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10007202B1 - 전원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전원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7202B1
KR910007202B1 KR1019890017701A KR890017701A KR910007202B1 KR 910007202 B1 KR910007202 B1 KR 910007202B1 KR 1019890017701 A KR1019890017701 A KR 1019890017701A KR 890017701 A KR890017701 A KR 890017701A KR 910007202 B1 KR910007202 B1 KR 9100072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signal
amplifier
power
switch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7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0808A (ko
Inventor
박찬현
Original Assignee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정몽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정몽헌 filed Critical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90017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7202B1/ko
Priority to US07/614,450 priority patent/US5241582A/en
Priority to JP2318169A priority patent/JP2634486B2/ja
Publication of KR910010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08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7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72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6Means for starting or stopping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8Means for preventing simultaneous conduction of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원공급장치
제1도는 종래의 전원공급을 도시한 개략적인 블록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공급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전원공급장치를 도시한 상세 회로도.
제4도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0 : 시스템 30 : 전원
U1 : 제1증폭기 U2 : 레벨 슬라이서
U3 : 지연회로 TR1 : 스위칭 소자
TR2 : 제2증폭기
본 발명은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선택적인 동작이 요구되며 동일전원을 공유하는 하나 이상의 시스템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시스템이 전원을 공유하는 경우에는 대부분 각 시스템 내에 구동을 제어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즉 각 시스템을 개별적으로 구동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각 시스템이 선택적으로 동작해야 하는 시스템에서는 여러 가지의 문제를 가지게 된다. 예를 들면,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에는 차량 운행자를 위해 카폰시스템(20) 및 카오디오 시스템(10)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 두 시스템은 전원인 밧데리(30)을 공유하고 독립적으로 동작하게 된다.
만일, 카오디오 시스템이 동작하는 동안에 카폰 시스템을 사용하게 되는 경우에는 카오디오 시스템의 출력음이 카폰 사용에 커다란 장애가 된다. 이 때문에 운전자는 카오디오 시스템의 출력을 줄이거나 시스템에 전원공급을 중단하고서 카폰을 사용할 수 있었다. 한편, 차량운행 중이라는 상황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카오디오 시스템과 카폰을 동시에 조작해야 하므로 불편이 따를 뿐만 아니라, 운전에 집중력이 떨어져 사고의 위험성마저 내재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선택적으로 동작이 요구되는 두 시스템간에 있어 하나의 시스템 동작에 따라 자동적으로 나머지 시스템에 대한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일실시예로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발명에 따른 두 시스템간의 전원공급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블록도로서, 전원공급장치는 전원(30)(예를 들면 차량밧데리)를 공유하는 두 시스템(10) 및 (20) (예를 들면 카폰 시스템 및 카오디오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20)으로부터 동작 상태를 검지하여, 시스템(20)이 동작하는 경우 시스템(10)으로의 전원을 차단하고, 시스템(20)이 동작하지 않는 경우 시스템(10)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스위치(40)를 포함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전원공급장치를 제 3 도 전원공급스위치의 상세회로도 및 제 4 도 타이밍도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전원공급스위치(40)는 시스템(20)의 일입력단에 연결된 저하(R1) 양단으로부터의 전압을 입력하여 증폭하는 증폭기(U1), 상기 증폭기(U1)으로부터의 신호를 입력하여 밧데리에 연결된 볼륨 저항에 의한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적당한 레벨 신호를 출력하는 레벨 슬라이서(U2), 상기 레벨 슬라이서(U2)으로부터의 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신호를 종료 후 일정시간, 예를들면 1초간을 지속하는 지연회로(U3), 상기 지연회로(U3)의 출력을 입력하여 스위칭을 행하는 스위칭 소자(TR1) 및 상기 스위칭 소자(TR1)의 동작에 따라 구동하는 증폭기(TR2)를 포함한다.
먼저, 시스템(20), 즉 카폰이 대기 상태에 있는 경우, 저항(R1)을 통해 전류가 매우 적게 흐르게 되고, 저항(R1)의 저항값이 매우 적기 때문에 저항(R1)양단에 걸리는 전압값은 매우 낮다. 이 때문에 증폭기(U1)의 출력은 적은값을 갖게되고, 이 신호에 의해 레벨 슬라이서(U2)는 출력이"0"상태가 된다 이 신호는 지연회로(U3)를 거쳐 반전되어 스위칭 소자(TR1)에 인가되며, 스위칭 소자(TR1)을 구동하게 된다. 이제 전원은 정상적으로 증폭기(TR2)를 거쳐 시스템(10), 즉 카오디오시스템에-공급된다.
제4도의 A점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스템(20), 즉 카폰 시스템이 착신등으로 구동을 하게 되면, 저항(R1)을 통해 전류가 급격히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저항(R1)에 걸리는 전압은 크게 증대되고, 이 증가된 전압으로 인해 증폭기(U1)의 출력도 증대된다. 상기 증폭기(U3)의 출력신호가 증대하므로 레벨 슬라이서는 적당한 레벨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 신호는 지연회로(U3)에 공급되어 제4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신호의 마지막 점(B)로부터 일정시간, 예를 들면, 1초간 점(C)까지 신호를 유지한다. 이제 반전된 신호는 스위칭 소자(TR1)을 오프시켜 점(C)까지 시스템(10) 즉, 카오디오시스템으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숙련자에게 본 발명의 전원공급장치는 시스템(20)이 구동하는 동안 자동으로 시스템(10)으로의 전원을 차단하게 됨은 자명하다. 즉, 운전중 카폰시스템의 착신이나 통화중 카오디오 시스템의 볼륨을 줄이거나 스위치를 꺼야하는 불필요한 조작이 필요없으며, 상술한 불필요한 조작에 따른 운전중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등의 커다란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선택적인 동작을 요하며, 동일전원(30)을 공유하는 제1 및 제2시스템(10 및 20)에 있어서, 상기 제2 시스템(20)의 동작 상태를 검지하여, 상기 제2시스템(20)이 동작하는 경우, 상기 제1시스템(10)으로의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제 2시스템(20)이 동작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시스템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스위치(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 스위치(40)가 상기 제2시스템과 상기 전원(30)간에 연결된 저항(R1)의 양단으로부터 전류 흐름양에 따른 전압 값을 입력하여 증폭하는 제1증폭기(U1), 상기 제 1증폭기(U1)으로부터 증폭된 신호를 입력하여 기설정된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그차를 증폭하는 레벨 슬라이서(U2), 상기 레벨 슬라이서(U2)로 부터의 신호를 입력하여 그 신호를 적어도 1초간 지연하여 지속시키는 지연회로(U3), 상기 지연회로(U3)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스위칭 동작을 하는 스위칭 소자(TR1) 및 상기 스위칭 소자(TR1)의 동작에 따라 구동하는 제2증폭기(TR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전압이 상기 제2시스템이 동작하지 않을 때 상기 제1증폭기(U2)로부터의 출력전압보다 적어도 적지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KR1019890017701A 1989-11-30 1989-11-30 전원공급장치 KR910007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7701A KR910007202B1 (ko) 1989-11-30 1989-11-30 전원공급장치
US07/614,450 US5241582A (en) 1989-11-30 1990-11-16 Control for supplying power to car audio and phone systems
JP2318169A JP2634486B2 (ja) 1989-11-30 1990-11-26 電源供給制御回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7701A KR910007202B1 (ko) 1989-11-30 1989-11-30 전원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0808A KR910010808A (ko) 1991-06-29
KR910007202B1 true KR910007202B1 (ko) 1991-09-19

Family

ID=19292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7701A KR910007202B1 (ko) 1989-11-30 1989-11-30 전원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72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6595B1 (ko) * 2019-11-04 2022-07-0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부하 적응형 스마트 액추에이터 드라이버 및 그것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0808A (ko) 1991-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95576A2 (en) laser driver for an optical disk drive
GB2308762A (en) Apparatus for protecting a power amplifier against an overcurrent wherein the current, once turned off, remains off for a predetermined time
KR910007202B1 (ko) 전원공급장치
KR880010561A (ko) 음성출력증폭기
JP2634486B2 (ja) 電源供給制御回路
EP0323059A2 (en) Amplifier circuit
KR920010983B1 (ko) 전원 공급 장치
KR960003070A (ko) 저 전원 전압의 출력 구동기
JPH1032441A (ja) 電力増幅器
KR100507145B1 (ko) 차량의 전원제어장치
KR900005302B1 (ko) 동작점 바이어스 유지회로
KR100314444B1 (ko) 카네비게이션시스템의 노이즈제거회로
JPH0746033Y2 (ja) 車載用音響機器の電源制御装置
JPH08171844A (ja) リレー回路
JPH0541552A (ja) 切替機能を有する光フアイバ増幅器励起用レーザ駆動回路
KR100784364B1 (ko) 솔레노이드 구동 장치
KR900019429A (ko) 전류 스위치 및 집적 전화기 회로
KR870003290Y1 (ko) Sca반송파 신호를 이용한 전원 공급장치
KR930020817A (ko) 전원자동절환시스템 및 전원자동절환방법
KR910006183Y1 (ko) 비디오 모드 스위칭 회로
JPH1155051A (ja) 電力増幅回路
JPH11330934A (ja) オートバイアス回路およびこれを備えた通信装置
KR950003066A (ko) 태양전지를 사용하고 있는 차량내 제어시스템에서의 전원제어회로
JPH03157709A (ja) 定電圧電源装置
JP2006236223A (ja) インターホン回路電源電力供給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911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8911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10822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112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203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203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501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509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08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081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81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81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82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81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820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820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