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10007761Y1 - 유아용 좌석 안전벨트 - Google Patents

유아용 좌석 안전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7761Y1
KR910007761Y1 KR2019890000592U KR890000592U KR910007761Y1 KR 910007761 Y1 KR910007761 Y1 KR 910007761Y1 KR 2019890000592 U KR2019890000592 U KR 2019890000592U KR 890000592 U KR890000592 U KR 890000592U KR 910007761 Y1 KR910007761 Y1 KR 9100077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band
front plate
back plate
seat bel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005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4477U (ko
Inventor
이계익
Original Assignee
이계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익 filed Critical 이계익
Priority to KR20198900005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7761Y1/ko
Publication of KR9000144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447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77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7761Y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65Adaptations for seat bel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47D13/025Baby-carriers; Carry-cots for carrying children in seat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47D15/005Restraining devices, e.g. safety belts, contoured cushions or side bumpers
    • A47D15/006Restraining devices, e.g. safety belts, contoured cushions or side bumpers in chai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유아용 좌석 안전벨트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아기에게 본 고안의 안전벨트를 착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안전벨트를 사용하여 아기를 업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등판 2 : 앞판(2)
3, 3' : 제1, 제2어께걸이밴드 4, 4' : 제1, 제2걸이 조정구
5 : 가슴걸이밴드 6 : 제3걸이조정구
7 : 제4걸이조정구 8 : 연결밴드
11 : 안전벨트 삽입구 12 : 벨트삽입공
14 : 고정구 15 : 허리걸이밴드
16 : 제5걸이조정구 17 : 안전벨트
본 고안은 차량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유아용 안전벨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안전벨트의 등판과 앞판(2)을 연결하는 연결밴드에 형성된 밸트삽입구에 이미 차량에 설치된 기존의 안전벨트가 결합되게하여 차량의 주정차시와 운행시에는 아기가 기존의 안전벨트가 끼워진 벨트삽입공을 중심으로 몸을 자유롭게 눕거나 활동할 수 있도록 하고, 차량의 제동시에는 기존의 안전벨트가 아기가 착용한 안전벨트를 고정시켜서 아기의 몸이 앞으로 나아가지 않게 함으로써 안전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고안이다.
종래의 유아용 좌석안전벨트는 함체 또는 의장형상의 틀에 아기를 앉히고 여러개의 밴드로서 아기를 고정한 다음, 함체 또는 의자형상의 틀을 기존의 안전벨트와 체결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것은 아기의 안전장치로서의 효과는 높으나, 장시간 운행시에는 성장기의 아기가 움직이지 못하는 갑갑함 때문에 짜증을 부리게 되는 결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아기가 착용한 안전벨트와 차량에 설치된 기존의 안전벨트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도 아이가 몸을 자유롭게 눕거나 움직일 수 있어 갑갑함을 느끼지 않게 하여 항상 안락함을 얻을 수 있으면서도 차량의 제동시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도록 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아기가 착용한 안전벨트와 차량에 설치된 기존의 안전벨트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도 아기가 몸을 자유롭게 눕거나 움직일수 있어 갑갑함을 느끼지 않게 하여 항상 안락함을 얻을 수 있으면서도 차량의 재동시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고, 차량에서 안전벨트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아기를 업을 수 있는 기구로 사용할 수 있어 휴대에 간편하게 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은 직사각형 형태로 되어 있고 상단 좌측에는 제1걸이조이조정구가, 상단 우측에는 제2걸이조정구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1걸이조정구 근처에는 제3걸이조정구가 부착되어 있으며 하단에는 제4걸이조정구가 부착되어 있는 등판과; 역사다리꼴 형태로 되어있고, 한쪽 빗변으로 부터 반대편 빗변으로 뚫린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제5걸이조정구와 고정구가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앞판(2)과; 한쪽 끝이 상기 등판의 제2걸이조정구 근처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앞판(2)의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제3걸이조정구에 끼워지는 가슴걸이밴드와, 한쪽 끝이 상기 등판의 제4걸이조정구에 끼워지고, 상기 제4걸이조정구로 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앞판(2)의 고정구에 끼워지고, 상기 앞판(2)근처에는 밴드삽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등판근처에는 안전밸트삽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연결밴드와; 상기 앞판(2)의 제5걸리조정구 근처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연결밴드의 밴드삽입구를 통과하여 제5걸이조정구에 끼워지는 허리걸이밴드와; 역사다리꼴 형태로 된 상기 앞판(2)의 윗변의 좌측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등판의 제1어깨걸이조정구에 끼워지는 제1걸이밴드와, 역사다리꼴 형태로 된 상기 앞판(2)의 앞판(2)의 윗변의 우측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등판의 제2걸이조정구에 끼워지는 제2어깨걸이밴드로 된 구성에 의해서 달성된다.
다음에는 이러한 본 고안에 대한 구조를 도면을 참조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등판(1)은 직사각형 형태로 되어 있고 상단 좌측에는 제1걸이조정구가, 상단 우측에는 제2걸이조정구가 부착되어 있고, 이 제1걸이조정구 근처에는 제3걸이조정구가 부착되어 있고 하단에는 제4걸이조정구가 부착되어있는데 충격을 완하하기 위해서 이 등판(1)의 외부를 직물지로 씌우고, 이 직물지와 등판(1) 사이를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스펀지 또는 솜과 같은 것으로 채울 수도 있다.
앞판(2)는 역사다리꼴 형태로 되어있고, 한쪽 빗변으로 부터 반대편 빗변으로 뚤린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어, 다음에 설명되는 가슴걸이밴드(5)가 끼워지게 되고, 제5걸이조정구가 하단에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 앞판(2) 역시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서 앞판(2)의 외부를 직물지로 씌우고 이 직물지와 앞판(2) 사이를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스펀지 또는 솜과 같은 것으로 채울 수도 있다.
가슴걸이밴드(5)는 한쪽 끝이 상기 등판(1)의 제2걸이조정구 근처에 고정되어있고, 상기 앞판(2)의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제3고정구(6)끼워져 고정된다.
연결밴드(8)는 한쪽 끝이 상기 앞판(2)의 제4걸이조정구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등판(1)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앞판(2)의 제5걸이조정구에 결합되고, 상기 제4걸이조정구 근처에는 밴드삽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등판(1)근처에는 상기 등판(1)근처에는 안전밸트 삽입구(11)가 형성되어 있다.
허리걸이밴드(15)는 상기 앞판(2)의 제5걸이 조정구 근처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연결밴드(5)의 밴드삽입구를 통과하여 제5걸이조정구에 고정된다.
제1어깨걸이밴드는 역사다리꼴 형태로 된 상기 앞판(2)의 윗변의 좌측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등판(1)의 제1걸이조정구와 결합된다.
제2어깨걸이밴드(3')는 역사다리꼴 형태로 된 상기 앞판(2)의 윗변의 우측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등판(1)의 제2걸이조정구(4')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차량에는 이미 안전밸브(17)가 부착 설치되어 있는데, 이 안전벨트(17)는 연결밴드(8)에 형성되어 있는 안전벨트삽입구(11)에 삽입되어 유아용 좌석안전벨트와 결합되게 된다.
다음에는 이러한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을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제2도에서와 같이 앞판(2)을 아기의 가슴에 닿게 하고, 등판(1)은 아기의 등에 닿게 한 다음, 각각의 어께밴드(3, 3')는 제1, 2걸이조정구(4, 4')에 끼워넣는다. 그리고 가슴걸이밴드(5)는 등판(1)에 가슴걸이밴드(5)가 고정된 곳으로 부터 시작하여 아기의 겨드랑이 사이에 통과하고 앞판(2)에 형성된 관통공에 끼워져 아기의 다른쪽 겨드랑이 사이를 지나 등판(1)에 부착되어 있는 제3걸이조정구(6)에 끼워지게 되어, 전체적으로 아기의 가슴을 감싸는 형태로 된다.
연결밴드(8)는 등판(1)의 제4걸이조정구(7)로 부터 아래쪽으로 출발하여 아기의 어덩이 부분을 지나 위쪽으로 올라와 앞판(2)의 고정구(14)에 고정된다.
허리걸이밴드(15)를 앞판(2)에 고정된 곳으로 부터 출발하여 아기의 허리를 감싸도록 한쪽 옆구리를 지나 연결밴드(8)의 밴드삽입구에 끼워진 다음 다른 쪽의 옆구리를 지나 앞판(2)의 제5걸이조정구(16)에 끼워져 고정된다. 이렇게 하면 유아용 안전벨트의 착용은 완료된다.
한편 안전밸트의 착용이 끝난 상태에서 아기를 차량의 좌석에 안쳐놓고 좌석에 설치된 기존의 안전벨트(17)를 연결밴드(8)에 형성되어 있는 안전밸트삽입구(11)에 끼워 넣으면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기존의 안전벨트와 유아용 안전벨트가 연결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차량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안전밸트(17)는 밸트삽입공(11)을 통하여 유아용 안전장치의 연결밴드(8)를 끌어당기는 상태가 되고, 그 힘은 연결밴드(8)에 의해 등판(1)과 앞판(2)에 전달되어 분산되며, 반대로 차량의 제동시에는 앞판(2)에 전달되는 힘이 각 걸이밴드를 통해 전달되며 최종적으로 기존의 안전벨트(17)에 전달되면 안전벨트(17)의 클램프장치의 제동동작에 안전벨트(17)의 풀림을 방지하게 되므로 아기의 몸의 이동을 정지시켜 사고를 방지하게 되고 기존 안전벨트(17)가 끼워진 벨트삽입공(12)를 중심으로 아기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고 옆으로 누워서 수면을 취할 수 있으므로 장기간의 차량운행에도 불편을 느끼지 못하여 항상 상쾌하고 안락함을 느끼게 된다.
이때, 허리걸이밴드(15)를 포함한 여러 밴드의 위치가 아기의 몸에 맞지 않을 경우에는 거리조절밴드(9)에서 각각의 벨트길이를 조절길이를 변화시켜서 조정하면 어느 경우에나 맞게 되는 것이다.
또한 아기를 업을 때에는 제3도에서와 같이 아기의 어께걸이밴드(3)를 길이조정구(4)로 부터 분리시킨 다음, 통상의 연결구(18)로서 길이를 연장하고, 연장된 어께걸이밴드(3)가 허리걸이밴드(15)의 하측으로 통과 하여 등판(2)의 길이조정구(4)에 결속되게한 상태에서 간편히 등에 업을 수 있다. 또, 연결구(18)를 사용하여 길이를 연장시키는 작업을 줄이기 위해서는 최초 안전벨트 제작시 어께걸이밴드(3)의 길이를 업을 때 필요한 길이만큼 길게 제작하여 사용하여도 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안전벨트를 제작할 때에는 세계각국의 안전관리법 규정에 의한 장력의 기준치에 따라 제작되고 착용된 안전벨트의 벨트결합공을 중심으로 아기가 항상 자유롭게 활동할수 있어서 아기에게 항상 안락한감을 얻게하여 안전벨트를 착용함으로 안전성을 높이고 필요에 따라 등에 없을 수 있는 두가지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경제적이며 사용이 매우 편리한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직사각형 형태로 되어 있고 상단 좌측에는 제1걸이조정구가, 상단 우측에는 제2걸이조정구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1걸이조정구 근처에 제3걸이조정구가 부착되어 있으며 하단에는 제4걸이조정구가 부착되어 있는 등판(1)과; 역사다리꼴 형태로 되어있고, 한쪽 빗변으로 부터 반대편 빗변으로 뚤린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제5걸이조정구가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앞판(2)과; 한쪽 끝이 상기 등판(1)의 제2걸이조정구 근처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앞판(2)의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제1고정구에 연결되어 있는 가슴걸이 밴드(5)와; 한쪽 끝이 상기 앞판(2)의 제4걸이조정구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등판(1)으로 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앞판(2)의 제5걸이조정구에 결합되고 상기 제4걸이조정구 근처에 밴드삽입구가 형성되어있고 상기 등판 근처에는 안전밸트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연결밴드(8)와; 상기 앞판(2)의 제5걸이 조정구 근처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연결밴드(8)의 밴드삽입구를 통과하여 제5걸이조정구에 고정되는 허리걸이밴드(15)와; 역사다리꼴 형태로 된 상기 앞판(2)의 윗변의 좌측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등판(1)의 제1걸이조정구와 결합되는 제1어께걸이밴드와; 역사다리꼴 형태로 된 상기 앞판(2)의 윗변의 우측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등판(1)의 제2걸이조정구와 결합되는 제2어께걸이밴드로 구성된 유아용 좌석 안전벨트.
KR2019890000592U 1989-01-21 1989-01-21 유아용 좌석 안전벨트 Expired KR9100077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0592U KR910007761Y1 (ko) 1989-01-21 1989-01-21 유아용 좌석 안전벨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0592U KR910007761Y1 (ko) 1989-01-21 1989-01-21 유아용 좌석 안전벨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4477U KR900014477U (ko) 1990-08-01
KR910007761Y1 true KR910007761Y1 (ko) 1991-10-05

Family

ID=19283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0592U Expired KR910007761Y1 (ko) 1989-01-21 1989-01-21 유아용 좌석 안전벨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776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4477U (ko) 1990-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46152A (en) Baby carrier with head support
US6098856A (en) Shoulder baby carrier
US4946198A (en) Child safety strap
US7494031B2 (en) Nursery band
US4911105A (en) Harness for restraining a child in bed
KR200447518Y1 (ko) 유아용 아기띠
US5820084A (en) Baby bottle supporting bib
KR200315820Y1 (ko) 베이비 캐리어
US2342069A (en) Safety device for infants
WO1998026695A1 (en) Baby sleeping position restraint
US4795176A (en) Modesty restraint for toilet chairs
KR910007761Y1 (ko) 유아용 좌석 안전벨트
CN209899965U (zh) 牙科儿童固定牙椅
KR900003424Y1 (ko) 아기띠
WO1991012978A1 (en) Seat belt cushioning device
CN217969460U (zh) 可调式车载儿童安全带
KR900011032Y1 (ko) 주머니가 달린 아기 띠
JPS602848Y2 (ja) 子守帯
CN210540259U (zh) 一种便于单人使用的婴儿背带
KR200281114Y1 (ko) 유아업는기구
CN211131616U (zh) 一种精神科用医疗约束带
KR200195725Y1 (ko) 안전피복
JPH0745210Y2 (ja) 被介護人用おしめ
KR20160046224A (ko) 유아용 캐리어
KR102421814B1 (ko) 밀착형 아기 침받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890121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890121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10430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10906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UO0301 Opposi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Opposition

Patent event code: UO03011R01D

Patent event date: 19911203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2031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203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1995112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