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10007233B1 - 제 2 본체에 대하여 본체를 3개의 직교방향으로 방향 조정하기 위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제 2 본체에 대하여 본체를 3개의 직교방향으로 방향 조정하기 위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7233B1
KR910007233B1 KR1019860004980A KR860004980A KR910007233B1 KR 910007233 B1 KR910007233 B1 KR 910007233B1 KR 1019860004980 A KR1019860004980 A KR 1019860004980A KR 860004980 A KR860004980 A KR 860004980A KR 910007233 B1 KR910007233 B1 KR 9100072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reference plane
positioning
main body
substr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4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2755A (ko
Inventor
원피일드 챔버스 로버트
Original Assignee
알 씨 에이 코오포레이숀
글랜 에이치. 브루스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 씨 에이 코오포레이숀, 글랜 에이치. 브루스틀 filed Critical 알 씨 에이 코오포레이숀
Publication of KR870002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27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7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7233B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8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positioning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25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 B23Q1/44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using particular mechanisms
    • B23Q1/50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using particular mechanisms with rotating pairs only, the rotating pairs being the first two elements of the mechanism
    • B23Q1/54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using particular mechanisms with rotating pairs only, the rotating pairs being the first two elements of the mechanism two rotating pairs only
    • B23Q1/545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using particular mechanisms with rotating pairs only, the rotating pairs being the first two elements of the mechanism two rotating pairs only comprising spherical surfaces
    • B23Q1/5462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using particular mechanisms with rotating pairs only, the rotating pairs being the first two elements of the mechanism two rotating pairs only comprising spherical surfaces with one supplementary sliding p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25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 B23Q1/44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using particular mechanisms
    • B23Q1/48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using particular mechanisms with sliding pairs and rotating pairs
    • B23Q1/4852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using particular mechanisms with sliding pairs and rotating pairs a single sliding pair followed perpendicularly by a single rotating pair
    • B23Q1/4871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using particular mechanisms with sliding pairs and rotating pairs a single sliding pair followed perpendicularly by a single rotating pair followed parallelly by a single sliding p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2본체에 대하여 본체를 3개의 직교방향으로 방향 조정하기 위한 시스템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향 조정시스템의 분해도.
제2도는 팰리트 조립체의 평면도.
제3도는 팰리트 조립체에 고정된 텔레비젼 수상기를 나타내는 제1도의 시스템의 측면도.
제4도는 제3도의 시스템의 정면도.
제5도는 제1도의 실시예의 하나의 위치결정조립체의 평면도.
제6도는 선 6-6을 따라 취한 제5도의 측면도.
제7도는 선 7-7을 따라 취한 제5도의 단면도.
제8도는 제7도와 유사한 제2의 위치결정조립체의 단면도.
제9도는 제3도의 수상기 케이스의 기판이 구멍과 결합된 하나의 위치결정조립체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10도는 선 10-10을 따라 취한 제9도의 평면도.
제11도는 제3도의 실시예의 수상기 케이스의 기판의 제2의 구멍과 결합된 제2위치결정조립체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12도는 선 12-12를 따라 취한 제11도의 평면도.
제13도는 제14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텔레비젼 수상기 12 : 펠리트 조립체
14 : 지지판 16 : 케이스
18 : 케이스 기판 24' : 수직방향
20, 21, 22, 23, 28, 30, : 돌출부
24 : 수평기준면 60 : 축
42 : 2면 공간 44 : 수직면 공간
46 : 4면 공간 52 : 축
52" : 기준점 68 : 회간격
72, 74 : 위치결정조립체 81 : 지지체
91 : 팰리트 판 100 : 구
120 : 원통
본 발명은 3개의 직교방향으로 가공물 또는 다른 본체를 방향 조정하고 지지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부품들과 조립체의 제조시에는 통상 가공물이 로봇시스템의 각각의 가공위치에서 소정의 방향으로 배치되어야 한다. 이런 가공물이 간단한 기하학적 형상과 명확한 기준면을 가질때는 비교적 간단한 장치로서 가공위치에서 각각의 이런 가공물을 방향 조정할 수 있다. 프린트 회로 기판은 간단한 가공물의 일례인데, 이는 프린트 회로 기판이 평면상의 재료로 만들어졌고, 프린트 회로 기판에 놓이는 요소들에 대하여 정확히 위치하기 쉽도록 명확한 구멍과 표면을 가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가공물이 가공물마다 바람직하지 못한 범위의 위치결정 치수를 갖는 재료로 만들어졌을 때 문제가 생긴다. 성형된 열가소성 수지가 이런 재료의 일례이다. 성형된 열가소성 수지는 수축과 다른 요인에 의하여 가공물마다 상당히 큰 치수변화를 갖는다.
성형된 열가소성 수지로 만들어진 텔레비젼 수상기의 케이스의 부품들을 조립하는 로봇시스템에서 이런 치수변화의 문제가 생긴다. 이런 시스템에서, 가공위치에서 원하는 허용오차 범위내에 케이스를 배열하는 것은 많은 부품들을 위치결정하여 조정할 필요가 있고, 각각의 케이스내에 부품들이 여러방향을 갖고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미합중국 특허 제4,390,172호는 신속한 투하 위치결정기구를 제시하고 있다. 이 기구는 원하는 위치에 배치된 반구에 맞물리는 2면 구멍과 3면 구멍을 이용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텔레비젼 수상기 조립체같은 커다란 성형된 열가소성 수지의 가공물을 위치결정하는데 있어서의 결점을 알아냈다. 상기 특허에서 설명하고 있는 성형된 열가소성 수지 재료로 만들어진 2면 구멍과 3면 구멍은 열가소성 수지의 성형공정에서 수축등의 요인에 의하여 비교적 큰 치수허용 오차 범위를 갖는다. 이런 허용오차 범위에서는 2면 구멍의 측벽들의 횡간격과 3면 구멍의 측벽들의 횡간격의 변화가 생긴다. 이런 횡간격의 변화로 인하여 성형된 구멍속으로 반구가 들어갈 때 지지체로부터 뻗은 돌출부에 일체로 형성된 반구는 가공물마다 경사진 구멍측벽 사이의 횡간격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구멍속으로 들어가는 깊이가 절대치로는 작지만 비교적 큰 변화가 생기며, 반구와 돌출부에 일체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가공물의 구멍 측벽의 횡간격에 따라 가공물의 수직방향으로의 위치와 방향이 달라지고 3개의 직교방향에서의 방향도 달라지므로 가공위치에서 가공물을 3개 직교방향으로 정확히 방향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없애기 위하여 가공물을 가공위치에서 3개의 직교방향으로 간단하고 정학하게 방향조정하고 위치결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텔레비젼 수상기의 열가소성 수지 재료로 성형된 케이스같은 본체에서 실시된다. 이런 본체는 로봇시스템내의 하나의 위치로부터 다른 위치로 케이스를 받아들이고 이동시키기 위한 지지제(pallet) 같은 위치결정시스템에 대하여 배치된다. 이런 본체는 상술한 위치결정시스템의 지지체로부터 소정의 방향으로 뻗는 돌출부와 결합하는 케이스와 일체로된 기판같은 부재를 갖는다. 제1 및 제2의 지지체 돌출부는 소정의 방향과 평형한 제1의 시스템 평면을 결정한다.
본 발명에 따라 케이스와 일체로된 기판 부재는 제1 및 제2의 장치를 가지며, 기판부재로부터 돌출하거나 기판부재속에 형성된 구멍으로 된 상기 장치는 제1의 케이스 본체 기준면을 결정하는 각각의 제1구멍과 제2구멍의 형상을 이루는 벽들을 가지며, 상기 장치의 벽들은 제1 및 제2의 위치결정시스템의 돌출부와 결합하며, 이들 돌출부는 각각의 장치의 벽들과 결합할 때 지지체에 대하여 소정의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변위될 수 있으며, 케이스의 기판부재는 또한 제1의 본체 기준면과 수직한 제2의 본체 기준면을 결정하는 적어도 3개의 서로 이격되어 고정된 제2의 기준면을 가지며, 제2의 본체 기준면은 제1의 본체 기준면에 수직하며, 케이스의 기판부재의 기준면은 지지체로부터 뻗는 각각의 돌출부의 표면과 결합한다.
본 발명에 따라 만들어진 케이스 본체는 위치결정시스템에 대하여 배치될 수 있으므로 장치들의 벽들 사이의 치수변화로 인하여 지지체 돌출부들이 탄력적으로 변위되어 케이스 본체마다 서로 다른 거리만큼 각각의 장치속으로 침입된다하더라도 케이스 본체의 면은 각각의 시스템면과 일직선상으로 배열된다.
도면은 텔레비젼 수상기 케이스에 대한 실시예로서 나타낸 것이다.
제1도는 이해하기 쉽도록 정상적인 수평방향으로부터 기울어진 텔레비젼 수상기(10)을 나타낸다. 수상기(10)은 로봇 또는 다른 제조 조립체 이송시스템(14')에 고정되는 팰리트 조립체(12)에 해체될 수 있도록 고정된다. 수상기는 자체 중량에 의하여 팰리트 조립체(12)위에 정렬되어 고정된다. 제1도의 시스템에서 이송시스템(14')는 소정의 기준위치에 팰리트 조립체(12)를 정확히 위치시키며, 팰리트 조립체의 모든점은 소정의 제조 허용오차내의 3개 직교방향의 원하는 위치내에 있다. 팰리트 조립체(12)는 이송시스템(14')에 의하여 결정된 가공 기준위치에 수상기(10)을 받아들여 위치결정한다.
수상기(10)은 열가소성 수지로 성형된 케이스(16)의 내부에 고정된 내부 전자샤시(도시하지 않음)를 갖는다. 케이스(16)의 기판(18)은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일체로 형성된 단단한 위치결정돌출부(20), (21), (22), (23), (28) 및 (30)을 갖는다. 돌출부(20)-(23), (28) 및 (30)은 각각 기준단부면(20'),(21'),(22'), (28) 및 (30')을 가지며, 케이스(16)의 구조체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24')에서 일정한 기준위치를 갖는다. 이런 구조체는 제3도에서의 후면 커버조립체(17)과 영상관 및 샤시(도시하지 않음)와 자동 로봇시스템(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조작하거나 조립되는 여러가지 제어부 및 부속품을 갖는다. 이들 기준단부면(20'), (21')등은 방향(24')에서의 기준위치에서 케이스를 위치결정하기 위하여 케이스(16)에 대하여 수평기준면(24)의 방향과 위치를 한정하거나 결정한다. 실제로 단부면들은 서로 다른면에 있지만 비교적 단단하기 때문에 수직방향(24')에서 케이스(16)과 내부 부품들의 방향을 고정시킨다. 설명을 쉽게 이해하도록 각각의 돌출부(28)과 (30)의 단부면(28')과 (30')은 기준면(24)의 위치에 정해진다. 후술하는 것처럼, 단부면(28')과 (38')에 의하여 정해진 축(60)의 둘레의 기준면(24)의 방향은 단부면(28')-(23')에 의하여 서로 다른 면들과 축들의 수평 및 수직방향은 케이스(16)이 팰리트 조립체(12)에 기준면(24)를 가지고 수평하게 고정될때의 방향에 따른다.
제9도와 제10도에서, 돌출부(28)은 기판(18)로부터 뻗는 2개의 직립 다리(34)와 (36)과 기판벽(32)를 갖는 U형 요소로 구성된다. 다리(34)는 보강리브(34')와 보강리브(34')에 고정된 벽(38)을 갖는다. 다리(36)은 벽(40)에 고정하는 리브(36')으로 구성된다. 벽(38)은 벽(40)의 위치결정 측면(40')에 대향하는 위치결정 측면(38')을 갖는다. 측면(38')과 (40')은 기판(18)로부터 뻗으면서 분기하여 절두형의 2면 공간(42)을 형성한다. 측면(38')과 (40')은 수평기준면(34)에 수직하게 공간(42)를 이등분하는 수직면(44)를 형성한다. 상술한 축(60)은 수평기준면(24)와 수직면(44)의 교차선이다.
제11도와 제12도에서, 돌출부(30)은 제9도와 제10도의 돌출부(28)과 비슷한 2개의 U형 구조물로 구성되며, 그 2면 공간은 서로에 대하여 직각으로 배치되므로 절두형의 4면 공간(46)을 형성한다. 벽(48)과 (49)는 제1의 2면 공간을 형성하고, 2면 공간의 이등분선은 제12도의 수직면(44)에 위치하며, 벽(50)과 (51)은 제2의 2면 공간을 형성한다. 각각의 대향하는 벽면(48'), (49'), (50') 및 (51')는 기판(18)로부터 뻗고 축(52)에 대하여 분기하므로 4면 공간(46)을 형성한다. 4면 공간(46)의 세로축(52)는 (52")에서 교차하고 수평기준면(24)에 수직하며, 수직면(44)내에 있다. 제1도에서의 돌출부(20), (21)(22) 및 (23)의 축들은 수직면(44)와 축(52)에 평행하다. 수형 기준면(24)와 수직면(44)와 축(52) 사이의 관계가 제14도에 도시되어 있다. 수평기준면(24)와 수직면(44)와 축(52)는 각각 3개의 직교방향(24'), (44') 및 (52')으로 케이스(16)을 위치결정시킨다. 이렇게 하여 위치결정하는 케이스의 기준점(52")에 대하여 케이스 전체가 방향 조정된다. 수직면(44)는 축(52)에 대하여 케이스의 각도위치를 결정하고 수평기준면(24)는 축(60)에 대하여 케이스의 각도위치를 결정한다.
제9도와 제11도에서의 2면 공간(42)와 4면 공간(46)은 각각 제14도의 2개의 수평 직교방향(44')와 (52')에서 수직면(44)와 축(52)의 위치를 정하지만 수직방향(24')에서는 기준위치를 정확히 제공하지 않는다. 이에 대해 이유가 제13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13도에서 선(64)와 (66)은 제9도의 돌출부(28)의 2면 공간(42)의 내측면(38')와 (40')을 나타낸다. 돌출부(28) 같은 돌출부가 열가소성 수지 재료로 성형될 때 성형공정에서 수축과 다른 요인 때문에 2면 중심축(70)(제14도의 축(52)에 해당함)에 수직한 횡치수(68)이 여러가지 서로 다른 케이스마다 차이가 날 수 있다. 선(64')와 (66)로 나타낸 벽의 횡간격이 약간 변화하면 제13도의 횡치수(68)을 축방향으로 수직거리(y)만큼 횡치수(68')의 위치까지 변위시킨다. 따라서, 2면, 1면 또는 다면 공간을 형성하는 벽(64)와 (66)사이의 횡치수가 약간만 변화하면 이들 벽으로 이루어진 소정의 횡치수의 축방향 위치에서 거리(y)가 상당히 커지게 된다. 예를들어 다면 공간에 배치되어 그 공간을 형성하는 표면에 접하는 소정의 횡치수(68)의 구형요소는 제13도의 축(70)에서 제14도의 2개의 직교 수평방향(44')와 (52')에서 구형요소의 중심을 정확히 위치결정할 것이다. 그러나, 축(70)을 따라 구형요소가 2면 또는 4면 공간속으로 침입하는 거리는 중간 오차거리(y) 때문에 정확하게 예견할 수 없을 것이다.
여기서 제시한 열가소성 수지로 성형된 케이스를 이용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제13도의 횡치수(68)에 해당하는 횡치수는 케이스마다 다를 수 있다. 이 때문에 제1도의 돌출부(28)과 (30)에는 수직방향(24')에서 수평기준면(24)의 위치를 정하기 위하여 방향(24')에서 고정된 단부면(28')와 (30')이 제공되어 형성된다. 제9도, 제10도, 제11도, 제12도에 도시한 돌출부 구조와는 다르게 2면 공간(42)와 4면 공간(46)은 기판(18)속으로 오목한 표면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1도에서 팰리트 조립체(12)는 팰리트판(91)을 갖는다. 팰리트판(91)에는 돌출부(30)과 결합하는 위치 결정조립체(72)와, 돌출부(28)과 결합하는 제 2 의 위치결정조립체(74)와, 4개의 단단한 지주(76),(78),(80) 및 (82)가 고정되어 있다.
제3도와 제4도에서 케이스 기판(18)의 돌출부(20)-(23)은 이와 결합하는 팰리트 지주(76), (78), (80) 및 (82)에 의하여 수직방향(24')으로 케이스를 위치결정한다. 지주(76), (78), (80) 및 (82)의 단부면은 서로 다른 면에 위치한다. 지주들의 단부면들은 이격되어 케이스 돌출부(21), (20), (23) 및 (22)의 각각의 단부면 (22'), (20'), (23') 및 (22) 방향에서의(24') 소정의 기준위치에서 위치결정하며, 팰리크판(91)에 대하여 수평기준면(24)의 위치를 정한다. 지주(76), (78), (80) 및 (82)는 비교적 유연한 케이스 구조물의 이격된 점을 위치결정하는데 이용된다. 케이스 조립체 중량 때문에 케이스의 서로 다른 돌출부들은 중량에 의하여 필요하다면 케이스를 휘게 하여 팰리트 조립체)(12)의 지주와 접촉하게 하여 케이스의 모든점들을 변형되지 않은 원하는 위치에 놓는다.
위치결정조립체(72)와 (74)는 수직방향(24')에서 고정 기준위치를 정하는 표면들을 갖는 고정된 요소를 가지므로 각각의 돌출부(30)과 (28)의 단부면(30')과 (28')을 위치결정한다. 따라서, 제1도의 지주(76), (78), (80), (82)와 위치결정조립체(72)와 (74)는 기준면의 위치를 정하므로 수직방향에서 수평기준면(24)를 위치결정한다. 위치결정조립체(72)와 (74)는 또한, 제1도의 수직면(44)에 해당하는 수직면과 점(52'')에 해당하는 기준점을 정하는 탄성요소를 가지므로 2개의 직경 수평방향(44')와 (52')에서 케이스(16)을 팰리트판(91)에 위치결정한다. 따라서, 케이스는 3개의 직교방향으로 위치결정된다. 이들 기능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명백해질 것이다.
제8도에서, 위치결정조립체(72)는 세로축(90)을 갖는 원통형 구멍(88)을 갖는 지지체(86)으로 구성된다. 지지체(86)은 플랜지(92)에 의하여 팰리트판(91)에 고정된다. 위치결정요소(94)는 지지체(86)에 고정되어 위치결정조립체(72)를 방향(24')으로 지지판(14)에 위치결정시킨다. 플런저(96)은 원통형구멍(88)에 밀접하게 조립되어 방향(24')으로는 이동할 수 있지만 횡방향으로는 거의 이동하지 않는다. 원통형구멍(88)속의 압축스프링(98)은 위치결정요소(94)에 접하여 플런저(96)을 팰리트판(91)로부터 방향(62')으로 탄성적으로 힘을 가한다. 플런저(96)의 연장된 단부에는 구(100)이 고정되며, 구의 무게 중심은 세로축(90)에 위치한다. 따라서, 구(100)은 지지체(86)에 대하여 방향(24')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제1도의 팰리트판(91)으로부터 수직하게 힘을 받는다. 지지체(86)은 그 상단부에서 기준면(104)에 위치하는 단부면(102)를 갖는 관으로 구성되어 케이스 돌출부의 기준단부면(30')이 기준면(104)에 위치하게 한다.
제11도에서 케이스 돌출부(30)이 구(100)과 접촉할 때, 구(100)은 제12도의 돌출부(30)의 4면 벽면(48')-(51')과 결합하여 구의 무게중심과 세로축(90)을 돌출부(30)의 축(52)에 정확시 위치하게 한다. 4면 벽은 직교방향으로 방향조정되고 제14도에서 방향(44')와 (52')으로 축(52)를 위치결정하는데 중요하기 때문에 4면 벽이 이용된다. 제11도에서 탄성플런저(96)위의 텔레비젼 수상기의 중량에 의하여 케이스가 하강하고 제8도에 세로축(90)위에 일직선상으로 정렬된 지지체(86)의 구멍(88)속으로 방향(62)으로 플런저를 내리 누른다. 제11도에서 수평기준면(24)위에 위치하는 돌출부의 단부면(30')이 기준면(104)에서 지지체(86)의 단부면(102)에 접할때까지 플런저는 계속 눌러진다. 이렇게 하여 단부면(102)에서 제8도의 기준면(104)와 축(90)의 교차점에서 제14도의 돌출부(30)의 기준점(52'')를 위치결정조립체(72)의 대응기준점(102')에 정확히 위치하게 한다.
제5도, 제6도 및 제7도에서 위치결정조립체(74)는 세로축(110)을 갖는 원통형구멍(108)을 갖는 지지체(106)으로 구성된다. 지지체(106)은 플랜지(112)에 의하여 팰리트판(91)에 고정된다. 지지체(106)에는 지지판(14)에 대하여 방향(24')으로 팰리트판(91)을 접하여 위치결정하는 위치결정요소(114)가 고정된다. 압축스프링(118)은 원통형구멍(108)속의 플런저(116)과 위치결정요소(114)와 접하여 세로축(110)에 일직선상으로 정렬된 플런저(116)을 팰리트판(91)로부터 방향(62')으로 탄성적으로 힘을 가한다. 플런저(116)의 연장 단부에는 수평의 반원형 위치결정 원통(120)이 부착된다. 원통(120)의 세로축(120')은 구멍축(110)에 수직 교차한다. 플런저(116)에는 안내핀(122)가 고정된다. 안내핀(122)는 지지체(106)의 벽의 슬롯(124)에 의하여 안내되며, 이 슬롯은 축(110)에 평행하다. 안내핀(122)는 슬롯(124)의 벽과 밀접하게 결합하여 원통(120)의 세로축(120')과 축(110)이 제5도에서의 고정면(44'')를 형성하므로 제1도에서의 돌출부(28)의 수직면(44)를 고정면(44'')와 일치되도록 위치결정한다. 지지체(106)은 그 연장단부에서 제7도에서의 단부면(126)을 갖는 원형튜브 형상을 갖는다. 단부면(126)은 제8도의 지지체(86)의 단부면(102)와 같으며, 기준면(104)의 상대위치를 정한다.
제9도에서, 원통(120)이 돌출부(28)의 2면 표면에 접할 때, 원통의 원통면은 제5도의 기준면(44'')를 돌출부(28)의 기준면(44)와 일치하도록 자동으로 위치결정한다. 돌출부(28)의 단부면(28')이 지지체(106)의 단부면(102)에 접할때까지 케이스의 중량으로 인하여 원통(120)을 충분히 내리눌러 제1도의 수형 기준면(24)와 축(60)을 기준면(104)에 위치결정한다. 따라서, 제14도의 케이스(16)의 기준점(52'')는 제8도의 위치결정조립체(72)의 대응 기준점(102')과 일치하도록 위치결정된다.
제3도의 수상기(10)의 무게중심(CG)는 제14도의 직교방향(24'),(44') 및 (52')에 대하여 위치결정된다. 기준면(104)위로 투사한 무게 중심점은 제1도의 지주(76)과 (78)과 위치결정조립체(72)와 (74)에 의하여 경계지워진 구역속에 위치한다. 그러므로 수상기(10) 대부분의 중량은 제1도의 위치결정조립체(72)와 (74)와 지주(76)과 (78)에 의하여 지지된다. 그러나, 제1도의 돌출부(20), (21)과 (22), (23)사이의 구역은 돌출부(20), (21)과 (28), (30)사이의 구역에 비하여 유동적이며, 샤시(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전달된 약간의 하중을 지탱한다. 케이스의 돌출부(20)-(23), (28) 및 (30)과 위치결정조립체(72)와 (74)와 지주(76), (78), (80), (82)는 수상기(10)의 하중을 지탱하며, 기판(18)의 유연성 때문에 케이스의 모든점들을 방향(24')으로 기준위치에 위치결정한다.
제1도에서, 부가적으로 단단한 지주(130)과 (132)를 팰리트판(91)위에 제공하여 도시한 것과는 다른 치수를 갖는 수상기 케이스를 위치결정하고 팰리트 조립체(12)를 여러가지 다른 크기의 수상기 케이스에도 적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지주(130)과 (132)는 케이스를 위치결정하는데 사용되지 않는다. 사용시에는 예를들어 지주(80)과(82)대신에 지주(130)과 (132)가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인하여, 본 발명은 가공물이 열가소성 수지와 같은 재료로 만들어져 성형공정중에 수축등의 요인에 의하여 가공물마다 치수의 변화가 생기더라도 로봇시스템의 가공위치에서 가공물의 기판의 구멍속에 지지체의 돌출부를 결합하는 것으로 치수변화를 갖는 가공물들을 3개의 직교방향으로 정확히 방향 조정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3)

  1. 팰리트 조립체(12)로부터 소정의 방향으로 뻗는 위치결정조립체(72,74등)와 결합하는 본체기판(18)을 가지고 위치결정시스템(12,14등)에 대하여 배치되어 상기 위치결정조립체(72,74)가 상기 소정의 방향과 평행한 제1 시스템고정면(44")를 결정하는 본체(16)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기판(18)은 본체(16)의 제1기준 수직면(44)를 결정하는 제1 및 제2의 구멍(42,46)을 이루는 벽면(38,' 40,' ; 48,'49')을 갖는 제1 및 제2의 장치(28,30)을 가지며, 상기 장치(28,30)의 벽은 제1 및 제2의 위치결정조립체(72,74)와 결합하며, 상기 위치결정조립체(72,74)는 상기 장치(28,30)의 벽과 결합할 때 팰리트 조립체(12)에 대하여 소정의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변위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 기판(18)은 또한, 본체의 제2의 수평기준면(24)를 결정하는 적어도 3개의 이격되어 고정된 제2의 기준단부면(21,'28,'30'등)을 가지며, 상기 제2의 수평기준면(24)는 제1수직기준면(44)에 수직하며, 기준단부면(21,'28,'39'등)은 각각의 위치결정조립체(72,74등)의 단부면(102,126)과 결합하고 제1시스템고정면(44")에 수직한 제2의 시스템 기준면(104)를 결정하여 본체(16)의 제1 기준수직면(44)와 제2수평기준면(24)가 제1시스템고정면(44")와 제2의 시스템기준면(104)에 일직선상으로 배열되도록 본체(16)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결정시스템에 대하여 배치된 본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장치(30)은 제1수직기준면(44)내에서 제2의 수평기준면(24)와 교차하는 축(52)을 결정하기 위한 형상의 부가적인 벽면(50,'51')을 가지므로 본체가 특허청구범위 제1항에서와 같이 배치될 때 제2의 수평기준면(24)과 축(52)의 교차점(52")에 대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결정시스템에 대하여 배치된 본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본체(16)은 텔레비젼 수상기(10)의 케이스이며, 케이스는 열가소성 수지 재료로 성형된 것이며, 본체기판(18)은 장치(28,20)이 형성된 케이스의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결정시스템에 대하여 배치된 본체.
KR1019860004980A 1985-08-05 1986-06-21 제 2 본체에 대하여 본체를 3개의 직교방향으로 방향 조정하기 위한 시스템 Expired KR9100072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6/762,633 US4586702A (en) 1985-08-05 1985-08-05 System for orienting one body relative to a second body in three orthogonal directions
US762633 1985-08-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2755A KR870002755A (ko) 1987-04-06
KR910007233B1 true KR910007233B1 (ko) 1991-09-24

Family

ID=25065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4980A Expired KR910007233B1 (ko) 1985-08-05 1986-06-21 제 2 본체에 대하여 본체를 3개의 직교방향으로 방향 조정하기 위한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586702A (ko)
JP (1) JPH0611450B2 (ko)
KR (1) KR910007233B1 (ko)
CA (1) CA1252983A (ko)
DE (1) DE3626471C2 (ko)
FR (1) FR2585606A1 (ko)
GB (1) GB217987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06796A (en) * 1985-08-05 1987-11-17 Rca Corporation System for transferring and locating a body relative to a support
GB2189174B (en) * 1986-04-22 1990-03-28 Mezhotraslevoi Gol Kt I T Osna Versatile knockdown fixture
CH671356A5 (ko) * 1986-10-10 1989-08-31 Buechler B Set Ag
DE3729601C1 (de) * 1987-09-04 1988-10-27 Erowa Ag Vorrichtung zum Aufspannen eines Werkstueckes oder Werkzeuges
JPH01177943A (ja) * 1988-01-06 1989-07-14 Dainippon Screen Mfg Co Ltd リードフレーム搬送装置
US4919586A (en) * 1988-05-25 1990-04-24 Grasp, Inc. Mechanical closed loop robotic arm end effector positioning system
US5046707A (en) * 1988-11-30 1991-09-10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ir Force Spherical positioning pin
JP2780186B2 (ja) * 1989-05-08 1998-07-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斜め挿入装置
CA2012165C (en) * 1989-05-13 1996-09-03 Takeo Yoshiji Working line
DE3919077C1 (ko) * 1989-06-10 1990-07-26 Erowa Ag, Reinach, Ch
US5044616A (en) * 1989-11-21 1991-09-03 Jakob Tooling, Inc. Locating device for workpiece-processing apparatus
FR2661007B1 (fr) * 1990-04-12 1994-04-01 Etat Francais Delegue Armement Dispositif d'aiguillage optique pour faisceau laser.
GB9203211D0 (en) * 1992-02-14 1992-04-01 Lsi Logic Europ Equipment alignment docking system
CA2074789C (en) * 1992-07-28 1995-12-05 Joel W. Jones Precision guided transfer fixture
US5255901A (en) * 1993-01-05 1993-10-26 Rottler Donald B Fixture system for mounting work pieces to be machined
DE4307342C2 (de) * 1993-03-09 1994-12-08 Erowa Ag Einrichtung zum positionsdefinierten Aufspannen eines Werkstücks am Arbeitsplatz einer Bearbeitungsmaschine
DE4314629C2 (de) * 1993-05-04 1995-10-19 Erowa Ag Vorrichtung zum positionsdefinierten Aufspannen eines Werkstücks am Arbeitsplatz einer Bearbeitungsmaschine
US5370378A (en) * 1993-09-13 1994-12-06 Positrol, Inc. Work holding system
DE19700549A1 (de) * 1997-01-10 1998-07-16 Alsthom Cge Alcatel Vorrichtung zur präzisen Anordnung von mikrooptischen Bauteilen auf einem Träger
US6206357B1 (en) * 1998-11-02 2001-03-27 Douglas J. Peck Kit of interchangeable workpiece locating and holding elements
US6637737B1 (en) 2002-07-31 2003-10-28 Unova Ip Corp. Workpiece micro-positioning apparatus
FR2893115B1 (fr) * 2005-11-10 2007-12-21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Systeme de positionnement d'un composant, outillage de reglage et procede de reglage
JP2013006492A (ja) * 2011-06-24 2013-01-10 Ishizaki Honten Co Ltd 車両用サイドミラーの組付治具
CN102962645A (zh) * 2012-11-26 2013-03-13 天津台荣精密机械工业有限公司 一种便捷的加工装置及其工作方法
JP6271902B2 (ja) * 2013-08-01 2018-01-3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支持治具およびそれを用いた航空機の組立方法
CN109732155B (zh) * 2019-01-29 2021-02-09 上海槎南工贸发展有限公司 一种三向定位夹具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7252A (en) * 1880-05-04 Cutting board or table
US2249230A (en) * 1939-07-26 1941-07-15 Nat Automatic Tool Co Work locating mechanism for machine tools
US2819784A (en) * 1956-03-13 1958-01-14 Philco Corp Transfer pallet
US3175820A (en) * 1962-11-09 1965-03-30 Portage Machine Company Rotary table having trimetric adjustment features
GB1238521A (ko) * 1968-01-15 1971-07-07
US3491977A (en) * 1968-01-18 1970-01-27 John A Iller Leveling mount
US3540318A (en) * 1968-11-22 1970-11-17 Babcock & Wilcox Co Transfer pallet system
US3826047A (en) * 1972-02-28 1974-07-30 Rca Corp Device for mounting and orienting a workpiece
DE2537146C3 (de) * 1975-08-21 1980-05-14 Hubert Dipl.-Ing. 5820 Gevelsberg Bald Baueinheit aus zwei in eine Relativlage zu positionierenden Bauteilen
JPS5350582A (en) * 1976-10-19 1978-05-09 Seiko Seiki Co Ltd Pallet carrying and locating apparatus
US4185812A (en) * 1977-07-18 1980-01-29 Cincinnati Milacron Inc. Blow molding pallet assembly for conveying one or more workpieces
DE2802791A1 (de) * 1978-01-23 1979-07-26 Niedecker Herbert Vorrichtung zum bestimmen und spannen von werkstuecken
US4331229A (en) * 1978-12-06 1982-05-25 Kamm Lawrence J Manufacturing machine
US4390172A (en) * 1980-11-28 1983-06-28 Presco, Inc. Precise quick-release positioning mechanism
US4393999A (en) * 1980-12-29 1983-07-19 Syn-Trac Systems Inc. Conveyor pallet construction
DD205108B1 (de) * 1981-12-03 1986-05-07 Bernhard Drassdo Mehrdimensionale, spielfreie genauigkeitsfixiereinheit fuer bewegliche bauelemente
JPS58160039A (ja) * 1982-03-12 1983-09-22 Fujitsu Ten Ltd ワ−クの固定方法
DE3371676D1 (en) * 1982-10-18 1987-06-25 Erowa Ag Coupling device
CA1267165A (en) * 1983-11-17 1990-03-27 Weston R. Loomer Item locator, fixture, and work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626471A1 (de) 1987-02-12
CA1252983A (en) 1989-04-25
DE3626471C2 (de) 1997-01-30
GB2179879B (en) 1989-11-08
FR2585606B1 (ko) 1995-02-17
GB8619004D0 (en) 1986-09-17
GB2179879A (en) 1987-03-18
FR2585606A1 (fr) 1987-02-06
JPS6339740A (ja) 1988-02-20
US4586702A (en) 1986-05-06
JPH0611450B2 (ja) 1994-02-16
KR870002755A (ko) 1987-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7233B1 (ko) 제 2 본체에 대하여 본체를 3개의 직교방향으로 방향 조정하기 위한 시스템
US4966482A (en) Substrate support of integral construction
KR950009774B1 (ko) 하우징 조립체 및 조립방법
US4065198A (en) LED Mounting retainer and display
JPH0888058A (ja) 基板用コネクタ
KR19980042274A (ko) Bga 팩케이지용 ic 소켓트
US5194019A (en) Multiply orientable mounting arrangement
US4582309A (en) Jigs for locating electrical components
KR100428620B1 (ko) 도파관커넥터
US7331798B2 (en) Connecting element and circuit connecting device using the connecting element
US4751612A (en) Construction for attaching a component to a substrate
US5040873A (en) Optical device
GB2268839A (en) Low profile pin-mounted printed circuit board speaker.
US5087146A (en) Assembly for the positioning of two structural elements in relation to each other
CN118030674A (zh) 一种可快速安装的面板固定组件
JPH07336071A (ja) 基板の取付具
JPS59163512A (ja) X−y方向入力装置の組立方法
CN216959986U (zh) 成像模组和终端设备
JP2704303B2 (ja) エッジコネクタ及びその組立治具
JPH0646071Y2 (ja) ソケットの取り付け構造
JPH11305096A (ja) レンズ位置決め構造
JPH0726854Y2 (ja) Led素子
KR200174320Y1 (ko) 튜너의 샤시 구조
JPS6222658Y2 (ko)
JPH05430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72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1999092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19990925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