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10008558B1 - 광경화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광경화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8558B1
KR910008558B1 KR1019880009118A KR880009118A KR910008558B1 KR 910008558 B1 KR910008558 B1 KR 910008558B1 KR 1019880009118 A KR1019880009118 A KR 1019880009118A KR 880009118 A KR880009118 A KR 880009118A KR 910008558 B1 KR910008558 B1 KR 9100085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
acrylate
diisocyanate
weight
resin composi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9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2323A (ko
Inventor
요시아키 고하라
야스오 오키타
Original Assignee
미쓰이 도아쓰 가가쿠 가부시기가이샤
사와무라 하루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이 도아쓰 가가쿠 가부시기가이샤, 사와무라 하루오 filed Critical 미쓰이 도아쓰 가가쿠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02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23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8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8558B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Compositions of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67Unsaturated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671Unsaturated compounds having only one group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672Esters of acrylic or alkyl acrylic acid having only one group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5/00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 C03C25/10Coating
    • C03C25/104Coating to obtain optical fibres
    • C03C25/106Single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광경화수지 조성물
본 발명은 광경화성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특히 광전송용 유리파이버(본 명세서에 있어서, 광파이버로 약기함)의 피복 재료에 관한것이며, 상세하게는 탄성률이 크고 또한 신장률이 큰, 말하자면 탄성률과 신장률의 균형이 양호하고, 내열성 및 내수성에 뛰어난 광파이버 피복재료에 관한것이다.
일반적으로 광파이버는 외부환경으로부터의 물리적, 화학적 보호를 위해 방사직후에 고분자재료에 의한 피복이 실시된다. 이들 피복재료로서, 실리콘수지, 우레탄수지, 에폭시수지등의 열경화성수지나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예폭시 아크릴레이트계,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계 등의 자외선 경화수지가 알려져있다.
광파이버는 통상 마이크로벤딩의 방지를 위해 1차 피복위에 다시 2차 피복이 실시된다. 그런데 광파이버의 2차 피복재료에는 경화후에 있어서의 탄성률 신장의 밸런스가 좋다는 것, 탄성률의 온도 의존성이 작은 것, 또 내열성, 내수성에 뛰어날것 등의 성능이 요구되지만, 종래의 상기 자외선 경화수지는 모두 이들 요구성능을 균형좋게 구비하고 있지 못하며 만족할만한 것이 아니었다. 특히 탄성률과 신장의 균형이 뒤져, 예를들면 탄성률이 크면 신장이 작고, 또 신장이 크면 탄성률이 부족된다고 하듯이 광파이버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으로 되고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광파이버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피복재료 특히 2차 피복에 적합한 피복재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경화후의 탄성률이 크며 또한 신장이 큰, 이른바 탄성률과 신장의 균형이 양호하고, 내열성 및 내수성에 뛰어난 광파이버 2차 피복재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다음의 광경화수지 조성물을 광파이버 피복재료로서 사용함으로써 달성되며, 동시에 이 조성물을 피복해서 이루어진 광파이버가 제공된다.
(A) a) 분자량 850이상의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과 일반식[I]
Figure kpo00001
(식중 n은 3―8의 정수)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비율이 당량비로 8:2에서 4:6의 혼합물; b) 디이소시아네이트화합물, 및 c) 히드록시기를 갖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를 반응시켜 얻어지는 우레탄변성(메타)아크릴레이트, (B)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N―비닐피롤리돈 (C) 광중합개시제를 필수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광경화성 수지조성물.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메타)아크릴레이트라고 하는 표현은 아크릴레이트와 메타크릴레이트의 양쪽을 뜻한다. 그밖에 우레탄변성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메타)아크릴로일기, (메타)아크릴산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다관능(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다.
본 발명의 필수성분의 하나인 우레탄변성 (메타)아크릴레이트 (A)는 a) 분자량 850이상의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과 일반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비율이 당량비로 8:2에서 4:6의 혼합물과, b)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및 c) 히드록시기를 갖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의 3자를 반응시켜 얻어지는 화합물이다. 상기 분자량 850이상의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과, 일반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비율이 당량비로 8:2에서 4:6의 혼합물 (a)의 예는 구체적으로는 분자량 850 이상의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로서 예를들어 "호도가야 가가쿠" 제의 PTG―850, PTG―1000, PTG―1300, PTG―1500, PTG―1800, PTG-2000, PTG-3000등과, 일반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트리메틸렌글리콜,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1,7―헵탄디올, 1,8―옥탄디올 등의 각기 1종류의 혼합물이다. 그 혼합비율(분자량 850이상의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 일반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당량비로 8:2에서 4:6이며, 분자량 850이상의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의 비율이 8을 넘는 상기 범위 외에서는 탄성률이 작아지고, 또 4 미만의 상기 범위 외에서는 신장이 작아져서 모두 탄성률과 신장의 균형이 뒤진다. 또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의 분자량은 850미만에서는 신장이 작아져서 탄성률과 신장의 균형이 뒤진다. 바람직하게는 분자량 1000―2000이다.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화합물 (b)의 예로서는 2,4―트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2,6―트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나프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 또는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화합물이나 이들 디이소시아네이트화합물과 에틸렌글리콜, 헥산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글리세린, 헥산트리올 등의 폴리올류를 이소시아네이트기가 과잉의 조건으로 반응시킨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디이소시아네이트화합물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병용해도 된다.
상기 히드록시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c)란 분자중에 1개의 수산기와 1개이상의 (메타)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불포화모노히드록시화합물이며, 예를들어 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N―히드록시메틸 (메타)아크릴아시드, 디에틸렌글리콜 모노 (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로콜 모노 (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와 (메타)아크릴산과의 등몰 반응생성물 등을 들수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병용할 수 있다.
화합물 (a), (b) 및 (c)의 양은 통상 (a)1당량에 대해 (b) 1.1―2당량, (c) 0.1―1.2당량이며, 바람직하게는 (a) 1당량에 대해 (b) 1.2―1.8당량, (c) 0.2―1당량이다. (a), (b) 및 (c)의 반응의 순서는 특별한 한정은 없으며, 예를들어 (a), (b), (c)를 동시에 반응시키거나, 또는 (b)와 (c)를 반응시키고나서 (a)를 반응시키는 방법이 있으며, 반응온도는 통상 실온에서 150℃이다. 이 반응시에 반응을 촉진시키기위해 트리에틸아민, 디부틸주석 디라울레이트 등의 통상의 우레탄화 반응의 촉매를 사용하거나 또 (메타)아크릴로일기의 중합을 방지하기위해 벤조퀴논, 하이드로퀴논, 하이드로퀴논 모노메틸에테르, 카테콜, 페노티아진 등의 통상의 라디칼중합금지제를 사용하거나 반응계에 공기 또는 산소를 도입해도 된다.
본 발명의 우레탄변성 (메타)아크릴레이트의 말단은 통상(메타)아크릴로일기이지만 일부 이소시아네이트기나 히드록실기이더라도 좋다.
본 발명의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B)중,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는 예를들어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도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로닐 (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 옥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병용해도 된다.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로서는 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 A·에틸렌옥시드부가물의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비스아크릴로일옥시에틸. 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눌레이트, 트리스아크릴로일옥시에틸 이소시아눌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 (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톤헥사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병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피복재료에 있어서의 (A)와 (B)의 배합비율은 중량비율 (A)/(B)로 30/70에서 70/30이며, 바람직하게는 40/60에서 60/40이다.
본 발명의 광중합개시제 (C)는 예를들어 벤조인,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벤조인부틸에테르, 벤질, 벤조페논, 2―히드록시―2―메틸프로피오페논, 2,2-디에톡시아세토페논, 벤질디메틸케탈, 안트라퀴논클로로안트라퀴논, 에틸 안트라퀴논, 부틸안트라퀴논, 디페닐술파이드, 디디오카바메이트, 2―클로로티오퀴산톤, α-클로로메틸나프탈렌안트라센, 3,3',4,4'―테트라―(t―부틸퍼옥시카르보닐)벤조페논 등을 들 수 있다. 또 이들 광중합개시제에 미히라케톤, 트리에틸아민, 알킬모르폴린 등의 아민을 병용해도 된다. 이들 광중합개시제의 사용비율은 통상 본 발명의 피복재료 조성물의 10중량% 미만이며, 바람직하게는 1중량%―5중량%이다.
본 발명의 피복재료는 다시 필요에 따라 실란커플링제, 산화방지제, 필러등의 각종 첨가제가 배합된다.
광파이버용 유리는 석영계 유리이며, 주성분은 실리카이다. 이 석영모재를 약 2000℃로 가열하여 와이어드로잉속도 60―300m/분으로 외경 125±3μ로 방사하여 파이버를 얻는다. 이 파이버에 상기 피복재료를 도포하는 데는 통상 피복재료가든 탱크안을 방사직후의 파이버를 통과시키는 것으로 행해진다. 도포두께는 경화후의 막두께가 통상 40―80μ, 바람직하게는 약 60μ가 되도록 조정된다. 또 경화에 대해서는 도포직후의 파이버를 고압수은 등을 사용하여 질소 가스분위기중에서 자외선을 조사하여 행하는 방법이 대표적이다.
또 2차 피복재로서 사용할 경우는 파이버에 공지의 실리콘수지, 우레탄수지, 에폭시수지 등의 열경화수지나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에폭시아크릴레이트계,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계 등의 자외선 경화수지를 상법에 의해 도포경화한다음, 그 표면을 본 발명의 조성법으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피복하면 된다.
다음에 합성예, 실시예 및 비교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설명한다.
[합성예―1]
분자량 1000의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호도가야가가쿠제 : PTG-1000) 250중량부, 1,4―부탄디올 22.5중량부 및 2,4―트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130.5중량부를 교반기, 온도계를 장비한 1000ml의 플라스크에 넣고, 질소 기류하에 70℃로 4시간 반응시켰더니 NCO기가 초기의 1/3으로 되었다. 다음에 이 반응액에 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63.8중량부, 하이드로퀴논 0.2중량부, 디부틸주석디라울레이트 0.1중량부를 가하고, 공기를 반응액중에 버블링하면서 70℃로 다시 5시간 반응을 하여 우레탄변성아크릴레이트(A―1)를 합성했다.
[합성예―2]
분자량 2000의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호도가야가가쿠제 : PTG-2000) 300중량부 1,4―부탄디올 13.5중량부 및 2,4―트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87중량부를 교반기, 온도계를 장비한 1000ml의 플라스크에 넣고, 질소 기류하에 70℃로 4시간 반응시켰더니, NCO기가 초기의 2/5로 되었다. 다음에 이 반응액에 히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57.2중량부, 하이드로퀴논 0.2중량부 및 디부틸주석디라울레이트 0.1중량부를 가하고, 공기를 반응액중에 버블링하면서 70℃로 다시 5시간 반응을 하여 우레탄변성 아크릴레이트(A―2)를 합성했다.
[합성예―3]
분자량 1000의 폴리테르메틸렌글리콜(호도가야가가쿠제 : PTG-1000) 350중량부 1,6―헥산디올 17.7중량부 및 2,4―트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130.5중량부를 교반기, 온도계를 장비한 1000ml의 플라스크에 넣고, 질소 기류하에 70℃로 4시간 반응시켰더니 NCO기가 초기의 1/3로 되었다. 다음에 이 반응액에 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63.8중량부, 하이드로퀴논 0.3중량부, 디부틸주석디라울레이트 0.1중량부를 가하고, 공기를 반응액중에 버블링하면서 70℃로 다시 5시간 반응을 하여 우레탄변성아크릴레이트(A―3)를 합성했다.
[합성예―4]
분자량 1000의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호도가야가가쿠제 : PTG-1000) 200중량부 1,4―부탄디올 27중량부 및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26중량부를 교반기, 온도계를 장비한 1000ml의 플라스크에 넣고, 질소 기류하에 70℃로 5시간 반응시켰더니 NCO기가 초기의 1/3로 되었다. 다음에 이 반응액에 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63.8중량부, 하이드로퀴논 0.2중량부, 디부틸주석디라울레이트 0.1중량부를 가하여, 공기를 반응액중에 버블링하면서 70℃로 다시 5시간 반응을 하여 우레탄변성아크릴레이트(A―4)를 합성했다.
[합성예―5]
분자량 1000의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호도가야가가쿠제 : PTG-1000) 500중량부 및 2,4―트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130.5중량부를 교반기, 온도계를 장비한 1000ml의 플라스크에 넣고, 질소 기류하에 70℃로 4시간 반응시켰더니, NCO기가 초기의 1/3로 되었다. 다음에 이 반응액에 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63.8중량부, 하이드로퀴논 0.3중량부 및 디부틸 주석디라울레이트 0.1중량부를 가하여, 공기를 반응액중에 버블링하면서 70℃로 다시 5시간 반응을 하여 우레탄변성 아크릴레이트(A―5)를 합성했다.
[합성예―6]
분자량 650의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호도가야가가쿠제 : PTG-650) 325중량부, 1,4―부탄디올 45중량부 및 2,4―트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130.5중량부를 교반기, 온도계를 장비한 1000ml의 플라스크에 넣고, 질소 기류하에 70℃로 4시간 반응시켰더니, NCO기가 초기의 1/3로 되었다. 다음에 이 반응액에 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127.6중량부, 하이드로퀴논 0.2중량부, 디부틸주석디라울레이트 0.1중량부를 가하고, 공기를 반응액중에 버블링하면서 70℃로 다시 5시간 반응을 하여 우레탄변성아크릴레이트(A―6)를 합성했다.
[합성예―7]
분자량 1000의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호도가야가가쿠제 : PTG-1000) 450중량부 1,4―부탄디올 4.5―중량부 및 2,4―트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130.5중량부를 교반기, 온도계를 장비한 1000ml의 플라스크에 넣고, 질소 기류하에 70℃로 4시간 반응시켰더니, NCO기가 초기의 1/3로 되었다. 다음에 이 반응액에 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63.8중량부, 하이드로퀴논 0.2중량부, 디부틸주석디라울레이트 0.1중량부를 가하고, 공기를 반응액중에 버블링하면서 다시 5시간 반응을 하여 우레탄변성아크릴레이트(A―7)를 합성했다.
[합성예―8]
분자량 1000의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호도가야가가쿠제 : PTG-1000) 300중량부, 1,4―부탄디올 63중량부 및 2,4―트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261중량부를 교반기, 온도계를 장비한 1000ml의 플라스크에 넣고, 질소 기류하에 70℃로 4시간 반응시켰더니, NCO기가 초기의 1/3로 되었다. 다음에 이 반응액에 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127.6중량부, 하이드로퀴논 0.2중량부, 디부틸주석디라울레이트 0.1중량부를 가하고, 공기를 반응액중에 버블링하면서 10℃로 다시 5시간 반응을 하여 우레탄변성아크릴레이트(A―8)를 합성했다.
[실시예 1]
합성예 1에서 얻어진 우레탄변성아크릴레이트(A―1) 50중량부와 트리스아크릴로일옥시에틸이소시아눌레이트(도아고세이가가쿠제 : 아로닉스 M―315) 15중량부, N―비닐피롤리돈 10중량부, 이소보로닐아크릴레이트 10중량부, 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 15중량부 및 광중합개시제인 벤질디메틸케탈 3중량부를 혼합하여 피복재료를 얻었다.
본 피복재료를 유리판 상에 200미크론의 두께로 도포한 다음 고압수은 등을 사용하여 160mJ/㎠로 경화시켰다. 그 경화필름의 JIS K-7113에 준한 물성측정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실시예 2]
합성예 2에서 얻어진 우레탄변성아크릴레이트(A―2) 40중량부와 트리스아크릴로일옥시에틸이소시아눌레이트(도아고세이가가쿠제 : 아로닉스 M―315) 20중량부, N―비닐피롤리돈 10중량부, 이소보로닐아크릴레이트 15중량부, 디시클로펜테닐아크릴레이트 15중량부 및 광중합개시제인 벤질디메틸케탈 3중량부를 혼합하여 피복재료를 얻었다.
이 피복재료를 실시예―1과 같이 경화시킨 필름의 물성측정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실시예 3]
합성예 3에서 얻어진 우레탄변성 아크릴레이트(A―3) 55중량부와 트리스아크릴로일옥시에틸이소시아눌레이트(도아고세이가가쿠제 : 아로닉스 M―315) 10중량부,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5중량부, N―비닐피롤리돈 10중량부, 이소보로닐아크릴레이트 20중량부, 및 광중합개시제인 벤질디메틸케탈 3중량부를 혼합하여 피복재료를 얻었다.
이 피복재료를 실시예―1과 같이 경화시킨 필름의 물성측정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실시예 4]
합성예 4에서 얻어진 우레탄변성아크릴레이트(A―4) 60중량부와 비스아크릴로일옥시에틸·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눌레이트(도아고세이가가쿠제 : 아로닉스 M―215) 25중량부, N―비닐피롤리돈 10중량부, 이소보로닐아크릴레이트 5중량부, 및 광중합개시제인 벤질디메틸케탈 3중량부를 혼합하여 피복재료를 얻었다.
이 피복재료를 실시예―1과 같이 경화시킨 필름의 물성측정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비교예 1]
합성예 5에서 얻어진 우레탄변성아크릴레이트(A―5) 50중량부와 트리스아크릴로일옥시에틸이소시아눌레이트(도아고세이가가쿠제 : 아로닉스 M―315) 15중량부, n―비닐피롤리돈 10중량부, 이소보로닐아크릴레이트 10중량부, 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 15중량부 및 광중합개시제인 벤질디메틸케탈 3중량부를 혼합하여 피복재료를 얻었다.
이 피복재료를 실시예―1과 같이 경화시킨 필름의 물성측정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비교예 2]
합성예 6에서 얻어진 우레탄변성아크릴레이트(A―6) 50중량부와 트리스아크릴로일옥시에틸이소시아눌레이트(도아고세이가가쿠제 : 아로닉스 M―315) 15중량부, n―비닐피롤리돈 10중량부, 이소보로닐아크릴레이트 10중량부, 중합개시제인 벤질디메틸케탈 3중량부를 혼합하여 피복재료를 얻었다.
이 피복재료를 실시예―1과 같이 경화시킨 필름의 물성측정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비교예 3]
합성예 7에서 얻어진 우레탄변성아크릴레이트(A―7) 50중량부와 트리스아크릴로일옥시에틸이소시아눌레이트(도아고세이가가쿠제 : 아로닉스 M―315) 15중량부, n―비닐피롤리돈 10중량부, 이소보로닐아크릴레이트 10중량부, 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 15중량부 및 광중합개시제인 벤질디메틸케탈 3중량부를 혼합하여 피복재료를 얻었다.
이 피복재료를 실시예―1과 같이 경화시킨 필름의 물성측정 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비교예 4]
합성예 8에서 얻어진 우레탄변성아크릴레이트(A―8) 50중량부와 트리스아크릴로일옥시에틸이소시아눌레이트(도아고세이가가쿠제 : 아로닉스 M―315) 15중량부, n―비닐피롤리돈 10중량부, 이소보로닐 아크릴레이트 10중량부, 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 15중량부 및 광중합개시제인 벤질디메틸케탈 3중량부를 혼합하여 피복재료를 얻었다.
이 피복재료를 실시예―1과 같이 경화시킨 필름의 물성측정결과를 표-1에 나타낸다.
상기 각 예에서 얻어진 피복 재료에 대해 다음의 평가를 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1) 피복재료정도
BM형 점도계로 로터 No3, 회전수 30rpm에서 온도 25℃일때의 점도를 측정했다.
(2) 파단강도 및 신장
피복재료를 유리판에 약 200μ두께로 도포하고, 질소가스 분위기중에서 80w/cm의 고압수은 등을 사용하여 80J/㎠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필름을 작성했다. 다음에 이 필름을 JIS K―7113에 준해서 파단강도 및 신장을 측정했다.
(3) 2.5%탄성률
상기 (2)파단강도 및 신장과 같이, 경화필름을 작성하여 JIS K―7113에 준해서 탄성률을 측정했다.
(4) 내열성
상기 (2)파단강도 및 신장과같이, 경화필름을 작성하고, 다음에 이 필름을 온도 80℃의 항온조안에 넣고, 30일후에 꺼내어 (2) 및 (3)과 같이 파단강도 및 신장과 2.5% 탄성률을 측정했다.
상기 (2)파단강도 및 신장과같이 경화필름을 작성하고, 다음에 이 필름을 온도 80℃로 유지된 온수중에 넣어 30일후에 꺼내어 (2) 및 (3)과 같이 파단강도 및 신장과 2.5% 탄성률을 측정했다.
(6) 전송손실
60m/분의 속도로 방사한 외경 125μ의 광파이버에 방사와 동시에 2.5% 탄성률 17.0kg/㎠의 피복재료(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의 1차피복재료 CX―124(미쓰이도 아쓰가가쿠제))로 외경 300μ로 1차 피복하고, 즉시 3.2KW의 고압수은 등을 사용하여 경화시켰다. 다음에 상기 각 예에서 얻어진 피복재료로 외경 400μ로 2차 피복을 사용하여 즉시 3.2KW의 고압수은 등을 사용하여 경화시켰다. 이들 피복 광파이버의 23℃ 및―40℃에 있어서의 파장 1.3μ에서의 광전송손실을 측정했다.
[표 1]
Figure kpo00002

Claims (12)

  1. (A) a) 분자량 850 이상의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과, 일반식[I]
    Figure kpo00003
    (식중, n은 3―8의 정수)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비율이 당량비로 8:2에서 4:6의 혼합물, b) 디이소시아네이트화합물 및 c) 히드록시기를 갖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를 반응시켜서 얻어지는 우레탄변성 (메타)아크릴레이트, (B)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N―비닐피롤리돈, (C) 광중합개시제를 필수성분으로 하는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화합물 (a), (b) 및 (c)의 양이 (a) 1당량에 대해 (b) 1.1―2당량, (c) 0.1―1.2당량인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a) 1당량에 대해, (b) 1.2―1.8당량, (c) 0.2―1당량인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일반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트리메틸렌글리콜, 1 부텐디올, 1.5―펜텐디올, 1.6―헥산디올, 1 헵텐디올, 1.8―옥텐디올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의 분자량이 1000―2000인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디이소시아네이트화합물이 방향족 또는 지방족디이소시아네이트인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디이소시아네이트화합물이 방향족 또는 지방족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폴리올류와 반응시킨 화합물인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디이소시아네이트화합물이 2,4―트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2,6―트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나프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산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인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9. 제6항에 있어서, 폴리올류가 에틸렌글리콜, 헥산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글리세린, 또는 헥산트리올인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히드록시기를 갖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가 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N―히드록시메틸 (메타)아크릴아미드, 디에틸렌글리콜모노 (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 (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아클릴레이트와 (메타)아클리신과의 등몰반응생성물인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A)와 (B)의 배합비율이 (A)/(B)에서 30/70부터 70/30인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12. (A) a) 분자량 850이상의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과, 일반식[I]
    Figure kpo00004
    (식중, n은 23―8의 정수)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비율이 당량비로 8:2에서 4:6의 혼합물, b) 디이소시아네이트화합물, 및 c) 히드록시기를 갖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를 반응시켜 얻어지는 우레탄변성 (메타)아크릴레이트, (B) 단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N―비닐피롤리돈, (C) 광중합개시제를 필수성분으로 하는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피복해서 이루어진 광파이버.
KR1019880009118A 1987-07-21 1988-07-21 광경화수지 조성물 Expired KR9100085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179907 1987-07-21
JP62179907A JPS6424816A (en) 1987-07-21 1987-07-21 Photo-setting resin composition
JP87,179907 1987-07-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2323A KR890002323A (ko) 1989-04-10
KR910008558B1 true KR910008558B1 (ko) 1991-10-19

Family

ID=16073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9118A Expired KR910008558B1 (ko) 1987-07-21 1988-07-21 광경화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0301733A1 (ko)
JP (1) JPS6424816A (ko)
KR (1) KR910008558B1 (ko)
AU (1) AU590483B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34461A (en) * 1989-06-07 1991-07-23 Bausch & Lomb Incorporated Novel prepolymers useful in biomedical devices
CA1341128C (en) * 1989-06-27 2000-10-24 Borden Chemical, Inc. Optical fiber array
US5169719A (en) * 1989-10-06 1992-12-08 Basf Corporation Nonionically and partially anionically stabilized water-dispersible polyurethane/acrylic graft copolymers
US5247038A (en) * 1989-11-29 1993-09-21 Mitsubishi Rayon Co., Ltd. Polybutylene glycol dimethacrylate and resin composition for cast polymerization
AU6690790A (en) * 1989-11-29 1991-08-15 Mitsubishi Rayon Company Limited Polybutylene glycol dimethacrylate and resin composition for cast polymerization
FR2699181B1 (fr) * 1992-12-16 1995-01-20 Ceca Sa Polymères polyuréthane-acryliques prégélifiables par la température et post durcissables par l'humidité, et compositions adhésives monocomposantes les contenant.
JP3634592B2 (ja) * 1997-01-08 2005-03-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接着固定物、電子機器および時計
WO1999008975A1 (en) * 1997-08-15 1999-02-25 Dsm N.V. Radiation-curable resin composition
US6579618B1 (en) 1997-08-15 2003-06-17 Dsm N.V. Coated optical fiber and radiation curable resin composition
KR100926714B1 (ko) * 2002-05-10 2009-11-17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광섬유 피복용 수지 조성물 및 그것을 이용한 피복된광섬유 및 광섬유 유닛
JP2007056162A (ja) * 2005-08-25 2007-03-08 Toagosei Co Ltd 半硬化工程を含む成型品製造用の光硬化性組成物
JP2016102154A (ja) * 2014-11-28 2016-06-02 凸版印刷株式会社 樹脂成形体および樹脂成形体の製造方法
KR20190125338A (ko) * 2017-03-28 2019-11-06 아르끄마 프랑스 부드러운 감촉 코팅 형성에 유용한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72807A (en) * 1965-12-06 1969-10-14 Grace W R & Co Vinyl-containing copolymer latex and method of preparing same
US4112017A (en) * 1976-07-23 1978-09-05 Lord Corporation Radiation curable coating compositions
US4301209A (en) * 1979-10-01 1981-11-17 Gaf Corporation Radiation curable coating composition comprising an oligomer, and an ultra-violet absorber
US4507458A (en) * 1983-04-14 1985-03-26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Urethane acrylate compositions
JPS6114211A (ja) * 1984-06-30 1986-01-22 Yokohama Rubber Co Ltd:The 光ファイバー心線二次被覆材用紫外線硬化型樹脂組成物
JPS6121117A (ja) * 1984-07-10 1986-01-29 Yokohama Rubber Co Ltd:The 光硬化型樹脂組成物
JPH0684411B2 (ja) * 1986-03-14 1994-10-26 住友化学工業株式会社 硬化性樹脂組成物
US4786657A (en) * 1987-07-02 1988-11-2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Polyurethanes and polyurethane/polyureas crosslinked using 2-glyceryl acrylate or 2-glyceryl methacryl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1920488A (en) 1989-01-27
KR890002323A (ko) 1989-04-10
EP0301733A1 (en) 1989-02-01
JPS6424816A (en) 1989-01-26
AU590483B2 (en) 1989-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8558B1 (ko) 광경화수지 조성물
US7750060B2 (en) Radiation curable coating composition
JP2627626B2 (ja) 光フアイバー被覆用組成物
JPS6212640A (ja) 光グラスフアイバ−用紫外線硬化性コ−テイング組成物
JPH0429619B2 (ko)
EP1664149A1 (en) Curable liquid resine composition
US6770685B1 (en) Resin composition for manufacturing optical fiber ribbon and method for preparing resin for manufacturing optical fiber ribbon using the same
JPS6083907A (ja) 光学ガラスフアイバ用被覆材料
US4854666A (en) Photosetting resin composition
JP3345931B2 (ja) 紫外線硬化型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光ファイバー
JP2711579B2 (ja) 液状硬化性樹脂組成物
JPH0234620A (ja) 光硬化性樹脂組成物
JP4017055B2 (ja) (メタ)アクリル酸エステル、これを用いた樹脂組成物
KR20040067904A (ko) 광파이버용 피복조성물 및 피복 광파이버
JP2002128845A (ja) 液状放射線硬化型樹脂組成物、光ファイバ用被覆組成物及び光ファイバ
JP4017056B2 (ja) (メタ)アクリル酸エステル、これを用いた樹脂組成物
JP3772950B2 (ja) 光ファイバ用被覆組成物及び光ファイバ
JPH05214063A (ja) 重合性不飽和ポリウレタン及びこれを用いた紫外線硬化型樹脂組成物
JP3273779B2 (ja) 光硬化性樹脂
JPH0424302B2 (ko)
JPH0940611A (ja) 6−ヒドロキシ−トリメチルヘキシル(メタ)アクリレート、その製造方法、ウレタンアクリレートオリゴマー、およびこれを含む光硬化性組成物
JPH0354216A (ja) 光硬化可能な組成物
JP2007119705A (ja) 液状硬化性樹脂組成物
JP2001089200A (ja) 放射線硬化型光ファイバ用被覆材及びその硬化方法
JPS63270719A (ja) 紫外線硬化型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807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8807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88072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11230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P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