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10008894B1 - 소변기 세정장치 - Google Patents

소변기 세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8894B1
KR910008894B1 KR1019850003587A KR850003587A KR910008894B1 KR 910008894 B1 KR910008894 B1 KR 910008894B1 KR 1019850003587 A KR1019850003587 A KR 1019850003587A KR 850003587 A KR850003587 A KR 850003587A KR 910008894 B1 KR910008894 B1 KR 910008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timer circuit
detection signal
water supply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3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8513A (ko
Inventor
다까오 이께나가
도시후미 시게마쓰
다쓰미 하마나까
마나부 히라하라
Original Assignee
도오도오 기기 가부시기가이샤
시라가와 히로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59107333A external-priority patent/JPS60250136A/ja
Priority claimed from JP59166100A external-priority patent/JPS6145036A/ja
Application filed by 도오도오 기기 가부시기가이샤, 시라가와 히로시 filed Critical 도오도오 기기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50008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85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8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88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1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1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 E03D5/105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touchless, e.g. using sens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00Baths, closets, sinks, and spittoons
    • Y10S4/03Electric flus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소변기 세정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표시하는 변기 세정장치의 모식도.
제2도는 급수부의 단면도.
제3도는 감지장치의 사시도.
제4도는 블록도.
제5도는 타임차아트.
제6도는 회로 구성도.
제7도는 제어장치를 수납한 컨트롤박스의 정면도.
제8도는 본 발명 변기 세정장치의 제2실시예를 표시하는 모식도.
제9도는 제2실시예의 감지장치의 개략단면도.
제10도는 제9도 감지장치의 사시도.
제11도는 제9도 감지장치의 분해사시도.
제12도는 제9도 감지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는 도표.
제13도는 본 발명 변기 세정장치의 제3실시예를 표시하는 모식도.
제14도는 제3실시예의 급수부의 단면도.
제15도 내지 제18도는 제14도 급수부의 주요한 구성요소의 하나인 배수밸브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는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소변기 b : 감지장치
c : 제어장치 c-1 : 카운터제어부
c-2 : 타이머제어부 c-4 : 설비보호제어부
c-5 : 출력제어부 d : 급수부
d1: 탱크 d2: 급수밸브
d3: 배수밸브 d4: 전기구동부
10 : 제1메모리회로 11 : T1타이머회로
12 : 제1메모리 리셋회로 13 : 외부기온 보정회로
14 : 제3메모리회로 15 : T3타이머회로
16 : 제3메모리 리셋회로 17 : 계수회로
19 : 카운터 리셋회로 21 : 제2메모리회로
22 : T2타이머회로 23 : 제2타이머 리셋회로
24 : T4타이머회로 25 : T4타이머 리셋회로
27 : T0타이머회로 28 : 출력회로
42 : 초전소자
본 발명은 소변기의 사용자를 감지하여 자동적으로 소변기를 세정하는 소변기 세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변기 세정장치로서는, 변기의 사용을 감지하는 감지장치와, 그 감지신호에 따라서 작동하는 제어장치와, 제어장치의 출력에 따라서 세정수를 변기에 공급하는 급수부를 갖추며, 제어장치는 감지한 후 세정수를 공급하기까지의 소정된 시간을 적당히 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그 시간중의 감지신호를 무시하도록 구성한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소화 56년 제19420호의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런데 이것은 소정시간중에 많은 사람이 소변을 보아도 최초의 사용으로부터 소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 비로소 세정수를 변기에 공급하므로 소정시간 직전에 사용한 사람은 악취를 참아야 하며 변기의 오염이 눈에 띄어 불쾌하며 또한 비위생적임과 아울러, 장시간 변기가 사용되지 않으면 변기가 세정되지 않아서 봉수(封水)가 증발되거나 하여 변기를 청결하게 보전할 수가 없다.
상기한 설명에 비추어 본원발명의 목적은 아래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다. 즉 제1목적은 연립된 복수의 소변기로서 구성된 소변기군(群)의 사용횟수가 소정된 횟수에 달하면 모든 소변기에 물을 공급하여 소변기를 세정하는 소변기 세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제2목적은 소변기군의 사용이 소정된 횟수에 달하면 소변기군의 모든 소변기에 한꺼번에 물을 공급함과 아울러, 소변기군의 사용이 소정된 횟수에 달하지 않더라도 최초의 사용으로부터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소변기군의 모든 소변기에 한꺼번에 물을 공급하여 각 소변기를 세정하는 소변기 세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제3목적은 소변기군의 사용이 소정횟수에 달하면 소변기군의 모든 소변기에 한꺼번에 물을 공급하여 소변기를 세정함과 아울러, 소변기군의 사용이 소정횟수에 달하지 않더라도 최초의 사용으로부터 소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소변기군의 모든 소변기에 한꺼번에 물을 공급하여 각 소변기를 세정하고, 또한 전회(前回)의 세정 후 소변기군의 어느 소변기가 장시간에 걸쳐서 사용되지 않을 때에도 소변기에 물을 공급하여 증발에 의한 봉수의 단절을 방지하는 소변기 세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제1목적은 감지장치가 발생하는 감지신호에 따라서 작동하여 급수부를 구동하는 제어장치에, 감지신호를 계수하는 계수회로를 보유하여서 감지신호가 소정수에 달하였을때 출력신호를 발생하는 카운터제어부와 상기한 출력신호를 받았을때 급수부를 작동시키는 출력신호를 발생하는 출력제어부를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달성된다.
또 제2목적은 제어장치에 감지신호를 계수하는 계수회로(計數回路)를 보유하여 감지신호가 소정수에 달하였을때 제1출력 신호를 발생하는 카운터제어부와 감지신호에 따라서 스타아트하는 제2타이머회로를 보유하고 그 타이머회로가 타임업(time-up)하면 제2출력신호를 발생하는 타이머제어부와, 카운터제어부로부터의 제1출력신호 또는 타이머제어부로부터의 제2출력신호를 받았을때 급수부를 작동시키는 출력신호를 발생하는 출력제어부를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달성된다.
또한 제3의 목적은 제어장치에 감지신호를 계수하는 계수회로를 보유하여 감지신호가 소정수에 달하였을때 제1출력신호를 발생하는 카운터제어부와, 감지신호에 의해 스타아트하는 제2타이머회로를 보유하며 그 타이머회로가 타임업하면 제2출력신호를 발생하는 타이머제어부와, 카운터제어부로부터의 제1출력신호 또는 타이머제어부로부터의 제2출력신호를 받았을때 급수부를 작동시키는 출력신호를 발생하는 출력제어부와, 감지신호에 따라서 스타아트하는 제3타이머회로를 보유하여 이 타이머회로가 타임업하면 제3출력신호를 발생하는 설비보호 타이머제어부를 설치하며, 제1 또는 제2출력신호가 출력된 후 소정시간이 경과하여도 차기 출력신호가 출력되지 않을때, 상기한 제3출력신호에 의해서 급수부를 작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기타목적 및 특징은 첨부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설명에 의하여 명백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b)는 감지장치, (c)는 제어장치, (d)는 급수부, (a)는 소변기이며, 소변기 (a)는 복수계가 연립하여 설치되어 있다. 감지장치 (b)는 공지의 반사광량변화형 광전센서로서 구성되어 있으며, 그 본체 (1)가 제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기대 (2)와, 이 기대 (2)에 대하여 수평평면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지주 (3)와, 이 지주(3)의 선단에 수직평면내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헤드(4)로서 이루어지며, 상기한 헤드 (4)에 투광부 (5), 수광부(受光部) (6) 및 파이롯트램프 (7)를 장비하고 있다.
따라서 이 감지장치 (b)는 투사각도를 자유롭게 바꿀 수가 있다. 이 감지장치 (b)는 소변기 (a) 근방의 천정에 부착되어서 소변기 사용자가 위치하는 공간에 적외선, 가시광선, 자외선등 본실시예에서는 적외선을 투사한다. 그리고 상기한 적외선은 일부가 변소바닥이나 벽등에 의하여 확산반사되어서 일정량의 반사광이 수광부 (6)에 수광되는바, 변기사용자가 투사공간에 들어가 인체에 의하여 투사광의 일부가 한층 더 반사되거나 흡수되어서 수광부 (6)의 수광량이 변화하면 신호를 제어장치 (c)로 보낸다. 제어장치 (c)는 제4도의 블록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카운터제어부(c-1)와 타이머제어부(c-2)를 구비함과 아울러 소제용 스위치부(c-3) 및 설비보호제어부 (c-4)도 일체로 갖추고 있다.
타이머제어부 (c-2)는 OR회로 (8) 및 게이트 회로 (9)를 통하여 도출된 감지장치 (b)의 감지신호를 기억하여서 T1타이머회로 (11)를 작동시키는 제1메모리회로 (10)와 상기한 제1메모리회로 (10)의 신호로서 T1시간 작동하여, 타임업하면 후술하는 T0타이머회로 (27)에 제2출력 신호를 내보내는 T1타이머회로 (11)와, T0타이머회로(27)의 신호를 받아서 제1메모리회로 (10)에 그 기억을 제거하는 신호를 송출하는 제1메모리 리셋회로 (12)와, 실내온도에 따라서 T1타이머회로(11)에 그 작동시간 변환신호를 송출하는 외기온도 보정회로 (13)로서 구성된다.
상기한 외기온도 보정회로 (13)은 예컨대 서어미스터와 콘덴서 등으로 CR타이머를 구성하여 외기온도가 올라가면 T1시간을 짧게 하고, 외기온도가 낮게되면 T1시간을 길게 하도록 되어 있으며, 소변의 부패가 빠른 하절기등에 있어서는 빨리 세정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T1시간은 적당한 시간 예컨대, 1분 내지 20분의 사이로 조정하여 설정가능하게 한다.
상기한 기온과 T1시간의 관계는 임의이며, 기온이 낮아지면 T1시간을 길게, 기온이 높아지면 T1시간을 짧게 하면 좋다.
카운터제어부 (c-1)은 OR회로 (8) 및 게이트 회로 (9)를 통하여 도출된 상기한 감지신호를 기억하여서 T3타이머회로 (15)를 스타아트시키는 제3메모리회로 (14)와, 상기한 제3메모리회로 (14)의 신호로서 T3시간 작동하고, 타임업하면 펄스신호를 발생하여 후술하는 제3메모리 리셋회로 (16)를 작동시키는 T3타이머회로 (15)와, T3타이머회로 (15)의 펄스신호를 받아서 제3메모리회로 (14)의 기억제거신호를 송출하는 제3메모리 리셋회로 (16)와, T3타이머회로 (15)가 발하는 펄스신호를 카운트하여 그 카운트 수가 카운터설정 외부스위치 (18)로서 설정된 소정된 수에 도달하면 T0타이머회로 (27)에 제1출력신호를 송출하는 계수회로 (17)와, 외부스위치의 조작에 의하여 카운트수를 설정하는 카운터설정 외부스위치 (18)와, T0타이머회로 (27)의 신호를 받아서 계수회로 (17)의 계수를 리셋(reset)하는 카운터 리셋회로 (19)로서 구성된다.
소제용 스위치부 (c-3)는 후술하는 제2메모리회로 (21)를 작동시키는 조작신호를 송출하는 소제용 스위치 (20)와, 상기한 소제용 스위치(20)에서 신호를 받으면 그 신호를 기억함과 동시에 T2타이머회로(22)와 T0타이머회로 (27)에 신호를 송출하는 제2메모리회로 (21)와, 제2메모리회로 (21)의 신호를 받아서 T2시간 작동하고 타임업하면 제2메모리 리셋회로 (23)의 작동신호를 송출하는 T2타이머회로 (22)와, T2타이머회로 (22)의 신호를 받아서 제2메모리회로 (21)에서 그 기억을 제거하는 제2메모리 리셋회로 (23)로서 구성된다.
설비보호제어부 (c-4)는 T4타이머회로 (24)와, T4타이머 리셋회로 (25)로서 구성되며, 소변기 (a)의 사용에 의하여 혹은 소제용 스위치 (20)의 투입에 의하여 T0타이머회로 (27)가 시동하여 출력회로 (28)가 작동하면 T4타이머 리셋회로 (25)가 작동하여 T4타이머회로 (24)의 경과시간이 리셋(reset)된다. T0타이머회로 (27)가 타임업하면 T4타이머 리셋회로 (25)의 작동이 정지하고, T4타이머회로 (24)가 시동한다.
즉, 설비보호제어부 (c-4)는 장시간 소변기 (a)가 세정되지 않을때 소변기 (a)봉수의 증발이나 스케일의 부착을 방지하기 위해서 T0타이머회로 (27)를 시동하여 출력회로 (28)를 작동시키므로써, T4타이머회로 (24)는 예컨대 8시간 또는 24시간으로 설정가능하게 구성되며, OR회로 (26), T0타이머회로 (27), 출력회로 (28)를 타이머제어부 (c-2), 카운터제어부 (c-1) 및 소제용 스위치부 (c-3)로서 공용한다.
T0타이머회로 (27)는 카운터제어부 (c-1)로부터의 신호, 타이머제어부 (c-2)로부터의 신호 및 소제용 스위치부 (c-3), 설비보호제어부 (c-4)로부터의 신호를 OR회로 (26)를 통하여 받아서 T0시간동안 출력신호를 송출하여 제1메모리 리셋회로 (12), 제3메로리 리셋회로 (16), 카운터 리셋회로 (19) 및 T4타이머 리셋회로 (25)를 각각 작동시킴과 아울러, 출력회로 (28)는 상기한 출력신호를 증폭하여 급수부에 통전한다.
그리고 제어장치 (c)는 상기한 카운터제어부 (c-1), 타이머제어부 (c-2), 소제용 스위치부 (c-3) 및 설비보호제어부 (c-4)를 박스 (43)내에 수납하고, 그 박스 (43)의 앞면에는 제7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카운터제어부 (c-1)의 계수회로 (17)의 카운트 수를 설정하는 카운터설정 외부스위치 (18)와, 타이머제어부 (c-2)의 타이머회로 (27)의 T1시간을 설정하는 타이머설정 외부스위치 (44)를 병렬상태로 배치함과 아울러, 소제용 스위치부 (c-3)의 제2메모리회로 (21)를 작동시키는 소제용 스위치 (20)를 누름 보턴식으로 배치하고, 또한 설비보호제어부 (c-4)의 T4타이머회로 (24)를 8시간, 오프(OFF), 24시간으로 변환하는 변환스위치 (45)가 배치된다.
상기한 카운터설정 외부스위치 (18) 및 타이머설정 외부스위치 (44)는 각각 그 중앙에 표시부 (46)(46)를 설치하고, 이들 양표시부 (46)(46)의 상하에 그 표시부 (46)에 표시된 수지를 증감시키는 마이너스보턴 (47)과 플러스보턴 (48)를 각각 누름 보턴식으로 배치하는 소위 섬로오터리스위치이다.
급수부 (d)는 제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플래시밸브 (29)와 구동용 전자석 (30)을 일체로 조합시킨 공지의 전자플래시밸브이며, 플래시밸브 (29)의 유입구축을 급수관 (36)을 개재하여 급수원에 접속하고 유출 구축을 사수관(瀉水管) (37)을 개재하여 각 소변기 (a)에 접촉하여서 설치된다.
그리고 급수부 (d)는, 제어장치 (c)의 출력을 받으면 전자석 (30) 코일 (31)의 전자력에 의하여 플랜져 (32)가 고정철심 (33)축으로 흡인되어 플렌저 (32)에 일체로 설치한 푸시로드 (34)를 전진시켜서 플래시밸브 (29)의 기동포올 (35)을 압압하여 플래시밸브 (29)를 작동시켜서 소변기 (a)에 세정수를 흐르게 한다. 그리고 T0시간 후 전기제어부 (c)의 출력이 소멸되어 푸시로드 (34)에의 압압력이 해제되면 기동포올 (35)이 스프링 (38)의 탄발력에 의하여 후퇴하여서 플래시밸브 (29)는 1회분의 세정수를 흐르게 하여 급수를 정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 이 소변기 세정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감지장치 (b)가 소변기 (a)의 사용을 감지하면, 그 감지신호는 OR회로 (8), 게이트회로 (9)를 통하여 타이머제어부 (c-2)의 제1메모리회로 (10) 및 카운터제어부 (c-1)의 제3메모리회로 (14)로 돌아가고, 제1메모리회로 (10)는 타이머회로 (11)를 작동시킨다.
한편 제3메모리회로 (14)는 감지신호를 받으면 기억상태로 됨과 동시에 예컨대, 15초 내지 60초로서 설정가능한 T3타이머회로 (15)를 스타아트 시킨다. 제3메모리회로 (14)가 기억상태일 때에는 감지신호를 받아들이지 않는다. T3타이머회로 (15) 스타아트 후 증복감지방지시간 (T3)이 경과하면 T3타이머회로 (15)는 타임업하여 펄스신호를 발생함과 동시에, 제3메모리 리셋회로 (16)르 작동시켜서 제3메모리회로 (14)의 기억상태를 해제하여, 제3메모리회로 (14)는 새로운 감지신호를 받아들이게 된다.
계수회로 (17)는 펄스신호를 카운트하고, 그 펄스신호가 카운터설정 외부스위치 (18)에서 설정된 소정수, 예컨대 1내지 20(본 실시예에서는 3으로 설정되어 있다.)에 도달하면 제1출력 신호를 발생하여 T0타이머회로 (27)를 시동하고 T0타이머회로 (27)가 작동하고 있는 T0시간만큼 출력회로 (28)에서 출력이 발생하여 급수부 (d)를 작동시킨다.
따라서 이 시점에서 모든 소변기 (a)에 물이 공급된다. 즉 복수기 소변기 (a)의 어느것인가가 사용되었을 경우, 합계 사용횟수가 3회로 될때마다 전체의 소변기 (a)는 일제히 세정되어서 사용횟수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소정된 시간에 도달할때까지 세정되지 않는다고 하는 문제를 해소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T0타이머회로 (27)의 작동에 의해서 카운터 리셋회로 (19)가 작동하여 계수회로 (17)의 계수를 0으로 복귀시킴과 아울러, 제1메모리 리셋회로 (12)가 작동하여 제1메모리회로 (10)의 기억을 제거하고, T1타이머회로 (11)의 경과시간을 리셋트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이해되는 바와 같이, T0타이머회로 (27) 및 출력회로 (28)는 출력제어부 (c-5)를 구성한다.
또한 상기한 타이머제어부 (c-2)는 T1시간중에 카운터제어부 (c-1)의 카운터가 소정의 수 3에 도달하지 않을 때에 타임업하여서 제2출력신호를 발생하여 T0타이머회로 (27)를 작동시켜서 카운터 리셋회로 (19)가 작동되어 계수회로 (17)의 계수를 0으로 복귀시킴과 동시에 출력회로 (28)에서 출력을 발생한다.
즉 전회의 세정 후, 소변기 (a)의 사용을 최초로 감지할때부터 소정시간내에 소변기 (a)의 3회차의 사용이 감지되지 않을 때에는 소변기 (a)의 사용횟수가 3회에 달하지 않더라고 상기한 소정시간이 경과한 후 각 소변기 (a)에는 물이 공급되어 각각 세정된다.
따라서 변기의 사용이 빈번할때에는 사용자가 소정인(所定人)에 달하는대로 세정수를 변기에 공급하고, 변기의 사용횟수가 적을때에는 필요한 최소의 세정을 행할 수가 있어서 변기를 청결하게 보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소변기 (a)를 소제하는 경우와 같이 감지장치 (b)에 의한 사용자의 감지에 관계없이 물을 흐르게하는 경우에는 소제용 스위치부 (c-3)의 스위치 (20)를 투입하면 제2메모리회로 (21)를 작동시킨다.
제2메모리회로 (21)는 일단 소제용 스위치 (20)가 투입되면 그것을 기억하여, T2타이머회로 (22)를 스타아트시킴과 동시에 T0타이머회로 (27)도 작동시키므로 T0시간 출력회로 (28)가 작동하여 급수부 (d)를 구동시킨다. 이때 T0타이머회로 (27)의 작동에 의하여 T1타이머회로 (11)의 경과시간 및 계수회로 (17)의 계수도 각각 리셋된다.
한편 T2타이머회로 (22)는 타임업하면 제2메로리 리셋회로 (23)를 작동시켜 제2메로리회로 (21)의 기억을 제거시키고, 다음의 소제용 스위치 (20)의 투입을 대기한다. 따라서 최초의 조작신호가 발생하면 제2메모리회로 (21)가 기억함과 동시에 세정이 행해지는바, 기억되어 있는 동안 새롭게 몇번 소제용 스위치 (20)가 투입되어도 제2메모리회로 (21)는 받아들이지 않아서 세정은 행하지 않는다. 이 T2시간을 잠정적으로 금지시간이라 부르며, T2시간은 예컨대 10초 내지 30초로 설정된다. T2타이머회로 (22)가 타임업하고 제2메모리 리셋회로 (23)가 작동하여 제2메모리회로 (21)의 기억이 제거된 후 소제용 스위치 (20)를 투입하면 그 시점에서 재차 세정을 행한다.
한편 설비보호제어부 (c-4)는 소변기 (a)의 사용에 의하여, 혹은 소제용 스위치 (20)의 투입에 의하여 T0타이머회로 (27)가 시동하여 출력회로 (28)가 작동하면 T4타이머 리셋회로 (25)가 작동하여 T4타이머회로 (24)의 경과시간이 리셋된다. T0타이머회로 (27)가 타임업하면 T4타이머 리셋회로 (25)의 작동이 정지하고, T4타이머회로 (24)가 시동한다. 따라서 T4시간을 잠정적으로 설비보호시간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T4타이머회로 (24)가 타임업하기 이전에 소변기 (a)의 사용에 의하여 혹은 소제용 스위치 (20)의 투입에 의하여 T0타이머회로 (27)가 시동하면 T4타이머 리셋회로 (25)에 의하여 T4타이머회로 (24)의 경과 시간이 리셋되는바, 야간에 장시간 T0타이머회로 (27)가 시동하지 않을 때에는 T4타이머회로 (24)가 타임업하여 T0타이머회로 (27)를 시동시켜 소변기 (a)에 물을 공급한다.
따라서 장시간 소변기 (a)가 사용되지 않는다 하더라도 급수부 (d)가 작동하여 소변기 (a)에 물을 공급하므로 소변기 (a)의 봉수가 증발 단수되어 하수관에서 악취나 유해생물이 변소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한뿐만 아니라 소변기 (a) 표면이나 배수관이 건조하여서 여기에 스케일이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여 설비의 보호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T0타이머회로 (2)를 시동과 동시에 T4타이머 리셋회로 (25)가 작동하여 T4타이머회로 (24)의 경과시간이 리셋되어서 T0타이머회로 (27)의 작용이 정지하면 재차 T4타이머회로 (24)가 시동한다. 이러한 실시예의 변기 세정장치의 타임차아트를 제5도에, 회로구성도를 제6도에 각각 표시한다.
또한 제어장치 (c)에 있어서, 소제용 스위치부 (c-3)는 설치해두는 것이 편리하지만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전기 제어부의 회로는 어느것이나 사용해도 좋으나 마이크로 컴퓨터를 이용하면 값도 싸고 소형화된다. 다음에 제8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표시하고 있다.
이 제2실시예는, 감지장치 (b)의 감지부를 인체에서 방사되는 원적외선을 예컨대, 티탄을 배합한 실리콘산연(silicon酸鉛) 계통의 세라믹 재료로 재조한 초전소자로서 검출하는 소위 초전형 적외선 센서로서 구성한 점에 있어서, 감지장치 (b)를 반사광량 변화형 광전센서로서 구성한 상기한 제1실시예와는 서로 다른 것이다.
상기한 초전형 적외선센서 (b)는 인체로부터의 방사 적외선을 오목거울 (39)에 의하여 집광해서 초전소자의 수광면에 에너지를 집중하여 에너지밀도를 증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오목거울 (39)은 천정에 부착되는 기판 (40)의 하면에 설치되고, 오목거울 (39) 전방에 초전소자를 수납한 센서유니트 (41)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한 오목거울 (39)은 다수연설된 모든 소변기 (a)에 대해서 그 사용자가 방사하는 적외선을 수광하여 초전소자 (42)의 수광면에 집광할 수 있도록 제9도의 개략단면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곡률이 다른 다수의 원호의 연속에 의하여 형성되어, 하나의 초전형 적외선센서 (b)로 제8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비임 형상의 검지 영역을 형성하고 있다.
또 상기한 센서유니트 (41) 및 오목거울 (39)은 검지영역의 조정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제1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두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이들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적외선을 통과시키는 폴리프로필렌등의 커버 (43)로서 피복되어 있다.
그리고 소변기 사용자가 소변기 (a) 앞에서서 그 인체에서 방사되는 원적외선이 초전소자 (42)에 수광되면 이 적외선이 초전소자 (42) 표면에서 열로 변환되고, 그 온도변화 (△T)에 따라서 초전소자 (42) 자체의 자발분극(自發分極) (△Pt)의 크기가 변화하여(제12도 참조) 전하를 발생하고 이 전하를 중독회로 등의 전기회로에서 감지신호로 변환한다.
이와 같이 감지장치 (b)의 감지부로서 초전형 적외선센서를 사용하면 하나의 감지장치 (b)로서 다수의 소변기 (a)의 사용을 검출할 수 있으므로 설치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는것 외에 감지거리의 변동이나 감지불능지대의 발생이 없어서, 감지로 확실하다.
다음에 제13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표시하고 있다. 이 제3실시예는 급수부 (d)가, 급수부 (d)를 전자플래시밸브로서 구성하고 있는 제2실시예와 서로 다른 것이다. 그 외의 구조는 기본적으로 제2의 실시예와 다른점은 없다.
제3실시예에 있어서, 급수부 (d)는, 탱크 (d1)와, 그 탱크 (d1)에 급수하는 급수밸브(water supply valve) (d2)와, 탱크 (d1)내의 물을 소변기 (a)에 공급하는 배수밸브(discharge valve) (d3)와, 배수밸브 (d3)를 작동시키는 전기구동부 (d4)로서 구성되어 있다.
탱크 (d1)는 도면의 경우 변소벽면의 윗쪽에 배치되는 소위 하이탱크(high tank)로서 도시되어 있고, 측벽 (44) 상부에 급수밸브 (d2), 저벽 (45)에 배수밸브 (d3)를 배치하고 있으며, 급수밸브 (d2)는 급수원에 연통시키고, 배수밸브 (d3)는 소변기 (a)에 각각 연통시킨다.
급수밸브 (d2)는 부자(浮子) (46)와, 그 부자 (46)의 상하작동에 의하여 개폐되는 밸브 (47)를 보유하는 공지의 불탑급수전으로서, 탱크 (d1)내의 수위저하에 따른 부자 (46)의 하강에 의하여 밸브가 개방되어서 탱크 (d1)내로 급수하며, 수위의 상승에 따라 부자 (46)의 상승에 의하여 밸브가 폐쇄되어서 급수를 정지한다.
배수밸브 (d3)는 탱크 (d1)의 저벽 (45)에 개방 설치한 배수구부 (48)에 부착하여 장비되어 있으며, 기대 (49)에 성치한 배수밸브시이트 (49a)와 오퍼레이팅로드 (50)의 하단부에 설치한 배수밸브체 (50a)로서 구성된 밸브부 (51)를 구비하고 있다.
기대 (49)는 ABS수지 등의 합성수지로서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하단부 내주에 고리모양의 배수밸브시이트 (49a)를 돌출설치함과 아울러, 하단부 원주면에 관통공 (49b)을 복수개 설치하고, 하단면에는 상기한 탱크 (d1)의 저벽 (45)을 삽입관통하여 그 저벽 (45)에 고정되는 배수통 (49c)을 일체적으로 설치한다.
배수통 (49c)은 황동 등과 같은 금속으로서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하고, 그 상단 외주면에 상기한 기대 (49)의 외경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한 외통 (52)을 착탈자재하게 설치하여 세정수량을 조정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하단부에는 소변기 (a)에 연락되는 사수관 (37)을 접속한다. 또 상기한 기대 (49)의 상부 외주면에는 ABS수지등의 합성수지로서 상기한 외통 (52)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보유하는 원통모양으로 형성한 프레임 (53)을 부착하여, 그 프레임 (53)과 외통 (52)과의 사이에 통로 (54)를 형성한다.
프레임 (53)은 그 중간부를 서로 대향하여서 절결개구하는 것에 의하여 상부통형상부 (53a), 지주부 (53b) 및 하부통형상부 (53c)를 상부에서 각각 연속하여 형성하고, 하부통형상부 (53c)는 그 하단 내주면을 상기한 기대 (49)의 상부 외주면에 나사식으로 부착함과 아울러, 내부에 용기 (55)를 끼운다.
용기 (55)는 폴리프로팔렌 등의 합성수지로서 형성한 내외 이중의 원통내벽 (55a) 및 원통외벽 (55b)과 이들 내외벽 (55a)(55b)의 하부를 연락하는 저벽 (55c)으로서 이루어지며, 그 원통외벽 (55b)의 하단부를 상기한 기대 (49)의 상단부에 끼워 고정함과 아울러, 저벽 (55c)에는 작은구멍 형상의 배수소통로 (55d)를 설치하고, 그 배수소통로 (55d)를 거쳐 원통내외벽 (55a)(55d)의 사이에 형성한 플로우트실 (56)과, 기대 (49)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 (49d)을 연통시킨다.
그리고 상기한 플로우트실 (56)의 내부에는 내경의 상기한 원통내벽 (55a) 보다도 크고, 외경이 원통외벽 (55b) 보다도 작은 고리모양의 중공플로우트 (57)를 수용배치하고, 원통내벽 (55a)의 내부에는 오페레이션로드 (50)가 미끄럼작동이 자유자재하게 안내되어서 삽입관통하고 있다.
상기한 플로우트 (57)의 부력은 밸브부 (51)가 개방되어 있을 때에 오퍼레이션로드 (50)에 파급되는 하부로 향한 힘보다는 약간 크지만, 밸브부 (51)가 폐쇄하여 배수밸브체 (50a)에 가해지는 수압이 오포레이션 로드 (50)에 맞추어진 하부로 향한 힘보다는 작게 되도록 설정한다. 오퍼레이션로드 (50)는 ABS수지등의 합성수지로서 형성한 원통체로서, 오버플로우관으로서의 기능을 보유하며, 그 하단부에 고무등의 탄성시이트 재료에 의하여 원판형상으로 형성한 배수밸브체 (50a)를 일체적으로 갖추고, 그 배수밸브체 (50a)가 상기한 기대 (49)의 배수밸브시이트 (49a)에 대응하여 이들 양자에 의하여 밸브부 (51)를 구성하고 있다.
또 조작레버 (50)의 중간부 외주면에는 스커어트(skirt) 모양으로 형성한 스톱퍼 (58)를 상기한 플로우트실 (56)내에 삽입되도록 장착함과 아울러, 상단에는 오퍼레이션로드 (50)의 내경보다 커다란 내경을 보유하는 원통모양으로 형성한 오버플로우포트 (59)를 고정부착하고, 이 오버플로우포트 (59) 중간부 내면에 링 (60)을 계지한다.
링 (60)은 폴리아세탈 등의 합성수지로서 원판모양으로 형성하고, 그 중앙부에 플랜져 (61)를 삽통하는 중심공 (62)을, 그 중심공 (62)의 주변에 복수개,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유수구 (63)를 각각 관통하여 설치함과 아울러, 외주면을 상기한 오버플로우포트 (59)의 중간부 내면에 게지용 링 (64)등을 개재하여 고정한다.
플랜저 (61)는 상기한 링 (60)의 중심공 (62)내를 상하 슬라이드 자재하게 삽입관통하는 하부로드 (61a)와, 지지체 (65)의 내부에 위치하여 전기구동부 (d4)를 구성하는 전자석 (30)에 연게하는 상부로드 (61b)로서 이루어지며, 이 양 로드 (61a)(61b)의 단부를 서로 끼워 맞추어 피보트축 (61d)을 삽통하여 양자를 연결한다.
하부로드 (61a)는 폴리아세탈 등의 합성수지로서 상기한 중심공 (62)의 내경보다 소경으로 형성하고, 그 하단에 중심공 (62)의 내경보다 대경인 플팬저 (61c)를 돌출설치함과 아울러, 상기한 밸브부 (51)의 밸브폐쇄상태에서 플랜저 (61c) 상면과 상기한 링 (60)의 하면과의 사이에 적당한 간격을 설치하도록 한다.
지지체 (65)는 폴리아세탈 등의 합성수지에 의하여 원판모양으로 형성하고, 그 하부외주를 전기한 프레임 (53)의 상부통형상부 (53a)내에 끼워넣어 횡방향에서 복수개의 나사못 (66)을 각각 프레임 (53)에 삽입관통시켜서 나사식으로 양자를 고정함과 아울러, 상부중앙부에는 캐비티(cabity) (65a)를 오목하게 설치한다.
캐비티 (65a)는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어서 내부에 상기한 플랜저 (61)의 상부로드 (61b)를 배치하고, 그 저벽에 하부로드 (61a)가 상하로 슬라이드 자재하게 삽입관통되는 관통공 (65b)을 뚫어서 설치함과 아울러, 상면개구를 폐쇄하도록 배수밸브 (d3)를 작동시키는 전기구동부 (d4)를 구성하는 전자석 (30)이 부착되어 있다. 또 지지체 (65)의 윗부분 외주면에는 전자석 (30)을 피복하는 커버 (67)를 부착한다.
한편, 상기한 플랜저 (61)의 상부로드 (61b)는 그 상단부를 전자석 (30)의 내부에 삽입하여 그 전자석 (30)이 통전되면 상부방향으로 상승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한번 전자석 (30)에 통전되면 적당한 시간, 예컨대 1초동안만 상승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부로드 (61b)의 외주면에는 상기한 캐비티 (65a)의 내면에 걸쳐서 고무등의 탄성재로서 형성한 대략 밑바닥이 있는 통형상의 탄성막 (68)을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전기한 전자석 (30)에의 물이나 증기의 침입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한 지지체 (65)를 프레임 (53)의 상부통형상부 (53a)에 고정하는 복수개(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나사못 (66)과 전기한 프레임 (53)의 하부통형상부 (53c)의 상단부에 계지되는 스톱퍼링 (69)과의 사이에는 스트레이너 (70)를 배치한다. 스트레이너 (70)는 스텐레스등의 금속망을 평면고리모양으로 형성한 것으로서, 그 상단을 상기한 나사못 (66)으로서 고정한 플랜지달림부시 (71)에 각각 맞닿게하여 계지함과 아울러, 하단 내부에는 2분할된 스톱퍼링 (69)를 끼워 넣는다.
스톱퍼링 (69)은 ABS수지등의 합성수지에 의하여 내경이 상기한 프레임 (53)의 하부통형상부 (53c)의 내경과 외경이 스트레이너 (70)의 내경과 각각 대략 동일한 지름의 원통모양으로 형성하며, 그 상단 내주면에 상기한 프레임 (53)의 중간부에 서로 대향절결하여 형성한 1쌍의 개구부 (53d)(53d)내에 각각 돌출하는 계지플랜지 (69a)(69a)를 일체로 돌출설치함과 아울러, 하단 외주면에 외부로 돌출하는 계지돌출부 (69b)를 전체둘레에 걸쳐 돌출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단면이 모양으로 형성되고, 또한 그 평면형상이 좌우대칭이 되도록 2분할하고 있으며, 설치상태에서 상기한 플랜지 (69a)(69a)의 하면이 각각 하부통형상부 (53c)의 상단면에 맞닿게 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한 스트레이너 (70)는 나사못 (66)으로서 고정한 플랜지달림부시 (71) 하면과, 스톱퍼링 (669)의 계지돌출부 (69a) 상면에 협착된다. 그리고 이러한 배수밸브 (d3)는 보통 제1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밸브부 (51)가 폐쇄되어 있으며, 저류수면은 조작레버 (50)의 상단에 고착한 오버플로우포트 (59) 상단에서 약간 아랫쪽에 있다.
지금 제어장치 (c)의 출력제어부 (c-5)의 출력신호가 발생되어서 전자석 (30)에 통전되면, 플랜저 (61)의 상부로드 (61b) 및 하부로드 (61a)가 인상되며, 하부로드 (61a)의 하단에 형성한 플랜지 (61c)에 의하여 링 (60) 및 오버플로우포트 (59)를 개재하여 오퍼레이션로드 (50)가 인상되어서 밸브부 (51)의 밸브가 개방되고, 탱크 (d1)내의 물의 대부분은 프레임 (53)의 하부통형상부 (53c)와 외통 (52) 사이의 통로 (54), 기대 (49)의 관통형 (49b)을 경유하고, 또 일부의 물은 스트레이너 (70), 플로우트실 (56), 용기 (55)의 저벽 (55c)의 배수소통로 (55d), 기대 (49)의 내부공간 (49d)을 경유하여 각각 밸브부 (51)에서 사수관 (37)을 거쳐 소변기 (a)에 배출되어 수위는 급격하게 저하되기 시작한다(제15도).
이어서 수위가 저하하여 스트레이너 (70)의 최하개구위치, 즉 스톱퍼링 (69) 상면위치에서 하강하면, 배수소통로 (55d)는 관통공 (49b)에 비하여 그 통수면적이 극히 적으므로 플로우트실 (56)내지 수위의 하강 속도를 다른 부분의 수위의 하강속도 보다 느리게 되며, 플로우트실 (56)내의 수위는 다른 부분의 수위보다 항상 높은 위치에 있다(제16도).
그리고 탱크 (d1)내의 물의 대부분이 소변기로 배출되어서 플로우트실 (56)을 제외한 탱크 (d1)내의 수위가 외통 (52)의 상단까지 내려가서 소정의 수량을 다흘려보냈을때에도 플로우트실 (56)내에는 아직 물이 남아 있으며, 이 플로우트실 (56)내에 배치된 플로우트 (57)는 부유상태에 있으므로 오퍼레이션로드 (50) 즉, 배수밸브체 (50a)는 스톱퍼 (58)을 개재하여 플로우트 (57)에 의하여 그 하강을 저지해서 밸브부 (51)의 밸브개방상태는 보전된다(제17도).
그 후 배수소통로 (55d)로부터의 배수에 따르는 플로우트실 (56)내의 수위하강에 의하여 플로우트 (57)의 위치가 내려가고, 그것에 따라서 배수밸브체 (50a)가 배수밸브시이트 (49a)에 근접하여 밸브부 (51)를 폐쇄하여 1회의 배수를 종료한다(제18도).
즉, 배수밸브 (d3)는 소정수량을 배수한 후 약간 늦게 밸브를 폐쇄하는 것으로 되며, 용기 (55), 배수소통로 (55d), 플로우트 (57), 스톱퍼 (58)는 배수밸브 (d3)의 지연폐쇄수단 (72)를 구성하는 것으로 된다. 급수부 (d)를 이러한 구조로 한 것에 의하여, 일단 배수밸브의 밸브를 개방하면 플로우트에 의하여 밸브의 개방상태를 유지하고, 탱크내의 대략 일정한 양의 물이 반드시 소변기로 배출되므로써 세정효과가 확실하고 또한 크게 된다.
배수밸브의 지연폐쇄수단을 구성하는 배수소통로의 유로면적과 용기의 체적조정에 의하여 배수밸브의 밸브개방시간의 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다. 배수밸브의 밸브개방조작을 할때에는 플로우트의 힘이 작동하고 있으며, 배수밸브체를 일단 상승시키면 플로우트의 힘으로서 밸브의 개방을 유지하므로 전자석의 통전 시간이 짧게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자력이 적어도 되며, 소형의 전자석으로도 충분하게 그 기능을 발휘할 수가 있는 등의 여러가지 잇점이 있다.
또한, 제3실시예의 상기한 급수부 (d)는 초전형 적외선센서로서 구성되는 감지장치 (b)의 감지부와 결합시켜서 사용할 필요는 없으며, 제1실시예에 있어서 사용한 광전센서로서 이루어진 감지부와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15)

  1. 연립배열(連立配烈)되는 소변기의 각 소변기의 사용자를 감자장치에서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발생하고, 상기한 감지신호에 의해 제어장치가 작동되며, 상기한 제어장치가 작동함과 동시에 급수장치로부터 모든 소변기내에 물을 공급하여 세정시키도록끔 된 소변기 세정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제어장치는 카운터제어부 (c-1)와, 출력제어부 (c-5)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카운터제어부 (c-1)는, 감지신호를 기억하며 기억상태일 때에는 다른 어떤 감지신호도 받아들이지 않는 제3메모리회로 (14)와, 제3메모리회로 (14)에 의하여 작동되고 타임업(time-up)하면, 펄스신호를 발생하여 계수회로 (17) 및 제3메모리 리셋회로 (16)에 신호를 보내는 T3타이머회로 (15)와, T3타이머회로 (15)가 발하는 펄스신호를 카운트하는 계수회로(計數回路) (17)와, 타이머회로의 펄스신호를 받아 제3메모리회로 (14)에 기억제거신호를 보내는 제3메모리 리셋회로 (16)로 이루어지며, 상기한 계수회로 (17)에서 T3타이머회로 (15)의 펄스신호를 카운트하여 그 카운트 수가 소정수에 달하면 계수회로 (17)는 출력제어부 (c-5)의 타이머회로 (27)에 출력신호를 보내고 이 같은 신호를 받은 출력제어부 (c-5)는 급수부 (d)에 출력신호를 보내 급수부를 작동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 세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감지장치의 센서는 소변기의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사용자로부터 방사되는 적외선을 초전소자(焦電素子)로서 열로 변화하고, 이 열에의한 초전소자의 온도변화로써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초전형 적외선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 세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급수부 (d)는 탱크 (d1)와, 그 탱크에 급수하는 급수밸브 (d2)와, 탱크내의 물을 변기에 공급하는 배수밸브 (d3)와, 그 배수밸브를 작동시키는 전기구동부 (d4)를 갖추며, 출력제어부 (c-5)의 출력신호에 따라서 상기한 전기구동부가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 세정장치.
  4. 연립된 소변기 (a)의 각 소변기의 사용자를 감지장치 (b)가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발생하고, 그 감지신호에 따라 제어장치 (c)를 작동시켜서 급수부 (d)를 구동하며, 연립된 소변기를 동시에 세정하는 소변기 세정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제어장치는 감지신호를 계수하는 계수회로 (17)를 보유하여서 감지신호가 소정된 수에 달하였을때 제1출력 신호를 발생하는 카운터제어부 (c-1)와, 감지신호에 따라서 스타아트하는 제2타이머회로를 보유하고 그 타이머회로가 타임업하면 제2출력 신호를 발생하는 타이머제어부 (c-2)와, 카운터제어부로부터의 제1출력신호 또는 타이머제어부로부터의 제2출력 신호를 받았을때 급수부를 작동시키는 출력신호를 발생하는 출력제어부 (c-5)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 세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제2타이머회로가 변소내의 온도에 따라서 그 타이머회로의 타임업 시간을 가변하는 외기온도 보정회로 (13)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 세정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감지장치 (b)의 감지부가 사용자가 발생하는 적외선을 초전소자 (42)에서 열로 변환하고, 이 열에 의한 초전소자의 온도변화에 따라서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초전형 적외선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 세정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제어장치 (c)에는 감지신호에 따라서 스타아트하는 타이머회로를 보유하고, 그 타이머회로가 타임업할때까지 새로운 감지신호를 받아들이지 않는 계수금지회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 세정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급수부 (d)가 탱크 (d1)와, 그 탱크에 급수하는 급수밸브 (d2)와, 탱크내의 물을 변기에 공급하는 배수밸브 (d3)와, 그 배수밸브를 작동시키는 전기구동부 (d4)를 갖추며, 출력제어부 (c-5)의 출력신호에 따라서 상기한 전기구동부가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 세정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감지장치 (b)의 감지부에는 사용자가 발생하는 적외선을 초전소자 (42)에서 열로 변환하고, 이 열에의한 초전수자의 온도변화에 따라서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초전형 적외선센서를 사용하며, 제어장치 (c)에는 감지신호에 따라서 스타아트하는 타이머회로를 보유하고, 그 타이머회로가 타임업할때까지 새로운 감지신호를 받아들이지 않는 계수금지회로를 설치함과 아울러 제2타이머회로에 변소내의 온도에 따라서 타이머회로가 타임업하는 시간을 변경가능하게 하는 외부기온 보정회로 (13)를 설치하며, 급수부 (d)는 탱크 (d1)와 그 탱크에 급수하는 급수밸브 (d2)와 탱크내의 물을 변기에 공급하는 배수밸브 (d3)와 그 배수밸브를 작동시키는 전기구동부 (d4)를 갖추며, 출력제어부 (c-5)의 출력신호에 따라서 상기한 전기 구동부가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 세정장치.
  10. 연립된 소변기 (a)의 각 소변기의 사용자를 감지장치 (b)가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발생하고, 그 감지신호에 따라 제어장치 (c)를 작동시켜서 급수부 (d)를 구동하며, 연립된 소변기를 동시에 세정하는 소변기 세정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제어장치는 감지신호를 계수하는 계수회로 (17)를 보유하여서 감지신호가 소정된 수에 달하였을때 제1출력 신호를 발생하는 카운터제어부 (c-1)와, 감지신호에 따라서 스타아트하는 제2타이머회로를 보유하며 그 타이머회로가 타임업하면 제2출력 신호를 발생하는 타이머제어부 (c-2)와, 감지신호에 따라서 스타아트하는 제3타이머 회로를 보유하여 이 제3타이머회로가 타임업하면 제3출력 신호를 발생하는 설비보호제어부 (c-4)와, 카운터제어부로부터의 제1출력 신호 또는 타이머제어부로부터 제2출력 신호 또는 설비보호제어부로부터의 제3출력 신호를 받았을때 급수부를 작동시키는 출력신호를 발생하는 출력제어부 (c-5)를 구비하며, 제1 또는 제2출력 신호가 출력된 후 소정시간이 경과하여도 다음의 출력신호가 출력되지 않을때 상기한 제3출력 신호에 따라서 급수부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 세정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제2타이머회로에 변소내의 온도에 따라서 그 타이머회로의 타임업시간을 변경가능하게 하는 외부기온 보정회로 (13)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 세정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감지장치 (b)의 감지부를 사용자가 발생하는 적외선을 초전소자 (42)에서 열로 변환하고, 이 열에 의한 초전소자의 온도변화에 따라서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초전형 적외선센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 세정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제어장치 (c)가 감지신호에 따라서 스타아트하는 타이머회로를 보유하고, 그 타이머회로가 타임업할때까지 새로운 감지신호를 받아들이지 않는 계수금지회로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 세정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급수부 (d)는 탱크 (d1)와, 그 탱크에 급수하는 급수밸브 (d2)와, 탱크내의 물을 변기에 공급하는 배수밸브 (d3)와, 그 배수밸브를 작동시키는 전기구동부 (d4)를 갖추며, 출력제어부 (c-5)의 출력신호에 따라서 상기한 전기구동부가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 세정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감지장치 (b)의 감지부에는 사용자가 발생하는 적외선을 초전소자 (42)에서 열로 변환하고, 이 열에의한 초전소자의 온도변화에 따라서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초전형 적외선센서를 사용하며, 제어장치 (c)에는 감지신호에 따라서 스타아트하는 타이머회로를 보유하고, 그 타이머회로가 타임업할때까지 새로운 감지신호를 받아들이지 않는 계수금지회로를 설치함과 아울러 제2타이머회로에 변소내의 온도에 따라서 타이머회로가 타임업하는 시간을 변경가능하게 하는 외부기온 보정회로 (13)를 설치하며, 급수부 (d)는 탱크 (d1)와 그 탱크에 급수하는 급수밸브 (d2)와 탱크내의 물을 변기에 공급하는 배수밸브 (d3)와 그 배수밸브를 작동시키는 전기구동부 (d4)를 갖추며, 출력제어부 (c-5)의 출력신호에 따라서 상기한 전기 구동부가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 세정장치.
KR1019850003587A 1984-05-25 1985-05-24 소변기 세정장치 KR9100088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9-166100 1984-05-25
JP59107333A JPS60250136A (ja) 1984-05-25 1984-05-25 便器洗浄装置
JP???59-107,333 1984-05-25
JP59-107333 1984-05-25
JP???59-166,100 1984-08-08
JP59166100A JPS6145036A (ja) 1984-08-08 1984-08-08 小便器洗浄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8513A KR850008513A (ko) 1985-12-18
KR910008894B1 true KR910008894B1 (ko) 1991-10-24

Family

ID=26447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3587A KR910008894B1 (ko) 1984-05-25 1985-05-24 소변기 세정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667350A (ko)
EP (1) EP0162473B1 (ko)
KR (1) KR910008894B1 (ko)
DE (1) DE3564460D1 (ko)
HK (1) HK101291A (ko)
SG (1) SG64691G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32154A2 (ko) * 2011-08-26 2013-03-07 Han Steven Joon 소변기의 세척수 공급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46330A (ja) * 1985-12-18 1987-06-30 三井不動産株式会社 自動水洗装置
JPS62156446A (ja) * 1985-12-28 1987-07-11 東陶機器株式会社 給水制御装置
GB8628167D0 (en) * 1986-11-22 1986-12-31 Curry W N Automatic flushing control unit
US4805247A (en) * 1987-04-08 1989-02-21 Coyne & Delany Co. Apparatus for preventing unwanted operation of sensor activated flush valves
DE8711488U1 (de) * 1987-08-25 1988-01-28 Chien, Min-Teh, Taipeh/T'ai-pei Sitztoilette mit Spülvorrichtung
US4914758A (en) * 1988-06-27 1990-04-10 Bauer Industries Inc. Fresh water control system and method
US5175892A (en) * 1988-06-27 1993-01-05 Bauer Industries, Inc. Fresh water control system and method
US4883749A (en) * 1988-08-15 1989-11-28 Pee Patch, Inc. Children's toilet training device with differentiating means
JP2774545B2 (ja) * 1989-02-07 1998-07-09 東陶機器株式会社 自動水栓装置
US4971287A (en) * 1989-11-28 1990-11-20 Bauer Industries, Inc. Solenoid operated flush valve and flow control adapter valve insert therefor
GB2245288B (en) * 1990-06-13 1994-10-05 Uro Denshi Kogyo Kk Automatic flushing apparatus for water closet
US5062453A (en) * 1991-03-06 1991-11-05 Zurn Industries, Inc. On demand sensor flush valve
US5187818A (en) * 1991-05-14 1993-02-23 Barrett Sr John P Flushing system for a water closet
US5235706A (en) * 1991-09-06 1993-08-17 Sloan Valve Company Programmable urinal flushing delay circuit
DE4237938A1 (de) * 1992-11-11 1994-05-19 Lepel Barbara Freifrau Von Verfahren zum Betrieb eines Urinals mit dem Ziel der Einsparung von Spülwasser und Urinal zur Ausübung des Verfahrens
US5313673A (en) * 1993-03-19 1994-05-24 Zurn Industries, Inc. Electronic flush valve arrangement
FR2706505B1 (fr) * 1993-06-16 1995-08-18 Spmp Mécanisme de double chasse à commande électronique.
US5537695A (en) * 1995-01-27 1996-07-23 Ander; Anthony T. Musical toilet training device
US6250601B1 (en) 1997-07-18 2001-06-26 Kohler Company Advanced touchless plumbing systems
AUPQ079299A0 (en) * 1999-06-04 1999-06-24 Caroma Industries Limited Automatic urinal flushing system
US6299127B1 (en) 2000-06-23 2001-10-09 Sloan Valve Company Solenoid valve piston
US7367541B2 (en) * 2001-12-21 2008-05-06 Technical Concepts, Llc Automatic flush valve actuation apparatus
US20030116736A1 (en) * 2001-12-21 2003-06-26 Muderlak Kenneth J. Automatic flush valve actuation apparatus
US20060006354A1 (en) * 2002-12-04 2006-01-12 Fatih Guler Optical sensors and algorithms for controlling automatic bathroom flushers and faucets
US6769443B2 (en) * 2002-04-29 2004-08-03 I-Con Systems, Inc. Plumbing control system with signal recognition
US7185876B2 (en) * 2002-10-12 2007-03-06 Technical Concepts, Llc Overrun braking system and method
CA2704577C (en) 2007-11-05 2015-10-27 Sloan Valve Company Restroom convenience center
GB2488071B (en) * 2007-11-16 2012-10-10 Vectair Systems Ltd Automated flush system
US7975324B2 (en) 2008-07-30 2011-07-12 Sloan Valve Company Pressurized dual flush system
US9032565B2 (en) 2009-12-16 2015-05-19 Kohler Co. Touchless faucet assembly and method of operation
FR3002247B1 (fr) * 2013-02-18 2016-03-04 Delabie Procede de commande electronique pour rincer des urinoirs
EP2813628B1 (en) 2013-03-15 2019-02-27 Sloane Valve Company Dual mode flush actuator
EP2813627A1 (en) 2013-03-15 2014-12-17 Sloan Valve Company Automatic flush actuation assembly with additional manual actuation assembly
WO2014185864A1 (en) * 2013-05-17 2014-11-20 Credence International Pte Ltd Adjustable flushing system for resource conservation
KR101476126B1 (ko) * 2013-08-30 2014-12-30 심재한 측면센서를 구비한 절수소변기
CN103711194B (zh) * 2013-12-16 2015-04-29 周裕佳 一种感应式节水小便器及其控制方法
DE102016201380A1 (de) * 2016-01-29 2017-08-03 Siemens Aktiengesellschaft Sanitäreinrichtung und Verfahren zu deren Betrieb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212780A (en) * 1967-11-27 1970-11-18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An automatic water supply system
CH505262A (de) * 1969-03-21 1971-03-31 Gebert & Cie Mit einer elektromagnetischen Betätigungsvorrichtung versehenes Spülkastenventil
CA963563A (en) * 1970-05-15 1975-02-25 Norman A. Forbes Lavatory proximity switching system
US3863196A (en) * 1972-01-31 1975-01-28 Dynamics Corp Massa Div Acoustically activated proximity sensor switch
JPS5341041A (en) * 1976-09-27 1978-04-14 Efu Emu Barubu Seisakushiyo Kk Automatic flushing device
JPS586137B2 (ja) * 1979-07-26 1983-02-03 株式会社 長野計器制作所 液体充満圧力式温度計
US4309781A (en) * 1980-05-09 1982-01-12 Sloan Valve Company Automatic flushing system
ATE12668T1 (de) * 1981-01-10 1985-04-15 Laycock Bros Ltd Steuerung einer wasserspuelun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32154A2 (ko) * 2011-08-26 2013-03-07 Han Steven Joon 소변기의 세척수 공급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WO2013032154A3 (ko) * 2011-08-26 2013-04-25 Han Steven Joon 소변기의 세척수 공급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162473B1 (en) 1988-08-17
US4667350A (en) 1987-05-26
EP0162473A1 (en) 1985-11-27
DE3564460D1 (en) 1988-09-22
HK101291A (en) 1991-12-20
SG64691G (en) 1991-09-13
KR850008513A (ko) 1985-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8894B1 (ko) 소변기 세정장치
EP0530856B1 (en) Solenoid operated faucet
US7562399B2 (en) Toilet flusher for water tanks with novel valves and dispensers
US20100275359A1 (en) Optical sensors and algorithms for controlling automatic bathroom flushers and faucets
US4707867A (en) Toilet-flushing control apparatus
US6178569B1 (en) Toilet overflow control
US4980933A (en) Washing device for parts of human body
RU2651599C2 (ru) Водосберегающий унитаз
US20160060856A1 (en) Concealed wall-mounted folding urinal
AU2010200810A1 (en) Toilet flusher for water tanks with novel valves and dispensers
KR850005537A (ko) 자동 수세식 변기 및 그 수세 작동장치
WO2004061343A1 (en) Optical sensors and algorithms for controling automatic bathroom flushers and faucets
JPS6145036A (ja) 小便器洗浄装置
JPS6145033A (ja) 便器洗浄装置
US5189740A (en) Toilet seat assembly with a bidet
JP2557698Y2 (ja) 和式水洗便器
JPS6050936B2 (ja) 自動水洗装置
US20250067037A1 (en) WC Device With a WC Body Having a Porous Inner Surface
JP2553611B2 (ja) 衛生洗浄装置
JPH031452B2 (ko)
JP2565121Y2 (ja) 小便器洗浄装置における水圧調節機構
JPH09217857A (ja) 吐水・止水用電磁弁自動開閉装置
JP2004197457A (ja) 貯水設備
JPH0433334B2 (ko)
CA2106544A1 (en) Automatic urinal tank water contr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5052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8709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85052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103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1092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2010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203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203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410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412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102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610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