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10006184B1 - 친전엽서용지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친전엽서용지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6184B1
KR910006184B1 KR1019890003133A KR890003133A KR910006184B1 KR 910006184 B1 KR910006184 B1 KR 910006184B1 KR 1019890003133 A KR1019890003133 A KR 1019890003133A KR 890003133 A KR890003133 A KR 890003133A KR 910006184 B1 KR910006184 B1 KR 9100061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fiber
thermoplastic resin
fibers
weigh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3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1525A (ko
Inventor
류우조오 이시가끼
데루히사 미끼
Original Assignee
닛뽄가미 펄프 쇼오지 가부시끼가이샤
세끼 아끼라
미끼도꾸슈우세이시 가부시끼가이샤
가부시끼가이샤 이시에스-88
데루히사 미끼
류우조오 이시가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3279419A external-priority patent/JPH02125792A/ja
Priority claimed from JP63300772A external-priority patent/JP2581594B2/ja
Application filed by 닛뽄가미 펄프 쇼오지 가부시끼가이샤, 세끼 아끼라, 미끼도꾸슈우세이시 가부시끼가이샤, 가부시끼가이샤 이시에스-88, 데루히사 미끼, 류우조오 이시가끼 filed Critical 닛뽄가미 펄프 쇼오지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01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15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6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6184B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5/00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2D15/02Postcards; Greeting, menu, business or like cards; Letter cards or letter-sheet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1/00Pulp or paper, comprising cellulose or lignocellulose fibres of natural origin only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00Paper; Cardboard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3/00Pulp or paper, comprising synthetic cellulose or non-cellulose fibres or web-forming material
    • D21H13/10Organic non-cellulose fibre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83/00Printed matter
    • Y10S283/901Concealed data

Landscapes

  • Paper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친전엽서용지 및 그의 제조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사용된 실린더형 제지기를 나타내는 선도.
제2도는 본 발명의 구체예에 사용된 오븐로형 열처리기(oven furnace type thermal processor)를 나타내는 선도.
제3a도는 본 발명의 용지(paper sheet)가 친전엽서(comfidential postcard)에 사용되는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제3b는 본 발명의 천지엽서용 용지가 접혀져 그 자체위에 겹쳐지는 것을 보여주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실린더 5 : 카우치로울
6 : 펠트층 7 : 흡인박스
8 : 가압로울 9 : 터치로울
10 : 얀키 건조기 14 : 가열로
15 : 권취로울
본 발명은 친전엽서용지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히 말하면, 본 발명은 용지가 가열, 가압됨으로써 일시적으로 접착될 수 있고 그후에 벗겨질 수 있는 친전엽서용지 및 그의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지금까지 마캐팅을 위한 광고수단으로서 또는 은행과 같은 금융기관의 정보전갈수단으로서 봉투에 넣는 식의 밀봉서류가 목적지에 도달될 때까지 우편물의 쓰여진 서류내용을 안전하게 기밀유지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그 서류내용을 기밀 유지하도록 채택된 우편물의 부피가 증가됨에 따라 밀봉식 봉투보다 가격이 저렴한 엽서를 사용하여 서류 내용을 은폐시키고자 애써 왔으며, 그런 연유로 현재까지 여러 제안이 제안되어 왔다.
그러나 용지를 엽서로 취급하기 위해서는 전 엽서의 필기 또는 인쇄된 면이 밀봉되도록 접착되어서 후에 어떤 방식으로든지 박리되어야 한다. 그래서 우편 엽서의 서류내용을 은폐시키기 위해서 후에 박리될 수 있도록 접착제에 의해 일시적으로 접착되는 다수의 층으로 엽서를 형성시키고자 제안되어 왔다. 그러나 이 공지의 방법은 접착제를 적용하는 단계와 후속처리가공단계를 거쳐야 하기 때문에 경제적 측면에서 보아 만족스럽지 못하다. 또 접착제를 가하기 전에 인쇄하여야 하며, 먼지 및 오물이 접착제로 도포된 엽서의 표면에 퇴적될 수가 있어서 취급시 어려움을 초래한다. 그래서 접착제가 필요없는 친전엽서의 수요가 일고 있다.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접착제를 적용함이 없이 일시적으로 용지를 접착시킬 수 있고 또 쉽게 박리될 수 있는 친전엽서용 용지와 그 용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쓰여진 서류 내용이 표면을 접착할 때 인쇄될 수 있고 쓰여진 서류내용이 박리시에 손상되지 않는 친전엽서용 용지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쓸 여백이 통상의 보통 친전엽서 보다 적어도 약 두배 정도 많은 친전엽서용 용지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들은 다음 수반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열가소성수지섬유 5 내지 95중량%와 천연식물성섬유 95 내지 5중량%로 이루어지며, 연화되어 섬유 형태를 보유하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섬유가 천연식물성섬유와 얽히므로써 용지는 가열 및 가압에 의해 일시적으롤 접착될 수 있고 후에 박리될 수 있는 친전엽서용 용지를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 단계 : (a) 열가소성수지섬유 5 내지 95중량%와 천연식물성섬유 95 내지 5중량%를 함유하는 개시종이물질을 탈수시켜 종이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b) 열가소성 섬유의 연화점보다 낮지 않는 온도에서 상기 종이층을 건조동안 또는 후에 가열하여 열가소성수지섬유가 천연식물성섬유와 얽혀진 용지를 제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친전엽서용 용지를 제조하는 방법도 제공하게 된다. 그럼으로써 용지는 가열되고 가압에 의해 일시적으로 접착될 수 있으며 그후에 박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이후에 보다 상세하게 기술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엽서용 용지는 주 구성성분으로서 열가소성 수지섬유와 천연식물성섬유를 함유하며, 연화되어 섬유형태를 보유하는 열가소성 수지섬유가 천연식물성섬유와 얽히는 직물상구조를 갖추므로써, 본 발명의 엽서용 용지가 겹쳐진 다음 소정온도 및 압력하에서 가열되고 가압될 때 겹쳐진 용지부분의 열가소성 수지섬유는 알맞게 연화되어 겹쳐진 용지부분의 표면들이 일시적으로 접착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열 및 가압하기 전에는 용지는 어떠한 접착력도 나타내지 않으며 보통의 용지와 같은 작용을 하여서 기밀로 유지되어야 할 진술 또는 정보 즉 메시지가 일시적으로 서로 접착될 측면에 용이하게 쓰여지거나 인쇄될 수 있게 된다. 용지가 일시적으로 부착되어 용지의 중첩부분이 서로로부터 박리된 후 용지는 어떠한 접착력도 나타내지 않아 용지표면상에 먼지 또는 오염이 퇴적될 우려가 없다.
섬유로 제조되는 상술한 열가소성수지의 실례에는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리덴, 폴리염화비닐 또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과 같은 폴리비닐화합물,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폴리올레핀계, 폴리아미드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 폴리알킬렌 파라옥시벤조에이트 또는 폴리비닐피롤리돈의 수지가 포함될 수 있다. 천연식물성섬유에는 예를 들면 침엽수 또는 활엽수와 같은 목재섬유, 면 또는 카폭과 같은 종자모섬유 미쯔-마타(mitsu-mata), 닥나무, 일종의 서향식물(daphne odora), 뽕나무, 황마, 아마, 대마, 저마(모시) 또는 라미와 같은 혁피섬유, 마닐라삼 또는 사이잘삼과 같은 엽맥섬유, 벼집, 왕겨, 대, 버개스 또는 아프리카 수염새(esparto)와 같은 벼과섬유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섬유와 천연식물성섬유의 상대적 함량에 관해서는 열가소성수지섬유 함량은 5 내지 95중량%의 범위내이고 천연식물성섬유의 함량은 95 내지 5중량%의 범위내이다. 열가소성수지섬유 및 천연식물성섬유의 함량이 5중량% 이하 및 95중량% 이상이면 둘다 가열 및 가압후에 임시 접착이 달성될 수 없어서 용지는 친전엽서로서 활용될 수 없다. 반면에 열가소성수지섬유의 함량이 95중량% 이상이고 천연식물성섬유의 함량이 5중량% 이하이면 가열 및 가압후 접착이 강하게 이루어져 용지 부분을 박리하기가 어렵게 된다. 용지부분이 박리될 수 있을지라도 예를 들면 인쇄부분이 동시에 박리되기 때문에 진술 내용을 쉽게 읽을 수가 없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충전제 및 응집제는 평활성, 인쇄적성 및 표백도를 증진시키고 친전엽서제조용 용지의 뚫어짐을 막기 위해서 열가소성수지섬유 및 천연식물성 수지에 더하여 혼입될 수 있다. 이들 충전제는 예를 들면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탄산칼슘 마그네슘, 규산염, 규산, 수화알루미늄, 황산바륨, 황산칼슘, 아황산칼슘, 이산화티탄, 아연안료 및 그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전제는 열가소성수지섬유 및 천연식물성섬유의 총함량의 100중량부에 대해 0 내지 40중량부 범위의 양으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40중량부를 초과하는 충전제의 함량은 용지의 강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부적당하다.
응집제는 황산 알루미늄, 폴리에틸렌아민, 양이온성전분, 수산화알루미늄, 황산제2철, 황산 제1철, 염화 제2철, 염기성 염화알루미늄, 염화아연, 알루민산나트륨 및 그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응집제는 열가소성수지섬유 및 천연식물성섬유 총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0 내지 5중량부의 범위내의 양으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응집제의 함량이 5중량부를 넘을 경우에는 섬유중의 응집이 너무 강하게 되고 종이 구조가 불균일하게 되기 때문에 부적당하다.
본 발명의 친전엽서용 용지제조시에 그에 대한 개시종이 물질인 열가소성수지섬유 및 천연식물성섬유가 준비되어야 한다. 이 때문에 개시물질의 상태에서는 열가소성수지섬유와 천연식물성섬유가 각기 따로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공기 거품이 친전엽서 표면상에 형성되어 종이 표면의 평활성을 감소시키게 되는 상황발생을 막게 된다. 섬유를 분산시키기 위해 열가소성 수지섬유를 펄퍼(pulper)와 같은 교반기를 사용하여 30 내지 90분 동안 5 내지 60℃에서 순환하는 물에서 흐르도록 하여 열가소성 수지섬유를 물속에서 분산시킨다. 천연식물성섬유를 펄퍼와 같은 교반기를 사용하여 분리하여 교반하며 수세하여 정제기로 처리하여서 분산된 열가소성 수지섬유와 혼합시킨다. 충전제 및 응집제는 경우에 따라 이때 첨가될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섬유 및 천연식물성섬유의 액상혼합물은 균일한 농도로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실리콘, 에스테르화합물, 파라핀, 왁스, 광유 또는 폴리알킬렌과 같은 탈포제와 폴리에틸렌, 왁스 또는 실리콘형제제와 같은 건조박리제가 먼지가 없는 액상혼합물에 첨가한다. 섬유는 0.1 내지 0.5중량%의 농도로 혼합되어 분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친전엽서용 용지는 열가소성수지섬유와 천연식물성섬유를 함유하는 개시종이물질을 종이층을 형성하도록 탈수시킴으로써 제조된다. 건조동안 또는 후에 종이층은 열가소성수지섬유의 연화점보다 낮지 않는 온도, 바람직하게는 융점 보다 낮은 온도에서 가열된다. 공지의 실린더기 또는 장망초지기(長網秒紙機)를 사용하여 탈수 및 종이층의 형성과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가열은 가열로울 또는 오븐로형 열처리기와 같은 열처리기를 사용하여 실행될 수 있다. 열처리기에 의한 가열은 제지기의 건조기를 사용하여 실행될 수 있다. 열처리기는 제지기와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거나 통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연화점보다 낮지 않은 온도란 열가소성 수지섬유가 연화상태이며 섬유형태를 보유하면서 열가소성수지가 다른 열가소성수지섬유와 조화되며, 그와 접촉하는 천연식물성섬유와도 조화되는 온도이며, 열가소성수지섬유가 완전히 용융되는 온도는 아니다.
열가소성수지섬유가 다른 열가소성수지섬유와 천연식물성섬유와 조화한다는 것은 수지섬유가 섬유형태를 보유하면서 연화온도보다 낮지 않은 온도로 열처리된 열가소성 수지섬유가, 수지섬유가 열처리되지 않을 때 보다 다른 열가소성수지섬유와 천연식물성섬유와 더 친밀하게 접촉되는 상태, 즉 엽서로 형성된 용지가 일시적으로 접착된 다음 후에 박리될 때 인쇄가 손상되지 않을 정도로 종이 강도가 세게 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가열이 연화점 미만이면 엽서로 형성된 용지는 일시적으로 접착될 수 없으며, 연화점보다 낮지 않은 온도에서의 일시적인 접착시에 완전 접착하게 된다.
반면에 열가소성수지섬유가 완전히 용융되면 열가소성수지섬유와 천연식물성섬유가 서로 얽혀진 직물상 구조는 유지될 수 없으며 중첩된 용지부분은 일시적 접착시에 완전히 접착하게 되어서 박리를 어렵게 한다. 가열온도가 열가소성수지섬유의 종류에 따라 변할 수 있으나, 보통 110 내지 240℃의 온도범위이다.
본 발명에 따라 엽서를 제조하기 위한 용지 사용시에 예를 들면 용지가 그 자신위에 접혀질 때 엽서의 소정 크기를 부여하는 크기로 용지는 절단된다. 진술 또는 메시지가 용지상에 쓰여지거나 인쇄된 후 용지는 기밀 유지되도록 진술 또는 메시지부분을 내포하는 부분을 은폐시키기 위하여 그 자체를 접으므로써 중첩된 상태로 되며 서로 일시적으로 그 중첩부분을 접착시키기 위해 열가소성수지섬유의 연화점보다 낮지 않는 온도에서 압력을 적용하면서 가열된다. 용지는 진술 또는 설명이 그 위에 쓰여지거나 인쇄된 후 수월하게 절단될 수 있다. 적용된 열가소성수지의 종류에 따라 가열 및 가압은 100 내지 200℃의 온도 및 3 내지 5.5kg/㎠ 압력하에서 1 내지 10초 동안 보통 실행될 수 있다. 일시적 접착후 중첩부분은 표면 손상없이 손가락으로 쉽게 박리될 수 있다. 박리작동은 용지의 선단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따라 중첩부분이 없는 유리구역을 제공함으로써 용이하게 될 수 있다.
엽서를 제조하기 위한 용지는 접착제 없이도 단지 가열 및 가압에 의해서만 접착될 수 있는가 하면, 가열 및 가압전에는 보통 용지처럼 작용을 하여서 진술 또는 메시지가 예를 들면 인쇄등에 의해 그 위에 매우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박리동안 인쇄표면을 손상시킬 위험이 없으며 접착력은 박리후에 주위온도에서 완전히 상실되기 때문에 인쇄표면에 먼지 및 오물이 퇴적될 위험도 없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엽서용 용지는 겹쳐진 상태로 사용되기 때문에 진술 또는 메시지는 중첩부분의 양측에 쓰여지거나 인쇄될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엽서용 용지는 진술 또는 메시지를 위한 친전엽서용 용지로서 적용될 여백이 보통 엽서보다 두배 또는 그 이상인데도 불구하고 보통 엽서용 용지와 동일한 우편 요금으로 사용될 수 있어서, 통상 밀봉되는 식의 봉투에 대신하여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잇점을 갖는 친전엽서용 용지는 매우 쉽게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참조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술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들은 단지 설명의 편의상 주어진 것으로 이에 본 발명을 한정할 의도로 주어진 것은 아니다.
[참조실시예 1]
천연식물성섬유로서 침엽수로부터 표백 크라프트 펄프 50중량부를 펄퍼에 넣었다. 교반후 섬유를 대충 수세하여 정제처리하였다. 60℃의 온수 1333중량부와 고압 폴리에틸렌 40중량부를 폴리에틸렌섬유를 분산시키기 위해 1시간 동안 순환수에 넣었다. 천연식물성섬유를 정제처리시켜서 분산된 폴리에틸렌섬유를 혼합 체스트에 주입한 다음 이산화티탄 3중량부와 황산 알루미늄 3중량부와로 더 혼합하여 섬유를 분산시켰다. 그 다음 섬유 함량이 0.4wt%에 해당하도록 그 농도를 조절하는 동안 제조된 종이의 액상 혼합물을 농도 조절유닛에 도입시켰다. 제조된 종이의 액상 혼합물을 탈포제 0.05중량부와 건조 박리제 0.02중량부로 혼합하였다. 먼지제거후 섬유농도를 총 공급물질의 중량 기준으로 0.3중량%로 설정하고 섬유를 분산시켜서 공급액상종이물질을 제조하였다.
[참조실시예 2]
공급액상종이물질을, 천연식물성섬유로서 목재섬유 70중량부 및 열가소성수지섬유로서 "N720"의 상표명으로 구라레이사에 의해 제조된 폴리에스테르섬유(에틸렌글리콜 및 테레프탈산의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30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참조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참조실시예 3]
천연식물성섬유로서 목재섬유 60중량부와 열가소성 수지섬유로서 "PZ"라는 상표명으로 다이와 보세끼사제 폴리프로필렌 섬유 40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참조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공급액상의 종이물질을 제조하였다.
[참조실시예 4]
침엽수로부터의 표백 크라프트 펄프 96중량부와 폴리에틸렌 섬유 4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참조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공급액상종이 물질을 제조하였다.
[참조실시예 5]
침엽수로부터의 표백 크라프트 펄프 4중량부와 폴리에틸렌 섬유 96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참조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공급액상종이물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도면을 참조하여 이후 본 발명에 따른 친전엽서용 용지의 구체예를 설명한다.
실린더 제지기를 도식적으로 보여주는 제1도에서 실린더(4)는 참조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공급액상종이물질(2)이 종이 제조용기(3)로 흐르게 됨에 따라 그 자신의 축주위로 회전된다. 실린더(4)의 회전으로 액체 수준의 차가 실린더(4)의 내외부사이에서 발생하여 공급액상종이물질(2)에 침지된 실린더(4)부분에 수압이 가해져서 실린더 외부로부터 내부로 흐르는 물은 섬유를 실린더 표면상에 보류시킨다. 실린더(4)가 공급액상종이물질(2)을 배출시킴으로서 실린더(4)의 눈금은 직물구조상 종이층(textured paper layer)으로 피복된다.
카우치로울(couch roll)(5)이 실린더(4)에 적용되므로서 이 종이층은 카우치로울(5)상의 펠트층(6)에 부착된다. 그래서 펠트층에 부착되는 종이층을 진공펌프를 사용하여 약 20wt%의 물함량으로 흡인박스(7)에서 탈수시켰다. 탈수된 종이층을 가압로울(8)에서 더 탈수시키고 흡인 픽업장치에 의해 상부펠트층(6)으로 자동적으로 이송된다. 그렇게 이송된 종이층을 카우치로울(9)로 처리하여, 약 6중량%의 물을 탈수하여 건조시키는 부분인 얀키(Yankee) 건조기(10)에 부착시켰다. 종이층을 얀키 건조기(10)에 부착시키는 동안 증기를 얀키건조기(10)의 내부로 취입시켜 110℃에서 경면 가공된 표면을 유지하였으며 그 다음 용지를 얀키 건조기(10)의 표면상으로 터치로울(9)에 의해 적용하였다. 건조된 용지를 권취로울(11)에 감아서 한 로울의 기초종이(12)를 제조하였다.
그 다음 로울(12)을 제2도에 도시된 오븐로형 열처리기의 권취축(13)에 위치시켰다. 로울(12)을 분당 40m의 속도로 가열로(14)의 내부로 도입시켰으며 폴리에틸렌의 연화점보다 낮지 않는 220℃의 온도로 적외선 방사로 가열시키면서 전체를 통과시켰다. 가열로(14)을 통과시킨 후 용지를 권취로울(15)상에 권취하여 친전엽서용지를 제조하였다. 엽서제조용의 제조된 용지를 제3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20×15㎝ 크기로 절단한 다음 그 표면에 진술한 또는 메시지를 인쇄하였다.
그 다음 제3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된 부분이 보이지 않도록 용지를 그 자체위에 접어서 중첩부분(20)이 없는 구역을 왼쪽단부를 따라 형성시켰다. 그렇게 그 본체위에 접혀진 용지를 2초 동안 4.8kg/㎠ 하에서 180℃로 가열하고 가압하에서 인쇄표면들이 서로 접착되도록 하였다. 그 다음 접착면들을 중첩부분(20)이 없는 구역에서 서로로부터 박리시켰다. 인쇄부분을 내포하고 있는 측면들은 손상없이 완전하였다.
[실시예 2]
참조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공급액상종이물질을 참조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것을 대신하여 사용하고 가열로(14)에서 적외선 방사를 폴리에스테르의 연화점보다 낮지 않는 130℃에서 실행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친전엽서용지를 제조하였다.
친전엽서를 제조하기 위해 제조된 용지를 3초 동안 4kg/㎠ 및 180℃에서 용지를 가열 및 가압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접착시킨 다음, 용지의 접착면을 서로로부터 박리시켰다.
인쇄부분을 내포하는 면들은 손상없이 완전하였다.
[실시예 3]
참조실시예 3에 따라 제조된 공급액상종이물질을 참조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것을 대신하여 사용하고 가열로(14)에서의 적외선 방사를 폴리프로필렌의 연화점보다 낮지 않는 180℃에서 실행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친전엽서용지를 제조하였다.
친전엽서를 제조하기 위해 제조된 용지를 3초 동안 4kg/㎠에서 190℃로 가열 및 가압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접착시킨 다음 용지의 접착면을 서로로부터 박리시켰다.
인쇄부분을 내포하는 면들은 손상없이 완전하였다.
[비교실시예 1]
참조실시예 4에 따라 제조된 공급액상종이물질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친전엽서를 제조하기 위한 용지를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으며 제조된 용지를 일시적으로 접착시켜서 박리테스트를 하였다.
용지가 일시적으로 접착은 되데 접착강도가 낮았으며 쉽게 박리되어서, 친전엽서를 제조하기 위한 용지로서 사용할 수가 없었다.
[비교실시예 2]
친전엽서를 제조하기 위한 용지를 참조실시예 5에 따라 제조된 공급액상종이물질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으며 제조된 용지를 일시적으로 접착시켜서 박리테스트를 하였다.
일시적으로 접착시 접착면들을 서로 박리시키는게 어려울 정도로 높은 접착강도를 나타내었으며 접착면들을 서로로부터 강제로 박리시켰을 때 인쇄부분이 동시에 박리되었다. 따라서 그 용지는 친전엽서용지로서 사용될 수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비교실시예 3]
제2도에 도시된 열처리로 가열을 실행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 방식으로 친전엽서를 제조하기 위한 용지를 제조하여 일시적으로 접착시켜서 박리테스트를 하였다. 폴리에틸렌 섬유가 섬유 형태를 보유하되 연화되지 않았기 때문에 시이트의 중첩부분을 박리시킬 때 인쇄부분이 동시에 박리되어서 그 용지를 친전엽서를 제조하기 위한 용지로서 사용할 수 없음을 알았다.
[비교실시예 4]
제2도에 도시된 열처리기로 가열을 폴리에틸렌섬유의 연화점보다 낮은 100℃ 온도에서 실행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친전엽서를 제조하기 위한 용지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용지를 일시적으로 접착시켜 박리테스트를 하였다.
그 결과 폴리에틸렌섬유가 연화되지 않았기 때문에 용지가 완전히 접착되어서 용지를 사용할 수 없음을 알았다.

Claims (11)

  1. 친전엽서를 제조하기 위한 용지에 있어서, 열가소성수지섬유 5 내지 95중량%와 천연식물성섬유 95내지 5중량%로 이루어지며, 연화되어 섬유형태를 보유하는 상기 열가소성수지섬유가 상기 천연식물성섬유와 얽혀지므로써, 상기 용지는 가열 및 가압에 의해 일시적으로 접착될 수 있으며, 그후에 박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전엽서용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수지가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리덴, 폴리염화비닐,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미드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 폴리알킬렌 파라옥시벤조에이트,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그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전엽서용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식물성섬유가 목재섬유, 종자모섬유, 혁피섬유, 엽맥섬유, 벼과섬유 및 그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전엽서용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식물성섬유가 침엽수, 활엽수, 면, 카폭, 미쯔-마타, 닥나무, 일종의 서향식물, 뽕나무, 황마, 아마, 대마, 저마, 라미, 마닐라삼, 사이잘삼, 벼집, 왕겨, 대, 버개스, 아프리카 수염새 및 그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전엽서용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가 상기 열가소성수지섬유와 상기 천연식물성섬유의 총합의 100중량부에 대해 40중량부 이상의 충전제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전엽서용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제가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탄산칼슘마그네슘, 규산염, 규산, 수화알루미늄, 황산바륨, 황산칼슘, 아황산칼슘, 이산화티탄, 아연안료 및 그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전엽서용지.
  7. 친전엽서를 위한 용지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열가소성수지섬유 5 내지 95중량%와 천연식물성섬유 95 내지 5중량%를 함유하는 개시종이물질을 탈수시켜 종이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b) 상기 열가소성수지섬유의 연화점보다 낮지 않는 온도에서 종이층을 건조동안 또는 후에 가열하여 상기 열가소성 수지 섬유가 상기 천연식물성섬유와 얽혀지는 용지를 얻는 단계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용지는 이를 가열 및 가압함으로써 일시적으로 접착될 수 있으며 그후에 박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전엽서용지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a)전에 상기 열가소성수지섬유와 상기 식물성섬유가 분리하여 물에 균일하게 분산되어 함께 혼합되어서 상기 개시종이물질을 제조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전엽서용지의 제조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개시종이물질이 충전제, 응집제, 탈포제, 건조박리제 및 그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부가제를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전엽서용지.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개시종이물질이 상기 열가소성수지섬유 및 상기 천연식물성섬유를 0.1 내지 0.5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전엽서용지의 제조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에서 종이층이 상기 열가소성수지섬유의 융점보다 낮은 온도에서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전엽서용지의 제조방법.
KR1019890003133A 1988-07-07 1989-03-14 친전엽서용지 및 그의 제조방법 Expired KR9100061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046788 1988-07-07
JP63-90467(U) 1988-07-07
JP63-279419 1988-11-07
JP63279419A JPH02125792A (ja) 1988-07-07 1988-11-07 親展ハガキ用紙
JP63-300772 1988-11-30
JP63300772A JP2581594B2 (ja) 1988-07-07 1988-11-30 親展ハガキ及びその製造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1525A KR900001525A (ko) 1990-02-27
KR910006184B1 true KR910006184B1 (ko) 1991-08-16

Family

ID=27306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3133A Expired KR910006184B1 (ko) 1988-07-07 1989-03-14 친전엽서용지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074962A (ko)
KR (1) KR910006184B1 (ko)
DE (1) DE39086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49200A (en) * 1993-06-08 1995-09-12 Domtar, Inc. Security paper with color mark
US6045656A (en) * 1998-12-21 2000-04-04 Westvaco Corporation Process for making and detecting anti-counterfeit paper
KR101047811B1 (ko) * 2010-11-12 2011-07-08 최순환 울 섬유와 닥 섬유를 혼합한 방적사의 제조방법
JP2015160321A (ja) * 2014-02-26 2015-09-0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接着紙及び接着紙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572962A (en) * 1942-05-25 1945-10-31 Sylvania Ind Corp Paper product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GB1362344A (en) * 1971-07-23 1974-08-07 Gulf Research Development Co Paper product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US3953642A (en) * 1974-01-09 1976-04-27 Crown Zellerbach Corporation Pressure sensitive recording sheet
GB1569417A (en) * 1976-03-30 1980-06-18 Ici Ltd Sheet type wall covering or ceiling covering
EP0011488A1 (en) * 1978-11-17 1980-05-28 The Wiggins Teape Group Limited Heat bonded paper
JPH065191Y2 (ja) * 1986-06-28 1994-02-09 狭山化工株式会社 シ−ル付郵便葉書
US4885198A (en) * 1987-07-31 1989-12-05 Yoshikazu Kimura Sheets for use in correspondence
DE3831581A1 (de) * 1987-09-18 1989-04-13 Daimatsu Kagaku Kogyo Kk Postkart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1525A (ko) 1990-02-27
DE3908685A1 (de) 1990-02-15
US5074962A (en) 1991-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79919B2 (en) Molded articles from a fiber slurry
US5246772A (en) Wetlaid biocomponent web reinforcement of airlaid nonwovens
KR101007499B1 (ko) 강도가 증강된 티슈 제품
US5882746A (en) Laminated packag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US5102502A (en) Manufacture of highly compressed paper containing synthetic fibers
US8124919B2 (en) Single ply paper product, method for manufacturing, and article
WO2000006462A1 (en) Laminated package with enhanced interior and exterior
US4606951A (en) Water-resisting and oil-resisting laminated sheet
GB2147627A (en) Paper products and container materials
AU8338787A (en) Gypsum wallboard paper having imitation manila colored coating
KR910006184B1 (ko) 친전엽서용지 및 그의 제조방법
CA2331147C (en) Wallboard with improved roll-up resistance
US5387319A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a flat, fibrous, supple substrate, difficult to tear and substrate obtained
JPH07502578A (ja) リサイクル可能な重合合成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8269888A (ja) 生分解性を有する複合材料
JP2581594B2 (ja) 親展ハガキ及びその製造法
AU659171B2 (en) Packaging material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and disposing of said material
JPH02125792A (ja) 親展ハガキ用紙
JPH02125791A (ja) 親展ハガキ用紙及びその製造法
US7176151B2 (en) Laminate product, method for manufacturing, and article
US7547649B2 (en) Laminate product, method for manufacturing, and article
JP2023061025A (ja) 包装材およびペーパーロール包装体の製造方法
DE10125576A1 (de) Polstermaterial und gepolstertes Etikett
JPS591798A (ja) ヒ−トシ−ル性を有するビスコ−ス加工紙およびその製造法
JP2784003B2 (ja) 抄合せ食品用白板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0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1998081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19980817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