용 섀도우 마스크 Expired KR9100093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8580U KR910009364Y1 (ko) 1989-06-21 1989-06-21 칼라 음극선관용 섀도우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8580U KR910009364Y1 (ko) 1989-06-21 1989-06-21 칼라 음극선관용 섀도우 마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1578U KR910001578U (ko) 1991-01-24
KR910009364Y1 true KR910009364Y1 (ko) 1991-12-07

Family

ID=19287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8580U Expired KR910009364Y1 (ko) 1989-06-21 1989-06-21 칼라 음극선관용 섀도우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936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4081B1 (ko) * 2000-07-12 2002-04-26 김순택 칼라 음극선관용 마스크
KR100426576B1 (ko) * 2001-06-22 2004-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칼라 음극선관
KR100414483B1 (ko) * 2002-01-21 2004-01-07 엘지.필립스디스플레이(주) 개선된 슬롯형상의 새도우마스크를 가지는 칼라 음극선관
KR100447650B1 (ko) * 2002-07-12 2004-09-07 엘지.필립스디스플레이(주) 인장형 새도우 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1578U (ko) 1991-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37496B1 (en) Tensioned shadow mask and color cathode ray tube adopting the same
KR940022641A (ko) 단조롭게 감소되지 않는 가변배열 피치로 배열된 구멍을 가지는 컬러음극선관용 섀도우마스크 및 이 섀도우마스크를 구비한 컬러음극선관
KR100239187B1 (ko) 칼라 crt용 새도우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KR910009364Y1 (ko) 칼라 음극선관용 섀도우 마스크
US5877586A (en) Slot-type shadow mask
US3663854A (en) Shadow-mask having rectangular apertures
US3883770A (en) Colour picture tubes
KR19990007221A (ko) 컬러 음극선관용 섀도우 마스크 및 그의 제조 방법
KR930007362B1 (ko) 칼라 표시관
KR940022643A (ko) 컬러음극선관
KR100357948B1 (ko) 평면형 칼러 음극선관
KR100194096B1 (ko) 모아레 개선 음극선관
KR920009329B1 (ko) 컬러음극선관
KR100192441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섀도우마스크
KR960008107B1 (ko) 컬러모니터
KR200200880Y1 (ko) 칼라음극선관의새도우마스크
KR100201148B1 (ko) 칼라브라운관의 섀도우마스크
KR950003273Y1 (ko) 음극선관의 형광막
KR100426576B1 (ko) 칼라 음극선관
CN1245345A (zh) 用于彩色布老恩管的荫罩
KR930000220Y1 (ko) 칼라 브라운관의 새도우 마스크
KR940005493B1 (ko) 새도우마스크형 칼라 음극선관
KR20010089760A (ko) 개선된 슬롯형 마스크를 구비한 음극선관
KR970010036B1 (ko) 스트라이프 타입 칼라브라운관용 섀도우마스크
KR920001981Y1 (ko) 칼라 음극선관용 섀도우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890621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890621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10621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11108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UO0301 Opposi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Opposition

Patent event code: UO03011R01D

Patent event date: 19920201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2071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2071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412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512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611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08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812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11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11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112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112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27

Year of fee payment: 1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12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050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