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5933B1 - Screen strobe control circuit - Google Patents
Screen strobe control circui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10005933B1 KR910005933B1 KR1019880007466A KR880007466A KR910005933B1 KR 910005933 B1 KR910005933 B1 KR 910005933B1 KR 1019880007466 A KR1019880007466 A KR 1019880007466A KR 880007466 A KR880007466 A KR 880007466A KR 910005933 B1 KR910005933 B1 KR 91000593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utput
- signal
- strobe
- counter
- scree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5—Mix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Studio Circu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시스템.1 is a system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도.2 is a circuit dia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화면 구성예시도.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ulti-screen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키보드부 200 : 마이콤부100: keyboard 200: microcomputer unit
300 : 아나로그 스위치부 400 : 아나로그 / 디지털 변환부300: analog switch unit 400: analog / digital conversion unit
500 : 콘트롤러부 600 : 듀얼포트 메모리부500: controller 600: dual port memory
700-900 : 제1-3 디지털 / 아나로그 변환부700-900: 1-3 Digital / Analog Converter
1000 : 칼라엔코더부1000: color encoder
본 발명은 텔레비젼 수상기 및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에 있어서 다중화면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면 스트로브(strobe) 및 스트로브 타임을 가변할 수 있는 다중화면 발생장치에서의 화면 스트로브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픽쳐-인-픽처(PIP : Picture - In - Picture)에서는 주화면과의 화상 소스가 다른 화상을 1/9로 축소하여 모니터상의 주화면 소정부분에 삽입하여 사용자가 2가지의 영상을 동시에 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또 다른 방법으로 상기 PIP와 같이 복수의 화면을 시청할 수 있는 기술로 2개 이상의 화상소스를 한 모니터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다중화면 발생장치가 있다.In general, picture-in-picture (PIP) reduces the picture of the picture source from the main picture to 1/9 and inserts the picture into a predetermined part of the picture on the monitor so that the user can simultaneously display two pictures. I could see it. In another method, there is a multi-screen generator that displays two or more image sources on one monitor as a technology for viewing a plurality of screens as in the PIP.
종래의 스트로브기능은 스트로브키를 누르게 되면 일정시간의 간격을 두고 여러개 화면이 차례로 나타나게 되어 있었다. 즉, 종래는 원할때마다 스트로브 키를 눌려서 스트로브 기능을 실행하는 것으로 소화면 내의 데이터가 1피일드나 1프레임 단위로 고정되며, 스트로브 타임을 가변할 수 없는 결점이 있었다.In the conventional strobe function, when the strobe key is pressed, several screens appear in sequence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That is, conventionally, when the strobe key is pressed whenever desired, the strobe function is executed, and the data in the small screen is fixed in units of one feed or one frame, and the strobe time cannot be chang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화면 발생 영상처리 장치에서 스트로브 기능을 갖도록 하는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ircuit having a strobe function in a small screen generating image processing apparatus.
본 발명의 다른 기능 스트로브 타임을 가변할 수 있는 있도록하는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ircuit for varying the strobe time.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시스템 블록도로서 사용자의 다중화면 모드 설정에 따라 명령어를 입력할 수 있는 키보드부(100)와, 상기 키보드부(100)의 다중화면 처리용 명령어를 체크하여 다중화면 처리용 클럭 및 데이터를 라인(201, 202)를 통해 발생하며 상기 데이터 출력상태를 데이터 검사 라인(203)으로부터 체킹하는 마이콤부(200)와, 비디오 신호 동기분리부(도시하지 않았음)로부터 발생된 주화면 및 소화면의 수직 및 수평동기신호를 라인(503-506)을 통해 받으며 발진부에서 제1, 2기준주파수를 라인(501, 502)을 통해 입력받아 상기 마이콤부(200)를 통해서 출력된 데이터에 의해 소화면의 수직 및 수평동기신호에 따라 주화면과의 소스가 다른 소화면의 다중화면 소스를 디지탈화하여 표시한 다중 윈도우 위치에 따라 데이터와 같이 라이트되도록 제어하고 주화면에 소화면으로 삽입할 시 주화면의 수직 및 수평동기신호에 따라 리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리드한 데이터를 아나로그화하여 모니터상에 다중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콘트롤러부(500)와 상기 콘트롤러부(500)의 라인(304-306)을 통해 출력되는 휘도(Y) 및 칼라(B-Y, R-Y)선택 스위칭 신호에 의해 라인(301-303)을 통해 입력되는 휘도(Y) 및 칼라(R-Y, B-Y)신호를 R-Y→Y→Y→B-Y→Y→Y→로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입력하는 아나로그 스위치부(300)와, 상기 아나로그 스위치부(300)의 출력을 콘트롤러부(500)의 출력 A/D변환 클럭단(CLK)의 샘플링 신호에 의해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아나로그/디지털 변환부(400)와, 2계통의 입출력단자를 가지며 쌍방의 포트로부터 독립적으로 억세스가 가능하여 주, 소화면 수직, 수평동기신호에 따라 상기 콘트롤러부(500) 라인(605-608)을 통해 출력하는 램덤포트의신호와 라인(603)을 통해 출력되는 어드레스신호(AR)에 의해 상기 아나로그/디지털 변환부(400)에서 디지털화 비디오 신호를 다중화면의 윈도우에 따라 억세스포트인 어드레스 데이터라인(603, 602)을 통해 직렬포트를 지나 저장되고 독출의 상기 랜덤포트의 제어신호 억세스포트의 어드레스 신호에 의해 직렬 포트를 통해 출력되는 듀얼포트메모리부(600)와, 상기 콘트롤러부(500)의 D/A변환용 샘플링 클럭에 따라 상기 듀얼포트메모리부(600)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데이터를 휘도 및 칼라신호별로 아나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제1-3 디지털 / 아나로그 변환부(700 - 900)와, 상기 콘트롤러부(500)의 라인(509, 510)을 통해 출력되는 합성동기 신호의 페레스탈 클램프 및 자화면위치 결정신호에 의해 상기 제1-3디지탈/아나로그 변환부(700-900)의 디지털신호를 라인(1001)을 통해 입력된 주화면 비디오 신호와 엔코딩하여 다중화면을 발생하는 칼라 엔코더부(1000)로 구성된다.1 is a system block diagram to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a multi-screen by checking a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도로서 상기 제1도의 마이콤부(200)의 라인(201)으로 출력되는 화면선택(1,2,4) 및 기능선택정보데이타를 데이터 입력단(S-IN)으로 받고 라인(202)으로 출력되는 신호를 클럽입력단(MIC-CLK)으로 받아 상기 데이터 입력단(S-IN)의 직렬데이타를 쉬프트하여 7비트 병렬데이타로 출력하는 쉬프트레지스터(110)와, 상기 마이콤부(200)의 라인(203)으로 출력되는 데이터 검사 신호를 데이터 검사단(MIC-STB)으로 받아 기준클럭단(2fsc : fsc = 3.539545MHz)의 클럭에 따라 소정 카운트하여 상기 쉬프트레지스터(110)의 출력 신호의 레벨을 펄스로 변환하도록 제어하는 제1카운터(120)와, 상기 쉬프트레지스터(110)의 소정 병렬 출력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 검사단(MIC-STB)의 입력 클럭 신호에 따라 래치한 후 상기 제2카운터(120)의 출력에 의한 리세트로 상기 병렬 출력데이타 레벨이 소정 펄스폭을 갖는 신호를 발생하여 화면 및 기능 선택을 위한 클럭 신호로 공급하는 제1래치회로(130)와, 상기 쉬프트레지스터(110)의 소정 출력을 데이터 검사단(MIC-STB)의 입력 클럭신호를 인버터(150)에서 반전한 클럭신호에 의해 래치한후 상기 제2카운터(120)의 출력에 의해 소정 펄스폭을 갖는 신호를 발생하여 스트로브 모드 제어를 위한 클럭 신호를 발생하는 제3래치회로(155)와, 상기 쉬프트레지스터(110)의 소정 출력 레벨을 상기 데이타 검사단(MIC-STB)의 클럭 신호에 의해 래치하여 스트로브 상승 및 하강모드를 세팅하는 제2래치회로(140)와, 4화면의 정보입력에 따라 셀렉팅되고 상기 제2래치회로(140)의 출력에 따라 제1-3라인(161-163)으로 입력되는 스트로브 설정 값을 선택하여 로딩하는 멀티플렉셔(160)와, 상기 제2래치회로(140)의 출력에 의해 상승 / 하강 카운팅 모드가 설정되어 상기 제3래치회로(155)의 출력을 클럭으로 하여 상기 멀티 플렉셔(160)의 출력을 상기 설정된 상승 및 하강 카운팅 모드에 따라 스트로브 레벨을 상승 및 하강에 의해 카운팅하는 제3카운터(180)와, 라인(SVS)으로 입력되는 소화면 수직동기 신호를 소정치까지 카운팅하는 제2카운터(170)와, 상기 제2카운터(170)의 출력과 제3카운터(180)의 출력을 디코딩하여 원하는 스트로브타임을 결정하는 디코더(190)와 상기 4화면의 설정 모드가 지정되고 상기 제3카운터(180)의 출력을 카운트하여 상기 디코더(190)의 출력에 따라 로딩되어 스트로브 로딩값의 설정으로 라인 제1-3라인(161-163)을 통해 상기 멀티플렉셔(160)에서 선택되도록 하는 제4카운터(108)와, 상기 디코더(190)의 설정된 해당출력의 상기 제2카운터(170)을 클리어하는 인버터(153)와, 상기 디코더(190)의 출력에 따라 선택되어 라인(D6, D7)을 통해 듀얼포트메모리부(600)의 상기 2비트 변환으로 카운팅에 따라 화면 스트로브를 제어하는 선택부(109)로 구성된다.FIG. 2 is a circuit dia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receives screen selections (1, 2, 4) and function selection information data output to the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화면 구성예시도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ulti-screen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구성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 일실시예를 1, 2, 3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사용자가 키보드부(100)를 통해 스트로브 타임을 가변시키고자 할 때 스트로브 업이나 다운키를 누르게 된다. 상기 누른 키입력을 마이콤부(200)에서 처리하여 콘트롤러부(500)로 입력하면 콘트롤러부(500)에 입력된 스트로브 기능 및 가변 코멘드를 처리하여 듀얼포트 메모리부(600)의 어드레스 버스(AR)의 상위 2비트의 변환으로 키입력에 따라 스트로브 기능을 제어하도록 한다. 콘트롤러부(500)내부에서 스트로브 기능에 따른 처리를 제2도에서 상세히 설명하면, 마이콤부(200) 라인(201)을 통해 화면선택 및 기능 선택정보의 직렬 데이터를 쉬프트레지스터(110)의 데이터 입력단(S-IN)으로 입력되어 클럭입력단(MIC-CLK)으로 입력되는 클럭에 따라 쉬프트하여 병렬로 7비티로 출력된다.Based on the above configuration,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1, 2, and 3, when the user presses the strobe up or down key to change the strobe time through the
그리고 마이콤부(200)의 라인(203)을 통해 출력되는 데이터 검사신호를 데이터 검사단(MIC- STB)으로 받아 기준클럭단(2fc)의 클럭에 따라 다운 카운트되도록 하여 동시에 상기 데이터 검사단(MIC- STB)의 신호를 제1-2호래치회로(130, 140)의 클럭으로 입력하며, 상기 쉬프트레지스터(110)의 출력데이타를 래치하고, 상기 데이터 검사단(MIC-STB)의 신호를 인버터(150)에서 반전하여 제3래치회로(155)의 클럭단으로 입력하며, 상기 쉬프트레지스터(110)의 소정출력을 래치한다. 이 때 상기 제1카운터(120)의 카운팅값이 소정치에 도달했을 때 제1,3래치회로(130, 155)를 클리어 하여 래치된 레벨을 "로우'로 떨어뜨리어 제1래치회로(130)의 출력단 (Bito-bit4) 신호를 화면 및 기능 선택을 위한 클럭으로 이용하고 제3래치회로(155)의 출력단(bit6)의 신호를 제3카운터(180)의 클럭으로 입력되어 스트로브 모드시 클럭으로 이용된다. 그리고 제2래치회로(140)의 출력에 따라 스트로브 변환레벨을 설정하는 데 스트로브 상승 및 하강 키를 압압하기전에서 자동적으로 멀티플렉셔(160)에서 제1라인(161)의 중간 값(6)을 선택하여 제2래치회로(140)의 출력에 따라 제3카운터의(180) 상승 / 하강 카운팅한다.The data inspection signal output through the
예를 들어 제2래치회로(140)의 출력단(Bit5)의 출력이 "로우"일 때 제3카운터(180)은 다운 카운팅 모드로 설정되어 멀티플렉셔(160)에서 로딩된 값을 다운 카운팅한다. 즉 6일 때 5→4→3→…1로 다운카운팅하여 디코더(190)에 입력하고, 제2래치회로(140)의 출력단(Bit5)의 출력이 "하이"일 때 제3카운터(180)가 업 카운팅 모드로 설정되어 업 카운팅한다.For example, when the output of the output terminal Bit5 of the
즉 6일 때 6→7→8…11로 상승카운팅하여 디코더(190)로 입력하여 제4카운터(108)로 상기 멀티플렉서(160)로부터 로딩된 6의 값을 입력하고 상기 4화면 선택에 따른 신호를 라인(165)로 입력하여 카운팅을 실행한다. 그리고 제2카운터(170)은 라인(171)으로 입력되는 소화면 수직동기 신호를 10단위로 110까지 카운팅하여 상기 제3카운터(180)의 출력과 같이 디코더(190)에 입력한다. 디코더(190)는 원하는 스트로브 타임을 결정하는 것으로 제3카운터(180) 출력이 6이고 제2카운터(170)의 출력이 60일때와 같이 제3카운터(180)의 출력이 7이고, 제2카운터(170)의 출력이 70이거나, 제3카운터(180)의 출력이 8이고 제2카운터(170)의 출력이 80이거나 …할 때 타임은 가변하여지며 이때 디코더(190)의 해당 출력을 "하이"가 되어 상기 제4카운터(108)의 카운트 값을 로팅시켜 1-3라인(161-163)을 통해 상기 멀티플렉셔(160)으로 입력되고 인버터(153)을 통해 제2카운터(170)을 클리어하고 선택부(109)의 클럭으로 입력되어 선택부(109)의 출력라인 (D6, D7)의 값을 변환시킨다.That is, when 6, 6 → 7 → 8... Counting up to 11 and inputting to the
상기 선택부(109)의 출력라인(D6, D7)은 제1도의 듀얼포트메모리부(600)의 어드레스 버스(AR)의 상위 2비트에 해당되는 것으로 디코더(190)의 출력에 따라 00→01→10→11로 변화시켜 모니터의 설정 윈도우에 따라 라이트하는 위치로 변환시켜 움직이는 타이밍을 가변한다.The output lines D6 and D7 of the
제3도의 소화면 발생 위치에 따라 상술한 실시예를 간추려보면 스트로브 타임 가변모드가 되면 소화면의 1개일 경우에는 최초의 디폴트값 θ개의 (θ〉0) 소화면 수직동기신호(Vsync)동안 소화면이 움직이고 다음의 θ개의 소화면 수직동기신호(Vsync)동안은 소화면이 정지된 상태를 반복한다.Referr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small screen generation position of FIG. 3, when the strobe time variable mode is entered, in the case of one of the small screens, the first default value θ is small during the (θ> 0) small screen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Vsync). The screen is moved and the small screen is stopped for the next θ small screen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s (Vsync).
스트로브 타임 다운 신호가 마이콤부(200)로부터 입력되면 최초의 디폴트 값θ개의 Vsync에서 d개(d〉0)의 V sync를 뺀(e-d)개의 Vsync동안 소화면이 움직이고 다음의 (e-d)개의 V sync 동안은 소화면이 정지된 상태를 반복한다. 계속해서 스트로브 타임 다운 카운트 제어신호가 들어오면 현재의 반복주기에서 각각의 다운 신호 입력마다 d개의 Vsync를 뺀 주기로 동작을 반복하면 된다.When the strobe time-down signal is input from the
스트로브 타임 업 신호가 들어오면 현재의 반복 주기에서 d개의 V sync를 더한 주기로 동작을 반복하면된다. 4화면에서의 스트로브 타임 가변을 최초의 디폴트 값이 θ개의 Vsync 동안은 제3도에서 (1)의 위치만 소화면이 움직이고 (2), (3), (4)의 위치의 소화면은 정지 상태이며 다음의 θ개의 V sync동안은 (2)의 위치에 있는 자화면은 움직이고 (1), (2), (3) 위치의 화면은 정지상태가 된다. 다음의 θ개의 V sync동안에는 (3)의 위치에 있는 소화면을 움직이고 (1), (2), (4)의 위치에 있는 소화면은 정지 상태가 된다. 다음의 θ개의 V sync동안은 (4)의 위치에 있는 소화면은 움직이고 (1)(2)(3)의 위치에 있는 자화면은 정지상태가 된다.When the strobe time-up signal comes in, the operation may be repeated in the current repetition period plus d syncs. While the initial default value is θ Vsync, the small screen moves only the position of (1) in FIG. 3 and the small screen of the positions of (2), (3), and (4) stops. During the next θ V syncs, the child screen at position (2) moves and the screens at positions (1), (2), and (3) become stationary. During the next θ V syncs, the small screen at position (3) is moved, and the small screens at positions (1), (2) and (4) are stopped. During the next θ V syncs, the small screen at position (4) moves and the child screen at position (1) (2) (3) is stopped.
상기와 같은 동작을 계속해서 반복한다. 스트로브 타임 다운 산호가 들어오면 현재 반복되고 있는 주기에서 d개의 V sync를 뺀 나머지의 V sync동안 앞의 설명한 동작을 반복한다. 그리고 다운 신호가 들어올때마다 현재의 반복 주기에서 d개의 V sync를 뺀 주기로 반복하고 스트로브 타임 업 신호가 들어오면 현재의 반복 주기에서 d개의 V sync를 더한 주기로 앞의 동작을 반복한다.The above operation is repeated repeatedly. When the strobe time-down coral comes in, the previously described operation is repeated for the remaining V sync minus d V syncs in the current cycle. Whenever the down signal is input, the repeating operation is repeated by subtracting d syncs from the current repetition period, and when the strobe time up signal is received, the previous operation is repeated by adding d syncs from the current repetition period.
상술한 바와 같이 스트로브의 n단개(n〉0)의 스트로브 구간을 세팅하여 사용자의 업 및 다운 키를 누를 때 마다 n값이 변하게 하여 n에 세팅하는 세팅값동안 각각의 자화면을 용이하게 움직이며 움직이는 타임을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가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by setting the n strobe (n> 0) strobe section of the strobe, each time the user presses the up and down keys, the n value is changed to easily move each sub screen during the setting value set to 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moving time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
Claims (1)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880007466A KR910005933B1 (en) | 1988-06-21 | 1988-06-21 | Screen strobe control circui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880007466A KR910005933B1 (en) | 1988-06-21 | 1988-06-21 | Screen strobe control circui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00001228A KR900001228A (en) | 1990-01-31 |
KR910005933B1 true KR910005933B1 (en) | 1991-08-08 |
Family
ID=19275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80007466A Expired KR910005933B1 (en) | 1988-06-21 | 1988-06-21 | Screen strobe control circui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10005933B1 (en) |
-
1988
- 1988-06-21 KR KR1019880007466A patent/KR910005933B1/en not_active Expir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00001228A (en) | 1990-01-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161012A (en) | Multi-screen generation circuit | |
US6806911B2 (en) | Display system with single/dual image modes | |
KR900002634A (en) | Multi-screen generation image processing circuit | |
US4136359A (en) | Microcomputer for use with video display | |
US5426468A (en) | Method and apparatus utilizing look-up tables for color graphics in the digital composite video domain | |
KR980010977A (en) | Image sizing device of digital display monitor | |
US5206714A (en) | Circuit for controlling the time interval between rotational movements of a plurality of subordinate pictures in a picture-in-picture-type television or VTR system and method therefor | |
KR970000824B1 (en) | Digital image synthesizing apparatus | |
KR910005933B1 (en) | Screen strobe control circuit | |
EP0561358B1 (en) | Video control circuit for multimedia applications | |
US4786893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RGB color signals from composite digital video signal | |
KR910006159B1 (en) | Multi Screen Generation Circuit | |
US4568964A (en) | Color television picture display device having a flicker reduction circuit | |
JPH05292476A (en) | General purpose scanning period converter | |
US6329982B1 (en) | Programmable pulse generator | |
KR100536436B1 (en) | Image reproducing apparatus, projectors, image reproducing systems and information storage media | |
KR920002048B1 (en) | Television system | |
KR910005328B1 (en) | Mosaic screen generating circuit and method for TV or video tape recorder | |
KR920001160B1 (en) | On-screen text recording circuit during video tape recorder recording | |
KR910009512B1 (en) | Screen art circuit and method of tv or vtr | |
KR100237421B1 (en) | Conversion device of scanning line in the output signal of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
KR890004766Y1 (en) | Still picture control circuit | |
KR920003651B1 (en) | Desktop processing circuit of multi-screen display | |
KR100230299B1 (en) | Multi Closed Circuit TV Unit | |
KR19990056559A (en) | Noise reduction method and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PG1605 |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20726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30809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30809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