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10008022Y1 - 푸쉬버튼 스위치 - Google Patents

푸쉬버튼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8022Y1
KR910008022Y1 KR2019890000987U KR890000987U KR910008022Y1 KR 910008022 Y1 KR910008022 Y1 KR 910008022Y1 KR 2019890000987 U KR2019890000987 U KR 2019890000987U KR 890000987 U KR890000987 U KR 890000987U KR 910008022 Y1 KR910008022 Y1 KR 9100080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switch
spring
driving body
clic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009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9996U (ko
Inventor
사도시 마츠이
아끼라 오야마
Original Assignee
아루프스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가다오까 마사타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루프스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가다오까 마사타까 filed Critical 아루프스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199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999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80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8022Y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2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푸쉬버튼 스위치
제1도 내지 제3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관련된 푸쉬버튼 스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도는, 본 고안의 스위치 "오프"시의 요부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스위치 "온"직후의 요부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오우버 스트로우크시의 요부 단면도.
제4도는, 본 출원인이 앞서 제안한 푸쉬버튼 스위치의 요부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위 케이스 2a : 내벽
3 : 아래 케이스 4 : 조작체
5 : 제1구동체 6 : 제2구동체
7 : 코일 스프링 8 : 리이드부
9 : 고정 접점 9a, 9b : 고정 접점
10 : 택트 스프링 11 : 조작축
12 : 스위치부 13 : 가변 저항기
14 : 바닥판 15 : 아래 케이스
16a, 16b : 단자 17 : 뚜껑체
18 : 개구 19 : 벽부재
20 : 위 케이스 21 : 개구
22 : 돌출편 23 : 볼록부
24 : 제1코일 스프링 25 : 제2코일 스프링
26 : 제1구동체 26a : 걸어맞춤 오목부
26b : 클릭편 26c : 오목부
27 : 가동 접점 27a : 탄성 접촉부
28 : 돌출편 29 : 제2구동체
30 : 칼라 31 : 스톱퍼
32 : 개구 33 : 위판
본 고안은, 푸쉬버튼 스위치, 특히 소망하는 클릭 (Click) 감촉과 조작 감촉을 얻을 수 있는 푸쉬버튼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스프링을 조립 형성하는 푸쉬버튼 스위치는, 접시 형상의 택트 스프링이 반전할때의 클릭 감촉이 조작자의 손가락에 전달되어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각종 전기 제품의 조작용 스위치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런 종류의 푸쉬버튼 스위치는, 자유롭게 진출, 후퇴하는 조작체를 누르면, 조작체가 후퇴하여 가동 접점이 되는 택트 스프링이 밀어넣어져 반전하고, 이 반전에 의해 택트 스프링이 고정 접점에 접촉하여 스위치가 "온"되도록 되어있다.
또, 이러한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택트 스프링이 자체의 탄성으로 본래의 접시 형상으로 복귀하므로 조작체가 밀어올려져 초기의 위치에까지 진출하여 누르기 전의 스위치 "오프"상태를 되돌아 온다.
그리고, 택트 스프링의 반전 스트로우크가 1mm이내로 되어 있기때문에, 조작체의 밀어넣어지는 양도 일반적으로 이와같은 정도로 설정되어 있고, 매우 미묘한 스트로우크로 스위칭 동작을 할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같은 종래의 푸쉬버튼 스위치는, 택트 스프링이 반전한 시점에서 스트로우크 앤드가 되기 때문에, 치수 오차 등의 영향으로 택트 스프링과 고정 접점과의 클리어런스가 다소 넓어지거나, 또는 택트 스프링의 반전 스트로우크가 설계 예상치로 충족되지 않았을 경우 등에는, 택트 스프링이 반전하더라도 고정 접점에 대하여 충분한 접촉 입력으로 접촉할 수 없게 되어버려, 접촉의 신뢰성이 손상될 염려가 있었다.
또한, 조작시의 스트로우크가 극단적으로 적고, 또한 택트 스프링의 반전사가 스트로우크 앤드로 되어 있으면, 양호한 조작 감촉을 얻을 수 없다는 불편이 있을 뿐만 아니라, 주행중에 클릭 감촉이 확인하고 벗어나는 차량 탑재용의 푸쉬버튼 스위치로 사용했을 경우는, 동작 상태를 손가락으로 파악하기 어렵게 되고, 조작성에도 지장을 가져오게 된다.
그리하여, 본원의 출원인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푸쉬버튼 스위치를 일본국 실원소 62-140856호에서 제안하였다.
제4도는, 이 제안에 관련된 푸쉬버튼 스위치(이하, 선원이라함)의 구성을 나타낸 다면도로써, 수지 몰드품으로된 내벽(2a)이 튀어나와 형성되어 있는 사각 통형상의 위 케이스(2)에, 이 위 케이스(2)의 아래 개구를 뚜껑으로 닫는 아래 케이스(3)가 마련되고, 이 아래 케이스(3)의 내면에, 1쌍의 리이드부(8)를 개재하여 접시 형상의 택트 스프링(10)이 고정 접점(9)에 대향하여 배설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위 케이스(2)의 안쪽둘레면을 따라 자유로이 미끄럼 동작되도록 제1구동체 (5)와 제2구동체(6)가 서로 코임스프링(7)의 편기력에 의해 이반된 상태로 붙임고정 되어있다.
그리고, 제1구동체(5)를 밀어넣는 조작체(4)가 위 케이스(2)에 대하여 부착되고, 이 조작체 (4)에 의해 제1구동체(5)가 밀어넣어져 제2구동체(6) 방향으로 내벽(2a)을 따라 자유로이 미끄럼 동작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푸쉬버튼 스위치의 조작시에 조작자가 조작체(4)를 밀어넣으면, 제1구동체(5)가 위 케이스(2)의 내벽 (2a)을 따라 하강하고, 제1구동체(5)에 주는 누름턱이 코일 스프링(7)을 개재하여 제2구동체(6)에 전닭되고, 제2구동체(6)도 내벽(2a)을 따라 하강한다.
그리고, 이 제2구동체(6)에 의해 가동 접점인 택트 스프링(10)이 반전하고, 택트 스프링(10)의 반전부가 고정 접점(9)에 접촉하여 스위치 "온"상태가 된다.
또, 이 스위치 "온" 상태가 된 후에도 조작체 (4)를 밀어넣으면 코일 스프링 (7)이 수축할 수 있는 범위에서는, 제1구동체(5)는 소정량이 밀어넣어지므로 오우버 스트로우크 동작이 가능하다.
그리고, 조작체(4)에 대한 누름력을 해제하면, 택트 스프링(10)은 자체의 탄성에 의해 본래의 접시 형상으로 복귀하고, 제2구동체(6)가 밀어올려져, 코일 스프링(7)도 자체의 탄성에 의해 스프링의 길이를 증대시키므로, 조작체(4)도 밀어올려져서 스위치 "오프"의 원상태로 복귀한다.
이렇게 하여, 상기 선원에 의하면, 택트 스프링(10)의 반전시에 치수 오차 등으로 고정 접점(9)에 대한 택트 스프링(10)의 접촉 압력이 불충분하더라도, 코일 스프링(7)으로부터 누름턱을 받는 제2구동체(6)가 택트 스프링(10)에 힘을 가하므로, 접촉의 신뢰성은 확보된다.
또한, 코일 스프링(7)의 수축에 따라 작동력이 점차 증대되는 오우버 스트로우크를 얻을 수 있으므로, 조작 감촉도 양호하고 조작성이 향상된다.
이와같이, 상기 선원에 의하면, 오우버 스트로우크가 없는 종래의 푸쉬버튼 스위치가 가진 결점을 해소할 수 있으나, 택트 스프링(10)에 의해 푸쉬버튼 스위치의 조작시의 클릭 감촉이나 작동력 특성이 정해지기 때문에, 이들 클릭 감촉이나 작동력 특성을 변경하고자 하면, 택트 스프링(10)부분에서 그것을 조정해야 한다.
그러나, 잘 알려져 있는 바와같이, 택트 스프링(10)에 대하여 소망하는 특성을 얻을 수 있도록 조정한다는 것은 매우 어려우며, 선원에서는 클릭 감촉이나 작동력의 특성을 소망하는 값으로 설정하기는 어렵다.
또, 선원에서는, 조작시의 택트 스프링(10)에 의한 클릭음이 크고, 예를드멸, 차량 탑재용 스위치같이 조용한 환경하에서 사용할 경우에는 그 클릭 음이 귀에 거슬리는 경우가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선원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소망하는 클릭 감촉과 조작 감촉을 간단히 설정할 수 있고, 또한, 클릭음을 줄일수 있는 푸쉬번튼 스위치를 제공함애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밀어놓은 조작에 의하여 구동체가 편기 스프링의 편기력에 대항하여 벽부재를 따라 이동하고, 상기 구동체의 끝단부에 붙임고정된 가동 접점이, 이 가동 접점과 대향하여 배설되는, 고정 접점과 접촉하여 스위칭 동작이 행하여지는 푸쉬버튼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체의 둘레벽에 상기 이동 방향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탄성 변위가 가능한 클릭편이 형성되고, 상기 구동체의 최대 스트로우크 길이가 상기 가동 접점과 상기 고정 접점 사이의 거리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구성에 의하면, 밀어넣음 조작에 의하여 구동체가 밀어넣어지면 구동체는 편기 스프링의 편기력에 대항하여 벽부재를 따라 이동한다.
이 구동체에는 앞끝단에 가동 접점이 부착되어 있고, 둘레의 벽에 클릭편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구동체의 이동에 의해 클릭편이 벽부재에 형성되어 볼록부에 의해 이동 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휘어져 볼록부를 타고넘는다.
이때, 클릭편과 볼록부와의 서로 걸리고 벗겨지고 할때 발생하는 클릭 감촉을 얻을수 있고, 구동체의 이동으로 가동 접점이 고정 접점과 접촉하여 스위치 "온"동작이 행해진다.
이 접촉 상태에서 구동체가 더욱 밀어넣어지면, 편기 스프링이 수축하여 구동체는 최대 스트로우크 길이만큼 이동하여 오우버 스트로우크 동작이 행해진다.
따라서, 벽부재에 형성되는 볼록부의 형상에 의해 푸쉬버튼 스위치에 소망하는 클릭 감촉과 작동력 특성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구동체에 대하여 편기 스프링에 의해 작동력이 점차 증가하는 오우버 스트로우크 동작을 시켜, 양호한 조작 감촉과 더불어 확실한 스위치 동작을 시킬 수 있다.
다음에, 본 고안의 실시예를 제1도 내지 제3도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제1도 내지 제3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요부의 구성을 나타낸것으로, 제1도는, 스위치 "오프"시의 요부 단면도, 제2도는, 스위치 "온"직후의 요부 단면도, 제3도는, 오우버 스트로우크시의 요부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제1도에서 1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같이, 조작체(4)에 접속되는 공통의 조작축(11)에 대하여 가변 저항기(13)가 스위치부(12)와 나란히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있다.
그러나, 이 가변 저항기(13)는 공지의 것으로, 이 부분은 본 고안의 요부가 아니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제1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대략 직사각형상의 바닥판(14) 상에 사각 통형상의 아래 케이스(15)가 고정되고, 이 아래 케이스(15)의 바닥판상에는 고정 접점(9a), (9b)이 대략 나란하게 서로 접촉 하지않는 상태로 배열되고, 이들의 고정 접점은 각각 단자(16a), (16b)에 의해 케이스체의 외부로 도출되어 있다.
제1도 내지 제3도에서는 이들의 안쪽고정 접점(9a)와 단자(16a)가 도시되어 있다.
상술한 아래 케이스(15)의 위부분 끝단면 상에는 뚜껑체(17)가, 아래 케이스(15)를 씌우듯이 붙임고정되고, 이 뚜껑체(17)에는 중심부에 개구(18)가 형성되어 있다.
이 뚜껑체(17)상에 원 형상의 벽부재(19)가 고정되고, 또한 이 벽부재(19)상에 위 케이스(20)가 고정되고, 이 위 케이스(20)에는 중심부에 개구(21)가 형성되고, 이 개구(21)의 둘레 테두리부가 아래쪽으로 돌출하여 돌출편(2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벽부재(19)의 안쪽둘레면의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는 볼록부(23)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바닥판(14), 아래 케이스(15), 뚜껑체(17), 벽부재(19) 및 위 케이스(20)로써, 실시예에서의 스위치부(12)의 케이스체가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아래 케이스(15)의 바닥판상에 제2코일 스프링(25)이 배설되고, 이 제2코일 스프링(25)에 의해 위쪽으로 편기되어, 아래 케이스(15)내에 링 형상의 제2구동체(29)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2구동체(29)의 고정 접점(9a), (9b)과 대향하는 판의면에는, 고정 접점(9a), (9b)에 걸쳐 이들을 커버하는 범위로 가동접점(27)이 붙임고정되고, 이 가동 접점(27)에는 고정 접점(9a), (9b)과 접촉하는 탄성 접촉부(27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구동체(29)에는 개구(18)에서 위쪽으로 돌출하는 듯이, 돌출편(28)이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제2구동체(29)의 돌출편(28)가 걸어맞춤하는 듯이하여 제2구동체(29)상에 제1구동체(26)가 형성되고, 이 제1구동체(26)의 중심 부분에는 위쪽으로 오목한 오목부(26c)가 형성되고, 이 제1구동체(26)의 둘레 테두리부는 일체로 연장되고, 이 연장부에 아래쪽으로 오목한 걸어맞춤 오목부(26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연장부의 끝단부, 즉 제1구동체(26)의 둘레벽에는 탄성을 가진 클릭편(26b)이 형성되고 있다.
그리고, 뚜껑체(17)와 걸어맞춤 오목부(26a) 사이에는 제1구동체(26)를 위쪽으로 편기하는 제1코일 스프링(24)이 배셜되어 있다.
또한, 제1구동체(26)의 오목부(26c)에 대하여 조작축(11)의 끝단부가 걸어맞춤되고, 이 조작축(11)에는 칼라(30)가 형성되고, 위 케이스(20)의 개구(21)의 둘레 테두리를 따라 스톱퍼(31)가 고정되어, 이 스톱퍼(31)와 칼라(30)가 조작축(11)의 빠짐 방지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케이스체 위판(33)의 중심부에 개구(32)가 형성되고, 이 개구(32)에서 조작체(4)를 돌출시켜, 실시예의 푸쉬버튼 스위치의 케이스체에 대해 조작축(11)이 붙임고정되어 있다.
제1도에서는, 제1코일 스프링(24)에 의해 제1구동체(26)는 위 케이스(20)의 내면에 대향하여 접하여 위쪽으로 편기되고, 제2코일 스프링(25)에 의해 제2구동체(29)는 돌출편(28)의 끝단면이 제1구동체(26)와 대향하여 접하도록 위쪽으로 편기되어, 제2구동체(29)의 판의면이 뚜껑체(17)와 대접하고 있다.
이 때문에, 조작축(11)은 위쪽으로 편기되어 칼라(30)가 스톱퍼(31)와 대향하여 접하고, 조작체(4)는 개구(32)에서 가장많이 돌출한 위치를 취하고 있다.
그리고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제1도의 상태에서 조작체(4)가 개구(32)에 대해 가장많이 밀어넣어진 제3도의 상태까지, 제1 및 제2구동체(26), (29)가 이동하는 최대 스트로우크 길이가 고정 접점(9a), (9b)가 가동 접점(27)간의 거리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제1구동체(26)와 제2구동체(29)로써 구동체가 구성되고, 제1코일 스프링(24)과 제2코일 스프링(25)으로써 편기 스프링이 구성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한 그 작동을 다음에 설명한다.
제1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스위치 "오프"의 상태에 있는 푸쉬버튼 스위치에 대해, 조작자가 조작체(4)를 아래쪽으로 밀어넣으면, 조작축(11)의 칼라 (30)에 의해 제1구동체(26)가 아래쪽으로 밀리어 이동하여, 제1구동체(26)의 위끝단면이 위 케이스(20)의 내면에서 떨어져, 제1코일 스프링(24)이 수축을 개시한다.
동시에, 제1구동체(26)에 의해 제2구동체(29)가 밀어넣어져, 제2구동체(29)의 판의면이 뚜껑체(17)에서 떨어져 제2코일 스프링(25)이 수축을 개시한다.
그리고, 조작체(4)를 아래쪽으로 밀어넣으면, 제1 및 제2코일 스프링(24), (25)이 차츰 수축해 가고, 제2구동체(29)가 아래케이스 (15)방향으로 이동하고, 클릭편(26b)이 이 볼록부(23)를 따라 안쪽으로 휘어지고, 이것을 타고넘을 때에 클릭 감촉을 얻고, 제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탄성 접촉부(27a)가 고정 접점(9a), (9b)과 접촉한다.
이 상태에서, 단자(16a), (16b) 사이가 도통 상태로 되어, 푸쉬버튼 스위치의 스위치 "온" 동작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2도에 나타낸 스위치 "온"의 상태에서, 거듭 조작체(4)을 밀어넣으면, 오우버 스트로우크 동작을 하여 클릭편(26b)의 끝단면이 뚜껑체(17)와 대향하여 접하여 최대 스트로우크의 길이에 도달할 때까지, 제1 및 제2구동체(26), (29)는 이동한다.
이 이동에 따라, 제1 및 제2코일스프링(24), (25)이 수축하고, 제1구동체(26)의 클릭편(26b)의 끝단면이 뚜껑체(17)와 대향하여 접하는 위치에서, 제2구동체(29)의 가동 접점(27)이 아래케이스(15)의 고정 접점(9a), (9b)과 대략 전체면으로 대향하여 접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조작편(4)에 가해져 있는 누름력을 해제하면, 제1 및 제2코일 스프링(24), (25)의 편기력에 의해 제1 및 제2의 구동체(26), (29)가 위쪽으로 이동하고, 제1구동체(26)가 칼라(30)를 개재하여 조작축(11)를 밀어올리고, 칼라(30)가 스톱퍼(31)에 대향하여 접할때까지 조작축(11)이 이동하고, 제1도에 나타낸 스위치 "오프"상태로 복귀한다.
이와같이,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벽부재(19)에 형성된 볼록부(23)의 형상에 의해 푸쉬버튼 스위치 조작의 클릭 감각이나 작동력의 특성이 부여되므로, 소정 형상의 볼록부(23)를 가진 벽부재(19)를 사용함으로써, 소망하는 클릭 감각 및 조작 감촉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있다.
또, 택트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았으므로, 클릭음이 저감되고, 예를들면, 차량 탑재용의 스위치같이 조용한 환경하에서 사용한 경우에도, 스위치의 "온", "오프" 동작시의 클릭음이 귀에 거슬리지 않는다.
나아가서는, 제1 및 제2코일 스프링(24), (25)의 수축에 대응하여 작동력이 점차 증대하는 오우버 스트로우크 동작이 가능하므로, 양호한 조작 감촉이 확보되는 동시에, 치수 오차 등에따라 스위치 "온"시의 접촉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클릭 감촉을 확인하기 어려운 상태에서 사용하는 경우, 예를들면, 차량 탑재용의 푸쉬버튼 스위치로 사용하는 경우에, 소망하는 클릭 감촉 및 조작 감촉을 설정하여, 동작 상태를 파악하여 양호한 조작 감촉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는, 구동체가 제1구동체와 제2구동체들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를 설명했는데, 본 고안은 이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제1 및 제2구동체가 일체화된 1개의 구동체로 구성할 수도 있고, 이 경우에는 제2코일 스프링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벽부재의 내주면의 대향하는 위치에 제2개소에서 볼록부를 형성한 경우를 설명했는데, 예를들면, 벽부재의 안쪽둘레면의 전체 둘레에 걸쳐 원형 형상으로 볼록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벽부재에 형성하는 볼록부의 형상에 의해 푸쉬버튼 스위치에 대하여 소망하는 클릭 감촉을 간단히 설정할 수 있고, 귀에 거슬리지 않는 쾌적한 클릭음도 얻을 수 있는 동시에, 작동력이 점차 증가하는 오우버 스트로우크 동작을 하게 하여 양호한 조작 감촉으로 스위치의 변환시에 접촉 불량이 없는 스위칭 동작을 하게 된다.

Claims (1)

  1. 밀어넣은 조작에 의하여 구동체가 편기 스프링의 편기력에 대항하여 벽부재를 따라 이동하고, 상기 구동체의 끝단부애 붙임고정된 가동 접점이, 이 가동 접점과 대향하여 배설되는, 고정 접점과 접촉하여 스위칭 동작이 행하여지는 푸쉬버튼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체(26)의 둘레벽에 상기 이동 방향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탄성 변위가 가능한 클릭편(26b)이 형성되고, 상기 벽부재에 이 클릭편(26b)과 걸리고 벗겨지고 하는 볼록부(23)가 형성되어, 상기 구동체(26)의 최대 스트로우크 길이가 상기 가동 접점(27)과 상기 고정 접점(9a), (9b) 사이의 거리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버튼 스위치.
KR2019890000987U 1988-03-01 1989-01-31 푸쉬버튼 스위치 Expired KR91000802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25940 1988-02-03
JP1988025940U JPH073546Y2 (ja) 1988-03-01 1988-03-01 押釦スイツ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9996U KR890019996U (ko) 1989-10-05
KR910008022Y1 true KR910008022Y1 (ko) 1991-10-10

Family

ID=31247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0987U Expired KR910008022Y1 (ko) 1988-03-01 1989-01-31 푸쉬버튼 스위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73546Y2 (ko)
KR (1) KR91000802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37861B2 (ja) * 2005-01-12 2010-09-08 日本電産コパル電子株式会社 スイッ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73546Y2 (ja) 1995-01-30
JPH01130238U (ko) 1989-09-05
KR890019996U (ko) 1989-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26223A (en) Cam-assisted switch
US4056700A (en) Keyboard assembly momentary contact push button switch with tactile action
EP1810307B1 (en) Tactile feedback plunger switch
US5667061A (en) Linear cam-assisted plunger switch
US5004880A (en) Click-type push button switch with improved leaf spring
US6329622B1 (en) Oscillating-operation type switch apparatus
KR910008022Y1 (ko) 푸쉬버튼 스위치
CA1160273A (en) Cam operated dual switch assembly
US20110031097A1 (en) Electrical switch assembly with angled plunger
JPH0526652Y2 (ko)
US4004121A (en) Electrical switch with wire beam spring contact closer
JPH0935574A (ja) 押釦スイッチ
KR100405994B1 (ko) 푸쉬버튼 스위치
JP2588859Y2 (ja) 押釦スイッチ
EP0789373B1 (en) Electric switch
JPH0441546Y2 (ko)
JP3805915B2 (ja) 多方向入力装置
JPS596584Y2 (ja) プッシュプル・スイッチ
KR200365289Y1 (ko) 와이드 스위치의 가동부와 노브의 결합구조
JPH0317376Y2 (ko)
JPH0755785Y2 (ja) 押ボタンスイッチ
JP4209222B2 (ja) 押釦スイッチ
JPH0427062Y2 (ko)
JP2002140960A (ja) スライド操作式スイッチ
JPH052179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890131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890131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10912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1122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2033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2033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401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412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602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612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121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8120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121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122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122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23

Year of fee payment: 1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122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EXPY Expiration of term
UC1801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