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910005378B1 - 브라시노라이드 유사체 - Google Patents

브라시노라이드 유사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5378B1
KR910005378B1 KR1019870008041A KR870008041A KR910005378B1 KR 910005378 B1 KR910005378 B1 KR 910005378B1 KR 1019870008041 A KR1019870008041 A KR 1019870008041A KR 870008041 A KR870008041 A KR 870008041A KR 910005378 B1 KR910005378 B1 KR 910005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gnan
hydroxy
trihydroxy
methyl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8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1924A (ko
Inventor
조광연
허만욱
김영섭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한국화학 연구소
채영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한국화학 연구소, 채영복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한국화학 연구소
Priority to KR1019870008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5378B1/ko
Publication of KR890001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19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5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3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JSTEROIDS
    • C07J5/00Normal steroids containing carbon, hydrogen, halogen or oxygen,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hain of two carbon atoms, e.g. pregnane and substituted in position 21 by only one singly bound oxygen atom, i.e. only one oxygen bound to position 21 by a single bo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Steroid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브라시노라이드 유사체
본 발명은 신규의 브라시노라이드 유사체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식물 생장 조절제로서 유용한 하기 일반식(I)의 브라시노라이드 유사체에 관한 것이다.
Figure kpo00001
상기 식중, R은 수소, 탄소수 1-10개의 직쇄 지방족기, 탄소수 3-10개의 측쇄지방족기, 시클로기, 메틸메틸술포닐기, 에톡시 메틸기 1-3개의 저급알킬로 치환되어도 좋은 방향족 또는 복소환기를 나타낸다.
상기 일반식(I) 화합물의 기에 대한 설명중, 직쇄지방족기란 탄소수 1-10개의 알킬기, 탄소수 2-10개의 알케닐을 의미하며, 측쇄지방족기란 이소프로필, 이소부틸, 이소펜틸, 이소헥실, 이소헵틸, 이소옥틸, sec-부틸, sec-펜틸, sec-헥실, sec-헵틸, sec-옥틸, ter-아밀, ter-헥실, ter 헵틸, ter-옥틸기를 의미한다.
또한 시클로기란 탄소수 3-10기의 시클로알킬기, 시클로알케닐기, 시클로알킬저급알킬리를 나타낸다. 방향족기란 페닐기, 1-3개의 저급알킬기가 치환된 페닐기, 벤질기, 1-3개의 저급알킬기가 치환된 벤질기, 페닐 에테닐기, 페닐저급알킬기, 1-3개의 저급알킬기가 치환된 페닐저급알킬기 등을 나타내며, 1-3개의 저급알킬리로 치환되어도 좋은 복소환기란 피리딜기, 1-3개의 저급알킬기로 치환된 피리딜기, 푸라닐기, 1-3개의 저급알킬기로 치환된 푸라닐기, 푸라닐저급 알킬기, 옥사졸기, 이소옥사졸기, 저급알킬기로 치환된 이소옥사졸기, 옥사졸저급알킬기, 티오페닐기, 저급알킬기로 치환된 티오페닐기, 티오페닐저급알킬기, 티로피라닐기 등을 나타낸다.
하기 일반식(A)의 브라시노라이드 화합물은 1979년 미국의 클로브 등에 의해 유체의 화분으로부터 처음으로 분리된 화합물로서(Nature, 281,216,1979) 식물 생육촉진 물질이며, 이는 1980년풍 등이 입체 선택적으로 합성했다[J.Am.Chem.Soc., 102,6580(1980)].
Figure kpo00002
그후, 이 화합물이 식물의 생장에 미치는 효과가 여러면에서 검토되었다(Chem & Eng. News, Nov.5,20,1979). 브라시노라이드는 강력한 식물 생장 촉진 효과를 갖는다고 보고되어 있으며, 이는 식물 세포의 길이 생장과 세포분열의 촉진에 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들 물질은 극히 낮은 농도(1×10-4μg/ml)에서도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어 왔다[Agric. Bio. Chem, 48(3), 719-726, 1984, ibid 47(5), 1139-1141, 1983].
현재 이런 종류의 화합물들을 농업에 이용하려는 시도가 미국, 일본, 유럽 등에서 널리 행하여지고 있으며, 상당히 성공적인 결과들이 보고되고 있다.
첫번째 시도는 보통식물보다 더 빠르게 꽃이 피고 열매가 맺으며, 빨리 익게하는 시도가 벼, 딸기, 양상치, 대두콩과 보리등에 행하여졌으며, 이 실험결과, 이들 브라시노라이드가 유묘 상태의 식물에 대해, 태양광을 좀더 효과적으로 이용케하는 것으로 믿어지고 있다. 이제 막 싹이 트는 식물체의 약 1에이커의 면적에 1mg 정도만 뿌려도 조기 수확등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것으로 믿어져, 우리나라, 캐나다, 알래스카와 같은 비교적 북쪽에 위치한 지역에서 수확기를 단축함으로서 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비교적 따뜻한 나라에선 1번 더 수확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고 볼 수 있다.
둘째로, 브라시노라이드는 식물체가 잡초와 곤충, 질병 그리고 그외의 여러 불리한 환경적인 요건(서리, 가뭄)에 가장 취약한 시기인 유묘시기에 이를 강하게 하여 주기 때문에 최종 산물의 상태가 좋고, 더욱 커질 수 있다. 브라시노라이드로 처리할 경우, 뿌리가 굳건해져(예, 딸기, 토마토, 콩에서), 조기 수확 뿐만 아니라 노화도 늦추어 주는 것으로 믿어지고 있다. 실제 미국 농무성의 연구팀의 연구 결과로는 몇몇 작물에서 약 15%-20%의 증수가 있었고, 감자의 눈에 발라준 결과 그 크기가 커져 시장에서의 인기가 좋았다고 하며, 콩의 온실 실험에선 32%나 증수가 있었다고 한다.
이 화합물은 그후 연구 결과[T.Morishita, H.Abe, M.Uchiyama, S.Marumo, S.Takatsuto and N.Ikekawa, Phytochem., 22, 1051(1983)
Figure kpo00003
47(10), 2419-2420(1983)]에 의하면, 자연계에도 널리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앞으로 농업적인 면에서 광범위한 응용이 기대되고 있는 화합물이다.
그러나, 이 화합물은 그 구조에서 알 수 있듯이, 7개의 키랄중심(Chiral Center)을 가지고 있으며, 그 구조가 복잡하여 대량 생산에 문제가 있으며, 자연 상태에서 불안정하여 쉽게 그 효과를 상실하는 결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식물에 대해 브라시노라이드와 같은 생리적인 효과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합성이 용이하고 생산 가격이 저렴한 화합물을 개발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를 한 결과, 브라시노라이드의 측쇄가 생물학적 활성을 좌우하는 중요한 인자임을 발견하였다. 즉 측쇄의 길이가 탄소사슬로 볼때 3개 내지 5개의 범위에 있어야 하며, 적절한 소수성을 갖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의 요구도를 충족하는 여러 화합물들을 제조하였고, 특히 방향족 화합물을 측쇄에 도입한 화합물들도 제조하였다. 이들 화합물들에 대해 라미나조인트법으로 실험한 결과, 강력한 생리활성을 가지고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신규의 상기 일반식(I) 브라시노라이드 유사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반식(I)의 브라시노라이드 유사체는 하기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즉, 하기 일반식(II)의 6, 6-에틸렌-2α,3α-이소프로필렌-디옥시-5α-프레그난, 20s-카르복스알데히드를 리튬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와 같은 환원제로 환원시켜 하기 일반식(III-B)의 화합물을 얻은 후 산으로 처리하여 2α, 3α위치의 보호기를 제거하여 하기 일반식 (III-B)의 화합물을 얻은 후 이를 보란과 반응시켜 6위치의 케톤기를 환원시켜 상기 일반식(I) 화합물을 얻거나, 상기 일반식(II) 화합물을 그리나드시약과 같은 유기금속화합물과 반응시켜 생성된 하기 일반식(III-C)의 화합물을 산으로 처리하여 하기 일반식(III-D)의 화합물을 얻은 후, 이를 보란과 반응시켜 6위치의 케톤기를 환원시켜 일반식(I)의 화합물을 제조한다.
Figure kpo00004
Figure kpo00005
Figure kpo00006
Figure kpo00007
Figure kpo00008
상기 식중 R은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일반식(II)의 화합물은 하기의 합성 경로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Figure kpo00009
상기 일반식(II)의 화합물도 신규하며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합성 공정 중 온도 용매등의 조건을 절대적인 수치가 아니고 바람직한 조건을 나타냄은 말할 나위도 없다. 상기 합성 경로를 약술하여 명백히 한다.
상업적으로 쉽게 구할 수 있는 스티그마스테롤(IV)을 피리딘 속에서 p-톨루엔술포닐 클로라이드로 반응시켜 스티그마스테롤-3-톨실레이트(V)를 얻는다. 이를 용매화 분해하여 i-스티그마스테롤(VI)을 만든경우, 피리딘-삼산화크롬으로 산화하여 6-케토화합물(VII)을 얻은 다음 술포란을 용매로 하여 톨루엔 술포닐 히드록시드로 재배열(rearrangement)시키면 2,22-디엔 화합물(VIII)가 얻어진다. 이것을 아세톤을 용매로하여 건조 질소하에서 촉매 오스밀화 반응(Osmylation)시키면 2,3-디히드록시-22-엔-5α-스티그마스톤-6-온(IX)이 얻어진다. 이를 히드록시기와 케톤기 부분을 보호한 후에, -70℃에서 오존으로 2중결합을 잘려서 상기 출발물질인 알데히드(II)을 얻는다.
본 발명의 일반식(I)의 브라시노라이드의 제조방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일반식(II)의 6,6-에틸렌-2α,3α-이소프로필렌-디옥시-5α-프레그난-20s-카르복스알데히드를 불활성 유기용매를 녹이고, 환원제로 환원시켜 일반식(III)의 6-에틸렌-2α,3α-이소프토리덴디옥시-20-히드록시-메틸-5α-프레그난을 얻은 후 이를 테트라히드로푸란과 같은 불활성 유기용매에 녹인 후 염산 수용액과 같은 산성용액을 가하여 보호기를 제거하여 일반식(VI)화합물을 얻는다.
이 화합물을 불활성 유기용매에 녹인 후 보란-테트라히드로푸란 컴플렉스와 반응시킨 후, 수산화물과 같은 알칼리 용액을 가한 후 과산화물 등과 반응시켜 6-위치의 케톤기를 환원시켜 본 발명의 목적화합물을 얻는다. 상기 반응을 통상의 공지방법으로 목적 화합물을 얻을 수도 있다. 이하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일반식(Ⅰ)의 브라시노라이드의 제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스티그마스테릴-3-토실레이트(Ⅴ)의 제조
p-톨루엔 술포닐 클로라이드(18.0gr)을 건조 피리딘(200㎖)에 녹인 스티그마스테롤(15.0gr)의 용액에 가한다. 위의 반응 혼합물을 상온의 암실에서 12시간 반응을 시킨 다음, 5%의 중탄산칼륨 수용액 1ℓ에 교반을 시키면서 서서히 붓는다. 이때 생성되는 고형상의 침전물을 여과하고 침전물에 묻은 피리딘을 제거하기 위해 수회 물로 씻은 다음 감압하 그리고 60℃이하에서 건조시킨다. 무수아세톤에서 재결정을 한다.
결정은 흰색이다. 수율은 정량적이다.
융점 : 132-132℃
Figure kpo00010
[실시예 2]
i-스티그마스테롤의 제조
스티그마스테롤-3-토실레이트(5.5gr)와 중탄산칼륨(3.2gr)을 아세톤(2ℓ)에 녹인 다음, 물(200㎖)을 여기에 더한다. 위의 반응 혼합물을 1시간 동안 환류시킨 다음, 아세톤을 약 3시간에 걸쳐서 증류해서 제거한다.
잔여 반응물을 상온으로까지 냉각시킨 후, 에테르로 추출한다. 추출된 유기 용매층을 물, 포화소금물 등으로 순차적으로 씻은 다음,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한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제거하여 굳기름 상태의 다소 불순한 i-스티그마스테롤이 정량적으로 얻어졌다. 이를 더 이상의 정제화하는 조작이 없이 다음에 쓰여졌다. 왜냐하면 이때의 불순물들이 다음 반응이 끝난 후에 제거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반응의 진행에 관한 정보를 얻기 위해, 분석용 시료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하여 얻었다[고형상은 플로이실(florisil), 전개용매는 석유에테르와 벤젠을 2대 3의 비율로 사용].
융점 : 50-53℃
Figure kpo00011
[실시예 3]
24-s-3α, 5-시클로로-5α-클로스트-22-엔-6-온의 제조
i-스티그마스테롤(6.0gr)을 피리딘(80㎖)에 녹인다. 여기서 삼산화크롬(6.0gr)을 서서히 더한다. 위의 반응 혼합물을 상온에서 2시간 교반한다. 이때 기벽에 부착되는 물질들을 약수저를 사용 긁어내어 미세한 상태로 만든다. 여기서, 에테르(80㎖)을 붓고 잘 교반하면 많은 양의 고운 침전물이 유리됨을 볼 수 있다. 이들을 여과하고 여과 안된 물질을 에테르로 씻은 다음, 모아진 여액에 얼음을 넣어 차게 만든 다음 6N-염산을 넣어서 잘 교반한 후에 유기층과 수용액층으로 각각 분리한다. 수용액층을 2번 더, 에테르로 추출한다. 합하여진 에테르층을 얼음을 넣어 차게 만든 후 포화 중탄산나트륨 수용액으로 씻고, 함염수로 씻은 후, 감압하에서 용매를 제거한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물질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한다.
이때 고정상은 실리카겔 60G, 70-200메쉬이며, 헥산으로 고정상을 채운 후 헥산 : 벤젠=1 : 1의 용매 혼합물로 전개시킨다. 이때 85%의 수율로 5.05gr이 얻어졌다. 이를 99% 에탄올에서 재결정하니 흰색의 결정이 얻어졌다.
융점 : 100.5-101.5℃
Figure kpo00012
[실시예 4]
24-s-에틸-5α-클로스트-2, 22-디엔-6-온의 제조
24s-에틸-3α, 5-시클로-5α-콜레스트-22-엔-6-온(12gr)을 술포란(86㎖)에 녹인 용액에, p-톨루엔술폰산(617㎎)을 가한다. 위의 반응 혼합물 상부의 공기를 질소로 충진한 후에 서서히 질소를 불어 넣어주면서, 160℃부근에서 약 90분간을 교반하여 준다.
이때 반응액의 색깔이 약한 적색을 띄우게 된다.
반응 혼합물을 방치하여 냉각시켜 70-80℃정도까지 내려왔을때, 약 80㎖의 물을 서서히 가한다.
이때 용액에 불용성인 담황색의 고체들이 유리됨을 관찰할 수 있다. 이를 30분간 더 교환한 후에 요과하여 고체를 취한다. 여액에 대해선 물(80㎖)을 더 첨가한 후에 벤젠과 톨루엔을 1 : 1로 혼합한 용매로 추출한 후에 분리된 유기층을 물로 씻은 후, 분리한 고체와 합한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유기층을 감압하에서 용매를 제거한 후 헥산에 녹인다.
헥산에 불용성인 성분은 술포란이므로 이를 스포이드를 이용분리해낸다. 헥산층을 감압하에서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 물질을 분리해 내었다(실리카겔 60g, 70-200메쉬, 헥산으로 충진, 헥산 : 벤젠=1 : 1로 전개).
7.9gr이 얻어졌다(수율 66%). 99% 에탄올에서 재결정하였다.
융점 : 112.5-113.0℃
Figure kpo00013
[실시예 5]
2α,3α-디히드록시-24s-에틸-5α-콜레스트-22-E-엔-6-온의 제조
24s-에틸-5α-콜레스타-22-디엔-6-온(12gr)을 아세톤(600㎖)에 녹인 다음, t-부탄올(200㎖)에 녹인 4산화오스뮴(600㎎) N-메틸-모르포린옥시드(12gr)과 물(20㎖)을 순서대로 가한다. 위의 반응액 상부의 공기를 질소로 치환한 후에 10시간 동안 교반한다. 이때 생성된 산물이 결정으로서 석출됨을 볼 수 있다. 반응 혼합물에 포화 중 아황산나트륨 용액을 과량으로 존재하는 4산화오스뮴을 파괴하기 위해 첨가한 후 2시간 동안 교반한다. 침전된 결정들을 여과하여 모으고, 여지상의 물질들을 따뜻한 물로 3회 이상 씻어준다. 처음 여과한 후의 여액을 조금씩 30-40℃이하에서 감압 농축후 물을 첨가한 후에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한 다음, 이를 물과 소금물로 씻은 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후 감압증류하니 물질(Ⅸ)가 얻어졌다. 이를 헥산하에서 잘 으깨었더니 미세한 분말로 얻어졌다(12.4gr).
수율 : 95.5%
융점 : 204-207℃
Figure kpo00014
[실시예 6]
2α,3α-이소프로필리덴-디옥시-24s-에틸-5α-콜레스트-22-E-엔-6-온의 제조
2α,3α-디히드록시-24s-에틸-5α-콜레스트-22-E-엔-6-온(7.0gr)을 디클로로메탄(180㎖)에 가한 혼합물에 2, 2-디-메톡시프로판(20㎖)과 p-톨루엔-술폰산(0.33gr)을 가한 다음, 상온에서 1시간 가량 교반한다. 여기에 탄산 칼륨 분말을 더한 후 5분간 교반한 뒤에 포화 중탄산나트륨 수용액으로 씻고, 무수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한 후 감압증류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수율은 정량적이다. 99% 에탄올에서 재결정하였다.
융점58-159℃
Figure kpo00015
[실시예 7]
6,6-에틸렌디옥시-2α,3α-이소프로필리덴시옥시-24s-에틸-5α-콜레스트-22-엔의 제조
p-톨루엔 술폰산(0.05gr)을 2α,3α-이소프로필리덴디옥시-24s-에틸-5α-콜레스트-22-E-엔(3.5gr)을 부타논 에틸렌케탈(60㎖)에 녹인 용액을 더한다.
이 용액을 7시간 동안 환류시킨 다음, 벤젠(50㎖)을 더한 후 1N-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씻어준다.
이를 물, 함염수 등으로 씻고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한 후 감압하에서 용매를 제거한다. 물질(XI)이 끈끈한 검상으로 얻어졌다(3.2gr, 84% 수율).
Figure kpo00016
[실시예 8]
6, 6-에틸렌-2α,3α-이소프로필리덴-디옥시-5α-프레그난-20s-카르복스알데히드(일반식(Ⅱ)화합물)의 제조
물질(XI)(4.0gr : 6, 6-에틸렌디옥시-2α,3α-이소프로필리덴디옥시-24s-에틸-5α-콜레스트-22-E-엔)을 디클로로메탈(500㎖)과 메탄올(500㎖)의 혼합 용매에 녹여논 후, 중탄산나트륨(4gr)을 넣은 후 온도를 -50∼70℃로 낮춘 후 오존을 불어 넣는다. 반응 혼합물의 색깔이 엷은 푸르색을 띠우면, 오존 도입을 즉시 중단하고, 냉수욕을 제거한 후 질소를 불어 넣어 과량으로 녹아 있는 오존을 구축해 낸 다음 황화메틸(15㎖)을 넣고 3시간 가량 교반시켜 준다. 이를 감압하에서 용매를 제거한 잔여물을 에테르로 추출하면, 검 상의 표제 화합물 3.0gr이 얻어졌다(88.7% 수율)
Figure kpo00017
[실시예 9]
2α,3α-디히드록시-24s-(히드록시메틸-5α-프레그난-6-온의 제조
6-에틸렌-2α,3α-이소프로필리덴디옥시-5α-프레그난-20s-카르복스알데히드(0.87gr)을 건조 에테르(30㎖)에 녹인 다음, 이를 건조 에테르(30㎖)에 리튬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lithium aluminum hydride)(500㎖)를 넣어서 교반시키면서 얼음으로 냉각한 반응기안으로 적가 깔때기를 이용, 점적 가한다. 이 환원 반응을 3시간 정도 상온에서 진행시킨 다음, 과량으로 존재하는 미반응의 리튬 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를 제거하기 위해서, 냉각을 시키면서 물을 천천히 첨가한다. 얼음으로 냉각시키고, 묽은 염산을 가한다음 5분간 교반 후에 에테르 층을 분리한다. 이를 물, 함염수 등으로 씻은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다. 이를 감압하에서 농축한다. 이때 6-에틸렌-2α,3α-이소필리덴디옥시-20-히드록시-메틸-5α-프레그난(0.65gr)이 얻어졌다(수율 : 88%).
Figure kpo00018
상기 생성물을 그대로 THF(20㎖)에 녹인 후 6N-HCl(20㎖)을 더한다. 이를 상온에서 교반시키면서 밤새반응을 한다. 이를 감압하에서 용매를 제거한 뒤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한다. 이를 감압하에서 용매를 제거하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하여 헥산으로 잘 갈았더니 0.21gr의 물(Ⅲ-A)를 얻었다. 이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정제시켰다(실리카겔, 메탄올 : 클로로포름=1 : 40)
융점 : 179-180℃, 수율 : 50.5%
원소분석(C22H36O4)
Figure kpo00019
[실시예 10]
2α,3α, 6α-트리히드록시-20-s-히드록시메틸-5α-프레그난의 제조
2α,3α-디히드록시-20-s-히드록시메틸-5α-프레그난-6-온(0.2.g)을 건조 THF(10㎖)에 녹이고, 보란-THF 컴플렉스(2㎖, 10M 용액)에 넣고 교반을 1시간동안 상온에서 실시한다. 그런다음 3N NaOH(2㎖)을 점적 더한 후 30%, H2O2(2㎖)를 더한 후 1시간가량 더 상온에서 교반시킨다. 이를 감압하에서 증발 건조한다(0.19g, 95% 수율). 헥산으로 잘 처리하면 고상물의 표제 화학물을 얻는다.
융점 : 201-205℃
Figure kpo00020
[실시예 11]
2α,3α, 6α-트리히드록시-20-(1-히드록시에틸)-5α-프레그난의 제조
2α,3α-디히드록시-20-(1-히드록시에틸-5α-프레그난-6-온(0.2g)을 사용하여 실시예 10 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융점 : 230-234℃
Figure kpo00021
[실시예 12]
2α,3α, 6α-트리히드록시-20-(1-히드록시프로필)-5α-프레그난의 제조
2α,3α-디히드록시-20-(1-히드록시프로필)-5α-프레그난-6-온(0.2.g)을 실시예 10번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융점 : 262-266℃
Figure kpo00022
[실시예 13]
2α,3α, 6α-트리히드록시-20-(1-히드록시부틸)-5α-프레그난의 제조
실시예 10번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2α,3α-디히드록시-20-(1-히드록시)부틸-5α-프레그난-6-온(0.2gr)에서 표제 화합물 0.17g을 얻었다.
수율 : 84.6%
융점 : 243-247℃
Figure kpo00023
[실시예 14]
2α,3α, 6α-트리히드록시-20-(1-히드록시아밀)-5α-프레그난의 제조
2α,3α-디히드록시-20-(1-히드록시아밀)-5α-프레그난-6-온(0.2gr)을 사용하여 실시예 10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수율 : 89.6%
융점 : 212-214℃
Figure kpo00024
[실시예 15]
2α,3α,6α-트리히드록시-20-[1-히드록시헥실]-5α-프레그난의 제조
2α,3α-디히드록시-20-(1-히드록시헥실)-5α-프레그난-6-온(0.2g)을 사용하여 실시예 10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0.18gr)
융점 : 202-204.5℃
Figure kpo00025
[실시예 16]
2α,3α,6α-트리히드록시-20-(1-히드록시헵틸)-5α-프레그난의 제조
2α,3α-디히드록시-20-(1-히드록시헥실)-5α-프레그난-6-온(0.2g)을 사용하여 실시예 10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 : 수율 : 0.186g
융점 : 207-209.5℃
Figure kpo00026
[실시예 17]
2α,3α,6α-트리히드록시-20-(1-히드록시옥틸)-5α-프레그난의 제조
2α,3α-디히드록시-20-(1-히드록시옥틸)-5α-프레그난-6-온(0.2g)을 사용하여 실시예 10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 : 수율 : 0.17g
융점 : 194-198℃
Figure kpo00027
[실시예 18]
2α,3α,6α-트리히드록시-20-(1-히드록시노나닐)-5α-프레그난의 제조
2α,3α-디히드록시-20-(1-히드록시노나닐)-5α-프레그난-6-온(0.2g)을 사용하여 실시예 10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수율 : 0.19g)
융점 : 184-188℃
Figure kpo00028
[실시예 19]
2α,3α,6α-트리히드록시-20-(1-히드록시-1-이소아밀)메틸]-5α-프레그난의 제조
2α,3α-디히드록시-20-(1-히드록시노나닐)-5α-프레그난-6-온(0.2g)을 사용하여 실시예 10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수율 : 0.19g)
융점 : 188-191℃
Figure kpo00029
[실시예 20]
2α,3α,6α-트리히드록시-20-(1-히드록시-1-이소헵틸)메틸]-5α-프레그난의 제조
2α,3α-디히드록시-20-(1-히드록시-1-이소헵틸)메틸-5α-프레그난-6-온(0.2g)을 사용하여 실시예 10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수율 : 0.14g)
융점 : 192-194℃
Figure kpo00030
[실시예 21]
2α,3α,6α-트리히드록시-20-(1-히드록시-1-sec-부틸)메틸]-5α-프레그난의 제조
2α,3α-디히드록시-20-(1-히드록시-1-sec-부틸)메틸]-5α-프레그난-6-온(0.2g)을 사용하여 실시예 10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수율 : 0.17g)
융점 : 210-214℃
Figure kpo00031
[실시예 22]
2α,3α,6α-트리히드록시-20-(1-히드록시-1-sec-아밀)메틸]-5α-프레그난의 제조
2α,3α-디히드록시-20-(1-히드록시-1-sec-아밀)메틸]-5α-프레그난-6-온(0.2g)을 사용하여 실시예 10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수율 : 0.18g)
융점 : 203-208℃
Figure kpo00032
[실시예 23]
2α,3α,6α-트리히드록시-20-(1-히드록시-1-(2-메틸이소아밀)메틸]-5α-프레그난의 제조
2α,3α-디히드록시-20-(1-히드록시-1-(2-메틸이소아밀)메틸]-5α-프레그난-6-온(0.2g)을 사용하여 실시예 10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수율 : 1.19g).
융점 : 207-212℃
Figure kpo00033
[실시예 24]
2α,3α,6α-트리히드록시-20-(1-히드록시-1-(2-메틸이소헥실)메틸]-5α-프레그난의 제조
2α,3α-디히드록시-20-(1-히드록시-1-(2-메틸이소헥실)메틸]-5α-프레그난-6-온(0.2g)을 사용하여 실시예 10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수율 : 0.19g).
융점 : 194-197℃
Figure kpo00034
[실시예 25]
2α,3α,6α-트리히드록시-20-{(1-히드록시-1-(2-메틸이소헵틸)메틸]}-5α-프레그난의 제조
2α,3α-디히드록시-20-[{(1-히드록시-1-(2-메틸이소아밀)}메틸)]-5α-프레그난(0.2g)을 사용하여 실시예 10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수율 : 0.16g).
융점 : 210-214℃
Figure kpo00035
[실시예 26]
2α,3α,6α-트리히드록시-20-{(1-히드록시-1-부틸)메틸]}-5α-프레그난의 제조
2α,3α-디히드록시-20-{(1-히드록시-1-t-부틸)메틸]}-5α-프레그난-6-온(0.2g)을 사용하여 실시예 10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 (수율 : 0.20g).
융점 : 183-185℃
Figure kpo00036
[실시예 27]
2α,3α,6α-트리히드록시-20-{(1-히드록시-1-t-헥실)메틸]}-5α-프레그난의 제조
2α,3α-디히드록시-20-{(1-히드록시-1-t-헥실)메틸]}-5α-프레그난(0.2g)을 실시예 10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수율 : 0.15g).
융점 : 187-189.5℃
Figure kpo00037
[실시예 28]
2α,3α,6α-트리히드록시-20-{(1-히드록시-1-t-옥틸)메틸]}-5α-프레그난의 제조
2α,3α-디히드록시-20-{(1-히드록시-1-t-헥실)메틸]}-5α-프레그난(0.2g)을 사용하여 실시예 10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수율 : 0.17g).
융점 : 193-195℃
Figure kpo00038
[실시예 29]
2α,3α,6α-트리히드록시-20-{(1-히드록시-1-메틸메틸술피닐)메틸]}-5α-프레그난의 제조
2α,3α-디히드록시-20-{(1-히드록시-1-메틸메틸술피닐)메틸]}-5α-프레그난-6-온(0.2g)을 사용하여 실시예 10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수율 : 0.18g).
융점 : 199-205℃
Figure kpo00039
[실시예 30]
2α,3α,6α-트리히드록시-20-{(1-히드록시-1-에톡시메틸)메틸]}-5α-프레그난의 제조
2α,3α-디히드록시-20-{(1-히드록시-1-에톡시메틸)메틸]}-5α-프레그난-6-온(0.2g)을 사용하여 실시예 10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수율 : 0.20g).
융점 : 213-215℃
Figure kpo00040
[실시예 31]
2α,3α,6α-트리히드록시-20-{(1-히드록시-1-시클로헥실)메틸]}-5α-프레그난의 제조
2α,3α-디히드록시-20-{(1-히드록시-1-시클로헥실)메틸]}-5α-프레그난-6-온(0.2g)을 사용하여 실시예10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수율 : 0.17g).
융점 : 174-176℃
Figure kpo00041
[실시예 32]
2α,3α,6α-트리히드록시-20-{(1-히드록시-1-페닐)메틸}-5α-프레그난의 제조
2α,3α-디히드록시-20-{(1-히드록시-1-페닐)메틸}-5α-프레그난-6-온(0.2g)을 건조 THF(10ml)에 녹인후에 여기에 보란-메틸술피드 컴플렉스(2ml, 10M 용액)을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을 실시한다. 그후에 3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2ml)을 적가한 후에 35% 과산화수소용액(2ml)을 더한 후 1시간가량 더 상온에서 교반시킨다. 이를 감압하에서 증발 건조한다(0.18g). 이를 헥산-에테르하에서 잘 연마하여 결정상의 고체로 얻었다.
융점 : 184-187℃
Figure kpo00042
[실시예 33]
2α,3α,6α-트리히드록시-20-{(1-히드록시-3-페닐)프로필}-5α-프레그난의 제조
2α,3α-디히드록시-20-{(1-히드록시-페닐)에틸}-5α-프레그난-6-온(0.2g)을 사용하여 실시예 31과 동일하게 반응시켜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수율 : 0.16g).
융점 : 224-227℃
Figure kpo00043
[실시예 34]
2α,3α,6α-트리히드록시-20-{(1-히드록시-2-페닐)메틸}-5α-프레그난의 제조
2α,3α-디히드록시-20-{(1-히드록시-2-페닐)에틸}-5α-프레그난-6-온(0.2g)을 사용하여 실시예 3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수율 : 0.17g).
융점 : 212-214℃
Figure kpo00044
[실시예 35]
2α,3α,6α-트리히드록시-20-{(1-히드록시-2-(0-메틸페닐)]에틸}-5α-프레그난의 제조방법
2α,3α-디히드록시-20-{(1-히드록시-2-(0-메틸페닐)]에틸}-5α-프레그난-6-온(0.2g)을 실시예 3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수율 : 0.18g).
융점 : 252-257℃
Figure kpo00045
[실시예 36]
2α,3α,6α-트리히드록시-20-{(1-히드록시-2-(m-메틸)페닐]에틸}-5α-프레그난-6-온의 제조
2α,3α-디히드록시-20-{(1-히드록시-2-(m-메틸)페닐]에틸}-5α-프레그난-6-온(0.2g)을 사용하여 실시예 3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수율 : 0.19g).
융점 : 217-212℃
Figure kpo00046
[실시예 37]
2α,3α,6α-트리히드록시-20-{(1-히드록시-2-(p-메틸페닐)]에틸}-5α-프레그난-6-온의 제조
2α,3α-디히드록시-20-{(1-히드록시-2-(p-메틸페닐)]에틸}-5α-프레그난-6-온(0.2g)을 사용하여 실시예 3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수율 : 0.16g).
융점 : 215-217℃
Figure kpo00047
[실시예 38]
2α,3α,6α-트리히드록시-20-{(1-히드록시-2-(p-에틸페닐)]에틸}-5α-프레그난-6-온의 제조
2α,3α-디히드록시-20-{(1-히드록시-2-(p-에틸페닐)]에틸}-5α-프레그난-6-온(0.2g)에서 실시예 3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융점 : 221-224℃
Figure kpo00048
[실시예 39]
2α,3α,6α-트리히드록시-20-{(1-히드록시-2-(p-이소프로필페닐)]에틸}-5α-프레그난-6-온의 제조
2α,3α-디히드록시-20-{(1-히드록시-2-(p-이소프로필페닐)]에틸}-5α-프레그난-6-온(0.2g)을 사용하여 실시예 3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Figure kpo00049
[실시예 40]
2α,3α,6α-트리히드록시-20-[1-히드록시-2-페닐)에테닐]-5α-프레그난-6-온의 제조
2α,3α-디히드록시-20-[(1-히드록시-페닐)에테닐]-5α-프레그난-6-온(0.2g)을 사용하여 실시예 10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융점 : 214-216℃
Figure kpo00050
[시험방법]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브라시노라이드 유사체의 생물학적 활성시험은 벼의 유묘의 라미나조인트의 굴곡각도를 알아보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는 극히 낮은 농도에서도 브라시노라이드 유사체의 활성을 검정할 수 있는 극히 효과적인 방법이다.
[참조 : K. Wada, S. Marumo, N. Ikekawa, N. Ikekawa, M. Morisaki 및 K. Mori, Plant and Cell Physiology, 22, 323(1981) 벼(풍산벼, Oriza sativa, L. cv. Pungsan)를 발아시킨 후, 암실에서 8일간 키운후에 제2절간의 조인트를 2㎝ 길이로 잘라서, 이를 하루동안 암실에서 증류수에 띄어놓은 다음, 균일한 조인트를 골라 약제(1% 아세톤, 1%트윈으로 용액화)로 처리한 다음 2일간 암실에서 띄어 놓는다. 이를 꺼내 녹색광하에서 그의 굴곡 각도를 측정한다.
생물실험의 결과를 하기표에 나타냈다.
[표 1]
Figure kpo00051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신규 브라시노라이드 유사체는 상기표에서 나타난 바와같이, 대조구에 비해 강력한 생리활성을 갖고 있음을 나타냈다.
따라서 본원의 목적물은 연중 일조량이 적은 지방에서 획기적으로 농업에 이용할 수 있으며, 온대, 열대 지방에서는 종래보다 2-3 모작 경작에 충분한 효과를 나타내며, 특히 강제작물의 영농을 성취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효과를 부여한다.

Claims (2)

  1. 하기 일반식(I)의 브라시노 라이드 유사체 :
    Figure kpo00052
    상기식에서, R은 수소탄소수 1-10의 자방족 또는 시클로기, 1-3개의 치환체(여기서, 치환체는 저급알킬기 또는 저급알케닐기)를 가져도 좋은 방향족기, 1-3개의 치환체(여기서, 치환체는 저급알킬기 또는 저급 알케닐기임)를 가져도 좋은 복소환기를 나타내며, 탄소 22위치와 R사이에 0-3개의 탄소수를 가져도 좋다.
  2. 제1항에 있어서, 브라시노라이드 유사체가 2a,3a,6a-트리히드록시-20-(1-히드록시부틸)-5a-프레그난, 2a,3a,6a-트리히드록시-20-(1-히드록시아밀)-5a-프레그난, 2a,3a,6a-트리히드록시-20(1-히드록시헥실)-5α-프레그란, 2α,3α,6α-트리히드록시-20{(1-히드록시-1-이소아밀]메틸로-5α-프레그난, 2α,3α,6α-트리히드록시-20-{(1-히드록시-1-이소헵틸)메틸}-5a-프레그난, 2a,3a,6a
    -트리히드록시-20-{(1-히드록시-1-sec-아밀)메틸}-5a-프레그난, 2a,3a,6a-트리히드록시-20-{(1-히드록시-1-t-헥실)메틸}-5a-프레그난, 2a,3a,6a-트리히드록시-20-{(1-히드록시-1-메틸메틸술피닐)메틸}-5a-프레그난인 화합물.
KR1019870008041A 1987-07-23 1987-07-23 브라시노라이드 유사체 KR9100053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08041A KR910005378B1 (ko) 1987-07-23 1987-07-23 브라시노라이드 유사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08041A KR910005378B1 (ko) 1987-07-23 1987-07-23 브라시노라이드 유사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1924A KR890001924A (ko) 1989-04-06
KR910005378B1 true KR910005378B1 (ko) 1991-07-29

Family

ID=19263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8041A KR910005378B1 (ko) 1987-07-23 1987-07-23 브라시노라이드 유사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537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1924A (ko) 1989-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017794B2 (ja) 新規ステロイド類
EP0118794B1 (de) Neue Chromen-Derivate
Mangnus et al. Synthesis, structural characterization, and biological evaluation of all four enantiomers of strigol Analog GR7
JPH0199A (ja) 23−フエニルステロイド類およびその製法
KR910005378B1 (ko) 브라시노라이드 유사체
KR910005421B1 (ko) 브라시노라이드 유사체
Fargher et al. CXXVI.—The action of αγ-dibromobutane on the sodium derivatives of ethyl acetoacetate and benzoylacetate
KR910005420B1 (ko) 브라시노라이드 유사체
KR900002065B1 (ko) 브라시노라이드 유사체의 제조방법
Erdtman Corticrocin, a Pigment from the Mycelium of a Mycorrhiza Fungus. II
KR890003163B1 (ko) 브라시노라이드 유사체의 제조방법
US4002459A (en) Germination factors
FR2541290A1 (fr) Ethers en 22 d'hexanor-brassinolides, procede pour les preparer, produits qui en contiennent et qui ont une action regulatrice sur la croissance de plantes, et application de ces produits
US3641146A (en) Halocolchicine derivatives
KR880001240B1 (ko) 브라시노라이드 유사체의 제조방법
Meijer The insecticidal constituents of pachyrrhizus erosus urban. I
US4886544A (en) 23-phenylbrassinosteroids
KR910005377B1 (ko) 브라시노라이드 유사체
CA1330987C (en) (22r,23r,24s)-22,23-epoxy-2.-3.-isopropylidene-dioxy- .beta.-homo-7-oxa-5. -stigmastan-6-one,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and plant growth regulating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US3065244A (en) Preparation of nordihydro-rotenone
BE897759A (fr) Derives de brassinosteroide,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leur utilisation
US4340732A (en) Butenolide herbicides and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JPS61103894A (ja) ブラシノライド誘導体、その製法および植物生長調節作用を有する薬剤
Wu et al. Oleanolic acid from cranberries
JP2739486B2 (ja) 花芽増加・開花促進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707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8707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10629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110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201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201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407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507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607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07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806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05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051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605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60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