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10007585Y1 - 가스온수보일러 - Google Patents

가스온수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7585Y1
KR910007585Y1 KR2019890002645U KR890002645U KR910007585Y1 KR 910007585 Y1 KR910007585 Y1 KR 910007585Y1 KR 2019890002645 U KR2019890002645 U KR 2019890002645U KR 890002645 U KR890002645 U KR 890002645U KR 910007585 Y1 KR910007585 Y1 KR 9100075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gas
unit
pipes
hea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026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7429U (ko
Inventor
최삼수
Original Assignee
최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삼수 filed Critical 최삼수
Priority to KR20198900026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7585Y1/ko
Publication of KR9000174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742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75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7585Y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22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 F24H1/44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combinations of two or more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s F24H1/24 - F24H1/40 , e.g. boilers having a combination of features covered by F24H1/24 - F24H1/4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3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 F24H9/183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using fluid fu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가스온수보일러
제1도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요부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도.
제5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요부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연소실 2, 2a, 3, 3a : 4각단위휜관
4, 7, 27, 27a : 상부모음관 5, 8, 28, 28a : 하부모음관
11 : 버어너 26 : 원형단위휜관
본 고안은 가스온수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가열실내에 수개의 단위휜관(單位 fin tube)을 수직형으로 입설하되 단위휜관을 상부모임관과 하부모임관으로 연결하여 2개의 군휜관(郡 fin tube)을 형성하고 이 군휜관의 상부모임관 사이에 가열관을 연설하여 가열관이 각 단위휜관상부에 위치하면서 2개의 군휜관 사이에 약간 넓은 간격이 생기게 하고 이 간격중앙부에 가스분화구가 양면전체에 뚫린 가스버어너를 수직으로 입설하므로서 양쪽 휜관으로 분출되는 화염이 1차수평으로 확산후 수직으로 빠져나가면서 각 단위휜관과 가열관에 보다 많은 열을 가하여 한정된 소형의 연소실내에서 최대의 가열효율을 얻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가스온수보일러는 가열실내에 분사구가 상향으로 형성된 버어너 상부에 휜관이 횡설되어 있으므로 버어너에서 상향으로 분출되는 화염을 휜관을 하부에서 상향으로 가열하면서 상부 배기관으로 배출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한정된 가열실내에 설치된 휜관을 가열하는 열효율은 그다지 크지 못하였다.
본 고안은 이러한 결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가열실내에 상부에는 가열관이 있고 수직으로 입설된 2개의 군휜관사이에 가스와 공기의 강제혼합가스에 의하여 화염이 양쪽으로 분출되는 버어너를 수직으로 입설형성하여 수평으로 확산되는 연소열로서 각 단위휜관을 1차로 가열하고 수직으로 빠져나가는 연소열로서 각 단위휜관과 상부가열관을 재차 가열하여 가열효율을 극대화시키므로서 보일러의 크기도 소형, 경량화되도록 안출한 것인바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를 나타내는데 연소실(1)내에 4개의 4각단위휜관(2)(2a) 및 (3)(3a)을 수직으로 입설하되 단위휜관(2)(2a)의 상부와 하부를 상부모음관(4)과 하부모음관(5)으로 연결하여 그 사이에 약간좁은 간격(a)이 생기는 군휜관(6)를 형성하며, 단위휜관(3)(3a)의 상부와 하부를 상부모음관(7)과 하부모음관(8)으로 연결하여 그 사이에 약간 좁은 간격(b)이 생기는 군휜관(9)을 형성하고 이 군휜관(6)과 (9)의 상부모음관(4)와 (7) 사이에 판상으로 권설된 가열관(10)을 연결하여 가열관(10)이 각단위휜관(2)(2a) 및 (3)(3a)상부에 위치하면서 2개의 군휜관(6) 및 (9)사이에 약간 넓은 간격(c)이 생기게 형성하여 거기에 양측면 전체에 가스분화구(11a)가 좁은 간격으로 무수히 뚫린 버어너(11)를 수직으로 입설형성하였다.
그리고 단위휜관(2)(2a)의 하부모음관 연결관(5a)은 순환펌프(12)의 유출구측(12a)에 연관하며 단위휜관(3)(3a)의 하부모음관 연결관(8a)은 연소실(1) 외측에 형성된 열탕탱크(13)에 연관하여 열탕탱크(13)에서 3방밸브(14)를 통하여 방열배관(15)이나 순환펌프(12)의 유입구측(12b)을 통하여 열량이 순환되게 배관되었으며 한편 열량탱크(13)내에 권설된 직수가열휜관(16)에는 유수감지기(17)를 설치하여 직수공급시 전자식인 3방밸브(14)를 작동시켜 열량탱크(13)내의 열량을 순환펌프(12)의 유입구측(12b)으로 바로 순환되게 하였고 도면중 미설명부호 1a는 각단위휜관과 버어너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대이며, 18은 보충수공급관이고, 19는 팽창탱크, 20은 배관연결구, 21은 파이롯트버너, 22는 점화플럭, 23은 파이롯트버어너에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열전대, 24는 송풍기, 24a는 송풍관, 25는 가스조절기, 25a는 가스공급관, 25b는 가스원관이다.
제4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데, 연소실(1)내에 여러개의 원형단위휜관(26)을 수직으로 입설하되 단위휜관(26) 7개를 엇갈리게 2줄로 배열하여 이들 상단과 하단에 상부모음관(27), (27a)과 하부모음관(28), (28a)을 연결하여 2개의 군휜관(29)(30)을 형성하여 상부모음관(27)과 (27a)사이에 원형단위휜관 4개를 횡으로 연결하여 가열관(32)을 형성하며 2개의 군휜관(29)(30) 사이에 양측면 전체에 가스분화구(11a)가 좁은 간격으로 무수히 뚫린 버어너(11)를 수직으로 입설형성하고 하부모음관(28)과 (28a)하단에 연설된 연결관(31)은 순환펌프(12)의 유출구측(12)에 연관하며 하부모음관(28a) 하단에 연설된 연결관(31a)은 연소실 외측에 형성된 열탕탱크(13)에 연관하여 열탕탱크(13)에서 3방햐밸브(14)를 통하여 방열배관(15)이나 순환펌프(12)의 유입구측(12b)을 통하여 열량이 순환되게 배관하였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버어너(11)에 점화를 시키면 버어너(11)의 양측면 분화구(11a)에서는 가스공급관 25a과 송풍관 24a에서 강제혼합될 가스분출의 화염이 양측군휜관(6), (9), (29), (30)을 이루는 각단위 휜관(2), (2a), (3), (3a) 및 (26)쪽으로 수평으로 확산가열하고 각단위휜관과 가열실(1) 사이의 통로를 통하여 수직으로 빠져나가면서 다시 각단위휜관(2), (2a), (3), (3a) 및 (26)과 가열관(10) 및 (32)을 가열하므로 가열효과를 극대화시키는데 수평으로 확산되는 화염은 각단위휜관의 각 휜관간격사이를 통과하면서 각 단위휜관(2), (2a), (3), (3a)사이의 좁은 간격(a), (b)와 연소실(1)내의 통로를 통하여 수직으로 빠져나가면서 다시 집중가열하므로 더욱 가열효과를 높이는 것이다.
그리고 각 군휜관(6), (9) 및 (29), (30)과 가열관(10) 및 (32)은 배관연결구 20로서 분해, 조립이 용이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므로 사용중 노후된 각 휜관이나 가열관을 쉽게 교환하여 보수 및 수리가 가능하고, 버어너(11)에 공급되는 가스는 송풍기 24의 송풍력에 의한 혼합가스의 강제송풍식이므로 가스분출력이 강하여 역풍방지장치가 없어도 되고 직수가열휜과(16)에 직수가 공급될때에는 유수감지기(17)에서 3방향밸브(14)작동을 릴레이에 전원을 공급하여 3방향밸브를 순환펌프(12)의 유입구측(12b)으로 직접 탕수가 순환케하며 평상시에는 3방향밸브(14)가 방열배관(15)으로 연통도므로 용도에 적합한 열량을 보다 효과적으로 가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한정된 크기의 연소실(1)내에 여러개의 휜관을 수직으로 입설형성하고 양군휜관 사이에서 양측으로 화염을 수평분사하여 수평과 수직으로 집중가열할 수 으므로 가스보일러의 크기를 소행, 경량화 할수 있고, 강제송풍에 의한 가스혼합식이어서 강한 열량으로 가열할수 있으며, 각 군휜관(6), (9) 및 (29), (30)과 가열관(10) 및 (32)을 간단히 분해하고 조립할수 있으므로 수리가 용이하는등 여러가지 장점이 있는 배관연결구 20로서 분해, 조립이 용이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므로 사용중 노후된 각 휜관이나 가열관을 쉽게 교환하여 보수 및 수리가 가능하고, 버어너(11)에 공급되는 가스는 송풍기 24의 송풍력에 의한 혼합가스의 강제송풍식이므로 가스분출력이 강하여 역풍방지장치가 없어도 되고 직수 가열휜관(16)에 직수사 공급될 때에는 유수감지기(17)에서 3방향밸브(14)작동용 릴레이에 전원을 공급하여 3방향밸브를 순환펌프(12)의 유입구측(12b)으로 직접탕수가 순환케하며 평상시에는 3방향밸브(14)가 방열배관(15)으로 연통되므로 용도에 적합한 열량을 보다 효과적으로 가열할수 있다.
그리고 휜관은 관체주면 전체에 4각이나 원형의 얇은 휜편이 촘촘히 배열되어 관체에 가열되는 열전도율을 최대한 높이도록 하였으며, 단위휜관(2), (2a), (26)의 상부와 하부가 상부모음관(4), (27)과 하부모음관(5), (28)에 연결되어 형성된 군휜관(6), (29)은 각 단위휜관(2), (2a), (26)사이의 좁은 간격을 유지시킴과 동시 순환펌프(12)의 유출구측(12에)과 가열판(10)에 연결되어 일측가스분화구(11a)에 대향설치된 상태에서 각 단위휜관(2), (2a), (26)을 통화하면서 가열된 유수를 가열관(10)에 집중 공급하는 것이며 단위휜관(3), (3a), (26)의 상부와 하부가 상부모음관(7), (27a)과 하부모음관(8), (28a)에 연결되어 형성된 군휜관(6), (9), (29), (30)은 각 단위휜관(3), (3a), (26)사이에 좁은 간격을 유지시킴과 동시에 가열판(10)과 열탕탱크(13)의 열탕유입구에 연결되어 타측 가스분화구(11a)에 대향설치된 상태에서 각 단위휜관(2), (2a), (26)을 통과하면서 가열된 가열수를 각 단위휜관(3), (3a), (26)에서 재차 가열하여 열탕탱크(13)로 집중공급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한정된 크기의 연소실(1)내에 여러개의 휜관을 수직으로 입설형성하고 양군휜관 사이에서 양측으로 화염을 수평분사하여 수평과 수직으로 집중가열할 수 있으므로 가스보일러의 크기를 소형, 경량화할수 있고, 강제송풍에 의한 가스혼합식이여서 강한 열량으로 가열할 수 있으며, 각 군휜관(6), (9) 및 (29), (30)과 가열관(10) 및 (32)를 간단히 분해하고 조립할 수 있으므로 수리가 용이하는 등 여러가지 장점이 있는 유용한 고안이 것이다.

Claims (1)

  1. 연소실(1)내에 여러개의 단위휜관(2), (2a), (3), (3a) 및 (26)을 수직으로 입설하되 각 단위휜관의 상단에는 상부모음관(4), (7)및 (27), (27a)을 연결하며 하단에는 하부모음관(5), (8) 및 (28), (28a)을 연결하고 상부모음부 사이에는 가열관(10) 및 (32)을 연결하여 2개의 군휜관(6), )9) 및 (29), (30)을 형성하고 이 군휜관사이의 간격 중앙부에 강제혼합가스에 의하여 양면으로 화염이 분출되는 버어너(11)를 수직으로 입설하여서된 가스온수보일러.
KR2019890002645U 1989-03-08 1989-03-08 가스온수보일러 Expired KR9100075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2645U KR910007585Y1 (ko) 1989-03-08 1989-03-08 가스온수보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2645U KR910007585Y1 (ko) 1989-03-08 1989-03-08 가스온수보일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7429U KR900017429U (ko) 1990-10-05
KR910007585Y1 true KR910007585Y1 (ko) 1991-09-30

Family

ID=19284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2645U Expired KR910007585Y1 (ko) 1989-03-08 1989-03-08 가스온수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758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7429U (ko) 1990-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46159A (en) Combustion device in tube nested boiler and its method of combustion
FR2740202B1 (fr) Perfectionnements apportes a un bruleur de chauffe-eau, chauffe-bain, chaudiere a gaz
US5799621A (en) Boiler assembly
US5472141A (en) High efficiency gas furnace
US5724887A (en) Frying device
KR910007585Y1 (ko) 가스온수보일러
US4169430A (en) Modular heat exchangers with a common flue
US3734065A (en) Fluid heater
RU2000115574A (ru) Керамическая газовая горелка и регенератор тепла, снабженный этой горелкой
US3827861A (en) Device for thermal afterburning of exhaust air
US5636786A (en) High efficiency gas furnace
US4097224A (en) Steam generating apparatus and gas burner
US5282457A (en) High efficiency gas furnace
RU97112464A (ru) Газовая горелка для нагревательных приборов, в частности, водоподогревателей
GB2114275A (en) Boiler
US5961321A (en) Distributive integral gas burner
US4691666A (en) Liquid heater with closed loop heat transfer system
RU2078983C1 (ru) Воздушный подогреватель
CN222459503U (zh) 火排、燃烧器及燃气热水器
KR880002020Y1 (ko) 온수 보일러
CN208536382U (zh) 具有改进点火位置的燃气热水设备
KR100398050B1 (ko) 가스보일러
RU1768862C (ru) Котельна установка
KR790001938Y1 (ko) 구멍탄 연소기를 이용한 난방장치
NL8300327A (nl) Boi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890308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890308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10411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10902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1123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2011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201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1995112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