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10006818Y1 - 자동차의 전조등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전조등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6818Y1
KR910006818Y1 KR2019890016969U KR890016969U KR910006818Y1 KR 910006818 Y1 KR910006818 Y1 KR 910006818Y1 KR 2019890016969 U KR2019890016969 U KR 2019890016969U KR 890016969 U KR890016969 U KR 890016969U KR 910006818 Y1 KR910006818 Y1 KR 9100068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light
vehicle
turned
switch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169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8974U (ko
Inventor
유병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 모
유병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 모, 유병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 모
Priority to KR20198900169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6818Y1/ko
Publication of KR9100089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897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68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6818Y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88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76Switch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의 전조등 제어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조등 자동 제어장치의 회로도.
제2도는 제1도 각부의 파형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자동차 밧테리 3 : 전조등
4 : 스몰등 5 : 실내등
4 : 전조등 스위치 7 : 실내등 스위치
8,9 : 릴레이 12 :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본 고안은 자동차의 전조등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동차의 야간주행시 자동차가 신호등과 같은 곳에서 소정의 시간동안 정차했을 경우에는 전조등을 오프시키고, 정차후 다시 출발할 경우에는 별도의 조작이 없더라도 전조등을 자동으로 온시키기 위한 자동차의 전조등 자동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전조등을 제어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은 예컨데 주, 야간의 외부 조명상태를 검출하여 전조등을 자동으로 작동시키거나, 자동차의 브레이크와 클러치의 작동상태에 따라 전조등을 작동시키거나, 자동차의 변속기어가 중립위치에 있을경우 전조등이 오프되도록 한 방식 또는 속도계에 감지센서를 장착시켜 속도계의 지시침이 영(zero)이 될경우 감지센서가 이를 검출하여 전조등들 작동시키도록 한 것이 대부분이 었었다.
그러나, 외부조명 검출방식은 주, 야간의 조명상태를 검출해야만 동작하게 되어 있는바, 날씨가 흐리거나, 일출 또는 일몰시에는 그의 검출기준이 부정확하므로 동작상에 많은 하자가 있었고, 브레이크와 클러치의 작동상태 검출방힉을 브레이크와 클러치 페달에 검출소자를 장착시켜야만 하는바 검출소자를 브레이크와 클러치에 장착하기가 매우 곤란할 뿐만아니라 그를 위한 전기 배선에 이상이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전조등을 제어할수 없게되어 자동차 사고가 빈번하여 그의 실용성이 저하되었다.
또한 변속기어의 중립위치 검출 방식은 자동차의 정차시 운전자가 기어를 반드시 중립에 위치시켜야만 전조등이 오프되는바, 신호등과 같은 곳에서 일시적으로 정차할경우 운전자에 따라 기어를 중립위치에 놓는 대신에 기어를 1단에 위치시키고, 클러치와 브레이크 폐달은 밟고 있을수도 있으므로 효과적인 전조등 제어방식이 아니었다. 또한, 속도계에 의한 제어방식은 상기의 기술보다는 향상된 것일수도 있으나, 만약에 속도계 의지시침이 고장났을 경우에는 전조등이 항상 커지거나 수동조작으로만이 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현재 생산되고 있는 자동차 내부의 부품을 그대로 이용하면서도 전조등을 자동 및 수동으로 용이하게 제어할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전조등 자동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조등을 온/오프시키기 위한 전조등 스위치와, 실내등을 제어하는 실내등스위치 및 자동차의 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소정의 펄스를 발생하는 전자식 속도 감지기를 구비한 자동차에 있어서, 자동차의 전조등 스위치가 온되며 실내등 스위치가 한번 작동되었을 경우 소정의 전압을 연속적으로 발생시키기 위한 전압 발생수단과, 상기의 전압에 의해 인에이블되어 전자식속도 감지기로부터 발생된 펄스신호를 입력으로하여 자동차의 속도가 영(0)보다 클경우(즉 주행시)에는 제1제어신호를 발생시키고 자동차의 속도가 영일 경우에는 제2제어신호를 발생시키기위한 제어신호 발생수단 및 제1제어신호 또는 제2제어신호를 입력으로하여 제1제어신호가 입력되었을 경우에는 전조등을 온시키고, 제2제어신호가 입력되었을 경우에는 전조등을 오프시키기 위한 전조등 제어 수단으로 구성시켜서 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전조등 자동 제어장치의 회로 구성도인바,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자동차 밧테리(1)로 부터 공급된 전원을 전압 레귤레이터(2)에 인가되어 소정의 전압으로 강압된다. 전압 레귤레이터(2)의 출력단(A)에서는 전조등(Head light)(3)과 스몰라이트(Small light)(4)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압이 출력되고, 전압 레귤레이터(2)의 출력단(B)에서는 자동차의 실내등(5)을 작동시키기 위한 전압이 출력된다.
우선, 야간주행시 제1도에 도시한 장치를 자동으로 작동시킬 경우를 설명한다. 자동작동시 운전자는 전조등 스위치(6)을 점점(H/L)에 위치시키고, 실내등스위치(7)를 접점(Pull)에 위치 시키는바, 전압 레귤레이터(2)의 출력단(A)에서 출력된 전압신호(통상적으로 Ignition Voltage라 한다)는 스위치(6)의 접점(H/L)을 경유하여 릴레이(8,9)에 인가된다. 또한, 실내등스위치(7)가 접점(Pull)에 위치됨에 따라 레귤레이터(2)의 출력단(B)에서 출력된 신호가 실내등(5)에 공급되어 실내등(5)이 온되고, 릴레이(8)의 코일(L1)에는 전류가 흐르게 되며 릴레이 접점(SASB)이 온되어 다이오드(10)가 도통하게 된다.
릴레이 접점(SASB)이 온됨에 따라 전조등스위치(6)의 접점(H/L)을 경유한 전원은 접점(SA)과 저항(11)을 통해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12)의 전원단자(Vcc)에 인가된다. 여기에서 제너다이오드(13)는 저항(11)을 통과한 전압을 소정의 레벨(예컨대 6.2V)로 유지하기 위한 것이고, 콘덴서(14)는 전원전압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자동차가 주행됨에 따라 자동차의 전자식 속도 감지기로 부터 발생된 펄스신호(제2(a)도 참조)는 다이오드(15)의 캐소오드에 인가된다. 이때 다이오드(15)는 (제2(a)도의 신호가 하이상태 일때에는 오프되고, 제(제2(a)도의 신호가 로우상태 일때에는 턴온된다.
따라서, 다이오드(15)가 전자식 속도감지기에서 발생된 펄스신호(CP)에 의해 온/오프하게 되므로 저항(16)을 통과한 전압신호는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12)의 클럭단자(CLK)에 인가된다. 여기에서 단안전 멀티바이브레이터(12)의 클럭단자(CLK)에 입력되는 신호파형은 제2(a)도와 유사하게 되고,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12)는 클럭펄스가 인가될 경우에는 그의 출력단()을 통해 로우 상태의 신호를 출력하고, 클럭신호가 입력되지 않을경우에는 그의 출력단()을 통해 하이상태의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자동차의 주행으로 인하여 클럭신호가 발생됨에 따라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12)의 출력단()에서는 로우신호가 발생되는바, 이때 저항(17)을 경우한 신호는 트랜지스터(18)는 턴온시키기에 충분하지 않게되므로 트랜지스터(18)는 턴오프되고, 그에따라 트랜지스터(19) 역시 턴오프된다.
트랜지스터(19)가 턴오프됨에 따라 릴레이(9)의 코일(L2)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게되어 릴레이접점(SC)은 제1도에 도시된 상태(OFF)로 위치된다. 따라서, 정상주행시 릴레이(9)는 작동하지 않지만 전조등(3)에는 전조등 스위치(6)의 접점(H/L)을 레귤레이터 전원이 인가되므로 전조등(3)은 점등되어 자동차의 전방을 조명하게 된다.
이러한 전조등에 의한 주행시에 신호등과 간은곳에서 일시적으로 정차하고자 할경우, 운전자는 브레이크 페달(도시하지 않았음)을 밟아 자동차를 정지시킨다. 자동차가 정지도면, 전자식 속도감지기에서 발생되는 펄스신호가 없으므로 제2(a)도 참조) 단안전 멀티바이브레이터(12)의 출력단()에서는 (제2(a)와 같은 하이 상태의 신호가 발생하게 되어 저항(17)을 경유하여 트랜지스터(18)의 베이스에 인가되다.
이때 트랜지스터(18)는 그의 베이스에 하이상태의 바이어스가 인가되어 턴온되고, 그에따라 트랜지스터(19) 역시 턴온되므로 릴레이(9)의 코일(L2)에는 전류가 흐르게 된다 . 코일(L2)에 전류가 흐르게 됨에 따라 전자력이 발생되어 릴레이접점(SC)은 제1도에 도시한 상태(OFF)상태에서 온(ON)상태로 전환된 전조등(3)은 오프된다. 따라서, 교차로 또는 횡단보도의 적색 신호 대기시에 자동차의 전조등은 자동으로 오프될수 있다.
한편, 신호등이 녹색으로 바뀌어 자동차를 출발시키기 위해 운전자가 엑셀레이터 페달(도시하지 않았음)을 밟게되면 자동차의 전자식 속도 감지기에 의한 펄스신호(CP)가 발생되는바, 이러한 펄스신호가 인가되면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12)의 출력단()에서는 제2(a)도와 같은 로우상태의 신호가 발생되므로 트랜지스터(18,19)가 오프되어 릴레이(9)의 접점(SC)은 제1도에 도시한 위치로 복귀된다. 따라서 전조등(3)은 자동차의 출발과 동시에 온된다.
결국, 제1도에 도시한 장치를 작동시키고자 할 경우, 운전자가 전조등스위치(6)를 접점(H/L)에 위치시키고, 실내등스위치(7)를 한번 잡아당겨 접점(Pull)에 위치시키면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12)가 인에이블상태로 유지되므로 전자식 속도감지기의 클럭신호(CP)의 입력 유무(즉 자동차의 주행/정차상태)에 따라 전조등(3)은 자동으로 온/오프될수가 있다.
제1도에 도시한 가변저항(20)과 콘덴서(21)는 자동차가 신호등과 같은 곳에서 일시적으로 정차될시에 소정의 시간동안(예컨대 1.5~2초)전조등을 켜야만 할 필요가 있을 경우를 대비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자동차가 주행시 완전히 정차 되더라도 전조등은 즉히 오프되는 것이 아니라 1.5~2초간 온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릴레이(8,9)에 설치된 다이오드(22,23)는 역전류 방지용 다이오드이다.
한편, 제1도에 도시한 장치를 수동으로 작동시키고자 할경우, 실내등스위치(7)를 전방으로 밀어 접점(Push)에 위치시키고, 전조등스위치(6)를 오프(OFF)시켰다가 접점(H/L)에 위치시킨다. 그러면, 다이오드(10)는 그의 캐소드(10)에 하이 상태의 신호가 인가되므로 턴오프된다. 다이오드(10)가 턴오프 될경우 릴레이(8) 코일(L2)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게되므로 스위치(6)를 통과한 전원은 릴레이(9) 코일(L2)의 일단부에 인가됨과 동시에 릴레이 접점(SC)에 인가된다.
그러나, 릴레이(8)가 작동하지 않게됨에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12)에는 전운(Vcc)이 인가되지 않게되어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12)는 디스에이블 되므로 트랜지스터(18,19)는 턴오프된다. 트랜지스터(18,19)가 오프되면, 릴레이코일(L2)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게되어 릴레이코일(L2)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게되어 릴레이 접점(SC)은 오프(OFF)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전조등스위치(6)의 접점(H/L)을 통과한 전원이 전조등(3)에 인가되어 전조등(3)은 전방으로 빛을 발생시키게된다.
이와같이 동작하는 본 고안은 자동차의 야간 주행시 전조등 스위치를 온시키고, 실내등스위치를 온시키면 속도계의 펄스신호의 유무에 따라 전조등이 자동으로 온, 오프될수 있으며, 살내등 스위치를 오프시키고, 전조등스위치만을 온시킬경우에는 전조등을 수동으로 조작할수 있을 뿐만아니라, 수동 및 자동모드 상태에서 정상주행 할시에 릴레이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이 전혀 없으므로 매우 경제적이다. 또한, 본 고안은 현재의 자동차에 있는 전조등 스위치, 실내등스위치 및 전자식 속도감지기를 변경하지 않고서 용이하게 장착할수 있으므로 그의 실내 비용이 매우 저렴한 특징을 지닌 것이다.

Claims (1)

  1. 전조등을 온/오프시키는 전조등스위치와, 실내등을 제어하는 실내등스위치 및 자동차의 속도를 측정하는 속도계를 구비한 자동차에 있어서, 자동차의 전조등스위치가 온되며 실내등스위치가 한번 작동되었을 경우 소정의 전압을 연속적으로 발생시키기 위한 전압발생 수단과, 상기의 전압에 의해 인에이블되어 상기의 속도계에 의해 발생된 자동차의 속도가 영(zero)보다 클경우에는 제1제어신호를 발생시키고, 자동차의 속도가 영일경우에는 제2제어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어신호 발생수단 및, 상기의 제1제어신호 또는 제2제어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제1제어신호가 입력되었을 경우에는 상기의 전조등을 온시키고, 제2제어신호가 입력되었을 경우에는 전조등을 오프시키기 위한 전조등 제어수단으로 구성시켜서 됨을 특징으로하는 자동차의 전조등 제어장치.
KR2019890016969U 1989-11-16 1989-11-16 자동차의 전조등 제어장치 Expired KR9100068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6969U KR910006818Y1 (ko) 1989-11-16 1989-11-16 자동차의 전조등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6969U KR910006818Y1 (ko) 1989-11-16 1989-11-16 자동차의 전조등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8974U KR910008974U (ko) 1991-06-27
KR910006818Y1 true KR910006818Y1 (ko) 1991-09-12

Family

ID=19291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6969U Expired KR910006818Y1 (ko) 1989-11-16 1989-11-16 자동차의 전조등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681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8974U (ko) 1991-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064238A (en) Automatic switching unit for vehicle driving lights
US5444307A (en) Wiper-activated headlight circuit
GB2095450A (en) Warning device
KR910006818Y1 (ko) 자동차의 전조등 제어장치
KR900011144Y1 (ko) 자동차 전조등의 자동점등 장치
JPH02246844A (ja) 車両用前照灯制御装置
KR0150621B1 (ko) 차량의 시동 off시 비상등제어회로
KR200140884Y1 (ko) 자동차의 계기판조명등과 후미등 점등 지시 장치
KR0124911Y1 (ko) 제동등과 후미등 연동장치
KR0137998Y1 (ko) 차속감속시 브레이크등 자동점등장치
KR970010186B1 (ko) 자동차 전조등의 자동소등장치
KR200154225Y1 (ko) 자동차의 헤드램프 구동장치
US3538336A (en) Photoelectric headlight switch responsive to ambient sight
KR100228983B1 (ko) 헤드 렘프 자동 점등장치
KR0154416B1 (ko) 자동차의 전조등 단속장치
JPH0132594Y2 (ko)
KR910010208B1 (ko) 자동차의 전조등자동점멸장치
JPH0132593Y2 (ko)
KR810000051Y1 (ko) 자동차 라이트의 자동점소등 장치
KR200314317Y1 (ko) 자동차의 미등, 헤드라이트 자동점등장치
KR920004187Y1 (ko) 자동차용 램프의 자동 온 · 오프 제어회로
KR900001711Y1 (ko) 자동차 미등 및 전조동 자동점멸(on/off) 제어장치
JPH0530523Y2 (ko)
GB2246429A (en) Automatic vehicle light switching system
KR950006996Y1 (ko) 자동변속 시스템 차량의 급발진 방지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891116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891116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10814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1112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UC1904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