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10005504Y1 - 증숙기의 안전 구동회로 - Google Patents

증숙기의 안전 구동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5504Y1
KR910005504Y1 KR2019890000211U KR890000211U KR910005504Y1 KR 910005504 Y1 KR910005504 Y1 KR 910005504Y1 KR 2019890000211 U KR2019890000211 U KR 2019890000211U KR 890000211 U KR890000211 U KR 890000211U KR 910005504 Y1 KR910005504 Y1 KR 9100055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r
triac
volume
circuit
transis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002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4195U (ko
Inventor
공병성
Original Assignee
공병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병성 filed Critical 공병성
Priority to KR20198900002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5504Y1/ko
Publication of KR9000141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419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55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504Y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02Switches
    • H05B1/0225Switches actuated by ti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증숙기의 안전 구동회로
첨부 도면은 본 고안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가 : 초기시동회로 나 : 초기시동 보호회로
다 : 정류회로 라 : 구동스위칭회로
마 : 설정시간 타이머회로 바 : 증숙기
Q1, Q2: 트랜지스터 D1, D2, D3: 다이오드
VR, VR1, VR3, VR4: 볼륨(가변저항) R1, R2, R3: 저항
C1, C2, C3, C4: 콘덴서 Y : 릴레이 개폐단자
H : 히이터
본 고안은 히이터의 부하 일측선에 트라이액과 가변저항을 병열로서 결선하여 트라이액에 초기 시동회로와 가변저항에 구동스위칭 회로로서 구성시킨 증숙기의 안전 구동회로에 관한 것으로 초기시동시에 과전류의 흐름을 제어할수 있도록 함과 수증기의 분출량을 임의로 조정할수 있도록 하며, 사용시에 원하는 시간 간격으로 정지가동을 자동화할 수 있도록함에 주안점을 둔 것이다.
종래에 전원공급에 의하여 히이터를 가열하는 증숙기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가변저항에 의하여 히이터의 가열정도를 조절하였으나 이는 시동시에 입력전원이 가변저항을 통하여 히이터에 직접 걸리게 되어 과부하로 인하여 퓨우즈가 쉽게 떨어지게 되고 과전류에 의한 부하의 공급이 불안전하여 기기의 손상 및 전력손실이 가중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결점을 적게하기 위하여 시동시에 과전류의 흐름을 제어할수 있는 시동회로와 구동스위칭 회로 및 설정시간 조정타이머 회로를 결합시켜 초기 시동시에 과전류의 흐름의 제어와 수증기의 분출량 조정 및 구동시차시간의 전지가동을 자동화 할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입력부(AC)의 일측선(A)을 주전극으로 하는 트라이액(TRIAC)을 설하여 일측주전극에 콘덴서(C1)와 다이액(D1)을 직열로서 다이액(D)의 출력측을 트라이액(TRIAC)의 게이트에 연결하여 초기시동회로(가)를 구성하며, 콘덴서(C1)와 병열접속한 다이액(D1)의 입력측은 다이오드(D2)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에 연결하되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측은 볼륨(VR1)을 설한 시동타이머(TIMER)의 아우트측에 저항(R2)을 통하여 연결하여 초기시동 보호회로(나)를 구성한 콘덴서(C1)과 다이액(D1)및 다이오드(D2)의 접속점에 정류회로(다)의 출력단(VCC)과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에 결선되어 입력부(AC)의 일측선(A)과 연결된 개폐단자(Y)를 설하는 릴레이(RELAY)와 저항(R1)을 병열접속한 다음 이 저항(R1)에 메인스위치(SW)와 연동하여 결선시킨 볼륨(VR4)을 직열 연결하여 구동스위치회로(라)를 구성하였으며 이 구동 스위칭 회로(라)의 볼륨(VR4)은 초기시동회로(나)인 트라이액(TR)의 타측 주전극과 병열접속으로서 히이터(H)를 통하여 입력부(AB)의 타측선(B)과 전원회로를 구성하였다.
또한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는 볼륨(VR2)을 설한 타이머(TIMER2)와 볼륨(VR3)을 설한 타이머(TIMER3)아우트 단자에 콘덴서(C3)(C4)로서 각각 연결하여 설정시간 타이머회로 (마)를 구성시킨 타이머(TIMER3)에 접속하는 콘덴서(C4)와 타이머(TIMER2)의 아우트단자 병열하여 접속하는 저항(R3)을 연결하여 구성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바"는 히이터(H)를 장설시킨 증숙기를 표시한 것이다.
이와같은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메인스위치(SW)를 ON시키면 볼륨(VR4)과 저항(R1) 및 콘덴서(C1)를 통하여 부하전원이 충방전을 개시되면서 다이액(D1)를 통하여 트라이액(TRIAC)의 게이트에 신호를 가하여 줌에 따라 트라이액(TRIAC)이 도통되어 히이터(H)에 전류가 공급되어 초기시동을 개시함과 동시에 트라이액(TRIAC)을 보호하는 초기시동 보호회로 (나)에 구성되어 있는 타이머(TIMER1)에 접속된 볼륨(VR1)의 설정시간 동안 타이머(TIMER1)가 구동되어 저항(R2)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1)를 도통시킴에 따라 볼륨(VR4)과 저항(R1) 및 다이오드(D2)를 통하여 트랜지스터(Q1)에 의하여 전류가 흐르게 되어 증숙기(바)내에 장설된 히이터(H1)의 시동이 완료되게 되는데 이는 타이머(TIMER1)의 구동시간동안을 의미하며, 이 타이머(TIMER1)는 트라이액(TRIAC)의 보호기능을 갖는다.
이와같이 초기시동이 완료되면 설정시간 타이머회로(마)로 구성되어 있는 타이머(TIMER2, TIMER3)에 접속된 볼륨(VR2, VR3)의 조정에 의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동안 타이머(TIMER2, TIMER3)가 구동되어 저항(R3)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2)를 ON시키게 됨에 따라 릴레이(RELAY)가 여자되게 되어 릴레이 개폐단자(Y)가 접속되게 됨에 따라서 전류가 저항(R1)과 볼륨(VR4)을 통하여 흐름으로서 히이터(M)에 정류회로(다)에서 정류된 출력단(VCC)의 DC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타이머(TIMER2, TIMER3)의 설정시간 동안 증숙기(바)를 가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트라이액(TRIAC)을 사용하여 볼륨(VR4)에 의하여 전류를 임의로 조정하여 위상을 제할수 있도록 하는 바 이는 트라이액(TRIAC)의 게이트에 연결된 다이액(D1)을 통하여 콘덴서(C1)와 저항(R1)및 볼륨(VR4)에 의하여 설정된 시정수에 의거하여 위상을 제어할수 있는 것이며, 타이머(TIMER)는 볼륨(VR1)에 의거하여 설정된 시간동안 출력되어 저항(R2)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1)를 도통시켜 다이오드(D2)를 통하여 콘덴서(C1)에 의하여 발생되는 반파의 충전을 방지하게 되어 트라이액(TRIAC)에는 반파만 도통하게 되므로 시동전류를 반감시키는 것이며, 이때 증숙기(바)에 장설된 히이터(H)가 가열된 상태로서 타이머(TIMER1)가 동작되면 트랜지스터(Q1)가 OFF 된 상태로서 전류가 흐르게 되는 것이며, 타이머(TIMER2, TIMER3)는 콘덴서(C3, C4)를 통하여 교대로 작동하게 되어 볼륨(VR2, VR3)에 의거하여 설정된 시간동안 트랜지스터(Q2)통하여 릴레이(RELAY)를 ON, OFF시켜줌에 따라서 전류를 ON, OFF 시킬수 있도록한 것이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은 트라이액을 사용하여 시동시에 위상을 제어하여 전류를 임으로 가감할수 있게 하여, 일정한 시간동안 반파만을 흐르게 하여 과전류를 방지함과 시간설정용 타이머 2개를 사용하여 교대로 작동하게 하여 증숙기의 작동을 임의로 설정한 시간동안 자동으로 정지 및 가동할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보다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할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입력부(AC)의 일측선(A)을 주전극으로 하는 트라이액(TRIAC)을 설하여 콘덴서(C1)와 직열시킨 다이액(D1)을 통하여 트라이액(TRIAC)의 게이트에 연결하는 구성의 초기시동회로(가)를, 콘덴서(C1)와 접속한 다이액(D)의 입력측에 다이오드(D2)볼륨(VR1)을 설한 시동 타이머(TIMER1)의 아우트측에 연결한 저항(R2)을 각각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에 베이스측에 연결시켜 구성한 초기시동 보호회로(나)와,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와 연결하여 개폐단자(Y)를 설한 릴레이(REALY)를 트라이액(TRIAC)의 입력측과 병렬접속한 저항(R1)을 통하여 볼륨(VR4)을 연결시킨 구동스위칭 회로(라) 및 볼륨(VR2, VR3)을 각각 설한 타이머(TIMER2, TIMER3)에 콘덴서(C3, C4)를 상호 연결하여 콘덴서(C4)를 연결한 타이머(TIMER2)의 아우트단자에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와 연결하는 저항(R3)을 연결하여 구성한 설정시간 타이머회로(마)를 회로로서 결합하여서 된 증숙기의 안전구동회로.
KR2019890000211U 1989-01-11 1989-01-11 증숙기의 안전 구동회로 Expired KR9100055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0211U KR910005504Y1 (ko) 1989-01-11 1989-01-11 증숙기의 안전 구동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0211U KR910005504Y1 (ko) 1989-01-11 1989-01-11 증숙기의 안전 구동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4195U KR900014195U (ko) 1990-08-01
KR910005504Y1 true KR910005504Y1 (ko) 1991-07-27

Family

ID=19283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0211U Expired KR910005504Y1 (ko) 1989-01-11 1989-01-11 증숙기의 안전 구동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550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4195U (ko) 1990-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6639B1 (ko) 단상 유도 전동기의 기동용 전자회로
CA2162475C (en) Steam ironing press
US4968870A (en) Hair curling appliance power control circuit
KR910005504Y1 (ko) 증숙기의 안전 구동회로
IE47893B1 (en) Electric hairdrier
CN201033383Y (zh) 一种节能电烙铁
US5556490A (en) Indicating binding times
RU2021403C1 (ru) Нагрева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970003978Y1 (ko) 세탁기의 모터제어장치
EP0347989A1 (en) Washing machine with improved pump control device for closing a valve, in particular a flap valve, for detergent economy, and control device suited for use in a washing machine
SU1446609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регулировани температуры
KR830005749A (ko) 교류전동기 제어장치
KR880002287Y1 (ko) 의류건조기의 히터 제어장치
KR940006486B1 (ko) 가정용 음전위 치료기
JPH1155957A (ja) インバータを起動させるための回路
JPH0117278Y2 (ko)
KR900000705Y1 (ko) 냉장고의 급속 냉동, 냉장 시간 제어회로
KR900011243Y1 (ko) 전기밥솥 회로
JP3096319U (ja) 豆腐製造器
JPH0229300A (ja) 電気アイロンの安全装置
EP0700466B1 (en) Steam ironing press
JPS5832352Y2 (ja) トランスレス制御機器の出力回路
KR890009367Y1 (ko) 진공 포장기의 가열 접착 절단장치
JPS6340177Y2 (ko)
JPS634374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890111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890111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10628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1101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1122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1122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412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03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806

Year of fee payment: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080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